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021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20021A KR20040020021A KR1020030060089A KR20030060089A KR20040020021A KR 20040020021 A KR20040020021 A KR 20040020021A KR 1020030060089 A KR1020030060089 A KR 1020030060089A KR 20030060089 A KR20030060089 A KR 20030060089A KR 20040020021 A KR20040020021 A KR 200400200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character
- input candidate
- candidate character
- sound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문자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합성된 음성에 의해 입력 후보 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때, 이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단을 구비하며, 해당 휴대 단말 장치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는,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을, 해당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착신음 생성에 이용하는 음원과 공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성 합성 기능을 갖는 문자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휴대 전화기나 PHS(등록상표)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기본적인 전화 기능 이외에, 전자 메일의 작성 및 그 송수신의 기능이나, 그 밖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 작성 기능이나 인터넷 접속 기능 등도 있으며, 이들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예정 내용이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물론 PDA(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에서도, 일반적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이나 그 밖의 문서 작성 시에는 문자의 입력을 수반하지만, 특히 휴대 전화기 등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며, 입력 수단인 키(버튼)의 수의 제한으로부터, 각 문자가 각 키와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아, 동일한 키를 소정 횟수 누르는 등 번거로운 입력 조작을 수반한다. 예를 들면, 「おはよう」라고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あ」의 키를 5회, 「は」의 키를 1회, 「や」의 키를 3회, 「あ」의 키를 3회 누르는 것과 같이, 많은 키 터치를 하게 된다. 한편, 키 터치가 접수되었는지의 여부는, 그 조작에 대응하여, 키 단위로 발음 주파수가 다른 확인음을 발하거나, 키 자체를 발광시켜, 이들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키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지 않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키 단위로의 확인 음 등만으로는, 그 시점에서 선택하고 있는 문자(입력 후보 문자)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문자 입력을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키 조작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입력 후보 문자를 눈으로 보고 확인하여 원하는 입력 문자를 확정 입력하게 된다. 한편, 눈으로 보는 것에 상관없이, 키 조작시의 기억에 의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번거로운 입력 조작을 수반하는 것에서는 오입력한 상태로 입력을 계속하게 되거나, 결과적으로, 재입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 장애자인 경우의 문자 입력은 명백히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문자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합성된 음성에 의해 입력 후보 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실시 형태의 음원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FM 음원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FM 음원에서의 오퍼레이터의 조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CSM 음성 합성에 의해 착신 멜로디의 합성을 실행하는 FM 음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착신 대기 모드 시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문자 입력 모드 시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가나 문자 입력 시의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예 및 그 발음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영문자 입력 시의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예 및 그 발음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의 키(버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휴대 단말 장치)
10 : 버스
1a : CPU(음성 합성 수단의 일부)
1b : ROM(음성 합성 수단의 일부)
1c : RAM
1d : 통신 디바이스
1e : 입력 디바이스
1f : 통화 디바이스
1g : 이어 스피커
1h : 마이크
1i : 음원 디바이스(음성 합성 수단의 일부)
1j : 배면 스피커
1k : 표시 디바이스
1l : 안테나
21 : 입출력 I/F
22 : FIFO
23 : 시퀀서
24 : FM 음원
25 : WT 음원
26 : 파형 메모리
27 : 가산기
30 : 오퍼레이터
31 : SIN 파형 테이블
32 : 페이즈 제너레이터(PG)
33 : 가산기
34 :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
35 : 승산기
50 : 가산기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문자 입력을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단과, 해당 조작에 따른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해당 조작 수단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해당 표시 수단에 표시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후보 문자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할 때, 상기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이며, 상기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을, 상기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착신음 생성에 이용하는 음원과 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 상기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은 FM 음원 또는 파형 테이블(WT)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 상기 조작 수단은 수동 조작 가능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각 버튼에는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 상기 조작 수단은 해당 입력 후보 문자의 입력 확정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해당 입력 확정이 지시된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순과, 해당 조작에 따른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순과, 해당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해당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순과, 해당 조작 수순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해당 표시되며 또한 발음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순을 행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대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기구를 구비한 해당 휴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조작에 의해 