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653Y1 -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653Y1
KR200373653Y1 KR20-2004-0030036U KR20040030036U KR200373653Y1 KR 200373653 Y1 KR200373653 Y1 KR 200373653Y1 KR 20040030036 U KR20040030036 U KR 20040030036U KR 200373653 Y1 KR200373653 Y1 KR 200373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ewage
rainwater
water level
leve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엔포텍워터
(주)부성엔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포텍워터, (주)부성엔터테크 filed Critical (주)엔포텍워터
Priority to KR20-2004-0030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2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associated with one or more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폐색 사고를 방지하고, 오수의 유입량과 함께 오수의 농도에 따른 차집량을 제어하여 강우 초기 고농도 하수는 가능한 많이 차집하고 강우 후반부 저농도 하수는 적은 양을 차집할 수 있으며,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차집량을 조절하여 계획 하수량만을 차집할 수 있도록 된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우수토실 상부에 폭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수토실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우수토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와 일정 각도를 두고 연결설치되어 우수토실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수에 의해 밀려 회동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는 수위감지판을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flow in Regulators}
본 고안은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토실로부터 차집관로로 차집되는 하수의 양을 우수토실로 유입되는 하수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공장에서 발생된 오수나 폐수 또는 우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관을 통하여 배수설비로 집수되어 합류식 공공하수도(10)로 접속되고, 상기의 합류식 하수도(10)에는 우수토실(20)이 차집관(30) 사이에 설치되어 강우시 일정량 이상은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되며, 상기 차집관(30)은 하수종말 처리장(40)과 연계되어 우수토실(20)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하수종말 처리장(40)으로 보내고, 하수종말 처리장(40)에서 치리된 오수는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우수토실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어떤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 처리장에 수송하고 나머지 하수를 하천 등의 수역으로 방류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 즉, 합류식 하수도에서 청천시에는 생활오수를 전량 차집하게 되나 우천시와 같이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대량의 우수를 모두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는 경우 처리장의 건설비와 유지관리비가 커지며, 또한 대구경의 관거가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방류수역별로 계획된 하수량이 우천시 계획하수량(시간최대오수량의 3배)에 달하면 그 이상의 우수는 방류하천으로 월류시키도록 설치한 구조물이 필요하며 이러한 구조물을 우수토실이라 한다.
상기한 우수토실은 하수 유입구와 우수 유입구가 연계되고, 저부 일측에는 오수를 차집관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일정높이의 월류웨어가 설치되어, 차집량에 해당되는 하수를 상기 월류웨어를 통해 수집하여 연결관을 통하여 차집관거로 투입시키고 이 월류웨어를 월류한 우수는 곧바로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우수토실은 유지관리의 용이함을 위해 연결관에 오리피스를 설치하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연결관은 자주 폐색되어 월류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구조의 경우 통상 연결관은 폐색 방지 등 유지관리성을 감안하여 200mm 이상을 적용하게 되나 대부분의 우수토실에서는 수십mm의 오리피스 구경이 요구되므로, 종래의 우수토실은 판재에 차집하고자 하는 유량에 따라 수십mm의 오리피스용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 내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오리피스 구경과 비슷하거나 큰 고형물 예컨대 빈깡통이나 페트병 등이 유입되는 경우 오리피스가 폐색되어 청천시에도 오수를 차집관러로유입시키지 못하고 월류웨어를 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청천시 월류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오리피스 전단부에 스크린 등을 설치하기도 하나, 잦은 유지관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토실에 유입되는 하수는 강우초기에 수질이 높다가 강우 중후반부로 가면서 수질은 낮아지고 유입하수량은 늘어난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보전 측면에서 강우 초기 하수를 가급적 많이 차집하고 강우 중반 이후에는 적은 양을 차집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리피스를 통한 차집 구조는 강우초기 고농도하수가 발생할 때는 적은 양을 차집하고 강우가 지속되어 수위가 상승하여 오염농도가 낮아졌을 때 많은 양을 차집하므로 차집유량과 차집 오염부하는 비례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오수의 유입량과 함께 오수의 농도에 따른 차집량을 제어하여 강우 초기 고농도 하수는 가능한 많이 차집하고 강우 후반부 저농도 하수는 적은 양을 차집할 수 있도록 된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량에 따라 차집량을 조절하여 계획 하수량만을 차집할 수 있도록 된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의 일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의 작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의 수위에 따른 유입 수량을 종래값과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강우시 우수토실에 유입되는 하수의 수질 및 유량의 변화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설치프레임 51 : 게이트
52 : 개구부 53 : 회전축
54 : 수위감지판 55 : 차단판
56 : 나사축 57 : 턴버클
58 : 안내로드 59 : 무게추
60 : 와이어 61 : 스프링
62 : 하우징 64 : 너트
