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256A -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256A
KR20040020256A KR1020020051803A KR20020051803A KR20040020256A KR 20040020256 A KR20040020256 A KR 20040020256A KR 1020020051803 A KR1020020051803 A KR 1020020051803A KR 20020051803 A KR20020051803 A KR 20020051803A KR 20040020256 A KR20040020256 A KR 2004002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thread
java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256A/ko
Publication of KR2004002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 G06F8/44Encoding
    • G06F8/443Optimisation
    • G06F8/4434Reducing the memory space required by the program code
    • G06F8/4435Detection or removal of dead or redundant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1Programming languages or programming paradigms
    • G06F8/315Object-oriented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바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므로 동적 힙메모리의 양을 파악하는 메모리모델 블록부와, 상기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메모리의 양을 파악한 다음 데이터 객체의 저장 및 삭제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의 기능을 포함하여 메모리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자바프로그램 개발시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개발데이터 및 제어명령들을 처리하는 제어블록부와, 상기 자바프로그램이 동작할 경우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 쓰레드 정보들을 관리하는 쓰레드모델 블록부와, 상기 쓰레드모델 블록부의 쓰레드 정보를 생성시키거나 혹은 불필요한 쓰레드들을 해지 및 블록시키도록 쓰레드모델 블록부로 통지하는 쓰레드 제어부로 이루어진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자바힙 메모리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제어부와 다양한 타입으로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한 쓰레드모델블록의 쓰레드데이터를 제어하는 쓰레드 제어부를 구비하므로써, 자바 프로그램개발시 자바힙 메모리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저장 및 삭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메모리의 과저장현상을 방지시킨다.

Description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rol system of the memory using a JAV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바힙 메모리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제어부와 다양한 타입으로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한 쓰레드모델블록의 쓰레드데이터를 제어하는 쓰레드 제어부를 구비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바(Java)는 인터넷 프로그래밍 언어의 하나로서,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와 컨텐츠 등을 자동으로 배포·설치·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즉, 동영상(動映像)·이미지·음향처리·애니메이션과 양방향 대화 등이 가능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로 새로운 서비스자료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를 주는 업체(server) 쪽은 트랜스미터, 서비스를 받는 이용자(client) 쪽은 튜너라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이 사이에 리피터(repeater)라는 중계기를설치한다. 그리고, 이 두 소프트웨어의 채널이 맞춰짐으로써 이용자는 뉴스·주가변동 등의 정보와 음악·오락·게임 등의 자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대, 상기와 같은 자바 프로그램은 통상 자바 힙 메모리(Java heap memory)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자바프로그램의 개발에 이용되는 자바 힙 메모리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자바프로그램 개발시 사용자 명령부(70)로부터 입력된 개발신호 및 제어명령들을 처리하고 메모리 저장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블록부(71)와, 상기 제어블록부(71)의 저장제어신호에 따라 자바언어로 작성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자바힙 메모리(72)와, 상기 제어블록부(7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바힙 메모리(72)에 주기적으로 폴링하면서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혹은 회수하는 자바 가비지 컬렉터(73:Java garbage collector)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자바 가비지 컬렉터(73)는 자바힙 메모리(72)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그렇게 하는 이유는 이 자바가 다른 랭귀지 예컨대, C, C++와는 달리 로컬 하드웨어에 대해서 직접적인 제어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자바힙 메모리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프로그램 개발자가 자바언어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중에 그 개발된 데이터를 사용자명령부(70)를 통해 제어블록부(71)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블록부(71)는 입력된 자바데이터들을 개발자의 의도대로 자바힙 메모리(72)에 메모리영역을 할당하여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개발자는 임의로 상기 자바힙 메모리(72)의 저장영역에 접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초기값으로 할당된 메모리 부족시 제어블록부(71)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자바힙 메모리(72)의 관리를 위한 제어신호를 자바 가비지 