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308A - 한 손을 이용하는 파이프렌치 - Google Patents

한 손을 이용하는 파이프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308A
KR20040017308A KR10-2004-7000659A KR20047000659A KR20040017308A KR 20040017308 A KR20040017308 A KR 20040017308A KR 20047000659 A KR20047000659 A KR 20047000659A KR 20040017308 A KR20040017308 A KR 2004001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jaw
lever
jaw
slide bar
pipe w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엘. 풀
로버트엔. 풀
Original Assignee
어윈 인더스트리얼 툴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윈 인더스트리얼 툴 컴퍼니 filed Critical 어윈 인더스트리얼 툴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4001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3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at least one jaw sliding along a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25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 B25B13/504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with movable or adjustable jaws
    • B25B13/5058Linearly moving or adjustable, e.g. with an additional small tilting or rocking movement

Abstract

파이프렌치가 공개되고, 파이프렌치가 고유하게 사용하기 편리한 제어레버 및 렌치위치의 신속한 조정을 위한 일방향-라쳇트를 가진다. 상기 렌치가 또한 피봇운동하는 상부 조오를 가져서 사용자가 단지 한손을 이용하며 렌치를 조이거나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위에서 공작물을 작업하기 위해 대상물 또는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한 핸드툴로서 렌치가 이용된다.

Description

한 손을 이용하는 파이프렌치{ONE HAND PIPE WRENCH}
일부 렌치들은 조를 이동시키기 위해 트리거(trigger)형태의 기구를 제공하여, 공작물 또는 대상물을 고정하거나 구속한다. 미국특허 제 5,005,449호, 제 5,009,134호 및 제 5,222,420호에 설명된 상기 공구내에서 트리거형태의 기구 또는 고정구가 제공된다. 상기 기구들은 다루기 어렵고 어색하며, 공작물을 조정하기보다는 공작물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렌치들이 조정 및 제어작업에 시간을 소모하기 때문에, 상기 공구들은 한 손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작업을 위해 설계되지 못하고 편리하지도 못하다. 상기 조정작업은 파이프, 파이프너트 또는 다른 회전공작물의 조임작업 또는 풀기작업을 의미하고, 상당한 하중이 상기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특허들의 실시예들은 상기 작업에 부적합하다. 한손작업에 적합하고 렌치의 개구부를 조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불필요한 렌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렌치 및 핸드툴(hand tool)에 관련되고, 특히 파이프렌치 및 클램핑기구에 관련되며, 대상물을 강하게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공구들은 다수의 유니트크기에 대해 전문화되어있지 못하다. 다수의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 및 공작물이 공구의 조(jaw)들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공구들이 조정된다. 일부 파이프렌치들이 1/4" 또는 1/8"의 폭을 가지거나 6"이상이며 상기 크기의 직경을 가진 파이프 또는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공구가 가지는 어려움에 의하면, 전형적으로 조정작업이 시간을 소모하고 조정작업을 위해 두 손을 필요로 한다. 미국특허 제 737,847호에 따르고 파이프렌치와 이용되며 친숙하게 작동하는 너트를 이용하기 위해 한 손은 렌치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은 너트를 작동하여, 개방조오들사이의 거리를 증감시킨다. 렌치의 조오들사이의 개구부를 조정하는 작업은 매우 시간소모적인 작업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실시예의 전면도.
도 3은 실시예를 더욱 가깝게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의 조 및 제동레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미끄럼바(bar) 및 짝을 이루는 제동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동레버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미끄럼바 및 제동레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파이프렌치 실시예의 상부 조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실시예의 선택적 이용예를 도시한 도면.
