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564B1 -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564B1
KR102399564B1 KR1020210123211A KR20210123211A KR102399564B1 KR 102399564 B1 KR102399564 B1 KR 102399564B1 KR 1020210123211 A KR1020210123211 A KR 1020210123211A KR 20210123211 A KR20210123211 A KR 20210123211A KR 102399564 B1 KR102399564 B1 KR 10239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rainwater
gate
sew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홍민
김용대
Original Assignee
박민수
주식회사 알티유코리아
(주)광주피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주식회사 알티유코리아, (주)광주피스코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102021012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lu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거에 설치되는 우수토실의 유입구와 관거의 출구를 개폐하여 우천시 적정량의 하수(오수와 우수) 또는 우수를 차집함과 동시에 청천시에는 관거의 출구를 막아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은 관거의 바닥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관거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토실공간부와,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관거 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관거에 설치되어 강우를 감지하는 강우센서와, 수위센서 및 강우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의해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원격단말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smart storm overflow chamber system}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거에 설치되는 우수토실의 유입구와 관거의 출구를 개폐하여 우천시 적정량의 하수(오수와 우수) 또는 우수를 차집함과 동시에 청천시에는 관거의 출구를 막아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시스템은 우수와 오수를 동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과, 오수관과 우수관을 분리하여 별개의 하수관거로 배출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대도시의 하수도는 대부분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오수와 우수가 단일 하수관, 즉 합류관으로 흐른다.
이러한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에서는 우천 시에 적정한 양의 하수만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고 나머지는 하천으로 방류하여야 한다.
우천 시에 우수가 포함된 많은 양의 하수가 하수 처리장으로 공급되는 경우, 하수 처리장의 처리용량을 초과하게 되며, 유입농도의 감소로 처리효율이 저감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이 우천 시 하수관에서 적정량의 하수(오수와 우수)만 분리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고 나머지는 하천으로 보내는 시설이 우수토실이다.
종래의 우수토실의 일 예로서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관거(1)의 바닥면에 유입구를 만든 다음 관거의 하부를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우수토실(2)을 형성한다. 유입구에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틸그레이팅(4)을 설치한다. 그리고 우수토실(2)은 연결관으로 차집관거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우수토실은 관거를 통하여 이동하는 하수가 우수토실 내부로 유입되고, 연결관과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는데, 장마철과 같이 우수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우수토실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증가하면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초과된 용량을 무처리 방류하거나 또는 유입 하수의 오염농도 감소로 처리효율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완전히 처리되지 못한 처리수의 방류로 방류수역의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3254호에는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는 우천시 우수의 적절한 양을 차집하기가 어려우며, 평상시에 하수관의 출구를 통해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3254호: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관거에 설치되는 우수토실의 유입구와 관거의 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우천시 적정량의 하수 또는 오수를 차집함과 동시에 청천시에는 관거의 출구를 막아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은 관거의 바닥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관거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토실공간부와; 상기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관거 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관거의 외부에 설치되어 강우를 감지하는 강우센서와; 상기 수위센서 및 상기 강우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원격단말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관거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에 의해 상기 관거의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토실공간부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진수단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로바들이 나란하게 형성된 스크린부와, 상기 가로바들 사이의 틈새를 막는 협잡물을 상기 스크린부의 바깥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며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시 왕복이동이 가능한 이동암과, 상기 이동암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바들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레이크부재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관거에 설치되는 우수토실의 유입구와 관거의 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우천시 적정량의 하수(오수와 우수) 또는 우수를 차집함과 동시에 청천시에는 관거의 출구를 막아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수단을 구비하여 차집되는 하수 또는 우수 중의 협잡물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우수토실의 일 예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은 관거(10)의 바닥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연결되도록 관거(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우천시 하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토실공간부(13)와, 관거(10)에 설치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게이트(20)와, 관거(10)에 설치되어 관거(10) 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7)와, 관거(10)의 출구에 설치되는 셔터(30)와, 관거(10)에 설치되어 강우를 감지하는 강우센서(9)와, 수위센서(7) 및 강우센서(9)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의해 게이트(20) 및 셔터(30)를 개폐시키는 원격단말유닛(40)을 구비한다.
