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137A - 치료제 - Google Patents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137A
KR20040013137A KR10-2004-7000366A KR20047000366A KR20040013137A KR 20040013137 A KR20040013137 A KR 20040013137A KR 20047000366 A KR20047000366 A KR 20047000366A KR 20040013137 A KR20040013137 A KR 2004001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xanthohumol
production
hops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니시야마
스즈 데구찌
히로무 오노기
가쯔미 스기야마
히로아끼 사가와
이꾸노신 가또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 또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에 유효한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의약이 제공된다. 이 의약은 치매증 또는 신경장애 등과 같은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제,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가 제공된다. 이 식품 또는 음료를 일상의 음식품으로서 섭취하는 것에 의해,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증상 개선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사료는 그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작용에 의해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 유용하다.
또한, 이들 본 발명의 의약 등은, 생물 개체의 학습·기억능력의 향상 또는 개선에 유효하다.

Description

치료제{REMEDIES}
신선초 (Angelica keiskei)는 옛부터 식용 및 약초로서 사용되어 온 미나리과에 속하는 대형 다년생 초본이다. 신선초가 갖는 약리작용으로는 고혈압 예방작용, 항균작용, 항궤양작용, 위산분비 억제작용, 항암작용, 암예방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홉 (hop)은 맥주를 양조할 때에 향미 및 쓴맛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뽕나무과의 덩굴성 다년생 초본이다. 홉이 갖는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 항종양작용, 진정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잔토휴몰 (xanthohumol)은 홉에 포함되는 칼콘 (chalcone)의 일종으로, 최근 여러가지 생리 활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들 식물 및 잔토휴몰의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작용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인간의 지적 기능, 기억, 감정 및 행동 등의 정신활동의 유지에는 신경세포가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정신활동의 기초로 되어 있는 신경세포의분화, 생존 및 기능 발현에는 각각의 신경세포에 특이적인 신경성 영양인자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신경성 영양인자 중 최초로 그 존재 및 기능이 밝혀진 것이 신경성장인자 (Nerve Growth Factor, 이하 NGF 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로서, 현재는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neurotrophic Factor), 뉴로트로핀 (Neurotrophin)-3, 뉴로트로핀-4/5 등이 발견되어 있다.
NGF 는 전뇌 기저부의 대세포성 콜린 작동성 신경세포의 신경성 영양인자이기 때문에, 알츠하이머형 치매증과의 관련이 주목되고 있다 [Farumashia. Vol. 22, N0. 2, 147∼151 (1986), Japanese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3, N0. 6, 751∼758 (1986)].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이란 발육장애, 조증상(躁症狀), 하지의 강직구련, 간질유사 발작 등의 임상을 수반하고, 노인성 반점, 알츠하이머원(原) 섬유변화 등의 병리학적 소견을 보이는 질환으로, 노인성 치매의 일 병형이다. 최근의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중대한 사회적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지만 이렇다 할 증상의 개선법 및 치료법은 발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약년성 알츠하이머병에 대해서도 증상의 개선법 및 치료법이 발견되어 있지 않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환자의 뇌에는, 마이네르트(Meynert) 기저핵을 중심으로 하는 전뇌 기저부에 현저한 변성, 콜린아세틸기 전위효소 (CAT) 활성의 현저한 저하가 인정되고 있다 [Annu. Rev. Neurosci., Vol. 3, 77 (1980)]. 1985 년에 래트의 뇌를 사용한 연구에서, NGF 가 뇌의 이 부위에서의 신경성 영양인자임이 밝혀져 [EMBO J., Vol. 4, 1389 (1985)], NGF 와 본 질환과의 관련이 주목되었다.또, 헌팅턴 무도병(Huntington's disease) 환자의 뇌의 선조체(線條體)에서는, GABA 작동성 신경세포의 탈락과 함께 콜린작동성 신경세포의 탈락이 현저하여, NGF 가 선조체의 내재성 콜린작동성 신경세포에도 작용함이 밝혀져 [Science, Vol. 234, 1341 (1986)], 본 질환이 NGF 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각종 신경질환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래트 등의 동물에서 NGF 의 효과가 연구되어, 래트에서는 신경세포의 변성이 현저해지기 이전에 NGF 를 뇌내투여하면 변성을 막을 수 있고, CAT 활성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J. Neurosci., Vol. 6, 2155 (1986), Brain Res., Vol. 293, 305 (1985), Science, Vol. 235, 214 (1986), Proc. Natl. Acad. Sci. USA, Vol. 83,9231 (1986)]. 말초의 교감신경 지배조직 및 뇌에서 NGF 가 생합성되고 있는 것, 이 NGF 의 생합성에 말초조직 또는 뇌조직의 간질(間質)세포인 섬유아세포 또는 아스트로글리아(astroglia)세포가 각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도 증명되어 있다 [J. Bol. Chem., Vol. 259, 1259 (1984), Biochem. Biophys. Res. Commun., Vol. 136, 57 (1986)]. 또한, 이 섬유아세포나 아스트로글리아세포가 생성하는 NGF 의 항원성, 분자량, 등전점, 생물 활성은, 종래 자주 연구되었던 악하선 NGF 와 동일한 것임이 밝혀짐과 동시에, 섬유아세포 (L-M 세포) 및 아스트로글리아세포의 배양액에 여러가지 신경전달물질을 가하는 실험에 의해 카테콜아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도파민) 이 NGF 합성 촉진효과를 나타냄이 발견되어 있다 [J. Bio1. Chem., Vol. 201, 6039 (1986)].
이와 같이, NGF 가 신경성 영양인자로서 작용하는 부위가 변성하는 이들 신경질환에 있어서, 변성을 방지하는 치료약으로서 NGF 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닌지 기대된다. 또한 뇌혈관장애, 뇌종양, 뇌첨 (腦尖), 두부외상 변성질환, 마취약물중독 등에 의해 뇌신경세포가 일단 변성이 시작되면 일생 회복되지 않고, 그 결과 지적 기능의 저하 및 기억 장애뿐만 아니라 감정 장애, 행동 이상 등 여러가지 장애를 야기하지만, 신경섬유에는 가소성이 있어 손상을 받으면 그 부근의 건강한 섬유부터 발아가 일어나 장애를 입은 시냅스 (synapse) 대신에 새로운 시냅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때 NGF 의 신경기능의 수복 재생을 촉진하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된다.
