KR101798361B1 - 화장용 브러시 기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브러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361B1
KR101798361B1 KR1020170087352A KR20170087352A KR101798361B1 KR 101798361 B1 KR101798361 B1 KR 101798361B1 KR 1020170087352 A KR1020170087352 A KR 1020170087352A KR 20170087352 A KR20170087352 A KR 20170087352A KR 101798361 B1 KR101798361 B1 KR 10179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rush
protrusion
coupled
brush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혜림
Original Assignee
손혜림
강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혜림, 강다혜 filed Critical 손혜림
Priority to KR102017008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361B1/ko
Priority to US16/073,145 priority patent/US20200146428A1/en
Priority to PCT/KR2017/012150 priority patent/WO20190133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08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6Brushes with heads on opposite sides or ends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화장용 브러시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 제1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브러시부,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제1 바디를 수용하며, 제1 바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제1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커버, 제1 바디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결합부, 제1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제2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브러시부,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제2 바디를 수용하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제2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커버, 및 제2 바디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장용 브러시 기구{BRUSH APPARATUS FOR MAKE UP}
본 발명은 화장용 브러시 기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브러시는 파우더 형태의 색조 화장품 등을 이용하여 눈, 볼 등의 화장을 하기 위한 미용 도구로서, 그 세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브러시가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장용 브러시는 다수의 모(毛)로 구성되는 브러시부, 브러시부를 지지하는 홀더, 및 홀더에 결합되는 핸들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이러한 핸들을 잡고 브러시부를 이용하여 화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브러시부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오염되거나 손상을 입기 쉬우며, 브러시부의 보호를 위하여 별도의 캡을 이용하는 경우 매번 사용시마다 캡을 여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브러시부에 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브러시부의 모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386호 (2011. 05. 09. 공고)
본 발명은 브러시부의 사용 편이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 화장용 브러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 제1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브러시부,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제1 바디를 수용하며, 제1 바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제1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커버, 제1 바디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결합부, 제1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제2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브러시부,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제2 바디를 수용하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제2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커버, 및 제2 바디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가 제공된다.
제1 브러시부 및 제2 브러시부가 제1 커버 및 제2 커버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의 일단은 제2 커버의 일단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의 일단과 제2 커버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체결홈와 맞물리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의 타단의 내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바디의 양단의 외주면에는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제1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중 제1 돌출부가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에 각각 걸림에 따라, 제1 커버는 제1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위치 및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각각 제한될 수 있다.
제1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기준값을 초과하는 하중을 가하는 경우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 돌기를 통과하도록, 제1 바디 중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영역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는 중공형의 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의 양측에는 제1 바디를 관통하는 제1 절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 중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제1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캡, 및 제1 캡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부의 사용 편이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의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의 분리 및 커버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의 보관을 위하여 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더로 이루어진 색조 화장품 등으로 화장을 하기 위한 화장용 브러시 기구(10)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 제1 브러시부(120), 제1 커버(130), 제1 결합부(140), 제2 바디(210), 제2 브러시부(220), 제2 커버(230), 및 제2 결합부(240)를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1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브러시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브러시 기구(10)로 상이한 종류의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 여부에 따라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230)를 간단히 개폐하여 제1 브러시부(120) 또는 제2 브러시부(220)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230)가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를 수용하고, 반대로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를 노출시킴으로써,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의 손상 없이 효과적으로 제1 브러시부(120) 또는 제2 브러시부(220)의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를 분리시키고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230)를 결합함으로써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230) 내의 제1 관통홀(132)과 제2 관통홀(232) 내부에 제1 브러시부(120)와 제2 브러시부(220)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1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 기구(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바디, 브러시부, 커버 및 결합부로 구성되는 브러시 세트 한 쌍이 대칭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40) 및 제2 결합부(240)를 통해 제2 바디(210)와 대칭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부(120)와 제2 브러시부(220)의 보관을 위하여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는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제1 바디(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10)는 원통형 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30)의 위치 유지를 위한 제1 걸림 돌기(112)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양측에는 제1 걸림 돌기(112)의 탄성적 유동을 위하여 제1 절개부(11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걸림 돌기(112)와 제1 절개부(114)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제1 커버(130)의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브러시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러시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파우더 등을 이용한 화장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바디(110)의 직경에 대응되는 횡단면적을 갖는 제1 브러시부(120)를 일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밖에 눈 등의 국소적인 영역에 대한 화장을 위하여 제1 바디(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횡단면적을 갖도록 제1 브러시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횡단면적이 작은 제1 브러시부(120)의 경우 별도의 브러시 가이드 등을 통해 제1 브러시부(12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 