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193A -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193A
KR20040014193A KR1020030040954A KR20030040954A KR20040014193A KR 20040014193 A KR20040014193 A KR 20040014193A KR 1020030040954 A KR1020030040954 A KR 1020030040954A KR 20030040954 A KR20030040954 A KR 20030040954A KR 20040014193 A KR20040014193 A KR 2004001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biodegradable polyester
weight
resin composition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세베타다시
사시다카즈유키
Original Assignee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전방지능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수지, 특히 폴리락토산과 같은 생분해성 수지와 필름, 시트 및 성형품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A)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와 (B)대전방지제로서 알킬 술폰산염의 총량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2 ~ 5중량부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FILMS, SHEETS AND OTHER MOLDED ARTICLES THEREOF}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로 폴리락토산(polylact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특정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가공하여 얻어진 필름, 시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면, 식품포장, 건축자재 및 가전제품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며, 일상 생활의 필수불가결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들은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지만, 그러나, 그 결과 자연상태에서의 분해성이 약해서, 사용 후에 폐기될 경우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환경파괴를 야기한다.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성질로 인해 생분해성 플라스틱(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들이 현재 주목을 받고 있다. 환경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들의 작용에 의해,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은 매우 짧은 시간안에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수 있다.
최근에는, 자연환경에 대해 증가한 의식으로 인해 환경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역시, 법규에서 요구하듯이, 플라스틱은 재활용 또는 재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플라스틱의 재활용 또는 재사용에 부가하여, 자연환경에서 쉽게 분해되는 소위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이 현재 주목받고 있으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광범위하게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은, 특히 옥외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자재(예를 들면, 근채류 육성용 온실에 사용되는 시트와 필름 및 회수가 곤란한 식품포장분야에 사용되는 자재)에의 이용이 기대된다.
그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은 크게 미생물산출계, 천연물이용계 및 화학합성계로 분류된다. 현재 실용화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비닐알콜, 전분 변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와 폴리히드록시 부틸레이트(polyhydroxy butylate)를 포함하며, 폴리락토산(polylactic acid)은 반합성계(semi-synthesized) 중합체이다.
폴리락토산은, 인장강도 면에서 폴리에틸렌과 유사하고 투명성 면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유사한 결정성 열가소성 고분자이며, 의학용의 봉합사로서 사용된다. 폴리락토산은 또한, 안전성이 높고 연소열량은 낮으며(연소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연소열량의 약 1/3), 소각로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적고 유해가스를 더 적게 발생시킨다. 또한, 석유유래 플라스틱들과는 달리, 이 물질은 재사용가능한 식물자원을 원료로 만들어진다는 점이 유망하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최근, 폴리락토산의 제조법과 응용용도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폭넓게 이루어져 왔고,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용이 기대되며, 생산량이 갈수록 증가할 것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폴리락토산은 투명성 면에서 극히 탁월하여 필름과 시트에의 이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분자 화합물은 마찰하면 쉽게 대전되고 먼지나 오물이 달라 붙어, 외관이 손상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대전방지 처리가 요구된다.
