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490A -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490A
KR20040015490A KR1020020047756A KR20020047756A KR20040015490A KR 20040015490 A KR20040015490 A KR 20040015490A KR 1020020047756 A KR1020020047756 A KR 1020020047756A KR 20020047756 A KR20020047756 A KR 20020047756A KR 20040015490 A KR20040015490 A KR 2004001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signal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104B1 (ko
Inventor
양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1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2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reducing demand in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7Power supply level being detected or va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9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multi-stylus heads
    • B41J2/4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multi-stylus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multi-stylus head

Landscapes

  • Ink Jet (AREA)
  • Dc-Dc Convert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헤드구동부와, 헤드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헤드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구동스위칭부와, 구동스위칭부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전원스위칭부가 턴온시 헤드구동부로 공급되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감지부와, 과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과전류에 대응되는 과전류 출력전압을 기 설정된 과전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전류 출력전압이 과전류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헤드구동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인쇄헤드와 같은 인쇄소자 및 주변회로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인쇄소자 및 주변회로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인쇄소자에 잔류하는 잔류전하를 방전시킴으로써 인쇄소자 및 주변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Power supply controlling device of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Inkjet printer)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작업 수행시 구동되는 인쇄헤드와 같은 인쇄소자로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는 컴퓨터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가장 보편화된 수단으로, 인쇄방식에 따라 잉크젯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이 있다.
잉크젯프린터는 인쇄명령에 따라 기록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어있는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 구동회로로 형성되어 있다.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작업 수행시 동작되는 헤드구동부가 인쇄도중 과부하를 받게되거나 어떤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잉크카트리지나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에 이상동작이 발생되어 인쇄헤드 및 기타 주변회로 들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잉크젯프린터에는 인쇄소자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라인 상에 과전류 보호소자를 구비하여 과전류 보호소자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인쇄헤드 및 기타 주변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부품의 불량이나 과전류 보호소자의 오동작으로 인해 과전류가 인쇄헤드와 같은 인쇄소자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인쇄헤드 및 주변 회로들의 전압 안정을 위해 전압안정 커패시터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 임의로 전원을 차단되어, 인쇄소자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전압안정 커패시터에 남아있는 잔류전하 등에 의해 인쇄헤드 및 주변부품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쇄동작 수행시 필요한 인쇄소자에 과전류 인가여부를 판단하여 과전류 발생시 인쇄소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과전류 발생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를 갖는 잉크젯프린터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호스트 컴퓨터200 : 프린터
210 : 입력부220 : DC/DC 컨버터
230 : 신호처리부240 : 인쇄부
250 : 표시부260 : 전원제어장치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구동부와, 상기 헤드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헤드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구동스위칭부와, 상기 구동스위칭부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상기 전원스위칭부가 턴온시 상기 헤드구동부로 공급되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과전류에 대응되는 과전류 출력전압을 기 설정된 과전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과전류 출력전압이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헤드구동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입력전압을 기 설정된 방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방전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헤드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한다.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 및 상기 방전 기준전압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전압전처리부와, 상기 전압전처리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과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을 비교 및 상기 방전 기준전압과 상기 입력전압을 비교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전압비교부와 상기 전압비교부의 비교결과신호 및 상기 구동스위칭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해 소정시간 지연된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제2논리소자와 상기 제2논리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논리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구동스위칭부로부터 온/오프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신호 및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제1논리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논리소자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헤드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에 잔류하는 잔류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를 갖는 잉크젯프린터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젯프린터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100)와 잉크젯프린터(200)로 구성된다.
호스트 컴퓨터(100)는 잉크젯프린터(200)로 인쇄데이터와 인쇄명령 등 잉크젯프린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잉크젯프린터(200)의 신호처리부(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력을 전송한다.
잉크젯프린터(200)는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입력되는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시킨다.
잉크젯프린터(200)는 입력부(210), DC/DC 컨버터(220), 신호처리부(230), 인쇄부(240), 표시부(250) 및 전원제어장치(260) 갖는다.
입력부(210)는 인쇄명령 등 잉크젯프린터(2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부(210)는 잉크젯프린터(200)의 본체상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명령을 직접 입력받는다.
