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596A -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596A
KR20040015596A KR1020020047879A KR20020047879A KR20040015596A KR 20040015596 A KR20040015596 A KR 20040015596A KR 1020020047879 A KR1020020047879 A KR 1020020047879A KR 20020047879 A KR20020047879 A KR 20020047879A KR 20040015596 A KR20040015596 A KR 20040015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correction
value
differe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015B1 (ko
Inventor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015B1/ko
Priority to US10/639,923 priority patent/US7184608B2/en
Priority to TW092122122A priority patent/TWI323121B/zh
Priority to JP2003293245A priority patent/JP4544841B2/ja
Publication of KR2004001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인접한 화상 데이터간의 차이값을 토대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켜, 두 화상 데이터간의 차이가 보다 강조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화상을 표시함에 있어 대상과 배경이 보다 선명하게 구분되어 표시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edge of digital image data, and digi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을 강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경량, 박형화에 따라 경량화, 박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 CRT) 대신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표시 장치는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나 DVD( digital video disk ) 등의 화상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때, 인물 등 윤곽을 가지는 대상 데이터가 배경 데이터와의 차이가 크지 않아서 대상의 경계면이 배경에 포함되어 표시되어, 화면이 선명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특정 대상과 배경 사이의 경계가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대상의 윤곽을 강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윤곽을 강조하는 방법으로는 배경의 경계선상의 화상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대상의 경계선상의 화상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대상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와 배경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식별해야 한다. 이러한 식별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단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TV 등의 화상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동화상에서 배경과 대상을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배경과 대상이 선명하게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과 대상을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대상의 윤곽이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장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장조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a는 윤곽이 강조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의 파형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화상 데이터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장조 장치를 통하여 처리한 경우의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장조 장치를 이용하여 R, G, B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장조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의 구조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별 화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제1 및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지스터부; 상기 제1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2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연산부; 상기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로 나누어서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보정부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레지스터부는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의하여 보정된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제3 및 제4 레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윤곽 강조 방법은, 외부로터 인가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a) 인가되는 화소별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터 중, 서로 인접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로 나누어서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차이값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표시 장치는, 다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이 각각 행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에 각각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 및 화소 전극을 가지는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 상기 게이트선으로 게이트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상기 데이터선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들을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표시 장치는,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들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가능하도록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해당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각각의 디지털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R, G, B 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 차이를 토대로 윤곽 보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별 화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제1 및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지스터부; 상기 제1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2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연산부; 상기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로 나누어서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보정부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디지털 표시 장치는, 상기 보정 상수를 변경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정 상수를 변경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이하, 윤곽 강조 장치라고 명명함)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레지스터부(11), 레지스터부(1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감산부(12), 제산부(divider, 13), 및 데이터 보정부(14)를 포함한다.
레지스터부(11)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화소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및 제2 레지스터(111,112)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보정된 화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제1-1 및 제2-1 레지스터(113,114)를 더 포함한다.
감산부(12)는 제1 레지스터(11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와 제2 레지스터(11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D12)을 산출하며, 제산부(13)는 감산부(12)에 의하여 산출된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C)로 나누어서 보정값(AD12C)을 산출한다.
데이터 보정부(14)는 이와 같이 산출되는 차이값(D12)을 설정값과 비교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보정값(AD12C)을 토대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는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켜, 두 화상 데이터간의 차이가 보다 강조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N번째 화상 데이터보다 N+1번째 화상 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으로 큰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N번째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고 N+1번째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N번째 화상 데이터보다 N+1번째 화상 데이터가 설정값 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N번째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N+1번째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정에 따라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가 차이가 보다 강조되어 서로 다른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대상의 윤곽이 보다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윤곽 강조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 2를 토대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화상 공급원(HDTV, DVD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화소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며, 각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윤곽 강조 장치의 제1 및 제2 레지스터(112)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첫번째 화소에 대한 화상 데이터(P1)는 먼저 제2 및 제2-1 레지스터(112,114)에 저장된 다음에, 다시 제1 레지스터(112) 및 제1-1 레지스터(114)로 각각 시프트된다(S100∼S110). 그리고 이후에 입력되는 두 번째 화소에 대한 화상 데이터(P2)는 제2 레지스터(112)에 저장된다(S120). 도 2에 도시된 P(N)은 N번째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R1, R2, R1' 및 R2'는 각각 제1, 제2, 제1-1, 및 제2-1 레지스터 및 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화상 공급원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가 레지스터부(11)에 입력되면, 먼저, 첫 번째 연산부인 감산부(12)가 제1 레지스터(111)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P1)와 제2 레지스터(112)에 저장된 제2 화상 데이터(P2)의 차이값(D12)을 산출한다. 산출된 제1 화상 데이터(P1)와 제2 화상 데이터(P2)의 차이값(D12)은 제산부(13)로 제공된다(S130∼S140).
