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385A -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385A
KR20040017385A KR1020020049430A KR20020049430A KR20040017385A KR 20040017385 A KR20040017385 A KR 20040017385A KR 1020020049430 A KR1020020049430 A KR 1020020049430A KR 20020049430 A KR20020049430 A KR 20020049430A KR 20040017385 A KR20040017385 A KR 20040017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water gate
water
drainage path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735B1 (ko
Inventor
강호석
Original Assignee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7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종래의 배수장에 설치하는 배수장치는 배수로를 자연배수로와 강제배수로를 건설하기 때문에 막대한 공사비의 지출은 물론이고 많은 부지가 확보 되어야하는등의 비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이때 자연배수로에는 수문을 설치해야하고, 강제배수로에는 제진기와 펌프를 설치해야하는 이중으로 관련장치를 설치하는 문제점으로 많은 공사비와 이에 따른 부대 시설물의 건설이 반드시 따르므로 비 경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문은 상하로 작동하는 관계로 수문설치를 위한 수문설치용 구조물이 자연배수로 보다 항상 높게 건설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제배수로와 자연배수로로 양분되어 있는 배수로를 한개의 배수로로 건설을 행하여 배수로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고, 수문은 레크와 피니언 작동방식에 의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하여 수문 설치용 구조물의 건설을 방지하고, 수중펌프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건설하지 않아도 펌프를 통한 강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A DRAINING DEVICES FOR THE DRAINING WORKS}
본 발명은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장은 주변에서 흘러들어오는 배수를 집하하였다가 강 또는 개천으로 흘러 보내는 중간 열활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장은 필요에 따라 물을 정화하거나 이를 모았다가 농수 또는 공업 용수로 사용하거나 홍수등을 방지하는 역활도 행한다.
이러한 배수장은 집하된 집수를 강 또는 개천으로 보내기 위하여 각종 배수장치를 행하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종래의 배수장의 배수 처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는 배수장(1)과 강 또는 개천(2)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배수장(1)은 자연배수로(3)와 강제배수로(4)를 구성하여 자연배수로(3)상에는 수문(5)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이러한 수문(5)을 여닫는 것에 의하여 배수장(1)의 물을 조절한다.
그리고 강제배수로(4)에는 제진기(6)와 그 후방에 펌프(7)를 설치하여 홍수로 인한 배수장(1)의 범람 위기가 있거나 강제로 배수장(1)의 물을 강 또는 개천으로 흘러보낼 필요가 있을때 사용한다.
이는 펌프(7)의 작동에 의하여 강제배수로(4)로 흘러들어오는 물을 강제로 강이나 개천으로 흘러보내는 것으로서, 이때 강제배수로(4)로 물과 함께 흘러들어오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진기(6)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의 제거는 펌프(7)의 원할한 작동 및 이물질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다.
이러한 종래의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배수로를 자연배수로(3)와 강제배수로(4)를 건설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막대한 공사비의 지출은 물론이고 많은 부지가 확보 되어야하는등의 비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둘째로 자연배수로(3)에는 수문(5)을 설치해야하고, 강제배수로(4)에는 제진기(4)와 펌프(7)를 설치해야하는 이중으로 관련장치를 설치하는 문제점잉 ㅣㅆ다.