DC/DC 컨버터(220)는 호스트 컴퓨터(100) 또는 후술할 전원제어장치(260)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전압(+5V)을 신호처리부(230)에 필요한 전압(+2.5V 또는 +3.3V)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230)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신호처리부(230)는 USB 인터페이스부(232), 저장부(234) 및 제어부(236)를 가지며, 잉크젯프린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신호처리부(2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은 대략 +2.5V 내지 +3.3V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32)는 잉크젯프린터(200)와 호스트 컴퓨터(100) 간의 접속부로서 일반적으로 호스트 컴퓨터(100)의 병렬포트와 접속된다.
저장부(234)에는 프린터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인쇄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234)는 잉크젯프린터(200)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과 같은 비활성 메모리 소자와, 잉크젯프린터(200)의 동작 수행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구비한다.
제어부(236)는 프린터에 전원이 온(ON)되면, 저장부(23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잉크젯프린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6)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인쇄명령에 대응되는 신호의 여부에 따라 인쇄부(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원제어장치(260)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236)는 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원제어장치(260)로 출력한다.
제어부(236)는 전원제어장치(2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인쇄부(240)에 이상 발생유무를 알 수 있다. 제어부(236)는 전원제어장치(260)로부터 입력받는 인쇄부(240)의 이상 발생유무를 표시부(250) 및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인쇄부(240)는 전원제어장치(2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후술할 제어부(236)의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부(232)를 통해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인쇄부(240)는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헤드와 인쇄헤드를 이송하는 헤드이송모터 및 인쇄헤드 구동부 등을 구비한다. 인쇄부(240)는 전원공급부(261)로부터 상기 각 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전압(대략 +30V)을 공급받는다.
표시부(250)는 제어부(236)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 전반에 대한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전원제어장치(260)는 제어부(236)를 통해 입력되는 파워 온/오프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전원제어장치(260)는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시 발생될 수 있는 과전류 및 입력전압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오동작 등을 체크하여 인쇄부(24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제어장치(260)는 전원공급부(261), 구동스위칭부(263), 전원스위칭부(265), 과전류 감지부(267), 방전회로부(269) 및 전원제어부(270)를 갖는다.
전원공급부(261)는 잉크젯프린터(200)의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1)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은 대략 +30V이다.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전원공급부(261)로부터 인쇄부(240)로의 전원공급 경로만을 표시하였다.
구동스위칭부(263)는 제어부(236)의 파워 온/오프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구동스위칭부(263)는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온 신호에 대응하여 턴-온되며, 파워 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턴-오프된다.
전원스위칭부(265)는 전원공급부(261)와 인쇄부(240)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스위칭부(263)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인쇄부(240)로의 전원을 단속한다.
전원스위칭부(265)는 후술할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단과 연결된 제1스위칭부(265a)와 상기 제1스위칭부(265a)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도록 배치된 제2스위칭부(265b)(265c)를 구비한다.
전원스위칭부(265)는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동작을 한다. 예를 들면,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신호가 하이인 경우 턴-온되며,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신호가 로우인 경우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부(24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한다.
과전류 감지부(267)는 전원공급부(261)와 인쇄부(240)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스위칭부(265)가 턴-온될 때 인쇄부(240)로 공급되는 과전류를 감지한다.
과전류 감지부(267)는 바이어스 저항(267a)(267b)과 제3스위칭부(267c)를 구비한다. 전원스위칭부(265)가 턴-온되면, 전원공급부(26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30V)이 인쇄부(240)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제3스위칭부(267c)의 에미터단자의 전압이 베이스 단자의 전압보다 대략 0.7V정도 큰 경우 제3스위칭부(267c)가 도통된다.
즉, 과전류 감지부(267)는 바이어스 저항(267a)(267b)으로 유기되는 전류가 임계전류(예컨대, 14A)를 초과하는지를 검출한다.
전원제어부(270)는 과전류 감지부(267)에 의해 감지된 과전류 출력전압을 과전류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과전류 출력전압이 과전류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인쇄부(24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전원스위칭부(265)를 제어한다.
