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600A - 알파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 - Google Patents

알파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600A
KR20040014600A KR10-2003-7017206A KR20037017206A KR20040014600A KR 20040014600 A KR20040014600 A KR 20040014600A KR 20037017206 A KR20037017206 A KR 20037017206A KR 20040014600 A KR20040014600 A KR 2004001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or blocker
optic nerve
retinal
receptor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와키노부아키
하라히데아키
고토와카나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에-자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에-자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Abstract

본 발명은 α1수용체 차단약에 대한 새로운 약리작용의 발견에 관한 것이다. α1수용체 차단약의 새로운 약리작용을 검토한 결과, 시신경 보호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α1수용체 차단약은 정상 안압 녹내장 및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레버씨병 등으로 대표되는 망막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시신경 보호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알파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OPTIC NERVE PROTECTING AGENTS CONTAINING α1 RECEPTOR BLOCKER AS THE ACTIVE INGREDIENT}
인간의 시신경은 약 100만개의 시신경섬유로 이루어지고, 그 30%가 장해되면 정적 시야계에서 이상을 검출할 수 있고, 50%의 장해에서는 동적 시야계에서 처음으로 시야에 영향이 발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시신경섬유는 시신경절 세포의 축색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슬상체(lateral geniculate nucleus)에 이르고 있다. 시신경절 세포는 해부학적, 생리학적으로 몇 종류로 분류 가능하고, 그리고 발생하는 축색도 각각 다른 형태를 갖는 동시에, 기능을 소유하고 있다. 시신경 장해는 기본적으로는 축색류가 침범되는 것에 있고, 축색류의 장해 부위는 체 형상 판부에 있다. 축색류의 장해는 시신경 세포사를 의미한다. 이 세포사에는 아포토시스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시사된 바 있다(새로운 안과, 16(6)833∼841). 시신경 세포가 장해를 받으면, 시야장해나 각종 망막장해가 발생하여 궁극적으로는 실명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시신경 세포를 보호하여 그 세포사를 저지하는 시신경 보호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α1수용체 차단약은 아드레날린 α1수용체와 결합하여 신경전달을 억제하고, 주로 강압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α1수용체 차단약인 부나조신은 혈압 하강제로서 시판되고 있다. 또한 부나조신은 안압 하강 작용을 하며, 고안압증의 치료에 유용한 것이 일본 특허 제2610619호 공보에 보고되어 있다. 또한 부나조신을 점안액에 응용하기 위한 처방이 일본 특허 공고 평성 제7-23302호에 보고되어 있다. 그 외에도, α1수용체 차단약인 테라조신(WO95/31200), 프라조신(미국 특허 제4197301호), 다피프라졸(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54-157576호)에 안압 하강 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녹내장은 안압의 상승에 기인하여 시신경섬유가 시신경 유두부에서 기질적으로 장해되어, 유두함요(乳頭陷凹)와 망막신경섬유 결손이 일어나고, 최종적으로 시야장해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안압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시야장해를 방지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 녹내장 연구의 주류로 되어 있다.
만약에 시신경 세포를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약품이 발견되면, 시야장해를 직접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 안압이 상승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유두 변화와 시야 변화를 일으키는 질환이 주목되며, 이 질환은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 부르고 있다. 정상 안압 녹내장은 안압이 항상 정상 범위내(21 mmHg 이하)이면서, 시신경이 장해를 받아 시야결손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 정상 안압 녹내장의 치료에 있어서도 안압을 강하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안압 하강제의 투여가 행해지고 있지만, 시신경을 보호할 수 있는 약물이 발견되면, 시야장해를 직접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고 보다 유용한 약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효과가 있는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망막질환에 있어서는, 망막혈류 순환장해가 망막질환 중에서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망막혈류 순환장해에 의해 산소나 영양의 공급이 부족하여, 망막신경절 세포는 세포사에 이른다. 망막혈류 순환장해에 따르는 증상의 대표적인 예로서, 망막정맥이나 망막동맥이 폐색 혹은 협착한 망막혈관 폐색증, 망막박리의 하나의 원인인 당뇨병성 망막증, 시기능장해가 출현하는 허혈성 시신경증이 있다. 그 밖의 망막질환인 황반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레버씨병 등에 있어서도, 이 신경절 세포사가 발증 또는 병태에 깊게 관여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것은 시야장해의 직접적인 치료 또는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각종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α1수용체 차단약은 안압 하강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α1수용체 차단약의 시신경 보호 효과에 관한 보고는 없으며, 또한 α1수용체 차단약이 정상 안압 녹내장이나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레버씨병 등으로 대표되는 망막 질환에 어떠한 영향을 부여하는지에 관한 보고도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α1수용체 차단약의 시신경 보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아, α1수용체 차단약의 신경 보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흥미있는 과제였다.