*부호설명*
10 : 파이프렌치12 : 미끄럼바
14 : 상부 조오22 : 하부 조오
30 : 치형부32 : 제동레버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단지 한 손으로 조정될 수 있는 파이프렌치가 제공된다. 고정부분을 가진 미끄럼바가 상기 파이프렌치에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바위에 장착된 상부 조오가 상기 미끄럼바에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분을 향해 연장구성된 하측부분이 하부 조오에 구성되고, 상기 하부 조오가 미끄럼바위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하부 조오가 상부 조오를 향해 한쪽 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하고 미끄럼바의 고정부분을 향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치가 제동레버를 가지고 상기 제동레버에 의해 사용자는 하부 조오를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조오의 일부분위에 제동레버가 피봇운동하게 장착되고, 제동레버가 미끄럼바와 연결된다. 제동레버가 또한 하부 조오에 대해 스프링편향되고 스프링이 제동레버를 미끄럼바에 연결시킨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렌치를 조정하고 제어하며, 상기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하부 조오를 개폐하여 미끄럼바위에서 하부 조오의 위치를 조정한다. 렌치의 미끄럼바가 또한 연결치형부를 가져서, 치형부 및 제동레버가 라쳇트기구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 핸드툴로서 조정가능한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제동레버를 가진 조정가능한 핸드툴 및 대상물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또한 단지 한 손으로 핸드툴에 의해 대상물을 고정하고, 다음에 상기 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핸드툴의 조오들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핸드툴의 제동레버를 이용하여 간격이 조정되고, 핸드툴의 하부 조오와 동일하게 종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작동단부가 상기 제동레버에 구성되어, 단지 한 손에 의해 공구가 편리하게 고정되고, 필요한 경우, 레버가 가압되며, 엄지손가락으로 한 쪽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하부 조오가 가압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용방법 또는 다른 이용방법이 첨부된 도면들 및 설명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파이프렌치(10)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다. 하부 조오(jaw)(22)와 연결을 위한 일련의 치형부(30) 및 둥근 코너를 가진 미끄럼바(bar)(12)가 상기 파이프렌치(10)에 구성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조의 한쪽 면내에 일련의 치형부가 절삭되어, 하기 제동레버와 조합하여, 라쳇트기구가 구성된다. 단지 사용자가 제동레버를 가압할 때만, 하부 조오가 개방된다. 상기 미끄럼바가 상부조오(14)를 가진 상측부 및 고정수단(16)을 가진 하측부를 가진다. 상부조오(14)가 피봇핀(18)에 의해 미끄럼바와 피봇연결된다. 상부 조오가 상부조오에 부착된 고정면(20)을 가진다. 하부 조오(22)가 하부 조오에 부착된 고정면(26) 또는 엄지손가락배열부분을 가진다. 상기 부분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하부 조오가 용이하게 운동한다. 제동레버(32)에 의해 제어되는 미끄럼바를 따라 하부 조오(22)가 미끄럼운동하고, 미끄럼바(12)위에서 치형부(30)들과 상기 제동레버가 접촉한다. 제동레버(32)는 일반적으로 직각의 형상을 가지고, 한쪽 부분이 미끄럼바(12)와 수직이며, 다른 한쪽의 작동부분은 미끄럼바와 평행하고 고정면을 향해 수직부분으로부터 수직부분으로부터 하부 조오의 대부분의 길이에 대해 연장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동레버의 표면 및 제동레버(32)의 구성영역내에서 하부 조오의 표면이 깔쭈리구조 또는 리지(ridge)구조의 표면(26)을 가진다.
도 2를 참고할 때, 파이프렌치의 실시예에 관한 전면도가 도시되고, 렌치의 고정부분을 향해 제동렌치가 하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까지 충분히 연장구성되는 제동레버가 깔쭈리구조의 부분(26)에 의해 용이하게 제동레버(32)를 작동시키고, 사용자손의 나머지 부분은 고정부분에 유지된다. 따라서 단지 한 손으로 하부 조오를 조정할 수 있다. 제동레버(32)가 미끄럼바(12)에 장착되고, 하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제동레버의 부분이 하부 조오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28)내부로 부분적으로 끼워맞춤된다. 도 3을 참고할 때, 파이프렌치의 실시예에 관한 확대도가 도시된다. 도 3에서, 미끄럼바(13)가 둥근 코너대신에 정사각형 코너를 가진다. 미끄럼바(15)가 고정부분(17)내부로 끼워맞춤되고, 하부 조오(19)를 통하고 정사각형의 개구부 또는 짝을 이루는 특징부를 통해 상부 조오(21)와 짝을 이룬다. 미끄럼바가 제동레버(25)의 정사각형공동(23)내부에 조립된다. 도면을 참고할 때, 상기 렌치가 예리한 코너를 가진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할 때, 조정가능한 렌치의 선택적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4에 도시되고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라쳇트기구 및 미끄럼바위에 치형부가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라쳇트기구는 증분만큼 조오를 이동시킬 수 없고, 일련의 단계 또는 정지부로서 이용되어, 한쪽 방향으로 하부 조오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동레버의 일부분이 상기 정지부내부로 끼워진다.