커버(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관통홀(1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관통홀(132) 내부에는 제1 바디(11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통홀(132)은 제1 바디(1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이동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부(120)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부(12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30)의 하단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제1 돌출부(1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110)의 양단의 외주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6)와 대응되는 위치, 즉 제1 커버(1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제1 돌출부(136)의 이동 경로 상에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1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버(130)와 제1 바디(110)에 제1 돌출부(136)와 제1 걸림 돌기(112)가 각각 형성되어 제1 커버(130)의 슬라이딩 이동 중 제1 돌출부(136)가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112)에 각각 맞물림에 따라, 제1 커버(130)는 도 2와 같이 제1 브러시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위치 및 도 1과 같이 제1 브러시부(12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각각 제한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30)가 제1 바디(110)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브러시부(120)를 수용하면서 제1 바디(110)의 상단에 이르게 되면, 제1 커버(130) 단부의 제1 돌출부(136)는 제1 바디(110) 상단 외주면의 제1 걸림 돌기(112)를 넘어 통과한 뒤 제1 바디(110) 상단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는 테두리부에 걸려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36)는 제1 걸림 돌기(112)와 제1 바디(110)의 테두리부 사이에 가로막혀 제1 커버(130)는 제1 바디(110)의 상단에서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바디(110) 중 제1 걸림 돌기(112)가 형성되는 영역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기준값을 초과하는 하중을 가하는 경우 제1 바디(110)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제1 돌출부(136)는 일정 이상의 하중에 의해 제1 걸림 돌기(112) 위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바디(110) 중 제1 걸림 돌기(112)가 형성되는 영역의 탄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14) 및 제1 바디(110)에서의 두께 편차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절개부(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 돌기(1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개부(114)는 제1 바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절개부(114) 사이에 개재된 제1 걸림 돌기(112)는 제1 바디(110)의 내측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 중 제1 걸림 돌기(112)가 형성되는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 중 제1 걸림 돌기(112)가 형성되는 영역의 두께(t1)는 그 외의 다른 영역의 두께(t2)에 비해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110) 중 제1 걸림 돌기(112)가 형성되는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제1 걸림 돌기(112)의 보다 효과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30)가 제1 바디(11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브러시부(120)를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제1 바디(110)의 하단에 이르게 되면, 제1 커버(130) 단부의 제1 돌출부(136)는 제1 바디(110) 하단 외주면의 제1 걸림 돌기(112)를 넘어 통과한 뒤 제1 바디(110) 하단에 결합되어 스토퍼로 기능하는 제1 캡(142)에 걸려 그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제1 커버(130)는 제1 바디(110)의 하단에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24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 간의 결합 및 분리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40)는 제1 바디(1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캡(142), 및 제1 캡(142)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넷(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캡(1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하단을 일부 감싸도록 커버하며,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 커버(130)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44)은 제1 캡(142)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1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체결 구조를 배제하고 보다 간이하게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 간 탈부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바디(210)는 제1 바디(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240)가 설치되어 있어 상술한 제1 결합부(140)와의 탈부착을 통해 제1 바디(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210), 그리고 제2 바디(210)에 결합되는 제2 브러시부(220), 제2 커버(230), 제2 결합부(240), 그리고 이들의 세부 구성인 제2 걸림 돌기(212), 제2 절개부(214), 제2 관통홀(232), 제2 돌출부(236), 제2 캡(242), 제2 마그넷(244)의 구조 및 그에 따른 기능은 전술한 제1 바디(110), 제1 브러시부(120), 제1 커버(130), 및 제1 결합부(140), 그리고 제1 걸림 돌기, 제1 절개부(114), 제1 관통홀(132), 제1 돌출부(136), 제1 캡(142), 제1 마그넷(144)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브러시부(120)와 제2 브러시부(220)의 보관을 위하여 상이하게 구성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230)의 상단부 구조 및 이들 간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대칭 구조로 배치된 한 쌍의 브러시 세트는 서로 분리된 후 상이한 방식으로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시부(120) 및 제2 브러시부(220)가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23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230)가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러시부(120)와 제2 브러시부(220)는 제1 관통홀(132) 및 제2 관통홀(232)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외부 환경과 차단되므로, 제1 브러시부(120)와 제2 브러시부(220)는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130)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230)의 일단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130)의 일단에는 체결홈(134)이 형성되고, 제2 커버(230)의 일단에는 체결홈(134)와 맞물리는 체결 돌기(234)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30)의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체결 돌기(234)는 복수로 각각 형성되어 제2 커버(230) 상단의 내주면에 방사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화장용 브러시 기구
110: 제1 바디
112: 제1 걸림 돌기
114: 제1 절개부
120: 제1 브러시부
130: 제1 커버
132: 제1 관통홀
134: 체결홈
136: 제1 돌출부
140: 제1 결합부
142: 제1 캡
144: 제1 마그넷
210: 제2 바디
212: 제2 걸림 돌기
214: 제2 절개부
220: 제2 브러시부
230: 제2 커버
232: 제2 관통홀
234: 체결 돌기
236: 제2 돌출부
240: 제2 결합부
242: 제2 캡
244: 제2 마그넷
t1: 제1 걸림 돌기 영역의 두께
t2: 제1 걸림 돌기 영역 이외의 두께

Claims (10)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브러시부;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제1 바디를 수용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커버;
    상기 제1 바디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모(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브러시부;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제2 바디를 수용하며,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시부 및 상기 제2 브러시부가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은 상기 제2 커버의 일단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의 일단과 상기 제2 커버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홈와 맞물리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의 타단의 내면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양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중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걸림 돌기에 각각 걸림에 따라,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브러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위치 및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각각 제한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기준값을 초과하는 하중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 돌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바디 중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영역은 탄성을 갖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중공형의 관 구조를 갖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바디를 관통하는 제1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중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캡; 및
    상기 제1 캡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시 기구.