그러나, NGF 를 각종 신경질환의 치료에 응용하고자 한 경우, NGF 는 NGF 를 필요로 하는 신경세포의 극히 근방에 도달되어 있어야 하고 중추 신경질환의 경우도 뇌세포의 환부에 NGF 를 보내지 않으면 안되지만, 혈관계를 통해서 NGF 를 뇌내에 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뇌내의 혈관 내피세포는 서로 밀착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뇌혈액관문이라고 한다), 물, 가스, 지용성 물질 이외의 물질의 혈액으로부터 뇌조직으로의 이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으로, 고분자물질인 단백질 (NGF 도 포함) 은 전혀 뇌혈관관문을 통과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NGF 를 직접 뇌내에 외과적 수법을 사용하여 투입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에 의해서도 위험이 지나치게 크다.
한편, 직접 NGF 를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NGF 의 생성을 증강시키는 물질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대부분이 강한 독성을 갖거나 독성이 검출되는 농도와 유효농도가 매우 근접한 물질, 또는 신경흥분작용 등 신경계에 대하여 중대한부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인 점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아직 실용화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의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의약, 또는 해당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을 개략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및 제 6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및 제 8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제 또는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 및 제 10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용 또는 개선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3, 제 5, 제 7 및 제 9 발명에 있어서, 홉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로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高)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이 예시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에 있어서, 「NGF 생성증강작용」 및 「NGF 생성증강활성」은 각각 NGF 생성증강을 가져오는 것 및 NGF 생성을 증강시키는 기능을 말하지만, 그 의미에 있어서 특별히 엄밀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증강」에는, 본 발명에 관한 유효성분의 작용 전에 비하여 작용 후에 있어서 목적 물질의 양이 증가한다는 양태와 함께, 본 발명에 관한 유효성분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목적 물질을 생기(生起)시킬 수 있다는 양태(유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예시되는 어떠한 물질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은, 경구투여 또는 정맥내투여에 의해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활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3 의 (2)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작용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생물 개체에 대하여 그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경구투여 또는 정맥내투여한 경우, 투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투여한 개체의 임의의 조직에서 신경성장인자의 생성량이 증대되었음이 확인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로는, 후술하는 해당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의 조제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효성분」이란 용어는, 유효성분 그 자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유효성분으로서의 추출물은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추출용매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해당 「추출물」이란 그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추출물 그 자체를 의미하며, 따라서, 유효성분으로서의 추출물이란 추출물 그 자체 (즉, 추출물 자체의 건조물) 를 의미한다. 또, 생물 개체 또는 개체란, 인간이나 후술하는 양식(養殖)동물 등의 생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쇄란, 고체나 입자체를 충격, 압축, 전단, 마찰 등의 역학적인 힘을 가하여 세분화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분쇄물이란, 홉 및/또는 신선초의 식물체 또는 그 가공물 (예를 들어, 건조물, 동결물 등) 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것을 말한다. 분쇄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체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효과의 양호한 발현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뿌리, 줄기, 잎,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분쇄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를 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조(粗)분쇄기, 중간(中間)분쇄기, 미(微)분쇄기, 초(超)미분쇄기, 동결분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쇄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분쇄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해당 분쇄물의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말상, 졸상, 고체상 중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얻어진 해당 분쇄물은, 예를 들어,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립하여 입자형 고형물로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조립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동조립, 교반조립, 유동층조립, 기류조립, 압출조립, 압축성형조립, 해쇄조립, 분사조립 또는 분무조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분말형의 해당 분쇄물을 액체, 예를 들어 물이나 알코올 등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액상으로 하여 본 발명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분쇄물의 NGF 생성증강활성은, 후술하는 실시예 3 의 (2)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홉 및/또는 신선초의 추출물의 조제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공지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인 홉 및/또는 신선초의 과실, 종자, 종피, 꽃, 잎, 줄기, 뿌리 및/또는 뿌리줄기 등을 적당한 시기에 채취한 후, 그 상태 그대로 또는 통상적으로 공기건조 등의 건조공정을 실시한 후 원하는 대로 분쇄하여 추출원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조건으로 원료의 숙성을 실시하여, 숙성 후의 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원료가 식물의 착즙액인 경우는 그대로 추출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추출은, 용매를 사용하여 뱃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홉 및/또는 신선초의 착즙액을 추출물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이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조작을 실시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추출되는 물질 또는 홉 및/또는 신선초의 착즙액을 말한다.
추출용매로는, 물,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등의 친수성 또는 친유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목적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적절한 혼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물이나, 에탄올함유 수(水),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추출용매의 양은 적당히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적으로 원료에 대하여 그 건조물로서의 중량의 1∼100 배 양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도 적절하게 목적에 따라 결정하면 되지만, 수 추출인 경우는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4∼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00℃ 이다. 또한, 용매 중에 에탄올이 포함되는 경우는 4∼6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추출시간도 추출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분∼수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분∼3 시간의 범위가 되도록 원료, 추출용매, 추출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추출 조작은, 예를 들어, 교반하면서 또는 정치하여 실시하면 되고, 또 목적에 따라 수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추출물에 대하여, 목적에 따라 여과, 원심분리, 농축, 한외여과, 분자 체질 등의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 해당추출물의 NGF 생성증강활성은, 후술하는 실시예 3 의 (2)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다.
해당 추출물은, 추출 후 공지의 가공처리를 실시하여, 분말상, 고체상, 액상 중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추출물을 분말상으로 하여, 전술한 분쇄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추출물을 공지 방법에 의해 분획한 획분도 본 발명의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고 있으면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분획 수단으로는 추출, 분별침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진 획분의 정제를, NGF 생성증강활성을 지표로 하여 더욱 진행시킴으로써 NGF 생성증강물질을 단리할 수도 있다. 또, 홉 및/또는 신선초를 공지 방법에 의해 차잎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도 NGF 생성증강활성을 갖고 있으면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추출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식물로부터 상이한 추출법에 의해 얻은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홉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로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홉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잔토휴몰은 홉에 특유하게 포함되는 칼콘의 일종이다.