65 : 표시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우수토실 상부에 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수토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와 일정각도를 두고 상단에 연결설치되고 우수토실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개방상태로 회동시키기 위한 수위감지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의 하단에는 하수가 흘러나가는 개구부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자중에 의해 내려뜨려진 수위감지판이 하수에 의해 밀려 회동되면서 수위감지판에 연결된 게이트가 회동되어 내려와 우수토실을 폐쇄하게 되고 하수는 게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만 차집되어 원하는 양만을 계획 차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우천시 계획하수량인 시간최대오수량의 3배를 차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게이트와 수위감지판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위감지판의 회전모멘트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게이트의 개폐강도 조절을 위해 상기 게이트와 우수토실 사이에 스프링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어 게이트 회동 정도를 검출하여 우수토실의 개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우수토실(20) 상부에 폭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설치프레임(50)과, 이 설치프레임(50)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수토실(2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우수토실(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하단에는 하수가 흘러나가는 개구부(52)가 형성된 게이트(51), 상기 설치프레임(50)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수토실(2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수에 의해 밀려 회동되는 수위감지판(54), 상기 게이트(51)와 상기 수위감지판(54) 사이에 설치되어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을 일정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수위감지판(54)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위감지판(54)에 걸리는 회전모멘트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수단과 상기 게이트(51)에 연결되고 상기 우수토실(20) 외측에 위치하여 게이트(51) 회동 정도에 따른 우수토실(20)의 개도 정도를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프레임(50)은 우수토실(20)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데, 하단에 회전축(53)을 매개로 설치되는 상기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면 설치구조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게이트(51)는 상기 설치프레임(50) 하단에 회전축(5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절결된 개구부(52)가 형성되어 게이트(51)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우수토실(20)을 유입된 하수가 상기 개구부(52)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51)는 우수토실(20) 상부에서 수평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게이트(51)의 양 측단은 직선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51)가 수직상태로 회동되어 우수토실(20)을 폐쇄하는 경우 게이트(51)의 양 측단과 상기 우수토실(20)의 내주면 사이에 호형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틈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우수토실(20)의 내주면 양쪽에 상기 틈새에 대응되는 크기로 차단판(55)이 더욱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51)가 우수토실(20)에 수직상태로 회동되어 우수토실(20)을 폐쇄하게 되면 게이트(51)와 차단판(55)에 의해 우수토실(20)이 닫히면서 우수토실(20)내로 유입된 하수는 상기 게이트(51)에 형성된 개구부(52)를 통해서만 차집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52)는 우천시 계획하수량인 시간최대오수량의 3배를 차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을 제외하고 그 형태나 구조에 있어서 한정되지않는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판(54)은 회전축(53)을 매개로 상기 설치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매개로 상기 게이트(51)와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판(54)은 우수토실(20)로 유입된 하수의 유속에 의해 밀려날 수 있도록 우수토실(2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수와 접하는 면적을 최대로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판(54)은 특별히 그 형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으며 하중에 있어서는 상기 게이트(51)보다 무거운 구조로 이루어져 각도조절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상기 게이트(51)가 상기 수위감지판(54)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은 각도조절수단을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축(53)을 중심으로 같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51)보다 수위감지판(54)의 자중이 더욱 무겁기 때문에 수위감지판(54)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게이트(51)는 위로 들어올려져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51)의 하단은 회동되어 들어올려졌을 때 상기 우수토실(20)의 내측 상단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원호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게이트(51)의 작동 개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게이트(51)와 상기 수위감지판(54)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는 나사축(56)과, 양단에 각각 반대방향의 암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 나사축(56)이 체결되는 턴버클(5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턴버클(57)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축(56)이 조여지거나 풀어지면서 길이가 조절되어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게조절수단은 상기 게이트(51)의 작동 개시 수위 조절시 상기 수위감지판(54)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위감지판(54)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안내로드(58)와, 이 안내로드(58)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무게추(59)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게추(59)를 회전시켜 안내로드(58)를 따라 무게추(59)를 상승 하강시킴에 따라 수위감지판(54)의 무게중심이 달라져 회전축(53)을 중심으로 수위감지판(54)의 회전모멘트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게이트(51)는 각도조절수단과 무게조절수단을 통해 원하는 수위에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의 각도를 조절하여 게이트(51)의 선단 위치를 조절하고, 예컨대 턴버클(57)을 회전시켜 나사축(56)을 조이게 되면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면서 게이트(51)의 선단 위치가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턴버클(57)을 회전시켜 나사축(56)을 풀어주게 되면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서 게이트(51)의 선단 위치가 높아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수위감지판(54)에 설치된 안내로드(58)를 따라 무게추(59)를 이동시키면 수위감지판(54)의 회전모멘트가 달라져 수위감지판(54)의 작동 민감도가조절된다. 