전원제어부(270)는 제1앤드게이트(271), 전압전처리부(273), 전압비교부(275), 제2앤드게이트(279), 지연기(276) 및 신호발생부(280)를 갖는다.
제1앤드게이트(271)는 두 입력단이 각각 구동스위칭부(263)의 출력단과 후술할 신호발생부(28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다. 제1앤드게이트(271)는 구동스위칭부(263)의 출력신호와 신호발생부(28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비교한다.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은 상기 두 신호의 비교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은 논리곱 회로의 특성에 따라 두 신호가 모두 하이 신호일 때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전처리부(273)는 후술할 전압비교부(275)의 두 입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압전처리부(273)는 과전류 감지부(267)로 출력되는 전류를 복수의 저항소자(R1)(R2)를 통해 전압강하된 과전류 출력전압을 전압비교부(275)의 양(+)단자로 제공하며, 음(-)단자로는 과전류 기준전압을 제공한다.
전압전처리부(273)는 전압비교부(275)의 입력단에 과전류 기준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테스트전원(+5V)과, 상기 테스트전원(+5V)과 접지사이에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분배 저항(R3, R4)(R5, R6)을 이용하여 과전류 기준전압을 생성한다.
전압비교부(275)는 전압전처리부(273)로부터 음(-)단자로 입력되는 과전류 기준전압과 과전류 감지부(267)로부터 양(+)단자로 입력되는 과전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비교부(275)로는 두 개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입력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Comparator)가 적용되었다.
전압비교부(275)는 상기 두 전압의 비교결과 과전류 출력전압이 과전류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제2앤드게이트(AND GATE)(279)는 두 입력단이 각각 전압비교부(275)의 출력단 및 후술할 지연기(276)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다. 제1앤드게이트(271)는 전압비교부(275)의 출력신호와 지연기(276)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비교한다.
제2앤드게이트(279)의 출력은 상기 두 신호의 비교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제2앤드게이트(279)의 출력은 제1앤드게이트(271)와 마찬가지로 두 신호가 모두 하이 신호일 경우에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앤드게이트(279)의 출력은 두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로우인 경우에도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지연기(276)는 제어부(236)로부터의 파워 온 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을 하는 구동스위칭부(263)의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하는 역할을 한다. 지연기(276)로는 구동스위칭부(263)의 출력신호를 커패시터(276b)와 저항소자(276a)를 병렬 연결하여 형성한 적분회로가 적용되었다.
신호발생부(280)는 제2앤드게이트(27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반전시켜 출력한다.
신호발생부(280)로는 D-플립플롭(280a)이 적용되었다. D-플립플롭(280a)의 출력은 입력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제2앤드게이트(279)의 출력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전화되는 경우 D-플립플롭(280a)의 출력신호는 로우신호가 된다. D-플립플롭(280a)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D-플립플롭(280a)의 출력신호는 출력 A로 표기된 출력단(290)과 제1앤드게이트(263)의 입력단으로 피드백된다. 상기 출력단(290)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제어부(236)로 제공된다.
방전회로부(269)는 일측이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저항(269a)과, 제1저항(269a)의 타측에 베이스단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269b)와, 제1트랜지스터(269a)의 컬렉터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269c)와,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과 테스트전원(5V)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269d) 및 제2트랜지스터(269c)의 컬렉터단에 접속된 제3저항(269e)으로 형성된다. 제3저항(269e)의 일단은 전원스위칭부(265)의 출력단으로부터 인쇄부(240)로 연결되는 연결선상에서 분기되어있다.