여기서 「고함유」란, 원료인 홉의 단위중량당 잔토휴몰의 함유량(중량) [홉에 있어서의 잔토휴몰의 함유율(중량%)] 보다도 홉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의 단위중량당 잔토휴몰의 함유량(중량) [홉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 있어서의 잔토휴몰의 함유율(중량%)] 이 많은 것, 즉 원료인 홉보다도 그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서 잔토휴몰이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홉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 있어서의 잔토휴몰의 함유율이 홉에 있어서의 잔토휴몰의 함유율의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배 이상인 것을 말한다. 또한, 홉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 있어서의 잔토휴몰의 함유율에 의해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고함유」란, 그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 중에 잔토휴몰이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함유되는 것을 말한다. 또, 잔토휴몰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잔토휴몰을 고함유하는 홉의 분쇄물은, 예를 들어, 상기 분쇄방법에 의해 홉을 분쇄하여 건조 분말로 함으로써 쉽게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잔토휴몰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는 조직, 예를 들어 꽃 부분을 주된 원료로 하여 건조 분말을 조제하면 된다. 또한, 잔토휴몰을 고함유하는 홉의 추출물은, 예를 들어, 홉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적절히 농축하는 것에 의해, 또는 해당 추출물을 분획하여 NGF 생성증강활성이 높은 획분을 조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잔토휴몰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고함유하는 분쇄물 및 추출물의 조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알칼리 금속염 등의 공존하에 목적으로 하는 추출물 및 분쇄물을 각각 조제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직접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잔토휴몰은 홉으로부터 공지의 정제방법을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정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로는, 신선초 유래의 NGF 생성증강활성을 갖는 성분인 폴리페놀류, 예를 들어 카페인산 메틸에스테르, 카페인산 에틸에스테르, 칼콘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크로만 화합물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을 고함유하는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신선초 유래의 칼콘 화합물로는 잔토안겔롤 (Xanthoangelol)을 예로 들 수 있고, 쿠마린 화합물로는, 7-O-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8-프레닐쿠마린, 7-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6-프레닐쿠마린, 3'-O-β-D-글루코피라노일 케락톤 및 4'-O-안게로일-3'-O-[6-O-(β-D-글루코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케락톤을 예로 들 수 있고, 또한 크로만 화합물로는, 8-카르복실-3-히드록시-5-메톡시-2-디메틸크로만 및 3-히드록시-8-[3-(4-히드록시페닐)-아크릴로일]-5-메톡시-2-디메틸크로만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을 고함유하는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성분을 고함유하는 본 발명의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고함유」란, 원료인 신선초의 단위중량당 상기 성분의 1 이상의 함유량(중량) [신선초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의 함유율(중량%)] 보다도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의 단위중량당 상기 성분의 1 이상의 함유량(중량)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의 함유율(중량%)] 이 많은 것, 즉 원료인 신선초보다도 그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서 상기 성분이 농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서의 상기 성분의 함유율이 신선초에서의 상기 성분의 함유율의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배 이상인 것을 말한다. 또한, 신선초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의 함유율에 의해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고함유」란, 그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 중에 상기 성분이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 함유되는 것을 말한다. 또, 상기 성분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성분을 고함유하는 신선초의 분쇄물 및 추출물 및 상기 성분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고함유하는 분쇄물 및 추출물은, 홉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적절히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유기염기와의 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생물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독성이 없고, 또한 NGF 생성증강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염을 의미한다. 해당 염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 또는 프로톤화된 벤자틴(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콜린,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그라민(N-메틸글루카민), 베네타민(N-벤질페네틸아민), 피페라진 또는 트로메타민(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또, 그 성분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의 조제는, 예를 들어, 상기 방법에 의해 홉또는 신선초로부터 분쇄물 또는 추출물을 얻을 때에 상기 알칼리 금속염 등을 공존시켜 분쇄 또는 추출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지는 홉 또는 신선초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효성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히 독성은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작용 발생의 걱정도 없다. 그러므로, 안전하고 적절하게 NGF 의 생성증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 NGF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다.
NGF 는 신경세포의 생존이나 기능을 유지하거나 NGF 의 농도 구배에 따라서 신경세포를 신장시키기도 하는 내인성 성장인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의해 NGF 의 생성을 증강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 등의 노인 치매증이나 말초신경장애, 뇌혈관장애, 뇌종양, 뇌첨, 두부외상 변성질환, 마취약물중독 등과 같은 신경기능의 수복·재생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당뇨병성 말초신경장애,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약제장애성 말초신경장애, 파킨슨병, 헌팅턴병, 감각신경장애, 색소성 망막증, 황반변성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의 NGF 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으로는,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치료제, 예방제 등에 의해 NGF 의 생성증강을 실시함으로써치료 또는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의약인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상기 예시한 NGF 를 생성증강하는 것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각종 질환에 대하여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은, 그 NGF 생성증강활성에 의해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기억능력의 개선제 또는 향상제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작용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6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NGF 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을 공지의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는, 통상, 상기 유효성분을 경구투여 또는 정맥내투여에 알맞은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목적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및 활택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및 캡슐제 등의 고형제, 및 통상의 액제, 현탁제 및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액상으로 될 수 있는 건조품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그 투여방법을 경구투여 또는 정맥내투여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가 갖는 NGF 생성증강작용을 효과적으로발현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의 실시예 3 의 (2) 에 있어서는 복강내투여를 실시하고 있지만, 정맥내투여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의약용 담체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고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는,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및 과립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로서 전분, 유당, 백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및 무기염 등이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의 조제시에 있어서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환제로 하는 경우는, 목적에 따라 자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당의 또는 위용성 또는 장용성 물질의 필름으로 피복하여도 된다. 액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및 시럽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및 에탄올 등이 담체로서 이용된다. 또, 목적에 따라 추가로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및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도 된다.