지정된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순과, 상기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상기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순과, 상기 조작 기구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상기 표시되며 또한 발음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순을 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문자 입력을 위한 소정의 조작에 따른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음성 합성 수단이 이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의해, 해당 휴대 단말 장치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음성 합성된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들음으로써 해당 입력 후보 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를 눈으로 보고 확인할 필요가 없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 장애자라도 문자 입력이 용이해진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경우,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을, 상기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착신음 생성에 이용하는 음원과 공용함으로써, 음성 합성 수단을 위해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져,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부호 1a는 CPU(중앙 처리 장치)로서, 하기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부호 1b는 ROM(Read Only Memory)이다. 이 ROM(1b)은, CPU(1a)가 실행하는 송신·착신 등의 제어를 행하는 각종 전화 기능 프로그램이나, 전자 메일의 작성이나 그 송수신을 제어하는 메일 송수신 기능 프로그램, 악곡 재생 처리를 보조하는 프로그램, 음성 합성 처리를 보조하는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이나, 사전에 기록된 악곡 데이터 및 반주 데이터나, 음성 합성에 필요한 파라미터나 관련되는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특히, 휴대 단말 장치에 대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기구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해당 조작에 의해 지정된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순과, 해당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해당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순과, 해당 조작 기구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그 표시되며 또한 발음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순을 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부호 1c는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서, CPU(1a)의 워크 에리어나, 다운로드된 악곡 데이터나 반주 데이터의 저장 에리어, 및, 수신한 전자 메일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일 데이터 저장 에리어 등이 설정된다. 부호 1d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안테나(11)로 수신된 신호의 복조를 행함과 함께, 송신하는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11)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부호 1e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휴대 전화기(1)의 본체에 설치된 「0」∼「9」의 다이얼 버튼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키; 후술하는 도 11의 부호 1e)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며, 이들 수동 조작 기구으로부터의 입력을 검지한다. 이 조작 기구는 문자 입력을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며, 수동 조작 가능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각 버튼에는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가 사전에 할당되어 있다.
부호 1f는 통화 디바이스이다. 통신 디바이스(1d)에서 복조된 수화 신호는, 이 통화 디바이스(1f)에 구비되는 음성 CODEC에 의해 복호화된 후, 동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D/A 컨버터(모두 도시 생략)에 의해 D/A 변환되어 수화구(이어 스피커)(1g)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송화구(마이크)(1h)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는 동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화되며, 마찬가지로 동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음성 CODEC(모두 도시 생략)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후, 통신 디바이스(1d)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이 통화 디바이스(1f)의 부호화/복호화의 방식으로는, CELP(Code Excited LPC) 방식이나, ADPCM(적응 차분 PCM 부호화) 방식 등의 음성 데이터의 고능률 압축 부호화/복호화 방식이 이용된다.
부호 1i는 음원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여 착신음 혹은 보류음으로서 배면 스피커(1j)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전자 메일 작성 시 등, 문자 입력이 행해질 때, CPU(1a)의 제어를 받아, 그 입력 후보 문자를 음성 합성하고, 합성한 음성을 배면 스피커(1j)로부터 출력한다. 이 음성 합성에 따른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부호 1k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며, 전화 기능이나 전자 메일 송수신 기능의 메뉴나, 다이얼 버튼 등의 각종 버튼의 조작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문자 입력 시에는, 입력 후보 문자나 확정된 입력 문자를 표시한다. 또한, 각 기능 블록은 버스(10)를 통해 데이터나 명령의 수수를 행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휴대 전화기는, 기본적으로 발호 및 착신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와, 해당 조작에 따라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화부와, 적어도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일체적으로 조립한 컴팩트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무선 송수신용의 안테나(11), 수화기(스피커)(1g) 및 송화기(마이크로폰)(1h)를 구비함과 함께, 다이얼 키 등의 조작 키를 포함하는 입력 수단(1e)과 화상 표시 디바이스(디스플레이)(1k)를 구비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기(1)는, 개인 이름과 전화 번호 등의 전화번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1k)에 표시할 수 있다. 수신한 전자 메일을 디스플레이(1k)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디바이스(1i)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착신음 등의 생성에 이용하는 종래의 음원 디바이스를 그대로 이용하여,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의 음성 합성을 실현한다. 도 2에, 음원 디바이스(1i)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서, 부호 21의 입출력 I/F(인터페이스)는, 버스(10)를 통해, CPU(1a)로부터 착신 멜로디 등의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악곡 시퀀스 데이터나 명령을 받음 과 함께, 하기의 FIFO(22)의 상태 통지를 CPU(1a)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FIFO(22)는, FIFO(First In First Out memory) 메모리를 포함하는 회로로서, 제공된 악곡 시퀀스 데이터(①)를 일시 보존하며, 순차적으로 부호 23으로 나타내는 시퀀서에 제공한다(②). 또한, FIFO(22)는, 메모리가 빈 상황을 CPU(1a)에 통지하고(⑤), 메모리가 Empty(빈 상황)로 되기 전에 다음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의 전송을 받는다.