본 발명은 알파1(α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α1수용체 차단약과 시신경 보호작용과의 관계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α1수용체 차단약이 우수한 시신경 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세포 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환자에게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시신경 세포 장해에 의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추가로 시신경 세포 보호장해에 의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의 제조를 위한 α1수용체 차단약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α1수용체 차단 작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다피프라졸, 알프조신, 탐스로신, KRG-3332 등을 들 수 있다.
α1수용체 차단약 중에서도,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복소환이란 질소 원자를 고리내에 포함하고, 염기성을 나타내는 복소환을 가리킨다. 또한, 염기성 복소환 중에서도 질소 원자 2개를 포함하는 포화 복소환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미다졸리딘, 피페라진, 호모 피페라진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구조에 염기성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으로서는,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다피프라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약물은 무기산이나 유기산과의 염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도 좋고, 그 염의 예로서는,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옥살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α1수용체 차단약의 녹내장 치료약으로서의 개발 연구의 과정에서, 의외로 α1수용체 차단약이 시신경 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약리 시험 항에서 설명하지만, 카시이(Kashii)등 (IOVS. 1994, vol. 35, no. 2 685-695)의 방법에 준하여 글루타민산 첨가에 의해 야기한 래트 태아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에 대한 작용 및 혈청 제거에 의해 야기한 래트 태아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에 대한 작용을 조사한 결과, α1수용체 차단약이 신경 세포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시신경 보호약이 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은 경구 투여해도 좋고, 비경구 투여해도 좋다. 투여 제형으로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점안제, 주사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점안제, 주사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범용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평성 제7-23302호, WO95/31200에 기재된 제제나 시판되고 있는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안제를 예로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염화나트륨, 진한 글리세린 등의 등장화제, 붕산, 붕사,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스테아린산폴리옥실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 등의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점안제를 조제할 수 있다. pH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내에 있으면 좋지만, 4∼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안연고는 백색 바셀린, 유동 파라핀 등의 범용되는 기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투여량은 증상, 연령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경구투여의 경우, 1일당 0.1∼100 ㎎을 1회 또는 수회에 나눠 투여할 수 있다. 점안제라면 0.0001∼1%(w/v), 바람직하게는 0.001∼0.1%(w/v)인 것을 1일 1∼수회 점안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α1수용체 차단약은 다른 안압 강하제와 병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실시예로서 약리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약리 시험
α1수용체 차단약의 시신경 세포 보호작용을 검토하기 위해, (1) 글루타민산 첨가에 의해 야기한 래트 태아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에 대한 작용 및 (2) 혈청 제거에 의해 야기한 래트 태아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에 대한 작용을 이하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1) 글루타민산에 의해 야기한 래트 태아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에 대한 α1수용체 차단약의 작용
래트 태아(18일령)로부터 망막세포를 적출·단리하여, 폴리에틸렌이민 코팅된 플라스틱 커버 슬립 상에서 10% 소 태아 혈청 함유 이글 기초 배지 중에서 7일간 배양(37℃, 5% CO2/95% 공기)하였다. 8일째부터는 10% 말 혈청 함유 이글 기초 배지 중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6일째에 시토신아라비노시드(10 μM)를 첨가하여 비뉴런성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배양 11일째에 혈청 불함유 이글 기초 배지에, 글루타민산(1 mM) 및 α1수용체 차단약을 첨가한 배지에서 세포를 10분간 배양하였다. 계속해서, 글루타민산 및 α1수용체 차단약을 함유하지 않는 혈청 불함유 이글 기초 배지로 세포를 옮겨 1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트리판 블루 색소 제거법에 의해 독성의 판정을 행하였다. 즉, 세포를 1.5% 트리판 블루액으로 10분간 염색한 후,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으로써 고정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후, 위상차 현미경 하에서 세포를 계수하였다. 그 때, 트리판 블루에 의해 염색되는 세포를 사세포, 비염색 세포를 생존 세포로 하고, 계수 세포 총수(200 이상)에 대한 생세포수의 비로부터 배양 세포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1 mM의 글루타민산을 단독으로 첨가한 군, 1 mM의 글루타민산과 α1수용체 차단약을 함께 첨가한 군을 각각 「1 mM 글루타민산 단독 첨가군」, 「1 mM 글루타민산+α1수용체 차단약 첨가군」으로 하였다. 이들 결과를 전혀 처리를 행하지 않은 「미처치군」에 대해서 대응하는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α1수용체 차단약으로서 염산부나조신, 염산프라조신, 염산테라조신, 염산나프토피딜을 사용한 실험 결과를 각각 표 1 내지 4에 나타낸다. 또, 표 중의 값은 평균치이다.