컬렉터(73)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자바 가비지 컬렉터(73)는 제어블록부(7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바힙 메모리(72)에 주기적으로 폴링하면서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를 찾아내어 삭제하거나 혹은 회수하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자바 프로그램 개발시에는 일반적으로 쓰레드로 알려진 객체를 필요시마다 생성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 생성된 쓰레드는 개발자가 일일이 숙지한 다음 처리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자바프로그램의 개발에 이용되는 자바 힙 메모리장치는 자바힙 메모리(72)의 관리를 제어블록부(71)에 기능제어에 의해 자바 가비지 컬렉터(73)가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바 가비지 컬렉터(73)는 주기적으로 상기 자바힙 메모리(72)를 폴링하면서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를 삭제해서 회수하기는 하지만 참조되지않은 객체에 대한 데이터 회수에 지나지않고, 처리루틴이 많아서 신속한 데이터처리가 어려워 데이터 과저장현상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상기 자바 가비지 컬렉터(73)를 구동시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므로 그에 따라 자바힙 메모리에 대한 관리의 효용성이 상당히 저하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바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필요시마다 쓰레드를 생성시켜서 사용하게되는데, 이러한 쓰레드를 생성하기위해서는 초기에 상당한 준비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원하는 적절한 시간에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만약 커다란 프로그램을 다수의 개발자들이 공동으로 개발할 경우 그 생성된 쓰레드는 각 개발자가 일일이 숙지하고 있다가 처리해야하므로 사용후 회수되지 않고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그대로 가져갈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쓰레드의 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자바 프로그램개발시 자바힙 메모리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저장 및 삭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메모리의 과저장현상을 방지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쓰레드중에서 필요한 쓰레드를 즉시 사용하거나 혹은 불필요한 쓰레드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쓰레드 제어의 편의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바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므로 동적 힙메모리의 양을 파악하는 메모리모델 블록부와, 상기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메모리의 양을 파악한 다음 데이터 객체의 저장 및 삭제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의 기능을 포함하여 메모리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자바프로그램 개발시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개발데이터 및 제어명령들을 처리하는 제어블록부와, 상기 자바프로그램이 동작할 경우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 쓰레드 정보들을 관리하는 쓰레드모델 블록부와, 상기 쓰레드모델 블록부의 쓰레드 정보를 생성시키거나 혹은 불필요한 쓰레드들을 해지 및 블록시키도록 쓰레드모델 블록부로 통지하는 쓰레드 제어부로 이루어진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자바메모리제어장치에서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에 관한것인 지를 확인하는 제어정보 확인단계와, 상기 제어정보 확인단계중에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일 경우 프리퍼런스를 통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메모리정보를 파악하여 셋팅하는 메모리정보 파악단계와, 상기 메모리정보 파악단계후에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의 저장요구신호가 입력될 경우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저장영역확보 확인단계와, 상기 저장영역확보 확인단계에 의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었을 경우 메모리 제어부를 통해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영역확보 확인단계에 의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부족함이 확인될 경우 프리퍼런스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메모리영역을 추가로 확보한다음 현재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영역 확보단계로 이루어진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자바메모리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메모리모델 블록부 2 : 메모리 제어부
3 : 사용자 명령부 4 : 제어블록부
5 : 쓰레드모델 블록부 6 : 쓰레드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바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므로 동적 힙메모리의 양을 파악하는 메모리모델 블록부(1)와, 상기 메모리모델 블록부(1)의 메모리의 양을 파악한 다음 데이터 객체의 저장 및 삭제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모델 블록부(1)의 저장상태 등을 프로그램상으로 통지하는 메모리 제어부(2)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2)의 기능을 포함하여 프리퍼런스기능과 메모리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자바프로그램 개발시 사용자 명령부(3)로부터 입력된 개발신호 및 제어명령들을 처리하는 제어블록부(4)와, 상기 자바프로그램이 동작할 경우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 쓰레드 정보들을 관리하는 쓰레드모델 블록부(5)와, 상기 쓰레드모델 블록부(5)의 쓰레드 정보를 생성시키거나 혹은 불필요한 쓰레드들을 해지 및 블록시키도록 쓰레드모델 블록부(5)로 통지하는 쓰레드 제어부(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블록부(4)는 프리퍼런스(preference)를 통해 메모리모델 블록부(1)와 쓰레드모델 블록부(5)의 초기 메모리사이즈와 메모리 재확보 유무상태 및 메모리 재확보시 증가가능량을 결정하는 