관거(10)는 합류식 하수관거 또는 분류식 우수관거일 수 있다. 토실공간부(13)는 관거(10)의 하부에 형성된다. 관거(10)의 하부를 일정 깊이로 파서 토실공간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관거(10)의 바닥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된다. 유입구(11)는 관거(10)의 하부에 형성된 토실공간부(13)와 연결된다. 관거(10)를 따라 흐르는 하수(오수와 우수) 또는 우수는 유입구(11)를 통해 토실공간부(13)로 유입된다.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오수와 우수가 섞인 하수가 토실공간부(13)로 유입되고, 분류식 우수관거일 경우 비점오염물질이 포함한 초기우수가 토실공간부(13)로 유입된다.
토실공간부(13)는 연결관(15)에 의해 차집관로(17)와 연결된다. 차집관로(17)는 하수처리장과 연결된다.
토실공간부(13)의 유입구(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유입구(11)에 게이트(20)가 설치된다. 게이트(20)는 관거(10)에 힌지결합되어 유입구를 열고 닫는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게이트(20)를 개폐하기 위한 통상적인 게이트개폐기(21)가 설치된다. 게이트개폐기(21)로 다양한 종류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전동 액츄에이터의 예로 실린더를 들 수 있다. 또한, 게이트개폐기(21)로 윈치를 이용할 수 있다. 게이트개폐기(21)는 원격단말유닛(40)에 의해 제어된다.
게이트(20)는 유입구를 개폐하여 하수 또는 우수를 적정량 차집할 뿐만 아니라 홍수시 관거의 수위상승으로 인하여 차집관로 내로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집관로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게이트(20)는 홍수시 다량의 토사가 차집관로로 유입되어 차집관로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거나 폐쇄하는 것을 막는다.
수위센서(7)는 관거(10)에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7)는 관거 내의 수위를 측정한다. 수위센서(7)에 측정된 수위 값은 원격단말유닛(40)으로 송출된다.
셔터(30)는 관거(10)의 출구에 설치된다. 셔터(30)가 설치되는 관거(10)는 합류식 하수관거이다. 분류식 하수관거일 경우 셔터는 생략될 수 있다.
셔터(30)로 다양한 방식의 도어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셔터(30)로 다수의 패널이 힌지결합되어 롤러(33)에 권취가 가능한 롤 셔터를 이용할 수 있다.
셔터(30)를 감거나 풀어서 관거(10)의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개폐기(31)는 셔터(30)가 권취되는 롤러(33)와, 롤러(33)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롤러(3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롤러(33)는 관거(10)의 천장에 설치된다. 동력전달부는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이루어져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롤러(33)에 전달한다. 롤러(3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관거(10)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셔터개폐기(31)는 원격단말유닛(40)에 의해 제어된다. 셔터(30)가 롤러(33)에 감기거나 풀릴 때 셔터(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관거(10)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비가 오지 않는 청천시 셔터(30)는 관거(10)의 출구를 막아 악취가 외부로 확산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우천시에 셔터(30)는 개방되어 우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강우센서(9)는 관거(10)에 외부에 설치되어 강우를 감지한다. 강우센서(9)는 원격단말유닛(4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로 수위센서(7) 및 강우센서(9) 외에도 유량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유량센서는 관거를 흐르는 유량을 감지하여 그 유량 값을 원격단말유닛(40)으로 송출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격단말유닛(40)은 수위센서(7) 및 강우센서(9)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의해 게이트(20) 및 셔터(30)를 개폐시킨다. 또한, 원격단말유닛은 기상예보 자료를 수신하여 기상예보 자료와 함께 수위센서 및 강우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비교분석하여 게이트(20) 및 셔터(3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원격단말유닛(RTU:Remote Terminal Unit)(40)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제어 전자장비이다. 원격단말유닛(40)은 원격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전송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트를 변환한 후 관제소(51) 및 이동단말기(55)로 송신한다. 또한, 관제소(51)나 이동단말기(55)로부터 지시되는 일련의 제어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단말유닛(40)은 신호감지 또는 측정을 위한 입력채널, 제어와 지시 및 경고를 위한 출력채널을 갖춘다.