염산부나조신의 효과
망막신경 배양세포의 생존률(%)
미처리군(6) 82.4
1 mM 글루타민산 단독첨가군(7) 41.8
1 mM 글루타민산 +10 μM 염산부나조신 첨가군(7) 55.2
1 mM 글루타민산 +100 μM 염산부나조신 첨가군(5) 55.9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군의 예의 수임
염산프라조신의 효과
망막신경 배양세포의 생존률(%)
미처리군(6) 75.6
1 mM 글루타민산 단독첨가군(7) 52.7
1 mM 글루타민산 +1 μM 염산프라조신 첨가군(7) 65.2
1 mM 글루타민산 +10 μM 염산프라조신 첨가군(6) 67.1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군의 예의 수임
염산테라조신의 효과
망막신경 배양세포의 생존률(%)
미처리군(7) 68.7
1 mM 글루타민산 단독첨가군(7) 48.6
1 mM 글루타민산 +0.01 μM 염산테라조신 첨가군(7) 69.8
1 mM 글루타민산 +0.1 μM 염산테라조신 첨가군(7) 70.7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군의 예의 수임
염산나프토피딜의 효과
망막신경 배양세포의 생존률(%)
미처리군(7) 69.9
1 mM 글루타민산 단독첨가군(7) 47.9
1 mM 글루타민산 +0.1 μM 염산나프토피딜 첨가군(7) 59.2
1 mM 글루타민산 +10 μM 염산나프토피딜 첨가군(7) 68.9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군의 예의 수임
(2) 혈청 제거에 의해 야기한 래트 태아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에 대한 α1수용체 차단약의 작용
래트 태아(18일령)로부터 망막세포를 적출·단리하여, 폴리리신 코팅된 유리 커버 슬립 상에서 10% 소 태아 혈청 함유 이글 기초 배지 중에서 7일간 배양(37℃, 5% CO2/95% 공기)하였다. 8일째부터는 10% 말 혈청 함유 이글 기초 배지 중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6일째에 시토신아라비노시드(10 μM)를 첨가하여 비뉴런성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배양 10일째에 혈청 불함유 이글 기초 배지 중 또는 혈청 불함유 이글 기초 배지 중에 10 μM 염산부나조신을 첨가한 배지 중에서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트리판 블루 색소 제거법에 의해 독성의 판정을 행하였다. 즉, 세포를 1.5% 트리판 블루액으로 10분간 염색한 후,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으로써 고정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후, 위상차 현미경하에서 세포를 계수하였다. 그 때, 트리판 블루에 의해 염색되는 세포를 사세포, 비염색 세포를 생존 세포로 하고, 계수 세포 총수(200 이상)에 대한 생 세포수의 비로부터 배양 세포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또한, 추가로 타넬 분석법을 이용하여 혈청 제거에 의해 증가하는 타넬 양성 세포(아포토시스 세포) 및 타넬 음성 세포(생 세포)를 계수하여, 계수 세포총수(200 이상)에 대한 타넬 양성 세포의 비를 구하였다. 혈청을 함유하지 않은 이글 기초 배지 중에서 배양한 군, 혈청을 함유하지 않는 이글 기초 배지 중에 α1수용체 차단약을 첨가한 군을 각각 「혈청 제거군」, 「혈청제거+α1수용체 차단약 첨가군」으로 하였다. 이들 결과를 전혀 처리를 행하지 않은 「미처치군」에 대해서 대응하는 계산치로 하였다. α1수용체 차단약으로서 염산부나조신을 사용한 실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또, 표 중의 값은 평균치이다.