셋팅정보를 얻게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제어정보 표시단계(S2)로 진행하여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에 관한것인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정보 표시단계(S2)중에 판단한 결과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에 관한것일 경우 메모리정보 파악단계(S3)로 진행하여 프리퍼런스를 통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메모리정보를 파악하여 셋팅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정보 파악단계(S3)후에 메모리 저장요구 판단단계(S4)로 진행하여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의 저장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저장요구 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의 저장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기상태로 진행한 다음 현기능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 저장요구 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의 저장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저장영역확보 판단단계(S5)로 진행하여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저장영역확보 판단단계(S5)중에 판단한 결과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었을 경우에는 메모리 저장단계(S6)로 진행하여 메모리 제어부를 통해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저장영역확보 판단단계(S5)중에 판단한 결과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메모리영역 확보저장단계(S7)로 진행하여 프리퍼런스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메모리영역을 추가로 확보한다음 현재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영역확보 저장단계(S7)중에는 메모리제어부를 통해 기저장된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중에서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시켜 메모리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정보 표시단계(S2)중에 판단한 결과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가 아닐경우 쓰레드제어 판단단계(S8)로 진행하여 쓰레드제어가 설정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쓰레드제어 판단단계(S8)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쓰레드제어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대기모드로 진행하여 현재의 기능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쓰레드제어 판단단계(S8)중에 판단한 결과 쓰레드제어가 설정되었을 경우 쓰레드정보 파악단계(S9)로 진행하여 프리퍼런스를 통해 쓰레드모델 블록부의 쓰레드정보들을 파악하여 셋팅한다. 그리고, 상기 쓰레드정보 파악단계(S9)후에 쓰레드요구 판단단계(S10)로 진행하여 쓰레드 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쓰레드정보 파악단계(S9)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쓰레드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현 기능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쓰레드정보 파악단계(S9)중에 판단한 결과 만약 쓰레드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쓰레드옵션 출력단계(S11)로 진행하여 기생성된 다양한 쓰레드중에서 쓰레드제어부를 통해 요구된 옵션에 맞는 쓰레드를 찾아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쓰레드옵션 출력단계(S11)중에는 쓰레드제어부를 통해 쓰레드정보들을 해지 및 블록처리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상기 프로그램 개발자 혹은 다수의 개발자가 자바언어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중에 그 개발된 데이터를 사용자명령부(3)를 통해 제어블록부(4)로 입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블록부(4)는 초기에 프리퍼런스를 통해 메모리모델 블록부(1)와 쓰레드모델 블록부(5)의 초기 메모리사이즈와 메모리 재확보 유무상태 및 메모리 재확보시 증가가능량을 결정하는 셋팅정보를 얻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블록부(4)는 상기 과정을 통해 입력된 자바데이터들을 메모리 제어부(2)로 로드시킨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 제어부(2)는 메모리모델 블록부(1)의 메모리 상태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메모리모델 블록부(1)의 저장영역이 충분할 경우 현재 입력된 데이터의 저장을 메모리모델 블록부(1)에 요구하여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 제어부(2)는 메모리모델 블록부(1)의 메모리 상태파악시 저장영역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메모리모델 블록부(1)로 메모리 삭제(해지)요구신호를 명령한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모델 블록부(1)는 메모리 제어부(2)의 삭제(해지)요구신호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던 저장영역중 가장 초기에 확보된 저장영역을 삭제(해지)시켜서 저장영역을 확보한 다음 이 영역을 이용하여 현재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만약 상기 메모리 제어부(2)는 현재 삭제(해지)시켜야 하는 데이터가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라면, 현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한 다음 제어블록부(4)의 프리퍼런스에 설정된 값을 통해 메모리를 추가로 확보한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자바 프로그램 개발시 쓰레드가 필요할 경우 개발자는 제어블록부(4)를 통해 필요한 쓰레드옵션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블록부(4)는 사용자가 지정한 쓰레드옵션정보를 쓰레드 제어부(6)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쓰레드 제어부(6)는 쓰레드모델 블록부(5)의 상태를 확인한 다음 입력된 쓰레드옵션정보를 쓰레드모델 블록부(5)로 요구한다.
이때, 상기 쓰레드모델 블록부(5)는 기생성된 다양한 쓰레드중에서 쓰레드제어부를 통해 요구된 옵션에 맞는 쓰레드를 찾아 출력시킨다.