이러한 문제점을 결국 많은 공사비와 이에 따른 부대 시설물의 건설이 반드시 따르므로 비 경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세번째로 수문(5)은 상하로 작동하는 관계로 수문(5)설치를 위한 수문설치용 구조물(9)이 자연배수로(3)보다 항상 높게 건설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불 필요한 자원 및 시설이 요구되므로 이에 따른 많은 경제적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우선 강제배수로와 자연배수로로 양분되어 있는 배수로를 한개의 배수로로 건설을 행하여 배수로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고, 수문은 레크와 피니언 작동방식에 의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하여 수문 설치용 구조물의 건설을 방지하고, 수중펌프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건설하지 않아도 펌프를 통한 강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배수로를 건설하여 이 하나으 배수로에 회동 작동을 행하도록 제진기를 설치하고, 수문상에 배수펌프를설치하고, 상기한 수문은 레크 작동방식에 의하여 수문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도록하함으로서 가능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배수 처리장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처리 장치의 개략적 평면 구조도,
도 3는 본 발명의 배수 처리 장치의 개략적 단면 구조도,
도 4은 본 발명의 배수 처리장치의 일부 발췌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수문 6: 제진기
10: 배수로 11: 힌지
12: 권양기 13: 체인 또는 와이어
14: 역류방지 밸브 17: 배수로 구조물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도 2부터 도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기술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나의 배수로(10)을 건설하여 상기 배수로(10)의 전방에 통상의 제진기(6)를 설치하되 상기한 제진기(6)는 상단에 힌지(11)를 설치하여 이 힌지(11)를 중심으로 하여 권양기(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권양기(12)는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와이어(13)등을 통하여 상기한 제진기(6)를 회동작동시킨다.
상기 제진기(6)의 후방에는 수문(5)을 설치하되 이때 상기한 수문(5)은 상기 배수로(1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 배수로 구조물(17)의 양측에 끼워져서 이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문(5)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20)을 형성하여 상기 배출구(20)의 전방에 역류방지 밸브(14)가 구비된 수중펌프(7)를 설치하고, 상기한 수문(5)의 후방에는 상기 배출구(20)과 간섭하지 않는 부분에 한쌍의 레크(15)를 설치하고, 상기 레크(15)는 이에 맞물려 있는 각각 한쌍의 피니언(16)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수문(5)이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하나의 배수로(10)상에 설치된 수문(5)을 조절하여 배수장(1)의 물을 강이나 개천으로 자연적으로 방류등을 행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한 제진기(6)를 권양기(12)의 작동에 의하여 체인 또는 와이어(13)로 회동 시켜서 상기한 제진기(6)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수문(5)의 승하강에 의하여 수문(5)의 작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동력수단 및 감속기(19)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은 피니언(1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피니언(16)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려 있는 레크(15)는 상승 또는 하강을 행하게 되고, 이러한 레크(15)에 고정된 수문(5)은 수중펌프(7)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수문(5)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수문(5)이 레크(15)와 피니언(16)에 의하여 승하강을 행하게 되므로 수문(5)의 승하강을 위하여 수문(5)의 상부에사 반드시 돌출되도록 건설되었던 수문 설치용 구조물(9)이 필요 없게된다.
그리고 홍수 또는 급하게 배수장의 물을 개천이나 강으로 강제 배수할 필여가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진기(6)를 배수로(10)에 위치하도록 권양기(12)를 작동시켜준다.
이러한 제진기(6)의 배수로(10)에 위치로 인하여 배수로(10)를 통하여 들어오는 이물질이나 쓰레기등을 제거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수문(5)을 닫은 상태에서 수중펌프(7)를 작동시켜 하나의 배수로(10)에 있는 물을 강제로 강이나 개천으로 배수하여 준다.
이렇게 수중펌프(7)의 작동에 의해 강제로 베수되는 물은 수문(5)의 반대편으로 배수하게 된다.