시퀀서(23)는, CPU(1a)로부터 발음 개시/발음 종료 등의 명령을 받아(⑥), 발음을 개시하는 경우에는, FIFO(22)로부터 받은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해석함과 함께 타이밍을 계산하여 각종 파라미터나 제어 신호를 FM 음원(24)(상세는 후술)또는 WT 음원(25)에 제공하여(③, ④) 이들을 구동한다. WT 음원(25)은, 주지와 같이 각종 악기음이나 음성 등을 디지털 녹음하여 사전에 저장하고 있는 파형 메모리(26)의 파형 데이터를 대략 또는 반복하여 판독함으로써 원래의 악기음이나 음성 등을 충실히 재현하는 것이다.
FM 음원(24) 및 WT(파형 테이블) 음원(25)의 출력은 가산기(27)에서 가산되며, 그 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도시 생략)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배면 스피커(1j)(도 1)에 공급된다. 통상, 음원 디바이스(1i)에서는, 각 음원은, FIFO(22) 및 시퀀서(23)를 통해 구동되지만, 리얼 타임성(즉시 응답성)이 요구되는 효과음류는, CPU(1a)가 FIFO(22) 및 시퀀서(23)를 통하지 않고 직접 FM 음원(24) 또는 WT 음원(25)을 구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음성 합성도 마찬가지로, CPU(1a)가 직접 각 음원을 구동한다. 또한, 파형 메모리(26)는 ROM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FM 음원(24)에 대하여 설명한다. FM 음원(24)은,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한 오퍼레이터(30)와 가산기를 복수 조합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오퍼레이터(30)는, SIN 파형(정현파의 파형)의 각 위상 각점(角點)에서의 파형 진폭값을 기억하고 있는 SIN 파형 테이블(31)과, 시퀀서(23) 또는 CPU(1a)로부터 주파수 파라미터를 받아, 이 주파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SIN 파형 테이블(31)로부터 출력시키는 SIN 파형 데이터의 주파수 및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어드레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페이즈 제너레이터(PG)(32)와, 입력 신호와 상기 위상 어드레스 신호를 가산하여 SIN 파형 테이블(31)에 공급하는가산기(33)와, 시퀀서(23) 또는 CPU(1a)로부터 진폭 파라미터를 받아, 해당 오퍼레이터(30)로부터 출력하는 파형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엔벨로프 신호(진폭 계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34)와, SIN 파형 테이블(31)의 출력과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34)의 출력을 승산하는 승산기(3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퍼레이터(30)에서는, SIN 파형 테이블(31)에 기억되어 있는 SIN 파형의 진폭값이, 가산기(33)를 통해 공급되는 위상 어드레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에 따라 순차 판독된다. 따라서, 이 오퍼레이터(30)에서는, SIN 파형 테이블(31)에 기억된 파형 진폭값을 판독하는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즉, SIN 파형 테이블(31)에 공급하는 위상 어드레스 신호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음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독 속도를 느리게 하면, 낮은 소리를 생성할 수 있고, 판독 속도를 빠르게 하면 높은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페이즈 제너레이터(PG)(32)는, 리세트 신호를 받으면, 출력하는 위상 어드레스 신호를 리세트한다(SIN 파형 테이블(31)로부터 판독하는 어드레스를 초기값으로 복귀한다).