도 4를 참고할 때, 오직 하부 조오(22)가 도시되고, 제동레버(32) 및 주변환경이 도시된다. 하부 조오의 하측부내에 구성된 공동(28)이 도 4에서 용이하게 확인된다. 일반적으로 미끄럼바에 대해 수직으로 구성된 상측부(34) 및 하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부분(36)을 상기 제동레버(32)가 가지고, 작동레버가 미끄럼바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동레버의 상측부와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측부가 하부 조오의 일부분과 연결되기 위한 포크(38) 및 개구부(40)를 가지고 개구부를 통해 미끄럼바가 통과하며, 개구부의 내측면(42)위에서 미끄럼바와 연결된다. 하부조오의 요홈(46)내에 스프링(44)이 유지되고, 스프링(44)에 의해 제동레버가 상향으로 가압되고 표면(42)이 미끄럼바(12)와 접촉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약 0.15인치 , 9 ga 의 두께를 가진 강판으로부터 상기 제동레버가 스탬핑가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른 두께의 금속 또는 강이 이용될지라도, (약 0.10 내지 0.20인치두께의 )6-12 ga. 의 두께가 이용될 수 있다.
제동레버(32)의 한쪽 단부위에서, 포크(38)가 하부 조오(22)와 접촉하고 하부 조오(22)에 의해 구속된다. 다른 단부에서 스프링(44)이 제동레버(32)에 의해 포착되고 레버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제동레버(32)가 포크(38) 및 하부 조오(22)에 의해 이격단부에서 구속되기 때문에, 제동레버(32)가 오직 상향으로 피봇운동하고, 노치(notch)(40) 및 개구부(42)를 미끄럼바(12)와 접촉시킨다. 스프링(44)이 불구속상태이고 제동레버(32)가 미끄럼바(12)의 치형부(30) 또는 노치와 접촉할 때, 하부 조오(22)가 오직 한쪽 방향 즉 상부 조오와 밀폐되는 방향으로 운동한다.따라서 파이프 또는 대상물위에서 렌치를 조이는 작업을 원하는 사용자는 하부 조오를 밀폐위치로 가압하여 렌치를 조이기 위해, 단지 하부 조오의 리지구조 또는 깔쭈리구조의 표면위에 엄지손가락을 가압할 뿐이다. 단지 엄지손가락이 상기 신속한 조정작업을 위해 필요하다. 상기 레버가 조오를 밀폐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레버가 가압되지 않는 한 제동레버(32)는 미끄럼바(12)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미끄럼바의 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제동레버의 연결부분(42)이 미끄럼바(12)와 연결된다. 미끄럼바의 치형부(30)가 제동레버의 변부(42)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동레버(32)의 연결부가 미끄럼바에 대하여 마찰에 의해 포착되기 때문에, 제동레버가 연결될 때 조오를 밀폐하기 위하여, 제동레버(32)가 단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렌치 및 고정기구가 치형부없이 작동되기 때문에, 치형부가 라쳇트기구에서와 같이 강하고 양호한 고정상태를 형성하지만 엄격하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의하면, 치형부는 약 0.030 인치의 대칭반경을 갖고, 치형부의 골로부터 마루까지 약 0.060 인치의 높이를 가진다. 제동레버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치형부에 의해 제동레버가 밀폐상태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한, 사용자는 자유롭게 치형부의 기하학적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브(hob) 또는 미끄럼바를 브로우칭가공하는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치형부가 도면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시간경과에 따라 양호한 마모를 위하여, 양쪽의 미끄럼바 및 제동레버의 짝을 이루는 표면들이 케이스(case)경화된 강으로 제조된다.