한편, 정맥용 투여제로 하는 경우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분을 희석제로서의 주사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주사용 식물유, 참기름, 낙화생유, 대두유, 옥수수유,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용해 내지 현탁시키고, 목적에 따라 살균제, 안정제, 등장화제 및 무통화제 등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용 전에 무균수 또는 무균의 주사용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각종 제제는, 각각 공지의 의약용 담체 등을 이용하여 적당하게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그 투여형태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투여량 범위에서 해당 유효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의약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으로는, 홉 유래의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다. 또한, 신선초 유래의 전술한 폴리페놀류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치료제 및 예방제는, 그것을 내복 및/또는 정맥내 주사하는 것에 의해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의 투여량은, 그 제제형태, 투여방법, 사용 목적 및 해당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대상인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 적당히 설정되므로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성인 1 일당 0.1㎍∼100g/k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mg∼10g/kg 이다. 유효성분으로서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성인 1 일당 바람직하게는 0.01∼1000mg/kg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0mg/k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경구용제 또는 정맥내 주사용제의 사용 양태에 따라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성인 1 일당 0.1mg/kg 이상의 고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는, 잔토휴몰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홉 유래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나, 또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신선초 유래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의 투여량은 성인 1 일당 바람직하게는 0.01∼100g/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g/k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경구용제 또는 정맥내 주사용제의 사용 양태에 따라,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성인 1 일당 0.1mg/kg 이상의 고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는,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신선초 유래의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 또는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투여는, 원하는 투여량 범위내에서 1 일내에 1 회로 또는 수회로 나누어 실시하여도 된다. 투여기간도 임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그대로 경구투여하거나 또는 정맥내투여하는 것 외에, 임의의 음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NGF 생성증강제를 제공할 수도있다. 해당 증강제로는, 상기 유효성분 그 자체이어도 되고 또는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유효성분으로서의 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NGF 생성증강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성분을 해당 유효성분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다른 성분 등과 배합하고,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이러한 증강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해당 증강제의 투여방법, 사용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의 발현을 얻을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NGF 생성증강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으로는, 홉 유래의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다. 또한, 신선초 유래의 전술한 폴리페놀류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증강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의 발현을 얻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투여량 범위내에서 유효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해당 증강제는, NGF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에 있어서의 NGF 의 생성증강에 유용하다. 또한, 해당 증강제는 NGF 에 관련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그리고, 해당 증강제는, NGF 또는 신경세포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하여 이루어지는NGF 생성증강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유효성분의 염으로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것과 동등한 안전성을 갖는 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그 NGF 생성증강작용에 의해 NGF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증상 개선 및 예방에 지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의 효과를 얻는 데에도 지극히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합, 조리, 가공 등은 일반적인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배합, 조리, 가공에 따르면 되고, 이들 제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제조되는, 곡물 가공품 (소맥분 가공품, 전분류 가공품, 프리믹스 가공품, 면류, 마카로니류, 빵류, 팥소류, 메밀류, 밀기울, 쌀국수, 당면 및 포장떡 등), 유지 가공품 (가소성 유지, 튀김유, 샐러드유, 마요네즈류 및 드레싱 등), 대두 가공품 (두부류, 된장 및 대두발효품 등), 식육 가공품 (햄, 베이컨, 프레스햄 및 소시지 등), 수산 제품 (냉동 다진 어육, 어묵, 관모양의 어묵, 다진 어육, 기름에 튀긴 어육, 어육 볼, 시뉴(sinew), 어육햄, 소시지, 가다랭이포, 어란 가공품, 수산 통조림 및 해산물을 간장에 졸인 반찬 등), 유제품 (원료유, 크림, 요구르트, 버터, 치즈, 연유, 분유 및 아이스크림 등), 야채·과일 가공품 (페이스트류, 잼류, 절임 채소류, 과실음료, 야채음료 및 믹스음료 등), 과자류 (초컬릿, 비스켓류, 과자빵류, 케이크, 떡과자 및 쌀과자류 등), 알코올 음료 (일본주, 중국주, 와인, 위스키, 소주, 보드카, 브랜디, 진, 럼주, 맥주, 청량알코올음료, 과실주 및 리큐어 등), 기호음료 (녹차, 홍차, 우롱차, 커피, 청량음료 및 유산음료 등), 조미료 (간장, 소스, 식초 및 미림 등), 통조림·병조림·조림포장 식품 (쇠고기 덮밥, 솥밥, 팥밥, 카레 및 기타 각종 조리완료식품 등), 반건조 또는 농축식품 (리버 페이스트, 기타 스프레드, 메밀국수·우동의 국물 및 농축스프류), 건조식품 (즉석 면류, 즉석 카레, 인스턴트 커피, 분말 쥬스, 분말 스프, 즉석 된장국, 조리완료식품, 조리완료음료 및 조리완료스프 등), 냉동식품 (스끼야끼, 차완무시(일식 계란찜), 장어구이, 햄버거 스테이크, 슈마이, 교자(만두), 각종 스틱 및 후르츠칵테일 등), 고형식품, 액체식품 (스프 등), 향신료류 등의 농산·임산 가공품, 축산 가공품, 수산 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에는 상기 유효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되어 있으며, 그 NGF 생성증강작용을 발현하기 위한 필요량이 포함되어 있으면 특별히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고, 타블렛형, 과립형, 캡슐형 등의 형상과 같이 경구적으로 섭취가능한 형상물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미나리과 이외의 식물, 예를 들어, 야채나 과실 등의 착즙액과 혼합하거나 또는 미나리과 식물과 동시에 착즙하여 건강음료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선초의 착즙액을 물로희석하거나, 당근, 소송채(小松菜), 순무, 청경채, 토마토, 귤, 레몬, 그레이프후르츠, 키위, 시금치, 래디시, 무, 배추, 양배추, 샐러드잎, 양상치, 부추, 아욱, 피망, 오이, 강낭콩, 풋콩, 완두, 옥수수, 마늘, 루꼴라(rucola), 비파, 여름밀감, 감귤 등의 착즙액과 혼합하여 NGF 생성증강용 건강음료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우유, 두유 등과 혼합하여 NGF 생성증강용 건강음료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관능과 활성 발현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식품 중에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6∼90중량% 이고, 예를 들어 음료 중에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6∼90중량% 이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으로는, 홉 유래의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다. 또한, 신선초 유래의 전술한 폴리페놀류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이들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이, 예를 들어 성인 1 일당 바람직하게는 0.001mg∼100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mg∼10g/kg 이 되도록 섭취하면 된다. 또한, 그 유효성분으로서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성인 1 일당 해당 유효성분을 바람직하게는 0.01∼1000mg/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0mg/kg 가 되도록 섭취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식품 또는 음료의 사용양태에 따라,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성인 1 일당 0.1mg/kg 이상 섭취가능하게 하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가 제공된다. 또한, 유효성분으로 신선초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성인 1 일당 해당 유효성분을 바람직하게는 0.01∼100g/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g/kg가 되도록 섭취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식품 또는 음료의 사용양태에 따라,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성인 1 일당 0.1g/kg 이상의 고용량에서의 섭취를 가능하게 하는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하여 이루어지는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생물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별도의 일 양태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생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사육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일 양태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사육용제가 제공된다.