두 번째 연산부인 제산부(13)는 감산부(12)로부터 제공되는 차이값(D12)를 설정된 보정 상수(C)로 나누어서 화상 데이터 보정을 위한 보정값(AD12C)을 산출한다(S150).
이와 같이 연산 처리되어 얻어진 차이값(D12)과 보정값(AD12C)은 데이터 보정부(14)로 입력되며, 데이터 보정부(14)는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D12)을 토대로 두 화상 데이터간의 변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정값(AD12C)을 토대로 두 화상 데이터를 보정한다(S160).
구체적으로, 데이터 보정부(14)는 제1 화상 데이터(P1)와 제2 화상 데이터(P2)의 차이값(D12)이 설정값(여기서는 "0") 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화상 데이터가감소되는 상태(falling edge)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화상 데이터(P1)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2 화상 데이터(P2)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즉, 제1 화상 데이터(P1)에 보정값(AD12C)을 가산하여 보정된 제1 화상 데이터(P1')를 산출하고, 제2 화상 데이터(P2)에서 보정값(AD12C)을 감산하여 보정된 제2 화상 데이터(P2')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정된 제1 화상 및 제2 화상 데이터(P1', P2')를 각각 제1-1 레지스터(113) 및 제2-1 레지스터(114)에 저장한다(S170).
한편, 데이터 보정부(14)는 제1 화상 데이터(P1)와 제2 화상 데이터(P2)의 차이값(D12)이 설정값("0") 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화상 데이터가 증가되는 상태(rising edge)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화상 데이터(P1)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2 화상 데이터(P2)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즉, 제1 화상 데이터(P1)에서 보정값(AD12C)을 감산하여 보정된 제1 화상 데이터(P1')를 산출하고, 제2 화상 데이터(P2)에 보정값(AD12C)을 가산하여 보정된 제2 화상 데이터(P2')를 산출한 다음에, 보정된 제1 화상 및 제2 화상 데이터(P1', P2')를 각각 제1-1 레지스터(113) 및 제2-1 레지스터(114)에 저장한다(S180).
다음에, 데이터 보정부(14)는 제1-1 레지스터(113)에 저장된 보정 제1 화상 데이터(P1')를 제1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며(S190), 그리고, 1라인에 해당하는 모든 화소에 대한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0). 예를 들어 XGA 급 해상도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총 화소수가 1024 이므로, 현재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1024번째 화소의 화상 데이터보다 작아서 1라인에 해당하는 모든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10)로 복귀하여 제2 레지스터(112)에 저장되어 있던 보정되지 않은 원래의 제2 화상 데이터(P2)는 제1 레지스터(111)로 시프트시키고, 제2-1 레지스터(113)에 저장된 보정된 제2 화상 데이터(P2')는 제1-1 레지스터(113)로 시프트시킨다. 그리고 다음 화소에 대한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위에 기술된 단계(S120∼S200)를 반복 수행하여, 제1 레지스터(111)에 저장된 데이터와 제2 레지스터(112)에 저장된 데이터 즉, 이전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현재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토대로 윤곽 강조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S200)에서, 예를 들어 현재 화상 데이터가 1024번째 화소의 화상 데이터 이상인 경우에는 1라인에 해당하는 모든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00)으로 복귀하여 다음 라인에 해당하는 모든 화소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윤곽 강조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제1 화상 데이터(P1)와 제2 화상 데이터(P2)의 차이값(D12)이 설정값("0")과 동일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지 않고, 제1 레지스터(111)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P1)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레지스터(111)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들은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부에 의하여 표시 가능하게 처리된 다음에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윤곽 보정에 따라, 두 화상 데이터의 보정치가 항상 +, -가 되어, 보정치의 합이 "0"이므로, 소정의 거리 이상에서 디지털 화상 데이터 표시 장치를 통하여 화상을 관찰할 때, 절대 휘도량은 원래의 화상 데이터와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화상 표시가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3c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과정에 의하여 처리되는 화상 데이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화상 데이터는 윤곽이 강조되지 않은 원래 화상 데이터이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는 인접한 화소간의 계조 즉, 데이터 차이가 적어서 경계가 불확실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배경과 대상의 구분이 불확실하여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도 3a의 화상 데이터를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처리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이 강조된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위의 윤곽 강조 처리에 따라 도 3b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상 데이터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계면(rising edge 및 falling edge)에서의 화상 데이터간의 계조 차이가 증가됨으로써, 대상과 배경의 경계면이 강조되어 대상의 윤곽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위의 윤곽 보정 과정에서 보정 상수(C)를 너무 작게 설정하면 윤곽 보정이 심해져서 오히려 화질이 거칠어진다. 그리고 보정 상수(C)를 너무 크게 설정하면 윤곽 보정 효과가 떨어진다. 예를 들어 8비트 데이터 기준으로 최대 255, 최소 0의 범위를 넘기지 않도록 윤곽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정 상수(C)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보정값(AD12C)을 조정해야 윤곽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위의 윤곽 보정 장치에서 보정 상수(C)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보정 상수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파형도는, 보정 상수(C)를 '2"로 설정한 경우에 해당되며, 도 3c에는 보정 상수(C)의 값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화상 데이터의 윤곽 보정 변화를 알 수 있도록, 보정 상수(C) 변화에 따른 화상 데이터 변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변화 상태에 따라 그 변화량이 보다 강조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화상 데이터간의 표시가 선명하게 이루어져서 특히, 대상과 배경이 분리되어 보다 뚜렷하게 표시된다.