고분자화합물에 대전방지능을 부여하기 위해 대전방지제가 자주 사용되며, 도포형과 혼련형(kneaded type)의 두가지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도포형 대전방지제로는, 자당 라우린산 에스테르(sucrose lauric acid ester)와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일본국 특개2000-280410 참조), 분자 내에 과불화알킬기(perfluoroalkyl group)와 과불화알케닐기(perfluoroalkenyl group)를 가지는 불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일본국 특개평11-116709 참조) 및 특정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특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일본국 특개2002-12687 참조)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도포형 대전방지제는, 폴리락토산이 주성분인 수지나 폴리락토산 수지를 성형하여 얻어진 필름, 시트 또는 플레이트(plate)의 투명성의 손상, 필름의 끈적거려짐 및 필름끼리의 블로킹(intra-film blocking)의 빈번한 발생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혼련형 대전방지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아민계와 알킬 설페이트계와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4가 암모늄염과 같은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 베타인류와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범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는 폴리락토산이 주성분인 수지나 폴리락토산 수지를 성형하여 얻어진 필름,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특징인 투명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혼련될 경우 투명성의 손상이 극히 낮다. 하지만, 고유하게 대전방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낮다. 일본국 특개평10-36650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락토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5 ~ 7.5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에만 오로지 대전방지능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많이 포함시키면 성형품, 대표적인 예로서 필름, 시트, 플레이트의 물리적 성질들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대전방지제를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또는 수지, 특히 폴리락토산 수지 또는 폴리락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 같은 생분해성 수지에 도입하므로써, 성형품의 투명성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우수한 대전방지능이 부여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 플레이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의 관점에서 깊이있게 연구를 수행하여, 특정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특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폴리락토산 수지 또는 폴리락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소정의 비율로 도입하므로써 대전방지능이 우수하고 투명성 손상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알킬 술폰산염(alkyl sulfonate)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구성 지방산이 8 ~ 22의 탄소수를 가지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이고 모노에스테르 함량은 50중량% 이상인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이며,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와 상기 알킬 술폰산염의 총량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2 ~ 5중량부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상기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중량비가 50/50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락토산 수지 또는 폴리락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상기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중량비가 65/35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상기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중량비가 75/25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에 기재된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시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상기 본 발명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락토산 수지 또는 폴리락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다(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폴리락토산 수지"라고 한다). 어떤 폴리락토산 수지라도 중합도 혹은 품질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락토산의 단독중합체(homopolymer)로 이루어진 폴리락토산 수지에만 제한되지 않고, 글리콜산,ε-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공중합된 폴리락토산 중합체도 포함한다. 키틴, 키토산 및 전분은 물론, 초산셀룰로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또는 폴리히드록시 부틸레이트와 발리레이트(valirate)의 공중합체와 같은 다른 생분해성 중합체들도, 폴리락토산 수지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글리세린과 지방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유지(fat)와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trans-esterification)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그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분자증류에 의해 모노에스테르 함량을 50중량% 이상으로 높인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이다. 통상의 글리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는 50중량%를 초과하는 모노에스테르 함량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분자증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모노에스테르 함량을 높여야 한다.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50중량%보다 낮으면, 충분한 대전방지 효과가 얻어질 수 없다(뒤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시료 4가 사용된 비교예 7 참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탄소수가 8 ~ 22이다. 탄소수가 8 미만인 지방산은 수지와 효과적으로 혼련되기에 불충분하다(뒤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시료 3이 사용된 비교예 6 참조). 탄소수가 22를 초과하는 지방산은, 지방산이 수지 표면으로 나오기 어려워서 대전방지 효과를 제공하기에 불충분하다(뒤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시료 7이 사용된 비교예 10 참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킬 술폰산염은, 알칸을 아황산과 반응시키고 반응 생성물을 중화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그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에도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혼합 사용비는 중량비로 50/50 ~ 90/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65/35 ~ 90/10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75/25 ~ 90/1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들을 벗어나면, 특히 알킬 술폰산염의 비가 너무 높으면, 성형품의 투명성이손상되거나 또는 충분한 대전방지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알킬 술폰산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대전방지 효과가 불충분하다(뒤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시료 1만이 사용된 비교예 2 및 시료 2만이 사용된 비교예 3 참조). 대전방지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대전방지제를 첨가해야만 한다. 또한,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알킬 술폰산염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명성이 손상되거나(뒤의 실시예에서, 시료 6만이 사용된 비교예 9 참조) 또는 수지내에서의 불량한 분산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특정된 비에 따라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와 알킬 술폰산염을 혼합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상승효과로 인해 수지의 투명성에는 거의 손상이 없으면서 우수한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65/35 ~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표면고유저항(surface intrinsic resistance)(Ω)과 전광선투과율(total light transmittance)(%)을 함께 개선할 수 있으며(뒤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3 참조), 특히, 상기 75/25 ~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반감기(초), 전광선투과율(%) 및 탁도(turbidity)(%)를 개선할 수 있다(뒤의 실시예에서, 실시예 5 참조).