이들 발명에 있어서, 생물이란 예를 들어 양식동물, 애완동물 등으로, 양식동물로는 가축, 실험동물, 가금류, 어류, 갑각류 또는 조개류를 예로 들 수 있다. 사료로는 몸상태의 유지 및/또는 개선용 사료를 예로 들 수 있다. 생물 사육용제로는 침지용제, 사료첨가제 및 음료용 첨가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이들을 적용하는 생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성분의 NGF 생성증강작용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의한 것과 동일한 효과의 발현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료 등은, 생물에 있어서의 NGF 생성증강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는, 상기 생물의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에도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용의 사료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성분은 통상적으로, 대상 생물의 체중 1kg, 1 일당 바람직하게는 0.001mg∼100g,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mg∼10g 으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는, 그 유효성분으로서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대상 생물의 체중 1kg 에 관하여 1 일당 해당 유효성분이 바람직하게는 0.01∼1000m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0mg 투여될 수 있도록 투여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사료의 사용양태에 따라,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대상 생물의 체중 1kg 에 관하여 1 일당 0.1mg/kg 이상 섭취가능하게 하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사료가 제공된다.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신선초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대상 생물의 체중 1kg 에 관하여 1 일당 해당 유효성분이 바람직하게는 0.01∼100g/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0g/kg 투여될 수 있도록 투여하면 된다. 본 발명에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사료의 사용양태에 따라,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대상 생물의 체중 1kg 에 관하여 1 일당 0.1g/kg 이상의 고용량에서의 섭취를 가능하게 하는 신선초 유래의 상기 성분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투여는, 예를 들어, 대상 생물에 제공하는 인공 배합사료의 원료 중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첨가 혼합하여 얻은 본 발명의 사료나 인공 배합사료의 분말원료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얻은 생물 사육용제를 기타 원료에 추가로 첨가 혼합함으로써 사료를 조제하고, 해당 사료를 사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사료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며, 0.001∼90중량% 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사료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으로는, 홉 유래의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이다. 또한, 신선초 유래의 전술한 폴리페놀류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이다.
인공 배합사료로는, 어분, 카제인 및 오징어 분말 등의 동물성 원료, 콩깻묵, 소맥분 및 전분 등의 식물성 원료, 사료용 효모 등의 미생물 원료, 대구 간유 및 오징어 간유 등의 동물성 유지, 대두유 및 채종유 등의 식물성 유지, 비타민류, 미네랄류, 아미노산 및 항산화제 등을 원료로 하는 인공 배합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어육간 것 등의 어류용 사료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의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또 배합도 일반 사료에 준하는 것이면 되며, 제조된 사료 중에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을 풀(pool), 수조, 유지탱크 또는 사육영역의 물, 해수 등에 직접 첨가하여 대상 생물을 침지하는 것에 의해 투여할 수도 있다. 이 침지방법은 대상 생물의 사료섭취량이 저하되었을 때에 특히 유효하다. 물 또는 해수 중의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유효성분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사용하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0.00001∼20중량% 의 비율이 적당하다.또한,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를 사육용 음료로서 대상 생물에 섭취시켜도 된다. 상기 음료 중의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사용하면 되며, 0.0001∼90중량% 의 비율이 적당하다.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생물 사육용제, 예를 들어 침지용제, 사료 첨가제 및 음료용 첨가제는 그 자체 공지의 배합 및 제조법에 의해 제조하면 된다. 상기 생물사육용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생물에는 한정이 없지만, 양식동물로는, 말, 소, 돼지, 양, 염소, 낙타, 라마 등의 가축, 마우스, 래트, 몰모트, 토끼 등의 실험동물, 닭, 집오리, 칠면조 및 타조 등의 가금류, 참돔, 돌돔, 넙치, 가자미, 방어,양식방어, 부시리, 다랑어, 줄전갱이, 은어, 연어·송어류, 자주복(ocellate puffer), 장어, 미꾸라지 및 메기 등의 어류, 보리새우, 타이거 왕새우, 대하 및 꽃게 등의 갑각류 등, 전복, 소라, 가리비 및 굴 등의 조개류, 애완동물로는 개와 고양이 등을 들 수 있으며, 육상·수중동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료를 섭취시키는 것, 또는 NGF 생성증강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유액에 대상 생물을 침지하는 것에 의해, 가축, 실험동물, 가금류, 어류, 갑각류, 조개류 및 애완동물 등의 몸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 생물의 학습·기억능력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별도의 양태로서, NGF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NGF 생성증강제, 또는 NGF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의 사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의 양태로는, 본 발명의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 NGF 생성증강제, 또는 NGF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성분의 사용의 각 양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NGF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또는 NGF 생성증강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성분의 사용으로는, 상기와 같은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및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의 액제, 현탁제 및 유제 등의 액제, 또한,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액상으로 할 수 있는 건조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사용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 양태로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효성분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NGF 생성의 증강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NGF 생성의 증강이 필요하다고 예상되거나 또는 그 필요성이 있는 동물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바람직하게는 상기 NGF 생성증강제로서 투여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투여에 의해 NGF 의 생성을 증강시킨다. 유효성분의 투여방법 및 투여량 등은 상기 NGF 생성증강제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또, NGF 생성의 증강방법에서는,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동물」로는, 예를 들어, 포유동물인 인간, 개, 고양이, 소, 돼지 및 말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인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NGF 생성의 증강방법은, 예를 들어, NGF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NGF 생성증강이나, 생물의 학습·기억능력의 개선 또는 향상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증강방법은 NGF 에 관련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증강방법은 NGF 또는 신경세포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효성분은 그 작용 발현에 있어서의 유효량을 투여하더라도 독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홉 분쇄물, 홉 추출물, 잔토휴몰, 신선초 분쇄물, 신선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를 1g/kg 으로 마우스에 1 회 투여하여도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또 사망예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의해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 는 중량% 를 의미한다.