도 6을 참고할 때, 치형부(30) 및 미끄럼바(12)에 대한 제동레버(32)의 작동을 도시한다. 공구의 정상적인 정치위치에서, 제동레버의 레버부분(36)이 가압되지 않고, 스프링(44)에 의해 상기 상태로 유지되며, 레버가 미끄럼바(12)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압되고, 상측부분(34)의 연결부분(42)이 미끄럼바(12)의 치형부와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동레버(32)가 단부(42)에서 구속되고, 제동레버가 하부 조오(22)의 슬롯(13)내에 유지된다. 하부 조오(22)의 슬롯(13)에 구성된 하부 및 상부표면들에 의해 제동레버(32)의 피봇운동이 구속된다. 사용자가 화살표(A)방향으로 레버(36)를 가압할 때, 레버가 피봇운동하고, 이격단부(38)에 구속된다. 따라서 슬롯(13)내에서 단부(38)의 교차부주위에서 레버가 피봇운동하고, 연결부분(42)이 화살표(B)방향으로 치형부(30)로부터 떨어져 아래로 진동운동한다. 도 5의 피봇운동방향의 화살표(B)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미끄럼바(12) 및 치형부(30)로부터 제동레버를 제거하면, 사용자는 렌치의 조오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를 구속해제할 때, 스프링은 레버 및 연결부분을 가압하여 정지위치로 귀환시킨다. 다양한 부품들의 운동방향이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부터 전환된다.
사용자가 렌치의 조오를 개방하려하면, 사용자는 미끄럼바로부터 제동레버를 분리시킨다. 사용자가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제동레버를 가압하여 분리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을 위하여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고 동시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부 조오를 상대적으로 더욱 개방되거나 밀폐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피봇운동할 수 있는 상부조오가 상기 레버 및 미끄럼바를 통해 하부 조오의 개구부를 조정하지 않고도 고정위치로부터 구속해제될 수 있다. 고정표면(16)에 의해 렌치를 고정하도록 사용자는 동일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렌치가 정확한 조정위치를 가질 때, 사용자가 제동레버를 구속해제하고, 따라서 미끄럼바를 다시 한번 연결한다. 하부 조오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파이프 또는 대상물과 같이 사용자가 렌치를 고정시키는 것에 렌치가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작동이 공개된 실시예들에 의해 매우 신속하게 수행된다.
도 7에 의하면, 조정가능한 렌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미끄럼바(12)의 치형부가 매끄러운 표면으로 대체된다.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되는 제동레버의 연결부분(42)이 계속해서 미끄럼바와 연결된다. 연결부분 및 미끄럼바사이의 마찰에 의해 제동레버가 제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공개된 치형부들이 렌치에 구성된 조오의 개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고할 때, 조립체핀(18)주위에서 피봇운동가능한 상부 조오(14)를 이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미끄럼바(12) 및 상부조오(14)사이에 스프링(50)이 포착되어, 상부조오가 조오의 상측단부에서 미끄럼바로부터 떨어져 피봇운동할 수 있고, 단부가 피봇운동점(18)을 가진다. 스프링(50)에 의해 화살표방향(C)으로 상부 조어(14)를 가압된다. 상기 방향으로 상부 조오(14) 및 고정표면(20)이 다소 하부 조오(22) 및 고정표면(24)과 더욱 근접하게 위치한다. 파이프 또는 파이프너트와 같은 대상물주위에서 사용자가 상부조오를 피봇운동시키면 상기 조오들이 운동하여 경미하게 추가로 이격된다. 대상물이 구속해제될 때, 스프링 또는 와셔에 의해 상부 조오가 화살표방향(C)과 반대로 운동하여 정지위치로 귀환한다. 렌치의 실시예들의 유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오를 더욱 개방시킬 수 있는 상기 상부조오가 이용될 수 있다.