FM 음원(24)은, 이러한 오퍼레이터(30)를,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캐스케이드 접속하거나, 혹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가산기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30)의 출력을 가산하거나 하여, 복수의 오퍼레이터(30)와 가산기를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종류의 소리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본 특공소58-53351호 공보 등에 개시된 소위 CSM 음성 합성의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휴대 전화기(1)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 휴대전화기(1)에 구비되는 FM 음원(24)을 이용하여 실현한다.
여기서, 상기 CSM 음성 합성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음성은 단시간 내에서는 거의 정상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SM 음성 합성에서는, 단시간 내에서는 음성의 스펙트럼이 일정한 것으로 간주하여 음성의 합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mS 내지 수십mS의 단시간의 음성을 정상인 것으로 간주하여, 음성을 수개의 정현파의 합으로 표현한다. 이산적 시간 표현에 따르면, 음성의 시계열 {xt}는
로 표현된다. 단 t는 이산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정수, n은 정현파 성분의 수(통상 4∼6개 정도), ωi는 제i 정현파 성분의 각 주파수(0≤ωi≤π), Ai는 정현파 성분의 진폭이다.
이 CSM 음성 합성에서는, 상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모델에 대하여, 파라미터 {ω1… ωn, A1… An}을 제공하여 수학식 1에 의해, 각 시각 t에 대하여 합성 음성의 계열 {xt}를 구한다. 이 때, 유성음(모음이나 탁자음 등)에 대해서는 유성음이 주기성을 갖기 때문에, 그 주기(피치 주기)마다 수학식 1에서의 시각 t를 제로로 리세트하여 위상을 초기화하고, 한편, 무성음에 대해서는, 주기성이 없기 때문에, 랜덤한 주기를 제공하여, 즉 랜덤한 주기로 시각 t를 리세트하여 랜덤하게위상을 초기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합성되는 음성 신호의 시계열은 사람의 음성에 가깝게 된다.
다음으로, 이 CSM 음성 합성 기술의 FM 음원(24)에의 적용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5 참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각 정현파의 성분은, 상술한 오퍼레이터(30)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정현파의 성분에 대응하는 SIN 파형 테이블(31)에 의해 시계열로 정현파를 출력시키고(이 때, 각 오퍼레이터(30)의 입력 신호는 제로로 하고, SIN 파형 테이블(31)로부터 정현파의 파형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위상 어드레스 신호(어드레스)를 페이즈 제너레이터(PG)(32)가 제공함), 다음 단의 승산기(35)에 의해,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34)로부터 제공되는 진폭을 갖게 함으로써, 각 오퍼레이터(30)로부터 수학식 1의 각 정현파 성분의 신호의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출력을 가산기(50)에서 가산함으로써, 합성 음성 신호의 계열 {xt}를 얻을 수 있다. CSM 음성 합성에서는, 유성음에 대하여, 그 주기마다 시각 t를 제로로 리세트하여 위상을 초기화함과 함께, 무성음에 대하여, 랜덤한 주기로 시각 t를 제로로 리세트하여 위상을 초기화하지만, 이 위상의 초기화는, 페이즈 제너레이터(PG)(32)에 대하여 각각의 주기로 리세트 신호를 제공하여 위상을 초기화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FM 음원(24)을 이용한 CSM 음성 합성에서는, 페이즈 제너레이터(PG)(32)에 제공하는 주파수 파라미터 또는 리세트 신호와,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34)에 제공하는 진폭 파라미터의 3요소에 의해 합성되는 포만트음을 복수 합성함으로써 음소를 결정하여 음성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さくら」를 음성 합성하는 경우, 수mS 내지 수십mS마다 복수 조의 상기 3요소를 설정함으로써, /S/→/A/→/K/→/U/→/R/→/A/의 6음소를 합성하여 발음시킨다. 또한, 작은 「っ」,「ゃ」 등이나 영문자의 소문자 등은 음정을 올리는 등으로 하여 구별하고, 그 밖의 기호에 대해서도 알기 쉬운 말투를 사전에 정해 놓고 발음시키도록 하면 된다.