실시예 1
(1) 시판하는 건조 홉 (체코산 홉 CSA, 미쓰비시상사로부터 구입) 50kg 에 에탄올 500리터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여과에 의해 홉 추출액을 얻었다. 이 홉 추출액을 감압하 농축하여, 농축물 30 리터를 얻었다.
(2) 상기 농축물에 대하여 헥산과 85%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액-액 분배처리를 실시하였다. 85% 에탄올 수용액층을 감압하 농축하여, 농축물 3.5 리터를 얻었다. 농축물을 등량의 클로로포름 : 헥산 (5:2) 에 용해한 후, 실리카겔계 칼럼 (후지실리시아가가쿠(주) 제조; BW-300SP, 수지량 7.0 리터) 를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하였다. 실리카 흡착물을 10 리터의 헥산 : 클로로포름 (1:1) 으로 세정한 후, 12 리터의 클로로포름 : 아세트산에틸 (8:2) 로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감압하 농축하여, 얻어진 농축액 700 밀리리터에 대하여 헥산,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한 재결정을 3 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 37.5g 의 잔토휴몰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신선초의 뿌리 10kg 을 세정하여 3mm 간격으로 절단하였다. 그 후 95℃ 에서의 열수 200 리터중에서 45 초간 가열 살균하였다. 얻어진 신선초 절단물을 -35℃ 에서 2∼3 시간 급속 냉동하고, 그 후 0.5 기압에서 24 시간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신선초 절단물 2kg 을 분쇄기에 의해 120 메시 이상으로 분쇄하여, 2kg 의 신선초 분쇄물을 얻었다.
실시예 3
(1) 마우스 (ddY 계 수컷 7 주령) 및 래트 (SD 계 수컷 7 주령) 을 일본 SLC 사로부터 구입하여, 실시예 1 에 기재된 잔토휴몰의 1 회 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기재의 잔토휴몰을 증류수로 현탁, 희석하여, 10, 100 및 1000 mg/kg 체중으로 경구 또는 복강내투여하였다. 각 군 3 예에서 투여 후 48 시간까지 관찰한 결과, 어느 군에 있어서도 사망예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수컷 SD 래트를 일본 SLC 사로부터 구입하여, 예비 사육 후 7 주령부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잔토휴몰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체중 1kg 당 각각 3, 10mg 의 비율로 강제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각각 1, 3, 10mg 의 비율로 복강내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모든 군에서 4 마리씩, 투여는 연일로 1 일 1 회 실시하고, 강제 경구투여의 경우는 투여 개시로부터 5 일째에 악하선과 뇌를 적출하였다. 복강내투여의 경우는 3 일째의 투여 종료 4 시간 후에 좌골 신경 및 비복근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조직은 균질화하여 원심분리하고, 그 상청의 NGF 함유량을 효소 면역 측정법 (로슈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 4 에 나타낸다. 표 중의 숫자는 4 예의 평균값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또한, * 표시는 Student t 검정에 의해 대조군에 대하여 5% 이하의 위험율에서, ** 표시는 마찬가지로 0.1% 이하의 위험율에서 유의한 차를 가짐을 의미한다.
래트 악하선 중 NGF 함유량 (ng/g 조직)
잔토휴몰 10mg/kg 경구투여군 13.39±0.65 ***
잔토휴몰 3mg/kg 경구투여군 8.88±0.98 ***
대조군 0.11±0.01
평균값 ±표준오차
래트 뇌 중 NGF 함유량 (pg/g 조직)
잔토휴몰 10mg/kg 경구투여군 524.9±200.7
잔토휴몰 3mg/kg 경구투여군 508.2±95.1
대조군 401.3±158.5
평균값 ±표준오차
래트 좌골신경 중 NGF 함유량 (pg/g 조직)
잔토휴몰 10mg/kg 복강내투여군 445.7±59.1
잔토휴몰 3mg/kg 복강내투여군 351.6±26.8
잔토휴몰 1mg/kg 복강내투여군 386.4±30.1 *
대조군 302.9±7.5
평균값 ±표준오차
래트 비복근 중 NGF 함유량 (pg/g 조직)
잔토휴몰 10mg/kg 복강내투여군 56.8±3.3
잔토휴몰 3mg/kg 복강내투여군 53.9±4.0
잔토휴몰 1mg/kg 복강내투여군 48.0±3.4
대조군 45.7±5.4
평균값 ±표준오차
대조군에 비하여, 잔토휴몰 투여군에서는 각 조직 중의 NGF 함유량이 증가되어 있었다. 잔토휴몰의 작용은 악하선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였다. 악하선은 생체내에서의 NGF 생성 조직의 하나라고 보고되어 있어, 투여한 잔토휴몰이 생체 내에서 NGF 의 생성을 촉진하여 함유량이 증가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뇌 중 및 말초신경과 좌골신경의 지배근인 비복근 중에 있어서도 NGF 함유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잔토휴몰은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에서도 NGF 생성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강내투여에 있어서 이들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정맥내투여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4
수컷 SD 래트를 일본 SLC 사로부터 구입하여, 예비 사육 후 7 주령부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에 기재된 신선초 분말을 1% 의 비율로 분말 사료에 섞어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대조군에는 분말 사료를 공급하였다. 모든 군에서 4 마리씩을 사용하고, 투여 개시로부터 5 일째에 비복근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조직은 균질화하여 원심 분리하고, 그 상청의 NGF 함유량을 효소 면역 측정법 (로슈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중의 숫자는 4 예의 평균값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또한, * 표시는 Student t 검정에 의해 대조군에 대하여 5% 이하의 위험율에서 유의한 차를 가짐을 의미한다.