본 발명에서, 수지에의 대전방지제 도입비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2 ~ 5중량부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5 ~ 2중량부의 범위이다. 이 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품질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을 수 없고, 이 비가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성형품의 물성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플라스틱 성형에 사용되는 압출기 또는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압출, 사출 등에 의해 열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성형온도 범위는 160 ~ 220℃이다. 중합체 블렌딩(polymer blending)을 하기에는 2축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압출기 안에서 용융된 수지 조성물은 T 다이(T die) 또는 팽창(inflation)을 통해 시트나 필름으로 성형된다. 이 필름은 연신 또는 무연신으로 처리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플레이트로 성형되거나 혹은 사출기에 의해 다른 성형품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안정제, 활제, 산화방지제, 슬립제 및 결로방지제(antifogging agent)와 같은 알려진 첨가제들을, 본 발명에서 청구된 대전방지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폴리락토산으로서는 시마즈제작소 제조 "Lacty"(grade#9030, 평균분자량 140,000)가 사용되었으며, 가수분해에 의한 분자량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건조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시험 시료(표 1에 기재되어 있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비율에 따라 폴리락토산 수지에 도입하고,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압출펠렛(pellet)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으로 각각의 시험에 기재된 시편을 제조하였고, 이에 의해 표면고유저항, 반감기 및 투명성을 확인했다.
시험 1 : 표면고유저항(Surface intrinsic resistance)
본 시험에서는, 100 x 100mm x 2mm(두께)의 시편을 사용했다. 시편을 실온 20℃, 습도 65%RH에서 1주일간 숙성(aging)시킨 후, 같은 조건하에서 극초절연계(hyper dielectric scale) SEM-10 모델(토와 전파공업사)로 표면고유저항을 측정했다. 적용전압은 500V였으며, 1분 후의 값을 읽었다.
시험 2 : 대전압 반감기(Half life of electrostatic charge)
본 시험에서는, 45 x 40mm x 2mm(두께)의 시편을 사용했다. 시편을 실온 20℃, 습도 65%RH에서 1주일간 숙성(aging)시킨 후, 같은 조건하에서 static honestmeter S-5109 모델(시시도 정전기사 제작)로 측정했다. 적용전압은 9KV, 적용시간은 10초, 방전높이(electrical discharge height)는 1.5cm, 수전높이(electrical receiving height)는 1.0cm, 그리고 원반회전수는 1000rpm의 조건 하에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3 : 투명성 시험(Transparency test)
본 시험에서는, 45 x 40mm x 2mm(두께)의 시편을 사용했다. Σ90 컬러 측정시스템(니폰 덴쇼쿠사 제작)을 사용하여 전광선투과율 및 탁도를 측정했다.
[시험 시료 1]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glycerol monolaurate)(POEM M-300, 리켄비타민사 제조, 모노에스테르 함량 80중량%)
[시험 시료 2]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RIKEMALS-100, 리켄비타민사 제조, 모노에스테르 함량 95중량%)
[시험 시료 3] 글리세롤 모노카프로에이트(glycerol monocaproate)
글리세린 1몰과 카프론산(caproic acid) 1몰을 에스테르화한 후에, 분자증류에 의해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85중량%인 글리세롤 모노카프로에이트를 얻었다.
[시험 시료 4] 글리세롤 라우레이트(glycerol laurate)
글리세린 1몰과 라우린산(lauric acid) 1몰을 에스테르화하여 라우레이트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40중량%인 글리세롤 라우레이트를 얻었다.
[시험 시료 5] 글리세롤 디라우레이트(glycerol dilaurate)
글리세린 1몰과 라우린산(lauric acid) 2몰을 에스테르화한 후에, 분자증류에 의해 순도 85중량%인 글리세롤 디라우레이트를 얻었다.
[시험 시료 6] 알킬 술폰산염(alkyl sulfonate)(ANSTEX HT-100, 토호 화학공업사 제조)
[시험 시료 7] 글리세롤 모노리그노세레이트(glycerol monolignocerate)
글리세린 1몰과 리그노세린산(lignoceric acid) 1몰을 에스테르화한 후에, 분자증류에 의해 순도 85중량%인 글리세롤 모노리그노세레이트를 얻었다.