방전회로부(269)는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이 하이 신호인 경우 제1트랜지스터(269b)가 턴-온되어, 제1트랜지스터(269b)의 컬렉터단에는 0V에 가까운 전압이 유기된다. 이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269c)가 턴-오프 된다. 따라서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이 하이 신호인 경우 방전회로부(269)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이 로우 신호인 경우 제1트랜지스터(269b)가 턴-오프되어 제1트랜지스터(269b)의 컬렉터단에는 5V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따라, 제2트랜지스터(269d)가 턴-온되어 제2트랜지스터(269d)의 컬렉터단에는 접지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이 로우 신호인 경우 인쇄부(240)의 인쇄소자의 안정화를 위한 전압안정커패시터(미도시)에 잔류하는 잔류전하는 제2트랜지스터(269d)의 에미터단으로 전류패스되어 방전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온 제어신호 수신시에 전원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스위칭부(263)의 입력단에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온 제어신호가 의해구동스위칭부(263)가 턴-온되면, 이에 따라 전원스위칭부(265)가 턴-온된다. 전원스위칭부(265)부가 턴-온되면, 인쇄부(240)의 구동전압(+30V)이 과전류 감지부(267)를 통해 인쇄부(240)로 유기된다. 이때, 과전류 감지부(267)는 인쇄부(240)로 유기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인쇄부(240)로 공급되는 전류가 임계전류를 초과하는지를 검출한다.
전압비교부(275)는 전압전치리부(273)로부터 양(+)단자로 입력되는 과전류 출력전압과 음(-)단자로 입력되는 과전류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과전류 출력전압이 과전류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 하이(High)신호 출력한다.
제2앤드게이트(279)는 전압비교부(275)로부터 인가받은 하이신호와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온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된 구동스위칭부(26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한다. 이 경우, 두 입력신호가 모두 하이 신호이므로 제2앤드게이트(279)의 출력신호는 하이신호가 된다.
제2앤드게이트(279)로부터 하이신호를 입력받은 D-플립플롭(280a)은 하이신호에 대해 반전된 로우신호를 출력 A로 표기된 출력단(290) 및 제1앤드게이트(271)로 피드백시킨다.
이때, 제1앤드게이트(271)로 피드백 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므로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은 로우신호가 된다. 따라서,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전원스위칭부(265)가 턴-오프되어 인쇄부(2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쇄소자의 안정화를 위한 전압안정 커패시터(미도시)에는 잔류전하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261)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인쇄소자에 남아있는 잔류전하로 인해 인쇄헤드 및 주변 부품들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단으로부터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방전회로부(269)가 구동되어 인쇄헤드와 같은 인쇄소자의 안정화를 위한 전압안정 커패시터(미도시)에 잔류하는 잔류전압이 제2트랜지스터(269c)의 에미터단을 통해 방전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인쇄부(240)로의 전원공급 경로상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전압비교부(275)의 출력신호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압공급부(261)의 입력전압이 떨어지는 경우 즉, 정전이나 임의로 전원코드가 뽑혀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전압전처리부(273)에 의해 방전 기준전압이 형성되어 전압비교부(275)가 구동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1)와 접지단 사이에 제너다이오드(300a)와 복수의 저항소자(300b, 300c, 300d)가 직렬상으로 전류패스를 형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제너다이오드(300a)와 저항소자(300b, 300c)는 전원공급부(261)로부터의 공급되는 구동전압(+30V)의 변동유무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300)로서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전원공급부(26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30V)이 낮아지면 제너다이오드(300a)의 캐소드단자에 유기되는 전압이 강하되며, 강하된 전압은 전압비교부(275)의 음(-)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비해 낮아지므로 다이오드(D1)가 도통되어 전압비교부(275)의 음(-)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진다.