우선 렌치를 파이프주위에서 조이고, 다음에 예를 들어, 두 개의 파이프들사이의 조인트와 같은 파이프를 조이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손에 의해 파이프렌치를 파이프주위에 배열하고 상기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제동레버를 분리시킨다. 상기 엄지손가락을 이용하면, 하부조오의 깔쭈리구조 또는 거칠게 가공된 표면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조오를 개폐할수 있고, 마지막으로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오를 밀폐시킨다. 미끄럼바내에서 피봇운동하는 스프링을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목표대상물을 더욱 강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부조오를 피봇운동시키며, 렌치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 또는 팔을 이용할 수 있다. 공개된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상기 모든 운동이 매우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렌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들의 조인트 또는 파이프들의 조임작업 및 파이프렌치에 관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파이프렌치이외의 용도를 위해 상기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징들을 가진 핸드툴에 의해 공작물이 표면에 대해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미끄럼바, 제동레버, 상부조오, 하부 조오 및 제동레버를 가진 해드툴이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크램프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할 때, 공작물을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핸드 툴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공작물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여러 개의 크램프(64)들에 의해 공작물(60,62)들이 서로 고정된다.
공구를 이용할 때 더욱 우수한 효율을 위하여 다양한 표면 및 표면구조들이 실시예에서 이용된다. 미끄럼바가 매우 매끄러운 상태 16 마이크로인치 AA 또는 그 이상으로 연마되거나 폴리싱가공된다. 상기 가공에 의해 하부 조오가 미끄럼바의 상하로 매끄럽게 미끄럼운동한다. 물론 하부 조오위에서 짝을 이루는 표면이 동일한 정도로 연마되거나 폴리싱가공되어야 한다. 크램프의 고정면이 다소 거칠게 가공되어, 고정면이 용이하게 미끄짐없이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고정표면이 적어도 250 마치크로 인치의 거칠기 또는 더욱 거칠게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렌치 또는 핸드툴의 상부 및 하부 조오들이 고정기능의 인서트(insert)들로 조립되고, 상기 인서트들이 0.050인치, 0.060인치 또는 그 이상의 수치만큼 분리된 리지(ridge) 및 골을 가져서, 파이프 또는 공작물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선호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고 도시될 지라도, 상기 실시예들이외에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기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고정기구가 고정, 및 조정기능을 위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공구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적용예들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7)

  1. 고정부분을 가진 미끄럼바,
    미끄럼바에 장착된 상부 조오,
    미끄럼바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조오를 가지고, 상기 하부 조오가 고정부분을 향해 연장구성되는 하측부분을 가지며,
    상기 하부 조오의 일부분위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 조오에 대해 스프링편향되는 제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바에 대해 상기 하부 조오를 이동시키고 상기 레버를 작동시켜서 사용자가 미끄럼바위에서 하부 조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2. 제 1항에 있어서, 레버가 연결될 때 하부 조오가 상부조오를 향해 자유롭게 이동하고, 레버가 분리될 때 상부 조오를 향하거나 상부조오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3.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부 조오 및 미끄럼바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 구성되고, 상부 조오가 피봇운동하며 미끄럼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4.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조오가 고정부분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구성될 때, 레버의 일부분이 종방향 및 고정부분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5. 제 1항에 있어서, 레버가 미끄럼바와 평행하게 연장구성될 때, 레버가 각을 가진 작동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6.