한편, 이러한 윤곽 강조 장치는 화상 표시의 기본인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별로 각각 설치되어, 인가되는 적색 화상 데이터, 녹색 화상 데이터 및 청색 화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각각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 데이터별로 윤곽 강조 장치를 이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는 아날로그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과정 이후의디지털 화상 데이터 처리 유닛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디지털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가 사용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이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표시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00), 데이터 구동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및 패널(400)을 포함하며, 타이밍 제어부(1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Edge Enhancement Block:EEB)가 포함된다. 이외에도 윤곽 보정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보정 상수 입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300,200)는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에 해당되고, 패널(400)은 화상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부나 화상 표시부는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디지탈 표시 장치에서 화상 처리 및 화상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디지탈 표시 장치에서의 화상 처리 및 표시 기능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패널(400)은 액정 패널로서, 다수의 데이터선, 데이터선과 직교하는 다수의 게이트선, 데이터선과 게이트선의 직교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는 소스 전극이 데이터선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이 게이트선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보기: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은 화상 공급원(HDTV 나 DVD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RGB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100)의 윤곽 강조 장치(EEB)는 위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RGB 화상 데이터별로 인접한 화상 데이터간의 차이값을 토대로 윤곽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200)로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타이밍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노이즈가 제거된 RGB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내의 시프트 레지스터내에 저장하였다가 타이밍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예를 들어 LOAD 신호)가 오면 계조 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중 각각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압을 선택하여 패널(400)내의 데이터선으로 전달한다. 이 때, 게이트 구동부(300)는 타이밍 제어부(100)에서 출력하는 신호(예를 들어 CPV 신호 등)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선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그 결과, 데이터선을 통하여 패널(400)에 형성된 각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이 화소 전극에 충전되고,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의 전위차에 따라 액정의 배향 상태가 달라짐으로써, 빛의 투과량이 달라져서 원하는 화상이 표시되며, 특히, 대상과 배경이 선명하게 분리되어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가 실제로 액정 패널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면서 윤곽 보정 정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보정 상수 입력부(5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윤곽 보정 정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타이밍 제어부(100)는 입력부(500)를 통하여 설정된 윤곽 보정 정도에 따라 보정상수(C)를 변경하여 윤곽 보정 장치가(EEB)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보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의 각 구성 요소(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 계조 전압 발생부, 타이밍 제어부 등)의 기능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노이즈가 실려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보정에 의하여 노이즈가 증폭될 수 있으므로, 윤곽 보정하기 전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곽 강조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PDP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배경과 대상이 선명하게 구분되어 표시된다.
또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배경과 대상을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대상의 윤곽이 강조되어 표시됨으로써, 윤곽 강조를 위한 처리 시간이 감소되며, 또한, 별도의 식별 수단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비용이 감소된다.
그에 따라 디지털 표시 장치의 화질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별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제1 및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지스터부;
    상기 제1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2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연산부;
    상기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로 나누어서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정부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되도록 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3. 상기 레지스터부는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의하여 보정된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제3 및 제4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4. 외부로터 인가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을 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가되는 화소별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터 중, 서로 인접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로 나누어서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차이값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방법.
  5. 다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이 각각 행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에 각각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 및 화소 전극을 가지는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
    상기 게이트선으로 게이트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상기 데이터선으로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들을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6.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상 데이터는 증가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들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가능하도록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해당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7. 제5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 G, B 화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 차이를 토대로 윤곽 보정을 수행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8. 제5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화소별 화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레지스터부;
    상기 제1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2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1 연산부;
    상기 차이값을 설정된 보정 상수로 나누어서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정부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보정값을 토대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차이가 증가되도록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각 화소별 화상 데이터가 제1 및 보정 상수를 변경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보정 상수를 변경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11. 제5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인접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를 화소 단위로 레지스터에 저장한 다음에, 레지스터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밍 제어부로서 화소간의 화상 데이터 차이를 토대로 윤곽 보정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표시 장치.