시험 및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시료번호, 첨가량(중량부) 표면고유저항(Ω) 대전압 반감기(초) 전광선투과율(%) 탁도(%)
실시예 1 시료 1, 1중량부시료 6, 1중량부 3x1011 14 88.3 11.3
실시예 2 시료 2, 1중량부시료 6, 0.5중량부 2x1010 11 87.4 12.4
실시예 3 시료 2, 1.5중량부시료 6, 0.5중량부 2x1010 7 88.6 11.3
실시예 4 시료 1, 2중량부시료 6, 2중량부 2x109 5 80.7 15.8
실시예 5 시료 2, 1.8중량부시료 6, 0.2중량부 2x1011 15 89.7 10.7
비교예 1 무첨가 1016 120 ↑ 92.2 7.3
비교예 2 시료 1, 2중량부 4x1014 108 89.9 9.8
비교예 3 시료 2, 1중량부 1x1015 120 ↑ 90.1 8.7
비교예 4 시료 1, 0.1중량부시료 6, 0.05중량부 1016 120 ↑ 91.4 8.2
비교예 5 시료 1, 3중량부시료 6, 3중량부 9x109 3 70.5 42.7
비교예 6 시료 3, 1중량부시료 6, 1중량부 4x1015 120 ↑ 88.4 11.5
비교예 7 시료 4, 1중량부시료 6, 1중량부 1016 97 87.4 12.8
비교예 8 시료 5, 1중량부시료 6, 1중량부 1016 120 ↑ 86.1 13.5
비교예 9 시료 6, 2중량부 1x1014 105 76.5 30.7
비교예 10 시료 6, 1중량부시료 7, 1중량부 1x1014 120 ↑ 82.6 14.2
주: 상기 표 1에서, 기호 "↑"는 제시된 수치를 초과하여 셀 수 없었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킬 술폰산염을 소정의 비율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할 경우, 대전방지성과 투명성에 있어 상승효과가 얻어져서, 환경친화적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필름, 시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알킬 술폰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구성 지방산이 8 ~ 22의 탄소수를 가지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이고 모노에스테르 함량은 50중량% 이상인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이며,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와 상기 알킬 술폰산염의 총량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2 ~ 5중량부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상기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중량비가 50/50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락토산 수지 또는 폴리락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중량비가 65/35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알킬 술폰산염에 대한 중량비가 75/25 ~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전방지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시트 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KR1020030040954A 2002-08-05 2003-06-24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KR20040014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7323 2002-08-05
JP2002227323A JP3955245B2 (ja) 2002-08-05 2002-08-05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フィルム、シート又は成形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193A true KR20040014193A (ko) 2004-02-14

Family

ID=3043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954A KR20040014193A (ko) 2002-08-05 2003-06-24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24141A1 (ko)
EP (1) EP1388562B1 (ko)
JP (1) JP3955245B2 (ko)
KR (1) KR20040014193A (ko)
CN (1) CN1324082C (ko)
DE (1) DE60309787T2 (ko)
TW (1) TWI3025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649B2 (ja) * 2003-02-10 2011-02-09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の帯電防止法並びにフィルム、シート及び成形品
JP2005289441A (ja) * 2004-03-31 2005-10-20 Shin Etsu Polymer Co Ltd エア緩衝材
WO2005103160A1 (ja) * 2004-04-26 2005-11-03 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4634235B2 (ja) * 2005-06-24 2011-02-16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PL1954496T3 (pl) 2005-11-23 2013-10-31 Treofan Germany Gmbh & Co Kg Folia z PLA o dobrych własnościach antystatycznych
US9555167B2 (en) * 2006-12-11 2017-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compatible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20080200890A1 (en) * 2006-12-11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5090042B2 (ja) * 2007-03-30 2012-12-05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シート又は成形品
EP2065435A1 (en) * 2007-11-29 2009-06-03 Sukano Management+Services AG Biodegradable polyester compositions
CA2727701A1 (en) 2008-06-12 2009-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compatible hydrophilic compositions
BRPI0909956A2 (pt) * 2008-06-12 2016-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ibras finas produzidas por extrusão em blocos com passagem de ar quente em alta velocidade (melt blown) e métodos de fabricação