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운동을 용이하도록 엄지손가락의 배열부분이 상기 하부 조오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7. 제 1항에 있어서, 미끄럼바주위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개구부가 레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8.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미끄럼바가 라쳇트기구를 가지고, 상기 라쳇트기구가 미끄럼바의 표면위에서 치형부 및 제동레버의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9. 제 8항에 있어서, 라쳇트기구가 상부 조오를 향해 상기 하부 조오를 증분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부 조오 및 하부조오위에 고정표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조오가 미끄럼바에 피봇운동하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12. 고정부분을 가진 미끄럼바,
    미끄럼바에 장착된 상부 조오,
    미끄럼바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조오를 가지고, 상기 하부 조오가 고정부분을 향해 연장구성되는 제 1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분을 향해 반대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하부 조오의 상기 부분들중 한 부분위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 조오의 제 2 부분에 대해 스프링편향되는 제동레버를 가지며,
    엄지손가락으로 하부 조오위치를 재설정하여 상기 하부 조오를 사용자가 미끄럼바위에서 하부 조오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13. 제 12항에 있어서, 레버가 연결될 때 하부 조오가 상부조오를 향해 이동하고 레버가 분리될 때 상부조오로 이동하고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핸드클램프.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부조오가 미끄럼바에 피봇운동하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부 조오 및 미끄럼바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16. 제 12항에 있어서, 하부 조오가 고정부분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구성될 때, 레버의 일부분이 종방향 및 고정부분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17. 제 12항에 있어서, 미끄럼바주위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개구부가 레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18. 제 12항에 있어서, 미끄럼바가 추가로 라쳇트기구를 가지고, 상기 라쳇트기구가 미끄럼바의 표면위에서 치형부 및 제동레버의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19. 제 18항에 있어서, 라쳇트기구가 상부 조오를 향해 상기 하부 조오를 증분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20. 제 12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부 조오 및 하부조오위에 고정표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핸드클램프.
  21. 대상물 및 핸드툴을 제공하고,
    한 손으로 핸드툴을 고정하며,
    핸드툴의 하부 조오를 이용하여 상기 손으로 핸드툴의 조오들사이에 간격을 조정하고,
    대상물을 고정하며,
    제동레버를 가진 조정가능한 핸드툴을 이용하여 한손으로 대상물을 고정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추가로 핸드툴의 제동레버를 분리시키고, 제동레버가 종방향으로 핸드툴의 하부 조오와 동일길이로 연장구성되고, 핸드툴의 제동레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추가로 대상물을 조여서 고정시키고, 대상물을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피봇운동하며 장착된 상부조오 및 하부 조오를 가압하며, 손에 의해 대상물주위에서 핸드툴이 부분적으로 회전되고 상부조오를 향해 하부 조오가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고정부분을 가진 미끄럼바,
    미끄럼바에 장착된 상부 조오,
    미끄럼바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조오를 가지고, 상기 하부 조오가 상부조오를 향해 연장구성되는 제 1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분을 향해 반대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제 2 부분을 가지고,
    상기 하부 조오위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 조오의 제 2 부분위에 스프링편향되는 제동레버를 가지며,
    제동레버 및 미끄럼바가 바연결기구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조오들을 개방하며, 미끄럼바로부터 제동레버를 분리시키고 상부 조오로부터 하부 조오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으로 하부 조오를 상부 조오를 향해 가압하여 렌치의 조오들이 사용자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바연결기구가 추가로 미끄럼바의 표면위에 치형부를 가지고, 제동레버가 치형부와 연결되며, 조오들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부 조오 및 미끄럼바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파이프렌치.