KR1020020047879A 2002-08-13 2002-08-13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KR10087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79A KR100870015B1 (ko) 2002-08-13 2002-08-13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US10/639,923 US7184608B2 (en) 2002-08-13 2003-08-12 Apparatus and method for edge enhancement of digital image data and digital display device including edge enhancer
TW092122122A TWI323121B (en) 2002-08-13 2003-08-12 Apparatus and method for edge enhancement of digital image data and digital display device including edge enhancer
JP2003293245A JP4544841B2 (ja) 2002-08-13 2003-08-13 デジタル画像データの輪郭強調装置及びその方法、これを利用したデジタル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79A KR100870015B1 (ko) 2002-08-13 2002-08-13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96A true KR20040015596A (ko) 2004-02-19
KR100870015B1 KR100870015B1 (ko) 2008-11-21

Family

ID=3171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879A KR100870015B1 (ko) 2002-08-13 2002-08-13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84608B2 (ko)
JP (1) JP4544841B2 (ko)
KR (1) KR100870015B1 (ko)
TW (1) TWI323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4603B (en) 2004-10-22 2008-03-11 Himax Tech Ltd Method for luminance transit improvement
JP2008537453A (ja) * 2005-04-20 2008-09-11 メディアポッド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フィルム又は他の撮像媒体を模擬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4877707B2 (ja) * 2005-05-25 2012-02-1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2007147790A (ja) * 2005-11-25 2007-06-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212158B1 (ko) * 2006-02-27 2012-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TWI326189B (en) * 2006-05-19 2010-06-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cross-color in a video display device
KR20090058694A (ko) * 2007-12-05 200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TWI362629B (en) * 2008-06-26 2012-04-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Image process method and apparatus
JP5448981B2 (ja) * 2009-04-08 2014-03-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8285069B2 (en) * 2010-03-30 2012-10-09 Chunghwa Picture Tubes,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6667095B2 (ja) * 2015-06-01 2020-03-18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高照度部‐数値部間非表示桁付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630B1 (ko) * 1990-09-28 1992-10-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평윤곽 보상회로
JPH04288782A (ja) * 1991-03-18 1992-10-13 Victor Co Of Japan Ltd 画質改善装置
JPH0522632A (ja) * 1991-07-10 1993-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輪郭補正回路
JP3104923B2 (ja) * 1992-02-04 2000-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側駆動回路
JPH05292523A (ja) * 1992-04-13 1993-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輪郭補正装置
KR0176493B1 (ko) * 1994-11-15 1999-05-01 김광호 디지탈 화상의 윤곽 보정 회로
KR0168007B1 (ko) * 1995-07-19 1999-03-20 김광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윤곽 보정 회로
US5835238A (en) * 1996-06-27 1998-11-10 Xerox Corporation Phantom level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JPH11150659A (ja) * 1997-11-18 1999-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方法
KR100269389B1 (ko) * 1998-05-15 2000-10-16 구자홍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JP2000032299A (ja) * 1998-07-08 2000-01-28 Sony Corp 映像信号輪郭補正回路
JP3576912B2 (ja) * 1999-02-24 2004-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輪郭強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743235B2 (ja) * 1999-10-30 2006-02-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輪郭強調方法及び回路
US6608700B1 (en) * 1999-11-24 2003-08-19 Xerox Corporation Removal of error diffusion artifacts with alternating distribution weights
JP2002218493A (ja) * 2001-01-18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輪郭補正回路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80787A (ja) 2004-03-11
US7184608B2 (en) 2007-02-27
KR100870015B1 (ko) 2008-11-21
TW200404455A (en) 2004-03-16
US20040032991A1 (en) 2004-02-19
TWI323121B (en) 2010-04-01
JP4544841B2 (ja)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86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49782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79989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表示方法
JP3792246B2 (ja) クロストーク解消回路、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073949B2 (ja) 表示装置
KR10085951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TWI425486B (zh) 實施響應時間補償的裝置及方法
US20030151565A1 (en) Driving method and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US20080068293A1 (en) Display Uniformity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JP2001117074A (ja) 液晶表示装置
US20080068404A1 (en) Frame Rate Controller Method and System
JP200753826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液晶テレビ及び液晶モニタ
WO2006098194A1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表示装置の駆動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20100059704A (ko) 보정치 산출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0870015B1 (ko)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US20080068396A1 (en) Gamma Uniformity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JP4631163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CN113380209B (zh)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100958324B1 (ko)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백라이트 휘도 조절 기능을가지는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0827733A (zh) 用于显示面板的显示方法与显示设备
US20050088373A1 (en) Gray scale expression method in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CN113808550A (zh) 可应用于在显示模块中进行亮度增强的设备
KR101519913B1 (ko) 영상 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5319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디더링 장치 및 디더링 방법
US202400712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