각 오퍼레이터(30)에 제공하는 상기 3요소는, 각 음소마다 사전에 정의되어, ROM(1b)에 등록되어 있다. 또한, 각 문자를 구성하는 음소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さ」의 경우, 이 문자가 음소 /S/, /A/로 이루어지는 것 등의 정보도, 마찬가지로 ROM(1b)에 등록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는, 문자 입력 시(후술하는 문자 입력 모드 시)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키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또한 이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ROM(1b)에 등록된 이 입력 후보 문자를 구성하는 음소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또한 얻어진 정보로부터 해당 입력 후보 문자를 구성하는 음소에 대응하는 상기 3요소의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수 mS 내지 수십 mS마다, 페이즈 제너레이터(PG)(32)에 주파수 파라미터나 리세트 신호를 제공함과 함께, 엔벨로프 제너레이터(EG)(34)에 진폭 파라미터를 제공하여,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FM 음원(24)을 이용하여 CSM 음성 합성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물론, WT 음원(25)을 이용해도 음성 합성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さくら」를 음성 합성하는 경우, 「さ」, 「く」, 「ら」를디지털 녹음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이들을 재생하면 된다. 그러나, FM 음원(24)을 이용하여 CSM 음성 합성을 행하는 쪽이, 필요한 파라미터(데이터)가 적어져 보다 유리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1)의 착신 대기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한 동작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착신 대기 모드에서는, 음원 디바이스(1i)는 착신 멜로디 재생을 위해 기능한다.
우선, CPU(1a)는, 착신의 유무를 판단하고(단계 S61), 착신이 있을 때까지('예'로 판정될 때까지) 이 판단을 반복한다. 여기서는 착신이 있었던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단계 S61의 판단에서 '예'로 판정되어, 단계 S62로 이동한다. 단계 S62에서는, CPU(1a)는 착신 멜로디로서 사전에 선택·설정되어 있는 악곡의 악곡 시퀀스 데이터를 음원 디바이스(1i)에 전송한다. 음원 디바이스(1i)에서는, 받은 악곡 시퀀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를 합성하여 이 착신 멜로디를 계속해서 재생한다.
다음으로, 통화 키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63). 이 단계 S63에서, 통화 키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아니오'로 판정된 경우), 다시 회선단으로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64). 이 단계 S64의 판단에서, 회선단이다라고 판정된 경우('예'의 판정인 경우), 단계 S61로 되돌아가고, 회선단이 아니다라고 판정된 경우('아니오'의 판정인 경우), 단계 S6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63에서, 통화 키가 온 상태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예'로 판정된 경우), CPU(1a)는, 음원 디바이스(1i)에 착신 멜로디의 재생을 종료시키는 명령을 제공한다(단계 S65). 이 단계에서, 음원 디바이스(1i)는, 실제로 재생하고 있는 착신 멜로디의 재생을 종료한다. 그리고, 통상의 통화 시의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66). 다음의 단계 S67에서는, 통화 종료 키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통화 종료 키가 온 상태로 될 때까지('예'로 판정될 때까지) 이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 판단에서, 통화 종료 키가 온 상태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예'의 판정인 경우), 단계 S68로 이동한다. 그리고, 단계 S68에서는, 통화 종료 시의 처리(회선단)를 행하고, 단계 S61로 되돌아간다. 이상, 착신 대기 모드에서의 착신으로부터 회선단까지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1)의 문자 입력시(문자 입력 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한 동작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해당 휴대 단말 장치(1)가 문자 입력 모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 및 도 7에서 "NKN"(뉴 키 번호) 및 "OKN"(올드 키 번호)는 변수이고, "→"는 커서 이동 키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OKN에는, 초기값으로서 수치 키의 코드 이외의 코드가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로 되는 것은,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이나 스케줄이나 그 밖의 문서의 작성 시나, 인터넷 접속 시의 URL의 입력 시 등, 문자 입력이 필요로 되는 경우에 이 모드로 된다.