KR10-2004-7000659A 2001-07-23 2002-06-10 한 손을 이용하는 파이프렌치 KR20040017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11,242 US6938525B2 (en) 2001-07-23 2001-07-23 One hand pipe wrench
US09/911,242 2001-07-23
PCT/US2002/018191 WO2003009968A2 (en) 2001-07-23 2002-06-10 One hand pipe wre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308A true KR20040017308A (ko) 2004-02-26

Family

ID=2542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659A KR20040017308A (ko) 2001-07-23 2002-06-10 한 손을 이용하는 파이프렌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38525B2 (ko)
JP (1) JP2004535943A (ko)
KR (1) KR20040017308A (ko)
CN (1) CN1535198A (ko)
AU (1) AU2002314990A1 (ko)
BR (1) BR0211356B1 (ko)
CA (1) CA2452499C (ko)
DE (1) DE10297071B4 (ko)
WO (1) WO200300996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033B1 (ko) * 2009-12-09 2010-07-20 주식회사 월드툴 퀵 조정형 파이프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4470A2 (en) * 2002-07-09 2005-06-01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Bar clamp with side-activated braking lever
WO2007066342A2 (en) * 2005-12-10 2007-06-14 Ran Siman-Tov Transmission system particularly useful a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090193940A1 (en) * 2008-02-04 2009-08-06 Shao-Fan Kuo Jaw pipe wrench with resilient member
US8353229B1 (en) 2010-04-09 2013-01-15 Muhareb Imad I Dual-head aligning wrench
CN102328288B (zh) * 2011-09-01 2013-04-17 泰安科大洛赛尔传感技术有限公司 可显示扭矩的自卡式圆管扳手及其操作方法
US11235443B2 (en) 2013-03-26 2022-02-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CN203579497U (zh) * 2013-10-30 2014-05-07 上海宝途仕工业科技有限公司 管道扳手
US10315291B2 (en) 2014-07-11 2019-06-11 Hangzhou Great Star Tools Co., Ltd. Wrench
CN105328607B (zh) * 2014-07-11 2019-03-05 杭州巨星工具有限公司 一种扳手
WO2016033134A1 (en) * 2014-08-27 2016-03-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TWI576215B (zh) * 2016-12-09 2017-04-01 Pipe wrench
US10994405B2 (en) 2017-05-11 2021-05-0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CN112188946A (zh) 2018-03-30 2021-01-0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管扳手
US20210402575A1 (en) * 2020-06-27 2021-12-30 JBH Innovations, Inc. Quick-adjust pipe wrench
CN116234662A (zh) 2020-08-04 2023-06-06 米沃奇电动工具公司 可延伸扳手
TWI758087B (zh) * 2021-02-04 2022-03-11 鴻安國際興業有限公司 可快速調整開口之扳手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795A (en) * 1896-01-07 Frederic pemberton thompson
US218195A (en) * 1879-08-05 Improvement in pipe-wrenches
US465272A (en) * 1891-12-15 Wrench
US599334A (en) * 1898-02-22 Wrench
US589046A (en) * 1897-08-31 Wrench
US737847A (en) * 1903-04-11 1903-09-01 George Walker Johnson Pipe-wrench.
US753837A (en) * 1903-09-21 1904-03-08 Luther C Barcus Monkey-wrench.
US766145A (en) * 1904-05-16 1904-07-26 John Crockett Wrench.
US836303A (en) * 1906-04-26 1906-11-20 Carl V J Christensen Automatic-locking collar.
US836437A (en) * 1906-06-30 1906-11-20 Samuel B Cochran Wrench.
US911048A (en) * 1908-04-07 1909-02-02 Jacob King Wrench.
US1004903A (en) * 1911-06-17 1911-10-03 Frank B Rebagliati Wrench.
US1237122A (en) * 1917-06-01 1917-08-14 John Helmer Suomy Wrench.
US1255206A (en) * 1917-06-18 1918-02-05 Andrew J Moore Wrench.