전압비교부(275)는 전압전처리부(273)의 전압분배 저항(R5, R6))에 의해 형성된 방전 기준전압을 양(+)단자로 입력받고, 음(-)단자로 전압강하된 입력전압을 입력받아 두 신호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음(-)단자에 인가된 입력전압이 양(+)단자로 인가된 방전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비교부(275)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제2앤드게이트(279)의 두 입력단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된다. 이후 동작은 상기에서 과전류 신호가 검출된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원공급부(261)의 입력전압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전원스위칭부(265)를 턴-오프시켜 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전압안정 커패시터에 잔류하는 잔류전하도 방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온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전원제어장치(260)의 동작을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오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인쇄부(240)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중에 제1앤드게이트(271)에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오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앤드게이트(271)의 출력은 로우 신호가 되므로 전원스위칭부(265)가 턴-오프 되어 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동시에 방전회로부(269)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제1트랜지스터(269b)가 턴-오프되면, 제2트랜지스터(269c)가 턴-온된다. 따라서 전압안정 커패시터에 잔류하는 잔류전하가 제2트랜지스터(269c)의 에미터 단자로 전류패스 되어 방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인쇄헤드와 인쇄헤드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공급 라인상에 과전류가 감지되는 경우나 제어부(236)로부터 파워 오프 신호 수신시 인쇄부(24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에 의하면, 인쇄소자 및 주변회로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인쇄소자 및 주변회로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인쇄소자에 잔류하는 잔류전하를 방전시킴으로써 인쇄소자 및 주변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헤드구동부와, 상기 헤드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헤드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하는 구동스위칭부;
    상기 구동스위칭부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단속하는 전원스위칭부;
    상기 전원스위칭부가 턴온시 상기 헤드구동부로 공급되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과전류에 대응되는 과전류 출력전압을 기 설정된 과전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과전류 출력전압이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헤드구동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입력전압을 기 설정된 방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방전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헤드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 및 상기 방전 기준전압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전압전처리부;
    상기 전압전처리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과 상기 과전류 기준전압을 비교 및 상기 방전 기준전압과 상기 입력전압을 비교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전압비교부;
    상기 전압비교부의 비교결과신호 및 상기 구동스위칭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해 소정시간 지연된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제2논리소자;
    상기 제2논리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논리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구동스위칭부로부터 온/오프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신호 및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제1논리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논리소자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헤드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에 잔류하는 잔류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KR10-2002-0047756A 2002-08-13 2002-08-13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44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756A KR100449104B1 (ko) 2002-08-13 2002-08-13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756A KR100449104B1 (ko) 2002-08-13 2002-08-13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490A true KR20040015490A (ko) 2004-02-19
KR100449104B1 KR100449104B1 (ko) 2004-09-18

Family

ID=3732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756A KR100449104B1 (ko) 2002-08-13 2002-08-13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82B1 (ko) * 2005-09-2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트 헤드의 이상 검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5001B (zh) * 2012-06-27 2014-09-03 杭州冲之上数码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喷墨打印机的智能电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2761A (ja) * 1985-11-23 1987-06-04 Nec Corp 圧電型印字ヘツド駆動回路
JPH0229349A (ja) * 1988-07-19 1990-01-31 Oki Electric Ind Co Ltd シリヤルワイヤドット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法
JPH0615865A (ja) * 1991-08-28 1994-01-25 Nec Home Electron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5316634A (ja) * 1992-05-07 1993-11-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276791B2 (ja) * 1994-12-02 2002-04-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駆動電源回路
KR0161823B1 (ko) * 1996-06-20 1999-03-30 김광호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 구동부 보호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82B1 (ko) * 2005-09-2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트 헤드의 이상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104B1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410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3797300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のヘッド駆動装置
US8534784B2 (en) Recording apparatus
WO2014187156A1 (zh) 墨盒芯片短路检测方法、芯片、墨盒和记录设备
JP2012050208A (ja) 電力供給回路及び該回路を備えた機器
JP2004090501A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のヘッド駆動装置
US20030222933A1 (en) Device for preventing printer header from overheating
US5448153A (en) Charg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 control apparatus
KR100449104B1 (ko)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US9868282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8664799B2 (en) Apparatus including power supply circuit
US63153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recording head an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3362027B2 (ja) Usb装置
JPH1032668A (ja) 多機能型oa機器
JP2023129917A (ja) 電源制御ic、及び電源制御システム
JP5265044B2 (ja) 記録装置
US9633699B2 (en) Data storage control device
KR20050048912A (ko)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손상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0006413A (ja) 記録装置
JPH10287023A (ja) 電源制御装置
JPH0946915A (ja) 小型電子機器の電源制御回路
KR100193821B1 (ko) 잉크 젯트 프린터의 기록헤드 보호회로
JPH03169560A (ja) プリンタ装置
KR19990036716U (ko) 헤드카트리지 구동회로 보호장치
JPH05298044A (ja) 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