래트 비복근 중 NGF 함유량 (pg/g 조직)
1% 신선초 투여군 83.2±3.2 *
대조군 71.2±3.1
평균값 ±표준오차
대조군에 비하여, 신선초 투여군에서는 비복근 중의 NGF 함유량이 증가되어 있었다. 비복근은 말초 신경의 지배근이기 때문에, 신선초가 말초 신경계에서의 NGF 생성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말 사료의 섭취량으로부터 유효투여량을 산출한 결과, 신선초 분말의 유효투여량은 0.75g/kg/일 이었다.
실시예 5
수컷 SD 래트를 일본 SLC 사로부터 구입하여, 예비 사육 후 6 주령부터 실험에 사용하였다. 스트렙토조토신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을 체중 1kg 당 60mg 복강내에 투여하여 당뇨병을 야기하였다.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5 일째의 혈당치에 의해 군을 나누고, 투여를 시작하였다. 실시예 2 의 신선초 분쇄물을 1% 의 비율로 분말 사료에 섞어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당뇨병 대조군에는 분말 사료만을 공급하였다. 또한,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분말 사료만을 공급하였다. 각 군에는 4∼6 마리씩을 사용하여 투여를 계속하고, 투여 개시로부터 4 주째에 좌골 신경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조직은 균질화하여 원심분리하고, 그 상청의 NGF 함유량을 효소 면역 측정법 (로슈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표 중의 숫자는 4∼6 예의 평균치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대조군 래트 좌골신경 중 NGF 함유량 (pg/g 조직)
당뇨병 대조군 496.9±41.4
1% 신선초 투여군 627.8±51.5
대조군 839.5±135.6
평균값 ±표준오차
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병 대조군에서는 고혈당의 지속에 따라 말초신경에 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에, 좌골신경 중의 NGF 함유량이 감소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신선초 투여군에서는 당뇨병 대조군보다 신경 중의 NGF 함유량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것에 의해, 신선초 분쇄물의 투여에 의해 말초신경계에서의 NGF 생성이 증강되어, 당뇨병성 말초신경장애의 정도가 경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말 사료의 섭취량으로부터 유효투여량을 산출한 결과, 신선초 분쇄물의 유효투여량은 1.6g/kg/일 이었다.
실시예 6
수컷 Wistar 래트를 일본 SLC 사로부터 구입하고, 예비 사육 후 7 주령부터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보테닉산을 뇌 내에 투여하여 학습 기억장애를 야기하였다. 각 군에는 9 마리씩을 사용하고, 이보테닉산 투여 1 주 후부터 투여를 시작하였다. 실시예 1 의 잔토휴몰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체중 1kg 당 10mg 의 비율로 강제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는 연일로 1 일 1 회 실시하였다. 투여 개시로부터 7 일째 이후에 수 미로(水迷路) 시험을 실시하여 공간이나 방향을 인식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수 미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대형 수조에 22℃ 전후의 물을 넣고, 수면하 2cm 의 높이에 플랫폼을 설치하여 래트를 입수시켰다. 입수한 래트는 물로부터 벗어나려고 계속 헤엄쳐, 플랫폼 상으로 도피한다. 입수하고 나서 플랫폼으로 도피하기까지의 시간을 기록하였다. 도피 후는 플랫폼 상에서 주위 환경을 관찰시켰다. 미로 시행은 1 회째 실시한 후, 그 다음날에 2 회째의 미로 시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투여군 시간 (초)
1 회째 2 회째
대조군 133.7±17.5 133.4±10.0
잔토휴몰 투여군 140.7±14.7 71.3±10.8
평균값 ±표준오차
일정한 조건에서 시행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래트는 주위 환경과 관련하여 플랫폼의 위치를 학습하고 기억한다. 표 7 로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잔토휴몰 투여군에서는 도피시간이 단축되었다. 즉, 잔토휴몰 투여군에서는 뇌장애에 대한 보호작용에 의해 공간이나 방향을 인식하는 능력이 높아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표 8 의 배합으로 타정기를 사용하여, 타정시의 압력 3000kg/cm2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신선초의 잎과 뿌리를 주체로 하는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정제 (200mg/정) 를 제조하였다.
배합 (1 정당)
신선초잎 분말 (mg) 50
신선초뿌리 분말 (mg) 35
결정 셀룰로오스 (mg) 76
전분 (mg) 34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mg) 4
탄산칼슘 (mg) 1
200
실시예 8
표 9 의 배합으로 타정기를 사용하여, 타정시의 압력 3000kg/cm2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홉의 꽃을 주체로 하는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정제 (200mg/정) 를 제조하였다.
배합 (1 정당)
홉 분말 (mg) 170
결정 셀룰로오스 (mg) 18
전분 (mg) 2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mg) 10
200
실시예 9
표 10 의 배합으로 타정기를 사용하여, 타정시의 압력 3000kg/cm2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신선초의 잎과 뿌리를 주체로 하는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삼각 타정 (200mg/정) 을 제조하였다. 타정품은 신선초의 잎의 향미와 뿌리의 향미가 균형있게 배합되어, 깊은 향미가 있었다.
배합 (1 정당)
신선초잎 분말 (mg) 33
신선초뿌리 분말 (mg) 22
결정 셀룰로오스 (mg) 55
환원 맥아당 (mg) 51
전분 (mg) 34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mg) 4
탄산칼슘 (mg) 1
200
실시예 10
표 11 의 배합으로 타정기를 사용하여, 타정시의 압력 3000kg/cm2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홉을 주체로 하는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삼각 타정 (200mg/정) 을 제조하였다. 타정품은 홉의 쓴맛에 향료 (페퍼민트) 에 의해 산뜻하고 상쾌한 맛을 갖는 향미로 마무리되었다.
배합 (1 정당)
홉 분말 (mg) 120
결정 셀룰로오스 (mg) 10
사탕 (mg) 45
환원 맥아당 (mg) 10
전분 (mg) 1
향료 (페퍼민트) (mg) 4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mg) 10
200
본 발명에 의해,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 또는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에 유효한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의약이 제공된다. 이 의약은 치매증 또는 신경장애 등과 같은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제,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가 제공된다. 이 식품 또는 음료를 일상의 음식품으로서 섭취함으로써,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증상 개선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사료는 그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작용에 의해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 유용한 사료이다.