BRPI1006184A2 (pt) 2009-03-27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ção termoplástica, artigos, lençol cirúrgico, avental cirúrgico, material para contato com feriment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BRPI1006777A2 (pt) 2009-03-31 2019-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artigo, lençol cirúrgico, avental cirúrgico, invólucro de esterilização, material de contato para ferimentos e métodos para fabricação de uma manta"
BR112012014963A2 (pt) * 2009-12-17 2018-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fibrosas não tecidas dimensionalmente estáveis e métodos de fabricação e uso das mesmas
US8721943B2 (en) * 2009-12-17 2014-05-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of making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CN103025803A (zh) 2010-07-30 2013-04-03 东丽株式会社 聚乳酸系树脂片和成型品
TW201221714A (en) 2010-10-14 2012-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L2530115T3 (pl) * 2011-05-28 2014-05-30 Clariant Finance Bvi Ltd Kompozycje antystatyczne zawierające termoplastyczny poliester oraz mieszanina antystatycznych dodatków
EP2781351B1 (en) * 2011-11-11 2021-11-2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laminate
CN103813902B (zh) * 2011-11-30 2015-07-01 东丽株式会社 聚乳酸系树脂片及成型品
JP2015009534A (ja) * 2013-07-02 2015-01-19 三菱樹脂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黒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009533A (ja) * 2013-07-02 2015-01-19 三菱樹脂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657132B (zh) * 2013-12-19 2019-04-21 德商漢高智慧財產控股公司 具有基質及經密封相變材料分散於其中之組合物及以其組裝之電子裝置
US20170151758A1 (en) * 2015-12-01 2017-06-01 Norbord Inc. Oriented Strand Board
CN107474501B (zh) * 2016-12-16 2019-10-15 上海海洋大学 一种可降解的食品保鲜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2463B1 (en) * 1990-12-21 1995-09-2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O1996027616A1 (fr) * 1995-03-03 1996-09-12 Japan Corn Starch Co., Ltd. Amidon esterifie a polyester greffe, et son alliage
US6037384A (en) * 1995-11-28 2000-03-14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Expanded material and laminate
JPH1036650A (ja) * 1996-07-19 1998-02-10 Mitsui Petrochem Ind Ltd 高分子組成物
JPH11189769A (ja) * 1997-12-26 1999-07-13 Lion Corp 帯電防止剤
US6515054B1 (en) * 1999-11-02 2003-02-04 Nippon Shokubai Co., Ltd.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its molded product
JP2002003623A (ja) * 2000-06-22 2002-01-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67801A (ja) 2004-03-04
DE60309787D1 (de) 2007-01-04
EP1388562B1 (en) 2006-11-22
US20040024141A1 (en) 2004-02-05
DE60309787T2 (de) 2007-09-13
TW200402431A (en) 2004-02-16
CN1324082C (zh) 2007-07-04
TWI302550B (en) 2008-11-01
JP3955245B2 (ja) 2007-08-08
CN1473875A (zh) 2004-02-11
EP1388562A1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4193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필름, 시트또는 다른 형태의 성형품
KR100806985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가소성 성형물
JP5014908B2 (ja) 結晶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WO2006077623A1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JP5329826B2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1152097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필름 또는 시트
CN111978691B (zh) 一种可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JP3707240B2 (ja) ポリ乳酸系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物、フィルム、繊維及び成型品
WO2009110171A1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4628649B2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の帯電防止法並びにフィルム、シート及び成形品
JP2006213916A (ja) 溶融成形可能なセルロースエステル組成物
JP4629217B2 (ja) 制電性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2005029601A (ja) 射出成形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品
JP5016196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4440144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2005139280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4163060B2 (ja) 農業用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資材
JP2002080703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資材又は包装用資材
JP4366848B2 (ja) 架橋型軟質乳酸系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組成物
JP2002114900A (ja) 帯電防止性ポリ乳酸系組成物
JP2980686B2 (ja) 帯電防止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4131584A (ja) 生分解性アセチルセルロース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