예컨대 무게추(59)를 안내로드(58)를 따라 수위감지판(54)의 하단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수위감지판(54)의 회전모멘트가 더욱 커지면서 게이트(51)의 작동개시 수위가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51)는 수위감지부와 무게추(59) 이외에 우수토실(20)과 상기 게이트(5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정도가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51) 상에는 와이어(60)가 연결되고 이 와이어(60)는 설치프레임(50)을 지나 우수토실(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스프링(61)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51) 회동에 따라 와이어(60)가 당겨지면 스프링(61)이 압축되면서 게이트(51)의 회동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스프링(61)와 와이어(60)의 설치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61)은 와이어(60)에 끼워져 우수토실(20)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하우징(6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60) 선단에는 스프링(61) 시트를 이루는 너트(64)가 체결되어 스프링(61) 선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60)가 당겨지면 하우징(62)과 너트(64) 사이에서 스프링(61)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게이트(51)에 회동 압력을 가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너트(64)를 와이어(60)에 대해 회전시켜 스프링(6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63)은 와이어를 감싸는 피복이다.
한편, 상기 확인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2) 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60) 선단에 연결되어 와이어(60)의 당겨짐 정도에 따른 게이트(51)의 개방량을 표시하는 표시기(65)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앞에서 설명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청천시 우수토실(20)로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적을 때에는 상기 게이트(5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하수는 그대로 차집관(30)으로 차집된다.
즉, 오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우수토실(20)의 저부를 따라 흐르는 오수가 상기 수위감지판(54)까지 이르지 못하므로 수위감지판(54)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게이트(51)는 수평상태로 회동되어 우수토실(20)을 완전히 개방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게이트(51)와 수위감지판(54)이 나사축(56)과 턴버클(57)을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게이트(51)보다 자중이 무거운 수위감지판(54)은 자중에 의해 상부 설치프레임(50)과의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게이트(51)는 나사축(56)과 턴버클(57)에 의해 밀려올라가 수평상태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청천시의 오수는 모두 차집관(30)으로 차집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강우가 시작되어 하수가 우수토실(20) 내로 유입되면서 우수토실(20)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수위를 상기 수위감지판(54)이 감지하여 게이트(51)를 닫게 된다.
즉, 상승되는 하수가 수위감지판(54)의 하단에 이르고 점차적으로 수위가 더욱 상승하게 되면 상기 수위감지판(54)은 하수에 점차적으로 잠겨지게 되고 하수의 유속에 의해 밀려나면서 설치프레임(50)의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동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판(54)은 자체의 하중과 무게추(59)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회동되어 내려뜨려진 상태이고 상기 게이트(51)는 와이어(60)로 연결된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져 있는 상태로 상기 하수의 유속이 상기 수위감지판(54)의 회전모멘트의 스프링(61)의 탄성력을 이기는 시점에서 상기 수위감지판(54)이 회동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수위감지판(54)이 회동됨에 따라 이 수위감지판(54)에 턴버클(57)과 나사축(56)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51)가 수면쪽으로 회동되어 내려오게 되고 점차적으로 하강하는 게이트(51)의 선단이 하수 수면에 닿게 된다.
게이트(51)가 수면에 닿고 하수에 잠겨지게 되면 하수와 게이트(51)의 접촉면적이 늘어나면서 유속에 의해 순간적으로 게이트(51)가 수직상태로 회동되어 우수토실(20)을 폐쇄하게 되고 수압에 의해 게이트(51)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게이트(51)가 우수토실(20)을 폐쇄하게 되면 우수토실(20)은 게이트(51)와 게이트(51) 측단과 우수토실(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판(55)에 의해 폐쇄되고 단지 게이트(51)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52)를 통해서만 하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52)를 통해 계획된 차집량만 유입되어 차집관로로 차집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51)의 개폐량은 우수토실(20) 외측에 설치된 표시기(6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데, 게이트(51)가 회동됨에 따라 와이어(60)가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60) 선단에 설치된 표시기(65)는 와이어(60)의 당겨짐에 비례하여 바늘이 움직여 게이트(51)의 현재 개방 정도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강우 종료 후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게이트(51)에 걸리는 수압도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게이트(51)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기 수위감지판(54)의 회전모멘트와 게이트(51)에 걸린 스프링(61)의 탄성복귀력이 큰 시점이 되면 게이트(51)는 점차적으로 회동되어 들어올려져 우수토실(20)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수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게이트(51)가 완전히 회동되어 우수토실(20)을 100% 개방하게 되고 오수는 전량 차집된다.