KR1020170087352A 2017-07-10 2017-07-10 화장용 브러시 기구 KR10179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52A KR101798361B1 (ko) 2017-07-10 2017-07-10 화장용 브러시 기구
US16/073,145 US20200146428A1 (en) 2017-07-10 2017-10-31 Brush apparatus for make up
PCT/KR2017/012150 WO2019013398A1 (ko) 2017-07-10 2017-10-31 화장용 브러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52A KR101798361B1 (ko) 2017-07-10 2017-07-10 화장용 브러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361B1 true KR101798361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352A KR101798361B1 (ko) 2017-07-10 2017-07-10 화장용 브러시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46428A1 (ko)
KR (1) KR101798361B1 (ko)
WO (1) WO20190133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69B1 (ko) 2019-02-12 2020-06-25 이현주 화장용 멀티 브러시
KR20220161176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용 브러쉬 보호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3747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용 브러쉬 보호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1902S1 (en) * 2019-02-22 2020-11-17 Shinsegae International Inc. Brush for cosmetic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64Y1 (ko) 2005-06-08 2005-08-18 주식회사 태평양 색상별 선택 사용이 가능한 립스틱
KR200404023Y1 (ko) 2005-10-06 2005-12-15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용 브러쉬 세트
JP2010136780A (ja) 2008-12-10 2010-06-24 Koojin:Kk 化粧用ブラシ
KR101754514B1 (ko) 2016-01-04 2017-07-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브러쉬가 구비된 펜슬형 화장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560A (ko) * 2014-12-30 2016-07-08 김다현 화장용 멀티 브러쉬 세트
KR101707232B1 (ko) * 2015-02-03 2017-02-15 신연선 두 개의 브러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64Y1 (ko) 2005-06-08 2005-08-18 주식회사 태평양 색상별 선택 사용이 가능한 립스틱
KR200404023Y1 (ko) 2005-10-06 2005-12-15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용 브러쉬 세트
JP2010136780A (ja) 2008-12-10 2010-06-24 Koojin:Kk 化粧用ブラシ
KR101754514B1 (ko) 2016-01-04 2017-07-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브러쉬가 구비된 펜슬형 화장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69B1 (ko) 2019-02-12 2020-06-25 이현주 화장용 멀티 브러시
KR20220161176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용 브러쉬 보호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3747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용 브러쉬 보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398A1 (ko) 2019-01-17
US20200146428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361B1 (ko) 화장용 브러시 기구
JP4803706B2 (ja) 化粧料容器
KR101945666B1 (ko) 립스틱 용기
US20050087475A1 (en) Cosmetics case
JP4648748B2 (ja) 内視鏡の鉗子栓
KR200456686Y1 (ko) 화장품용기의 캡
JP2006305012A (ja) ビューラー
KR101788465B1 (ko) 화장용 도구
KR102078686B1 (ko) 화장품 용기
KR101413201B1 (ko) 필기구
JP4138955B2 (ja) 化粧用ブラシ等の保護装置
KR101591588B1 (ko) 조립식 화장용 도구
KR101541418B1 (ko) 화장용 브러쉬
GB2567752B (en) Depilatory devices
KR102126569B1 (ko) 화장용 멀티 브러시
KR200372894Y1 (ko) 아이섀도우 용기구조
KR200488181Y1 (ko) 화장 도구
KR200224635Y1 (ko) 펜슬형 눈 화장용구
JPH11253395A (ja) 内視鏡の鉗子栓
JP6275570B2 (ja) ブラシ器具付きキャップ
KR100456268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JP3112899U (ja) 化粧筆
JPH07100097A (ja) 内視鏡の鉗子栓
KR0118270Y1 (ko) 화장 용기 조립체
US10004443B2 (en) Protecting mechanism for blood sam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