수중펌프(7)에 설치된 역류방지용 밸브(14)는 강이나 개천의 물이 배수로(10)로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중펌프(7)는 첨부한 도면 도 4에서와 같이 입축식 펌프를 사용하여도 되고, 첨부한 도면 도 5에서와 같이 직결식 모터를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문(5)에 수중펌프(7)를 설치함으로서, 수중펌프(7)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건설이 필요없고, 또한 수중펌프(7)를 설치하는 강제배수로(4)를 별도로 건설하지 않아도 수중펌의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제배수로와 자연배수로로 양분되어 있는 배수로를 한개의 배수로로 건설을 행하여 배수로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고, 이 배수로에 회동하는 제진기를 설치하고, 수문상에 배수펌프를 설치하고, 상기한 수문은 레크와 피니언 작동방식에 의하여 수문을 상하로 승,하강시킴으로서,수문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높이를 배수로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불필요한 구조물의 건설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배수장의 물을 자연방류 또는 강제방류를 행하는 배수장의 배수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배수로(10)을 건설하여 상기 배수로(10)의 전방에 통상의 제진기(6)를 설치하되, 그 상단은 힌지(11)를 설치하여 이 힌지(11)를 중심으로 상기 제진기(6)의 하단에 고정된 체인이나 이와 유사한 와이어(13)를 권양기(12)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제진기(6)의 후방에는 수문(5)을 설치하되, 상기한 수문(5)은 상기 배수로(1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 배수로 구조물(17)의 양측에 끼워져서 이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문(5)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20)을 형성하여 상기 배출구(20)의 전방에 역류방지 밸브(14)가 구비된 수중펌프(7)를 설치하고,
    상기한 수문(5)의 후방에는 상기 배출구(20)와 간섭하지 않는 부분에 한쌍의 레크(15)를 설치하고, 상기 레크(15)는 이에 맞물려 있는 각각 한쌍의 피니언(16)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수문(5)이 승하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KR10-2002-0049430A 2002-08-21 2002-08-21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KR10049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30A KR100494735B1 (ko) 2002-08-21 2002-08-21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30A KR100494735B1 (ko) 2002-08-21 2002-08-21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385A true KR20040017385A (ko) 2004-02-27
KR100494735B1 KR100494735B1 (ko) 2005-06-13

Family

ID=3732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430A KR100494735B1 (ko) 2002-08-21 2002-08-21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44B1 (ko) * 2004-11-01 2005-06-23 김상국 펌프 일체형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2042384B1 (ko) * 2019-05-27 2019-11-07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류 유도장치를 구비한 제진기
CN112609806A (zh) * 2020-12-04 2021-04-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新老泵站连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912Y2 (ko) * 1987-10-14 1992-07-14
JP2644864B2 (ja) * 1988-12-16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ポンプ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JP2771216B2 (ja) * 1989-02-08 199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ポンプ装置
JPH03233013A (ja) * 1990-02-09 1991-10-17 Hitachi Ltd ゲートポンプ
KR960009365B1 (ko) * 1992-08-28 1996-07-18 최현규 두벌모아쓰기식 데이지휠 타자기의 인자판 변환장치 및 이에 대한 한글인자방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44B1 (ko) * 2004-11-01 2005-06-23 김상국 펌프 일체형 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2042384B1 (ko) * 2019-05-27 2019-11-07 주식회사 우승산업 수류 유도장치를 구비한 제진기
CN112609806A (zh) * 2020-12-04 2021-04-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新老泵站连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735B1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060B1 (ko) 전위스크린 및 제진기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1170663B1 (ko) 감지기를 이용한 전동식 유입유량 조절장치
KR20070026704A (ko)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20070101691A (ko) 우수토실용 맨홀의 우수차단장치
KR101230778B1 (ko)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일체형 펌프게이트
KR20060073451A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937974B1 (ko) 하수관거용 펌프일체형수문
KR100494735B1 (ko)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KR100758365B1 (ko) 스크린 일체형 수문 배수장치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CN201389363Y (zh) 一种辐流池刮泥机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JP2005076382A (ja) 除塵装置
JP4163092B2 (ja) 越流水除塵装置におけるドラムスクリーンの稼働検知システム
KR102010569B1 (ko) 원통형 스크린 기반의 우수처리 장치
JP3105835B2 (ja) 換気口用防水装置
KR200234791Y1 (ko) 토사유입 방지장치
JPS6016611A (ja) 制水用樋門における扉の全自動開閉装置
CN210176479U (zh) 一种具有超越功能的格栅闸门及格栅除污系统
CN215759436U (zh) 一种污水处理用双向止水闸门
KR102399564B1 (ko)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KR102657588B1 (ko) 수량변동에 따른 운전부하 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시스템
KR20140065986A (ko) 펌프 게이트 장치
JP2562397B2 (ja) 回分式処理槽のスカムおよび上澄液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