도 6은 종래 우수토실(20)과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제어장치가 설치된 우수토실(20)에 있어서의 하수 차집량을 비교한 그래프로, 상기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경우 강우 초기에는 종래 오리피스가 설치된 우수토실(20)보다 많은 하수를 차집하고 강우 중반기 이후에는 오리피스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 파이프구조가 계획 차집량보다 많은 하수를 유입시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20)은 계획량만을 차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우수토실(20)은 모두 강우초기 수위가 낮을 때 고농도 하수는 적게 차집하고, 수위가 높아져 하수 농도가 낮아질 때 많은 양을 차집하는 불합리한차집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오염부하와는 무관하게 하수를 차집하므로써 하천수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며 제한된 차집관로용량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본 제어장치가 설치된 우수토실(20)은 평상시 게이트(51)가 항시 개방되어 있으므로 조대한 부유물에 의한 폐색의 우려가 없으며 수질이 높은 초기우수를 전량 차집하고 우천시에는 차집하고자 하는 유량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하수처리장으로의 과도한 오수 유입을 막아 처리장 동력비 절감 및 유입수질 저하로 인한 하수처리장 운영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당히 개량된 우수토실(20)의 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에 의하면, 평상시 월류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에 의해 우수토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수토실의 개폐가 하수의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토실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수토실 내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고려하여 차집량을 조절함에 따라 제한된 차집관로 용량에서 최대한의 오염부하를 차집할 수 있게 되어 차집관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계획된 하수량만을 차집할 수 있게 되어 처리장으로 이송하지 않아도 되는 하수의 유입으로 하수 처리를 위한 동력비 낭비 및 유입수질 저하로 인한 처리장 운영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우수토실 상부에 폭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수토실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우수토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와 일정 각도를 두고 연결설치되어 우수토실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수에 의해 밀려 회동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게이트를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는 수위감지판
    을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하단에 게이트 폐쇄시 하수를 유통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수위감지판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는 나사축과, 양단에 각각 반대방향의 암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 나사축이 체결되는 턴버클을 포함하여 게이트와 수위감지판 사이의 각도를 조절 유지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판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안내로드와, 이 안내로드의 수나사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상기 수위감지판에 걸리는 회전모멘트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설치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을 매개로 와이어가 연결되어 게이트에 개방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설치프레임을 지나 우수토실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와이어에 끼워져 우수토실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선단에는 스프링 선단에 걸리도록 너트가 체결되어 스프링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당겨짐 정도에 따른 게이트의 개방량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KR20-2004-0030036U 2004-10-25 2004-10-25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KR200373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36U KR200373653Y1 (ko) 2004-10-25 2004-10-25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036U KR200373653Y1 (ko) 2004-10-25 2004-10-25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659A Division KR100615675B1 (ko) 2006-01-10 2006-01-10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653Y1 true KR200373653Y1 (ko) 2005-01-26

Family

ID=4944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036U KR200373653Y1 (ko) 2004-10-25 2004-10-25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6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05B1 (ko) 2012-06-29 2012-09-26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우수 토실 유량 제어 장치
KR102419037B1 (ko) *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05B1 (ko) 2012-06-29 2012-09-26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우수 토실 유량 제어 장치
KR102419037B1 (ko) *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588B1 (ko)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CN208363235U (zh) 一种由浮筒与滑轮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KR101877203B1 (ko) 동력 및 무동력 겸용 우수토실 개폐장치
KR20090101703A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119192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108166602A (zh) 自调节优化安全排放污水雨水系统及其使用方法
KR100447049B1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064826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0373653Y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KR100615675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KR100781790B1 (ko)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1132846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89539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208363234U (zh) 一种浮筒闸板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KR101185905B1 (ko) 우수 토실 유량 제어 장치
KR101791502B1 (ko) 차집 및 방류 제어 시스템
CN212336238U (zh) 居民小区的污水截流井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200381745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210013515A (ko)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JP3976605B2 (ja)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流量制御方法
KR102645553B1 (ko) 무누수 하수 유량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