원격단말유닛(40)은 통신이 두절될 경우에도 현장의 데이터를 관측 및 비교, 분석하여 자체적으로 게이트개폐기나 셔터개폐기를 제어하여 자율운영이 가능하다.
원격단말유닛(40)은 디스플레이부(49)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47)와, 각종 조작과 정보 입력을 위한 조작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9)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부(47)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소(51) 또는 이동단말기(55)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55)는 다양한 유무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등을 포함한다.
조작부(45)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장치를 제어하고자 할 때 수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자동/수동 조작키를 포함한 각종 키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원격단말유닛(40)은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취득한 정보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연산부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격단말유닛(40)은 수위센서(7)와 강우센서(9)를 통해 측정된 수위 값 및 강우값을 바탕으로 게이트(20) 및 셔터(3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우천시, 관거(10)에 흐르는 하수(오수+우수)가 3Q(Q:시간최대오수량) 이하일 경우 원격단말유닛(40)은 게이트(20)를 개방시켜 적정량의 하수가 차집되도록 한다. 그리고 관거(10)에 흐르는 하수가 일정수량 이상일 경우(가령, 3Q 이상일 경우) 원격단말유닛(40)은 게이트(20)를 닫아 우수가 관거(10)의 출구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분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우천시, 관거(10)에 흐르는 우수가 초기 우수량(예를 들면, 유역면적×5mm) 이하일 경우 원격단말유닛(40)은 게이트(20)를 개방시켜 적정량(기입력된 초기 우수량)의 초기우수가 차집되도록 한다. 그리고 관거(10)에 흐르는 우수가 기입력된 초기우수량 이상일 경우 원격단말유닛(40)은 게이트(20)를 닫아 우수가 관거(10)의 출구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오접합(오수관을 우수관에 연결한 오류)에 의한 오수도 초기우수와 함께 차집할 수 있어 분류식 하수관거의 방류수역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비가 오지 않는 청천시,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관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출구를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격단말유닛(40)은 셔터(30)를 닫아 관거(10)의 출구를 막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값에 의해 원견단말유닛(40)이 관거(10)에 설치되는 토실공간부(13)의 유입구(11)와 관거(10)의 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우천시 적정량의 하수 또는 우수를 차집함과 동시에 청천시에는 관거의 출구를 막아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은 제진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진수단은 관거에 설치되어 유입구(11)를 통해 토실공간부(13)로 유입되는 하수 또는 우수 중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우천시 각종 쓰레기나 토사, 나뭇가지 등과 같은 협잡물이 관거를 따라 흐르고, 게이트(20)의 개방시 이러한 협잡물이 토실공간부(13)로 유입될 경우 토실공간부(13)는 연결관이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진수단은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다.
도시된 제진수단은 유입구(11)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로바들(63)이 나란하게 형성된 스크린부(60)와, 가로바들(63) 사이의 틈새(65)를 막는 협잡물을 스크린부(60)의 바깥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구비한다.
스크린부(60)는 유입구(11)에 장착되는 사각프레임(61)과, 사각프레임(61)의 상부에 다수가 설치되는 가로바들(63)을 구비한다.
사각프레임(61)은 액자 구조의 틀로 이루어진다. 가로바들(63)은 사각프레임(61)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가로바들(6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로바들(63)의 간격은 유입을 막고자 하는 협잡물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로바들(63)은 사각프레임(61)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로바들(63)이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가로바들(63) 사이에는 우수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65)가 형성된다.
이동유닛은 구동모터(7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며 스크린부(60)의 상방에 설치되는 스크류축(71)과, 스크류축(71)에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71)의 회전시 왕복이동이 가능한 이동암(73)과, 이동암(73)에 설치되어 가로바들(63) 사이의 틈새(65)로 삽입되는 레이크부재들(79)을 구비한다.