우선, 단계 S71에서, 키 터치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키 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키 터치가 있을 때까지 이 판단을 반복한다.여기서는, 입력 디바이스(1e)가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며, 키 터치가 검출된 경우에는, 키 터치된 키를 나타내는 키 번호를 CPU(1a)에 통지한다. CPU(1a)는, 입력 디바이스(1e)로부터 키 번호의 통지를 받을 때까지, 키 터치가 없다고 판정한다. 여기서는 키 터치가 검출된 것으로 한다(단계 S71에서, '예'의 판정). 이 때, CPU(1a)는, 입력 디바이스(1e)로부터 키 번호의 통지를 받고, 받은 키 번호를 변수 NKN에 설정한다(단계 S72).
다음으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여기서는, 키 번호)가 수치 키의 코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73). 여기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가 아니다라고 판정되면, 단계 S74로 이동한다. 단계 S74에서는, 또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가, 커서 이동 키(「→」)의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 S74의 판단에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가 커서 이동 키의 코드가 아니다라고 판정되면('아니오'의 판정인 경우), 별도로 정해진 그 밖의 키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5). 그리고 단계 S76으로 이동한다.
단계 S76에서는 변수 NKN의 코드를 변수 OKN에 설정하고,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이 소정의 모드 변경 조작인 경우, 즉,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가 이 모드 변경 조작에 대응하는 키의 코드인 경우, 단계 S75에서, 도 7의 문자 입력 모드의 흐름을 빠져나가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74의 판단에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가 커서 이동 키의 코드이다라고 판정되면('예'의 판정인 경우), 다음의 단계 S77로 이동한다. 그리고, 단계 S77에서는, 다시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7의 판단에서,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가 아니다라고 판정되면('아니오'의 판정인 경우), 단계 S79로 이동하고, 이 단계 S79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단계 S77의 판단에서,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이다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예'의 판정인 경우), 이 때 이미 입력되어 표시되어 있는 표시 후보 문자(표시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확정한다(단계 S78). 그리고, 단계 S79로 이동하여, 이 단계 S79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단계 S79의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S76으로 이동하여, 변수 OKN에 변수 NKN의 코드를 설정하고,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단계 S73의 판단에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이다라고 판정되면('예'의 판정인 경우), 또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와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0). 여기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와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아니오'의 판정인 경우), 단계 S81로 이동한다. 단계 S81에서는, 다시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1의 판단에서,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가 아니다라고 판정되면('아니오'의 판정인 경우), 단계 S82에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입력 후보 문자(제1 후보)를 표시 디바이스(1k)에 표시시키고, 단계 S86으로 이동한다. 한편, 단계 S81의 판단에서,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수치 키의 코드이다라고 판정되면('예'의 판정인 경우), 단계 S83에서, 현재 입력 후보 문자로서 표시되어 있는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확정하고, 소정의 형태로 표시 디바이스(1k)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단계 S84에서, 또한 표시 디바이스(1k)에 표시된 커서(여기서는, 이 커서는 입력 후보 문자가 표시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것으로 함)를 다음의 문자 표시 위치에 표시시키고,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에 대응하는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 디바이스(1k)의 대응하는 위치(커서 위치)에 표시시키고, 단계 S86으로 이동한다.