망막신경 배양세포의 생존률(%) 타넬 양성 세포 생존률(%)
미처리군(5) 79 6
혈청제거군(5) 64 27
혈청제거 + 10 μM 염산부나조신 첨가군(5) 80 13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군의 예의 수임
상기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α1수용체 차단약은 망막신경배양 세포사(아포토시스)를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α1수용체 차단약은 망막신경절 세포 등의 시신경 세포의 보호제로서, 예컨대, 정상 안압 녹내장 및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레버씨병 등으로 대표되는 망막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약리 시험의 결과로부터, 부나조신 등의 α1수용체 차단약은 시신경 보호 작용을 갖고 있고, 정상 안압 녹내장 및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레버씨병 등으로 대표되는 망막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0)

  1.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세포 보호제.
  2. 제1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의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인 시신경 세포 보호제.
  3. 제1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또는 다피프라졸인 시신경 세포 보호제.
  4. 제1항에 있어서, 시신경 세포가 망막신경절 세포인 시신경 세포 보호제.
  5. 제1항에 있어서,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시신경 세포 보호제.
  6. 제5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정상 안압 녹내장인 시신경 세포 보호제.
  7. 제5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또는 레버씨병인 시신경 세포 보호제.
  8.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세포 보호작용에 기초한 시야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제.
  9. 제8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의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인 시야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제.
  10. 제8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또는 다피프라졸인 시야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제.
  11. 환자에게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시신경 세포장해에 의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의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인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또는 다피프라졸인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시신경 세포가 망막신경절 세포인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질환이 안질환인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정상 안압 녹내장인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또는 레버씨병인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8. 환자에게 α1수용체 차단약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시신경 세포 보호작용에 기초한 시야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의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인 시야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또는 다피프라졸인 시야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21. 시신경 세포 보호장해에 의한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를 위한 α1수용체 차단약의 용도.
  22. 제21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의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인 용도.
  23. 제21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또는 다피프라졸인 용도.
  24. 제21항에 있어서, 시신경 세포가 망막신경절 세포인 용도.
  25. 제21항에 있어서, 질환이 안질환인 용도.
  26. 제25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정상 안압 녹내장인 용도.
  27. 제25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망막혈관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색소 변성증 또는 레버씨병인 용도.
  28. 시신경 세포 보호작용에 기초한 시야장해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를 위한 α1수용체 차단약의 용도.
  29. 제28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그 화학 구조에 염기성의 복소환을 갖는 α1수용체 차단약인 용도.
  30. 제28항에 있어서, α1수용체 차단약이 부나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나프토피딜, 독사조신, 트리마조신 또는 다피프라졸인 용도.
KR10-2003-7017206A 2001-07-02 2002-07-01 알파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 KR20040014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01015 2001-07-02
JP2001201015 2001-07-02
PCT/JP2002/006627 WO2003004058A1 (en) 2001-07-02 2002-07-01 OPTIC NERVE PROTECTING AGENTS CONTAINING α1 RECEPTOR BLOCKER AS THE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600A true KR20040014600A (ko) 2004-02-14

Family

ID=1903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206A KR20040014600A (ko) 2001-07-02 2002-07-01 알파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92699A1 (ko)
EP (1) EP1410808A4 (ko)
KR (1) KR20040014600A (ko)
CN (1) CN1302810C (ko)
CA (1) CA2454544A1 (ko)