구동모터(70)는 관거(10)의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70)는 원격단말유닛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스크류축(71)은 지지브라켓(7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크류축(71)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유입구(1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2개의 지지브라켓(72)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류축(7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크류축(71)의 일측은 구동모터(70)와 결합된다.
이동암(73)은 중앙 부위에 나사홀이 형성된다. 나사홀에 스크류축(71)이 나사결합된다.
이동암(73)의 양단부는 가이드바(74)에 결합된다. 가이드바(74)는 스크류축(71)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바(74)는 스크류축(71)의 양편에 각각 설치된다. 각 가이드바(74)는 보조브라켓(75)에 양 단부가 고정된다. 이동암(73)에는 가이드바(74)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스크류축(71)이 회전하면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암(73)은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이크부재(79)는 이동암(73)의 하부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레이크부재(79)는 가로바들(63) 사이의 틈새(6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가로바들(63) 사이에 하나의 레이크부재(79)가 위치한다.
이동암(73)이 이동하면 틈새(65)에 삽입된 레이크부재(79)가 틈새(65)를 따라 이동한다. 틈새(65)를 따라 레이크부재(79)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스크린부(60)에 걸린 협잡물을 스크린부(60)의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틈새(65)에 끼어져 레이크부재(79)의 이동만으로 제거하기 힘든 협잡물을 빼내기 위해 보조제진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제진수단은 스크린부(60)의 하방에 설치되는 승강판(81)과, 승강판(8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87)와, 승강판(81)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승강판(81)이 상부로 이동시 가로바(63)의 틈새(65)로 삽입되어 틈새(65)에 끼워진 협잡물을 위로 밀어올려 제거하는 푸쉬바들(83)을 구비한다.
승강판(81)은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승강판(81)의 상부에는 다수의 푸쉬바들(83)이 형성된다. 각 푸쉬바들(83)은 가로바(63)의 틈새(65)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제진수단의 구동모터가 멈춰있을 경우 이동암(73)은 스크린부(60)의 바깥에 위치하므로, 푸쉬바들(83)이 승강시 이동암(73)과 간섭되지 않는다.
승강판(81)에는 통수홀들(82)이 형성된다. 통수홀들(82)은 푸쉬바들(83) 사이에 형성된다.
액츄에이터(87)는 토실공간부(13)의 측면에 마련된 포켓공간부(14)에 설치된다. 액츄에이터(87)로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87)는 원격단말유닛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액츄에이터(87)가 작동하면 승강판(81)이 상승하고, 승강판(81)의 상승에 의해 푸쉬바들(83)이 가로바들(63)의 틈새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가로바들(63)의 틈새에 끼워져 있는 협잡물을 밀어올려 제거한다.
보조제진수단의 액츄에이터(87)는 도 3에 나타난 제진수단의 구동모터(7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을 도 6 및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는 도 3과 비교시 게이트 및 게이트개폐기의 구조가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관거(10)의 바닥에 형성된 유입구(11)의 주위에 한쌍의 가이드프레임(93)이 설치된다. 가이드프레임(93)은 유입구(1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프레임(93)은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프레임(93)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9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94)은 호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94)은 게이트(90)의 이경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90)는 관거(10)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게이트(90)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90)의 양 가장자리는 가이드프레임(93)의 가이드홈(94)에 삽입된다.
게이트(90)에는 래크기어(91)가 설치된다. 래크기어(91)는 게이트(90)의 외측면 중앙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래크기어(91)는 게이트(90)의 곡면을 따라 둥글게 굽어지게 형성된다.
게이트(90)가 가이드홈(9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게이트개폐기가 토실공간부(13)의 측면에 설치된다. 게이트개폐기는 래크기어(91)와 치합하는 피니언(105)과, 피니언(105)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드모터(100)를 구비한다.
기어드모터(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게이트(90)는 가이드홈(94)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입구(11)를 개폐시킨다. 도 6 및 도 7은 게이트(90)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게이트(90)의 안쪽에는 스크린부(60)와 제진수단이 위치한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피니언(105)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게이트(90) 역시 시계 반대방향으로 가이드홈(94)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홈(94)을 따라 이동하는 게이트(90)는 관거(10)의 바닥에 접촉되면서 유입구(11)를 막는다.