한편, 단계 S80의 판단에서, 변수 NKN에 설정된 코드와 변수 OKN에 설정된 코드가 일치한다고 판정되면('예'의 판정인 경우), 이 때 동일한 키가 다시 키 터치되게 되므로, 현재 표시하고 있는 입력 후보 문자를 차위의 입력 후보 문자로 변경한다(단계 S85).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입력 후보 문자가 「あ」인 경우, 이 입력 후보 문자를 「い」로 변경하여 재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86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단계 S82, S84, S85의 각 단계에서 입력 후보 문자가 표시되지만, 이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와 함께, 단계 S86에서, 해당 입력 후보 문자에 대응한 주파수 파라미터 및 진폭 파라미터와, 소정의 타이밍에서 리세트 신호를 음원 디바이스(1i) 내의 FM 음원(24)으로 전송하여, 해당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시켜 출력시킨다. 이후, 단계 S76에서 변수 OKN에 변수 NKN에 설정되어 있는 코드를 설정하고 단계 S71로 되돌아가며, 이후, 문자 입력 모드인 동안, 이상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 문자 입력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착신 대기 모드 시의 착신 멜로디의 재생과, 문자 입력 모드 시의 입력 후보 문자의 음성 합성에 의한 재생을, 동일한 음원디바이스(1i)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각 동작 흐름은 일례로서, 상기한 처리의 흐름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로서,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예와 그 발음예를 도 8, 도 9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가나 문자 입력 시의 일례이다. 입력 후보 문자는, 부호 81로 나타내는 입력 후보 문자의 입력란(가나 한자 변환 전의 입력란)에 표시된다. 도 8의 (a)는 입력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확정된 문자는 부호 82로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1」 키를 누르면, 입력란의 커서(도 8에 도시하는 언더 스코어) 위치에 「あ」의 문자가 표시됨과 함께, 그 발음 /A/가 음성 합성되어 출력된다(도 8의 (b)). 다시 사용자가 「1」 키를 누르면, 입력란의 동일한 표시 위치에 차위의 문자인 「い」의 문자가 표시되며, 그와 동시에 그 발음 /I/가 음성 합성되어 출력된다(도 8의 (c)). 다음으로, 사용자가 「6」 키를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입력 후보 문자 「い」는 히라가나의 입력 문자로서 확정되며, 커서가 1문자분 이동한다. 그리고, 그 위치에 다음의 입력 후보 문자인 「は」가 표시되고, 그 발음 /H/→/A/가 음성 합성되어 출력된다(도 8의 (d)).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를 누르면, 입력란의 동일한 커서 위치에, 입력 후보 문자로서 「ば」가 표시되고, 그 발음 /B/→/A/가 음성 합성되어 출력된다(도 8의 (e)). 또한, 「*」키가 눌러진 경우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한 동작 흐름에서는, 단계 S75의 그 밖의 키 처리에서 행해지며, 이 경우, 음성 합성을 행하기 위해, 단계 S75의 처리 후, 단계 S76이 아니라 단계 S86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영문자 입력 시의 일례를 설명한다(도 9 참조). 이 예에서는, 입력 후보 문자는, 부호 91로 나타내는 커서 위치에 표시된다. 도 9의 (a)는 입력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사용자가 「2」키를 누르면, 커서 위치에 「A」의 문자가 표시됨과 함께, 그 발음으로서 「えい」, 즉 /E/→/I/(발음 기호로 eI)가 음성 합성되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2」 키가 눌러지면, 동일한 커서 위치에, 영문자 「B」가 표시되고, 그 발음으로서 「びい」, 즉 /B/→/I/→/I/(발음 기호로 bi:)가 음성 합성되어 출력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물론,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구성 등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가나 문자 입력이나 영문자 입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북경어, 상해어, 광동어, 대만어 등의 중국어나, 한국어, 독일어, 불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타국어에서도 마찬가지의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고 있지만, 전화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키 터치하여 입력되는 입력 문자(이 경우 번호)는, 입력 후보 문자가 아니라 입력 문자 그 자체로 되지만, 이 경우에도 이 입력 문자를 입력 후보 문자와 마찬가지로, 그 발음을 음성 합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입력을 위한 소정의 조작에 따른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음성 합성 수단이, 이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의해, 해당 휴대 단말 장치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음성 합성된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들음으로써 해당 입력 후보 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를 눈으로 보고 확인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 장애자이어도 문자 입력이 용이해진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경우,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을, 상기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착신음 생성에 이용하는 음원과 공용함으로써, 음성 합성 수단을 위해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7)
- 문자 입력을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단과,해당 조작에 따른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상기 입력 후보 문자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할 때, 상기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착신음의 생성에 이용하는 음원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이며,상기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을, 상기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착신음 생성에 이용하는 상기 음원과 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음성 합성 수단이 음성 합성에 이용하는 음원은 FM 음원 또는 파형 테이블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수단은 수동 조작 가능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각 버튼에는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입력 후보 문자의 