WO (1) WO2003004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658A (ja) * 2003-08-08 2005-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増幅器用過出力電圧保護回路
JP2007529434A (ja) * 2004-03-17 2007-10-25 ラース マイケル ラーセン, 視覚サイクルの阻害による網膜症の予防
CN102293774A (zh) 2005-03-31 2011-12-28 旭硝子株式会社 前列腺素F2α衍生物的应用
CA2604956A1 (en) 2005-04-13 2006-10-26 Ube Industries, Ltd. Protective agent for retinal neuronal cell comprising indazole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US20090053229A1 (en) * 2005-05-12 2009-02-26 Lee Daniel H S Methods of Treating Conditions Involving Neuronal Degeneration
US20060264442A1 (en) * 2005-05-18 2006-11-23 Allergan, In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and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in a mammal
US8629161B2 (en) * 2005-06-21 2014-01-14 Kowa Co., Ltd. Preventive or remedy for glaucoma
WO2019065838A1 (ja) 2017-09-29 2019-04-04 参天製薬株式会社 ピリジルアミノ酢酸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
WO2022099574A1 (zh) * 2020-11-13 2022-05-19 兰州大学 哌唑嗪用于制备治疗和/或预防脑血管疾病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94076B (it) * 1978-04-18 1985-07-26 Acraf Cicloalchiltriazoli
US4197301A (en) * 1978-10-16 1980-04-08 Allergan Pharmaceuticals, Inc. Topical ophthalmic use of Prazosin
DE3264523D1 (en) * 1981-04-06 1985-08-08 Cortial Derivatives of 4-aminoethoxy-5-isopropyl-2-methyl phenol,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ines
JP2610619B2 (ja) * 1987-07-22 1997-05-14 エーザイ株式会社 高眼圧症治療用点眼剤
US5446070A (en) * 1991-02-27 1995-08-29 Nover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JP2824863B2 (ja) * 1989-07-12 1998-11-18 エーザイ株式会社 α▲下1▼―ブロッカー点眼剤
US5290774A (en) * 1989-08-03 1994-03-01 Eisai Co., Ltd. Photostabilizing method for ophthalmic solutions and the resulting ophthalmic solutions therefrom
BR9507732A (pt) * 1994-05-18 1997-08-19 Senju Pharma Co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o tratamento de glaucoma
SE9402816D0 (sv) * 1994-08-24 1994-08-24 Pharmacia Ab Method and meams for drug administration
JPH10316571A (ja) * 1997-05-14 1998-12-02 Senju Pharmaceut Co Ltd 眼循環障害改善剤
US20020177593A1 (en) * 1998-09-30 2002-11-28 Yuji Ishihara Agents and crystals for improving excretory potency of urinary bladder
KR20010083884A (ko) * 1998-10-13 2001-09-03 세파론, 인코포레이티드 눈 질환 치료제
EP1106210A3 (en) * 1999-12-07 2003-12-03 Pfizer Products Inc. Combination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s and antihypertens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2810C (zh) 2007-03-07
EP1410808A1 (en) 2004-04-21
CA2454544A1 (en) 2003-01-16
US20040192699A1 (en) 2004-09-30
EP1410808A4 (en) 2009-07-29
CN1522157A (zh) 2004-08-18
WO2003004058A1 (en)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6877B1 (en) (2-imidazolin-2-ylamino) quinoxalines for the treatment of neural injury
EP1864666B1 (en) Protective agent for retinal neuronal cell containing prostaglandin f2 alpha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US20040242545A1 (en) Remedy for glaucoma comprising as the active ingredient compound having p13 kinase inhibitory effect
US20110130388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axial myopia
KR20040014600A (ko) 알파1 수용체 차단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시신경 보호제
EP1884237B1 (en) Amidino derivatives for use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glaucoma
Okka et al. Effects of latrunculin B on outflow facility, intraocular pressure, corneal thickness, and miotic and accommodative responses to pilocarpine in monkeys
JP2009227671A (ja) 視神経障害を伴う眼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WO2019065838A1 (ja) ピリジルアミノ酢酸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
US7153837B2 (en) Agent for protection of retinal neurons
JP4393863B2 (ja) 視神経細胞保護剤
AU2002309280A1 (en) Agent for protection of retinal neurons
JP2003081874A (ja) α1受容体遮断薬を有効成分とする視神経保護剤
KR100585299B1 (ko) 시신경유두 순환 개선제
EP1356817A1 (en) Therapeutic and/or preventive agents for diseases due to retinal ischemia
JP2001240543A (ja) 虚血性網膜疾患並びに網膜及び視神経障害の治療及び/または予防薬
JP2006348024A (ja) アミジノ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神経細胞の保護剤
JPH10120569A (ja) 眼疾患予防または治療剤
JP2005330260A (ja) 視神経障害を伴う眼疾患の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