한편, 토실공간부(13)에서 게이트(9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관거(10)의 바닥에 한쌍의 가이드레일(99)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99)은 관거(10)의 바닥에서 호형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게이트(90)의 가장자리는 가이드레일(99)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술한 게이트(90)는 회전하면서 개폐되므로 많은 양의 우수가 흐르더라도 개폐동작이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관거 11: 유입구
13: 토실공간부 17: 차집관로
20: 게이트 30: 셔터
40: 원격단말유닛

Claims (4)

  1. 관거의 바닥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관거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수 또는 우수가 유입되는 토실공간부와;
    상기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관거 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관거의 외부에 설치되어 강우를 감지하는 강우센서와;
    상기 수위센서 및 상기 강우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관거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토실공간부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진수단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로바들이 나란하게 형성된 스크린부와, 상기 가로바들 사이의 틈새를 막는 협잡물을 상기 스크린부의 바깥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며 상기 스크린부의 상방에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시 왕복이동이 가능한 이동암과, 상기 이동암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바들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레이크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로바들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있는 협잡물을 밀어올려 제거하기 위한 보조제진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제진수단은 상기 스크린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통수홀들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상기 승강판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이 상부로 이동시 상기 가로바의 틈새로 삽입되어 협잡물을 위로 밀어올려 제거하는 푸쉬바들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상기 관거의 바닥에 호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가이드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거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양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게이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토실공간부에 게이트개폐기가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개폐기는 상기 게이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거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원격단말유닛에 의해 상기 관거의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23211A 2021-09-15 2021-09-15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KR10239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11A KR102399564B1 (ko) 2021-09-15 2021-09-15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11A KR102399564B1 (ko) 2021-09-15 2021-09-15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564B1 true KR102399564B1 (ko) 2022-05-17

Family

ID=8180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11A KR102399564B1 (ko) 2021-09-15 2021-09-15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07B1 (ko) *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173254B1 (ko) 2011-07-07 2012-08-13 김덕진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KR101398010B1 (ko) * 2013-12-03 2014-05-27 (주)씨엔디 Rtu를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및 제어방법
KR101859666B1 (ko) * 2018-03-12 2018-05-18 주식회사 대영 도시형 초기우수 분류시스템
KR20180116852A (ko) * 2017-04-18 2018-10-26 (주)디케이엠엔이 제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07B1 (ko) *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173254B1 (ko) 2011-07-07 2012-08-13 김덕진 우수토실용 자동웨어장치
KR101398010B1 (ko) * 2013-12-03 2014-05-27 (주)씨엔디 Rtu를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및 제어방법
KR20180116852A (ko) * 2017-04-18 2018-10-26 (주)디케이엠엔이 제진기
KR101859666B1 (ko) * 2018-03-12 2018-05-18 주식회사 대영 도시형 초기우수 분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663B1 (ko) 감지기를 이용한 전동식 유입유량 조절장치
US7238279B2 (en) Impulse-responsive rotary actuator for storm drain barrier not disabled by immersion
KR101050707B1 (ko)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070101691A (ko) 우수토실용 맨홀의 우수차단장치
CN103835363B (zh) 电动合流制管网截流井
KR102399564B1 (ko)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CN211596997U (zh) 一种智能截流井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1923707B1 (ko) 비점오염저감 및 우수저류장치
KR100605041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569525B1 (ko) 도로 침수 방지용 배수시스템
JP4468905B2 (ja) 水路における異常水位時のバイパスゲート
CN217460812U (zh) 一种智能截流装置
KR101965710B1 (ko) 유량 제어를 위한 우수토실 스마트 수문
KR200381745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657588B1 (ko) 수량변동에 따른 운전부하 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시스템
JP2005076382A (ja) 除塵装置
JP2000017639A (ja) 弁制御装置を備えた水閘機構
KR100615675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CN220747153U (zh) 一种带有防堵功能的排水结构
KR200373653Y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