입력 확정을 지시가능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입력 확정이 지시된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휴대 단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문자 입력을 위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순과,해당 조작에 따른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순과,상기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상기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순과,상기 조작 수순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상기 표시되며 또한 발음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순을 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 휴대 단말 장치에 대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 기구를 구비한 해당 휴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상기 프로그램이,상기 조작에 의해 지정된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순과,상기 입력 후보 문자를 표시할 때, 상기 입력 후보 문자의 발음을 음성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 합성 수순과,상기 조작 기구로부터 입력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받음으로써, 상기 표시되며 또한 발음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문자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순을 행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55634A JP3945351B2 (ja) | 2002-08-30 | 2002-08-30 | 携帯端末装置 |
JPJP-P-2002-00255634 | 2002-08-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0021A true KR20040020021A (ko) | 2004-03-06 |
KR100571079B1 KR100571079B1 (ko) | 2006-04-14 |
Family
ID=3206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0089A KR100571079B1 (ko) | 2002-08-30 | 2003-08-29 | 휴대 단말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945351B2 (ko) |
KR (1) | KR100571079B1 (ko) |
CN (1) | CN100518225C (ko) |
TW (1) | TWI26392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66091B (zh) * | 2015-03-25 | 2018-02-23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一种用于在计算机设备中输出音效信息的方法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5880A (ko) * | 2000-12-29 | 2002-07-10 | 윤종용 | 이동단말에서의 영숫자 입력방법 |
KR100553066B1 (ko) * | 2001-02-13 | 2006-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에 따른 음성출력 방법 |
-
2002
- 2002-08-30 JP JP2002255634A patent/JP394535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8-22 TW TW092123168A patent/TWI26392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27 CN CNB031553559A patent/CN10051822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29 KR KR1020030060089A patent/KR1005710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71079B1 (ko) | 2006-04-14 |
JP3945351B2 (ja) | 2007-07-18 |
CN1491021A (zh) | 2004-04-21 |
JP2004094650A (ja) | 2004-03-25 |
TWI263928B (en) | 2006-10-11 |
TW200405194A (en) | 2004-04-01 |
CN100518225C (zh) | 200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85913B2 (en) | Electronic book data delivery apparatus, electronic book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JP2002366186A (ja) | 音声合成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音声合成装置 | |
JP4729171B2 (ja) | 電子書籍装置および音声再生システム | |
EP1431958B1 (en) | Apparatus connectable to or incorporating a device for generating speech,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 |
JP4075349B2 (ja) | 電子書籍装置および電子書籍データ表示制御方法 | |
KR100551668B1 (ko) | 문자 음성 변환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 | |
KR100571079B1 (ko) | 휴대 단말 장치 | |
JP3907935B2 (ja) | 電子辞書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 |
JP2002196779A (ja) | 音声信号の楽音変更のための方法と装置 | |
JP2005208394A (ja) | 歌声生成装置、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歌声生成機能を有する携帯通信端末 | |
KR100509126B1 (ko) |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 | |
JP4070963B2 (ja) | 移動体通信機器 | |
JP2003046607A (ja) | 音声通信端末、及び音声通信システム | |
JP2002111804A (ja) | 楽音入力用鍵盤を備えた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 |
KR100754571B1 (ko) | 발음 기술 언어에 의한 음성 합성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 | |
JP2004221746A (ja) | 発声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 | |
JP3729074B2 (ja) | 通信装置及び記憶媒体 | |
KR100513040B1 (ko) | 음성합성을 이용하여 호출음을 생성하는 무선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 |
KR20100033849A (ko) | 단말기 및 음성 합성 방법 | |
JP3406559B2 (ja) | 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音源データの更新方法、並びに記録媒体 | |
KR100650071B1 (ko) | 악음·음성 재생 장치 및 악음·음성 재생 방법 | |
JP2004179980A (ja) | 携帯電話機 | |
JP3578132B2 (ja) | 携帯端末装置 | |
JP2003122384A (ja) | 携帯端末装置 | |
WO1999008179A1 (fr) | Transformateur et procede de transformation de donnees caracte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