또, 이들 본 발명의 의약 등은, 생물 개체의 학습·기억능력의 향상 또는 개선에 유효하다.

Claims (15)

  1. 홉 (hop)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치료제 또는 예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홉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이, 잔토휴몰 (xanthohumol)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高)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
  3.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치료제 또는 예방제.
  4.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또는 정맥내투여용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제.
  5. 제 4 항에 있어서, 홉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이,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제.
  6.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제.
  7. 홉 및/또는 신선초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8. 제 7 항에 있어서, 홉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이,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
  9.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성장인자의 생성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10.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제 또는 개선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홉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이,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제 또는 개선제.
  12.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제 또는 개선제.
  13. 홉 및/또는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용 또는 개선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14. 제 13 항에 있어서, 홉으로부터 얻어지는 분쇄물 및/또는 추출물이,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고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
  15. 잔토휴몰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기억능력의 향상용 또는 개선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KR10-2004-7000366A 2001-07-13 2002-07-12 치료제 KR200400131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3255 2001-07-13
JP2001213255 2001-07-13
PCT/JP2002/007095 WO2003006037A1 (fr) 2001-07-13 2002-07-12 Medicaments de trait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137A true KR20040013137A (ko) 2004-02-11

Family

ID=1904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366A KR20040013137A (ko) 2001-07-13 2002-07-12 치료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19238A1 (ko)
EP (1) EP1415657A4 (ko)
JP (1) JPWO2003006037A1 (ko)
KR (1) KR20040013137A (ko)
CN (1) CN1527717A (ko)
TW (1) TWI239245B (ko)
WO (1) WO20030060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696B1 (ko) * 2007-12-14 2010-04-07 (주)풀무원홀딩스 모노아민산화효소 억제제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1868B1 (ko) * 2010-12-17 2014-08-27 주식회사 풀무원 신선초 뿌리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6614A1 (fr) * 2000-04-10 2001-10-18 Takara Bio Inc. Remedes
WO2004043475A1 (ja) * 2002-11-12 2004-05-27 Takara Bio Inc. 学習・記憶能力の向上剤
DE102004063125B4 (de) 2004-12-22 2007-03-15 Ta-Xan-Ag Natürlicher Xanthohumol-haltiger Extrakt sowie das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araus hergestellte Getränke
KR20080063748A (ko) * 2005-07-29 2008-07-07 바이오액티브스, 인코포레이티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 제형
CA2611389C (en) 2005-07-29 2015-02-17 Tima Foundation Composition for moderating alcohol metabolism and for reducing the risk of alcohol induced diseases
WO2007016949A1 (en) * 2005-07-29 2007-02-15 Matuschka-Greiffenclau Markus Composition for reducing the risc of alcohol induced neuropathy
DE102006062264A1 (de) * 2006-12-22 2008-06-26 Joh. Barth & Sohn Gmbh & Co. Kg Verwendung von Xanthohumol zur Vorbeugung und/oder Bekämpfung von Lebererkrankungen
JP2009107965A (ja) * 2007-10-30 2009-05-21 Maruzen Pharmaceut Co Ltd セラミド合成促進剤、並びに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US9006293B2 (en) 2008-02-27 2015-04-14 Flaxan Gmbh & Co. Kg Compositions containing xanthohumol-cyclodextrin complexes
US9527860B2 (en) 2011-06-17 2016-12-27 Ludwig Aigner Chromane-like cyclic prenylflavonoids for the medical intervention in neurological disorders
JP6124400B2 (ja) * 2013-02-28 2017-05-10 公益財団法人東京都農林水産振興財団 烏骨鶏の肉質改善方法
CN103432229B (zh) * 2013-09-16 2016-07-13 邛崃市医疗中心医院 一种防治老年痴呆症的药物组合物
JP2018104414A (ja) * 2016-12-22 2018-07-0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タウタンパク質凝集阻害用組成物
CN109430753A (zh) * 2018-10-17 2019-03-08 杭州师范大学 一种方便速食营养果蔬多彩卷粉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812B2 (ja) * 1990-12-11 1995-11-29 財団法人喫煙科学研究財団 神経成長因子生合成促進剤
JPH0578384A (ja) * 1991-03-27 1993-03-30 Taisho Pharmaceut Co Ltd フラボノール誘導体
JP2816664B2 (ja) * 1996-01-11 1998-10-27 ノブヨシ ハギノ 抗痴呆症剤
DE19939350B4 (de) * 1999-08-19 2005-04-07 Plantextrakt Gmbh & Co. Kg Hopfenextra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01076614A1 (fr) * 2000-04-10 2001-10-18 Takara Bio Inc. Remedes
EP1283037A4 (en) * 2000-04-11 2006-02-22 Takara Bio Inc REMED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696B1 (ko) * 2007-12-14 2010-04-07 (주)풀무원홀딩스 모노아민산화효소 억제제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1868B1 (ko) * 2010-12-17 2014-08-27 주식회사 풀무원 신선초 뿌리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7717A (zh) 2004-09-08
EP1415657A4 (en) 2005-09-14
JPWO2003006037A1 (ja) 2004-10-28
TWI239245B (en) 2005-09-11
WO2003006037A1 (fr) 2003-01-23
US20040219238A1 (en) 2004-11-04
EP1415657A1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02423A1 (en) Remedies
US20060193962A1 (en) Preventive or remedy for arthritis
KR20030069991A (ko) 항상성 유지제
KR20040013137A (ko) 치료제
JP4410555B2 (ja) 治療剤
KR20060018219A (ko) 치료제
EP1254658A1 (en) Remedies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JPWO2008123417A1 (ja) 抗疲労剤
JP4751066B2 (ja) 治療剤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244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418319B1 (ko) 애완동물용 스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5927B1 (ko) 치료제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79698B1 (ko) 혈당강하기능을 갖는 청전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JP2007084503A (ja)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230090787A (ko) 누에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9631A (ko)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6486A (ko) 설포라핀이 증대된 내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70087064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2003252782A (ja) Nk細胞活性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