여기서, 상기 쓰레드모델 블록부(5)는 쓰레드 제어부(6)를 통해 쓰레드정보들을 해지 및 블록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바힙 메모리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제어부와 다양한 타입으로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한 쓰레드모델블록의 쓰레드데이터를 제어하는 쓰레드 제어부를 구비하므로써, 자바 프로그램개발시 자바힙 메모리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저장 및 삭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메모리의 과저장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생성된 다양한 형태의 쓰레드중에서 필요한 쓰레드를 즉시 사용하거나 혹은 불필요한 쓰레드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쓰레드 제어의 편의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자바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므로 동적 힙메모리의 양을 파악하는 메모리모델 블록부와, 상기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메모리의 양을 파악한 다음 데이터 객체의 저장 및 삭제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의 기능을 포함하여 메모리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자바프로그램 개발시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개발데이터 및 제어명령들을 처리하는 제어블록부와, 상기 자바프로그램이 동작할 경우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쓰레드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 쓰레드 정보들을 관리하는 쓰레드모델 블록부와, 상기 쓰레드모델 블록부의 쓰레드 정보를 생성시키거나 혹은 불필요한 쓰레드들을 해지 및 블록시키도록 쓰레드모델 블록부로 통지하는 쓰레드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2. 자바메모리제어장치에서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에 관한것인 지를 확인하는 제어정보 확인단계와, 상기 제어정보 확인단계중에 제어대상이 자바데이터의 힙메모리 제어일 경우 프리퍼런스를 통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메모리정보를 파악하여 셋팅하는 메모리정보 파악단계와, 상기 메모리정보 파악단계후에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의 저장요구신호가 입력될 경우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저장영역확보 확인단계와, 상기 저장영역확보 확인단계에 의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현재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만큼 확보되었을 경우 메모리 제어부를 통해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 저장단계와, 상기 저장영역확보 확인단계에 의해 메모리모델 블록부의 저장영역이 부족함이 확인될 경우 프리퍼런스에 설정된 값을 참조하여 메모리영역을 추가로 확보한다음 현재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영역 확보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영역 확보단계에는 메모리제어부를 통해 기저장된 자바형태로 작성된 데이터중에서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시켜 메모리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삭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확인단계후에 제어대상이 쓰레드제어임이 확인될 경우 프리퍼런스를 통해 쓰레드모델 블록부의 쓰레드정보들을 파악하여 셋팅하는 쓰레드정보 파악단계와, 상기 쓰레드정보 파악단계후에 쓰레드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기생성된 다양한 쓰레드중에서 쓰레드제어부를 통해 요구된 옵션에 맞는 쓰레드를 찾아 출력시키는 쓰레드옵션 출력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드옵션 출력단계에는 쓰레드제어부를 통해 쓰레드정보들을 해지 및 블록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51803A 2002-08-30 2002-08-30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0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03A KR20040020256A (ko) 2002-08-30 2002-08-30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03A KR20040020256A (ko) 2002-08-30 2002-08-30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256A true KR20040020256A (ko) 2004-03-09

Family

ID=3732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803A KR20040020256A (ko) 2002-08-30 2002-08-30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2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33B1 (ko) * 2008-11-10 2010-10-05 주식회사 디오 덴탈용 드릴연장장치
KR101065114B1 (ko) * 2003-06-19 2011-09-16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프로그래밍 언어 표현에서 장치 드라이버 메모리로의 액세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14B1 (ko) * 2003-06-19 2011-09-16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프로그래밍 언어 표현에서 장치 드라이버 메모리로의 액세스
KR100985533B1 (ko) * 2008-11-10 2010-10-05 주식회사 디오 덴탈용 드릴연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209B1 (ko) 대화형 미디어 장치 및 방법, 기계 판독가능 매체, 및시스템
US7298503B2 (en) Partitioning of print jobs for raster image processing
US62693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copying and insertion of contents of documents
CA23413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aster scheduler
CN101167071A (zh) 用于与多个客户机同步可修改文档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774265B1 (ko) 멀티 쓰레드 기반의 스프레드시트 문서 제공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H0589061A (ja) バージヨンアツプ方法
JPH0612348A (ja) ソフトウェア・インストール装置
KR20040020256A (ko) 자바를 이용하는 메모리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781137A (zh) 分布式系统的目录读取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1140501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H05250239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8563507A (zh) 一种内存管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00315192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サーバ、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70285699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ing program
JP4214847B2 (ja) コンテンツ記録システム
US6085264A (en) Accounting-information outputting device
JPH06214874A (ja) メモリ管理方式
JPH11143717A (ja) 基本ソフトウエアロード方式
JPH0813765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11934819B2 (en) Bare-metal deployment
CN110297598B (zh) 一种数据同步方法及存储系统
JPH09251430A (ja) 計算機システムのデータ配布装置
JPH06161786A (ja) マルチプロセス入力システム
JP2002063064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