US1342643A (en) * 1918-09-18 1920-06-08 Frank M Murray Wrench
US1365784A (en) * 1920-01-26 1921-01-18 Husson Arthur Clarence Pipe-wrench
US1392391A (en) * 1920-10-02 1921-10-04 Frank E Bartz Quick-adjustable monkey-wrench
US1420058A (en) * 1921-06-11 1922-06-20 Howard F Robins Pipe wrench
US1412821A (en) * 1921-10-01 1922-04-18 Anderson Andrew Hugo Wrench
US1529131A (en) * 1924-01-12 1925-03-10 Jenkins Ethel Birt Wrench
US2051969A (en) * 1935-01-16 1936-08-25 Louis W Shastock Automatic tube adjuster for telescoping tubes
US2391143A (en) * 1943-10-02 1945-12-18 Fed Trading Co Wrench
US2543824A (en) * 1946-09-14 1951-03-06 Benjamin M Beesley Slidable inner jaw wrench having a pivoted rack catch
US2459882A (en) * 1947-02-17 1949-01-25 Johnson Rollie Swinging jaw adjustable wrench
US2574227A (en) * 1948-04-28 1951-11-06 Sarvie Walter Shank grip slidable jaw wrench
US2849204A (en) * 1950-07-21 1958-08-26 Bretford Mfg Inc Locking means for a stand
US2689496A (en) * 1953-05-25 1954-09-21 Jr Edward M Chappell Jaw-locking mechanism for pipe wrenches
GB1457414A (en) 1973-04-18 1976-12-01 Neil Holdings Ltd James Adjustable spanners
GB1472278A (en) 1975-05-13 1977-05-04 Stebbings L Vices and hand operated clamping tools
FR2477457A1 (fr) 1980-03-06 1981-09-11 Cornely Pierre Cle de serrage a machoire mobile avec blocage en position de la machoire mobile par coincement
US4300415A (en) * 1980-03-20 1981-11-17 Tauno Saila Adjustable toggle locking closed-end wrench
US4488461A (en) * 1981-11-20 1984-12-18 Encor, Limited Adjustable wrench
US4926722A (en) * 1988-08-19 1990-05-22 Petersen Manufacturing Co., Inc. Quick-action bar clamp
US5170682A (en) * 1988-08-19 1992-12-15 Petersen Manufacturing Co., Inc. Quick action bar clamp
US5222420A (en) * 1988-08-19 1993-06-29 Petersen Manufacturing Co., Inc. Quick action bar clamp
US4833949A (en) * 1988-08-29 1989-05-30 Trajce Piperkovski Adjustable open-end wrench
US5005449A (en) * 1990-02-14 1991-04-09 Peterson Manufacturing Co., Inc. Hand tool or improved bar c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033B1 (ko) * 2009-12-09 2010-07-20 주식회사 월드툴 퀵 조정형 파이프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2499A1 (en) 2003-02-06
DE10297071T5 (de) 2004-11-04
BR0211356B1 (pt) 2011-07-26
WO2003009968A3 (en) 2003-11-27
CN1535198A (zh) 2004-10-06
US20030015068A1 (en) 2003-01-23
CA2452499C (en) 2009-01-20
AU2002314990A1 (en) 2003-02-17
WO2003009968A2 (en) 2003-02-06
US6938525B2 (en) 2005-09-06
BR0211356A (pt) 2004-09-21
JP2004535943A (ja) 2004-12-02
DE10297071B4 (de)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7308A (ko) 한 손을 이용하는 파이프렌치
CA2085397C (en) Adjustable clamp
US8056451B2 (en) Locking pliers
JP4083713B2 (ja) 改良に係るクランプ装置
US6892609B2 (en) Pliers with movable joint
US7389714B1 (en) Dual action locking pliers
US6708588B2 (en) Self adjusting mechanism for locking plier, wrench, or other tool
US5941142A (en) Ratcheting adjustable jaw wrench and method of use
US6131491A (en) Self-locking chuck key
US20080073822A1 (en) Angle corner clamp
US6026716A (en) Supergrip plier-wrench tool
JPH0768472A (ja) 手工具または改良バークランプ
US20080276767A1 (en) Pliers that Can Operate Workpieces of Two Different Types
US20110001283A1 (en) Quick release bench vise system
US20140265085A1 (en) Adjustable toggle action quick release locking bar clamp
KR20040104681A (ko) 조정가능한 래칫 렌치
US5016503A (en) Adjustable open end wrench
US5499800A (en) Adjustable toggle action quick release locking bar clamp
US20020121165A1 (en) Vise lock tool
US7174813B2 (en) Adjustable wrench
US6145415A (en) Adjustable pliers
GB2411613A (en) Pipe wrench with pivoting jaws
US5896790A (en) Adjustable wrench
KR102038018B1 (ko) 다기능 체결 공구
US5992273A (en) Adjustable locking pl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