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211A -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211A
KR20040011211A KR1020020044690A KR20020044690A KR20040011211A KR 20040011211 A KR20040011211 A KR 20040011211A KR 1020020044690 A KR1020020044690 A KR 1020020044690A KR 20020044690 A KR20020044690 A KR 20020044690A KR 20040011211 A KR20040011211 A KR 2004001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egg
coffee
coffee mak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318B1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318B1/ko
Priority to RU2003106141/09A priority patent/RU2250574C2/ru
Priority to US10/378,752 priority patent/US6737620B2/en
Priority to CN03119837.6A priority patent/CN1243929C/zh
Priority to JP2003058588A priority patent/JP3742392B2/ja
Priority to EP03004847A priority patent/EP1343356B1/en
Publication of KR2004001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802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heating fluids
    • H05B6/804Water heaters, water boi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3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flow through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32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with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 A47J31/4435Heated support plates
    • A47J31/4442Heated support plates in combination with a continuous-flow heater for the water
    • A47J31/445Heated support plates in combination with a continuous-flow heater for the water an electrical heating element being used for the flow-through 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실 내부 공간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전장실(10a)의 전방에 설치되며,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싱(21)과, 상기 케이싱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과 종이필터가 설치되는 공간이 각각 분리 형성된 수용탱크(30)와, 상기 수용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종이필터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급수호스(40)와, 상기 케이싱(21)의 바닥면에 급수호스(40)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급수호스(40)에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43)와, 상기 수용탱크(30)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이필터에 담긴 커피재료로부터 추출된 커피가 하부로 흘러내릴 때에 이를 수용하는 저그(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having coffee maker}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요리를 하는 장치이다.
이하,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대상물이 그 내부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가열되는 캐비티(2)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2)는 캐비티 어셈블리(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캐비티(2)는 캐비티 도어(3)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캐비티(2)의 일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설치되는 전장실(10)이 구비되며, 상기 전장실(10)은 캐비티(2)의 일측면과 아웃케이스(4)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10)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1)과, 상기 마그네트론(11)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트랜스(12), 그리고 상기 캐비티 내부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가열된 구성 부품들을 냉각시키는 송풍팬(13)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조리대상물을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가열할 수 있을 뿐 커피 메이킹 기능과 같은 다기능 전자레인지가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전자레인지에 커피 메이커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전자레인지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전자레인지는 기능의 다양화와 동시에 컴팩트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피메이커가 구비되어 다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컴팩트한 외형을 가지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자레인지의 커피메이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a는 도 3에 나타난 커피토출밸브인 "A"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b는 도 3에 나타난 급수밸브인 "B"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가열장치 및 급수노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그에 설치되는 계란지지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저그에 설치되는 계란지지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 전장실 21 : 케이싱
21a : 탑재부 22 : 전면 프레임 케이스
30 : 수용탱크 31 : 필터캡부
31a : 커피토출홀 32 : 커버
40 : 급수호스 41 : 일단부
42 : 체크밸브 43 : 가열장치
50 : 저그 51 : 커버
51a : 유입홀 52 : 테두리부재
60 : 커피토출밸브 61 : 개폐부재
70 : 급수밸브 71 : 밸브 몸체
82a : 걸이부 83 : 계란지지부재
83a : 제1계란지지부재 83b : 제2계란지지부재
84 : 힌지부 85a,85b : 후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 대상물을 넣고 가열하기 위한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및 고전압 트랜스와 같은 구성 부품들이 설치되는 전장실을 구비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설치되며,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 및 종이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캡부가 각각 분리 형성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를 케이싱에 안착시킬 때에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필터캡부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급수호스에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수용탱크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캡부에서 추출된 커피가 하부로 흘러내릴 때에 이 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저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장실의 전방에 커피메이커를 구비하며, 상기 커피메이커는 커피를 만들뿐만 아니라 계란을 삶거나 다른 종류의 차를 만들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에 관해 참조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레인지의 커피메이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레인지는 조리 대상물을 넣고 가열하기 위한 캐비티(2)와, 상기 캐비티(2)의 일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구성 부품들이설치되는 전장실(10a)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0a)에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 wave)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1)과, 상기 마그네트론(11)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트랜스(12), 그리고 상기 캐버티의 내부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11)과 고전압 트랜스(12)와 같은 구성 부품들을 냉각시키는 송풍팬(13) 등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장실(10a)의 후방에는 마그네트론(11) 및 고전압 트랜스(12)와 같은 구성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전장실(10a)의 전방에는 커피메이커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전장실 전방에 커피메이커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마그네트론이나 고전압 트렌스를 전장실의 후방에 보다 조밀하게 설치해야만 한다. 이러한 전장실의 조밀한 구조 때문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구성 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종래 보다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는 상기 전장실(10a)의 전방에 설치되며,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싱(21)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수용탱크(30), 급수호스(40), 가열장치(43) 및 저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탱크(30)는 상기 케이싱(21)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와 종이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캡부(31)가 각각 분리 형성되며, 상기 급수호스(40)는 수용탱크(30)를 케이싱(21)에 안착시킬 때에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필터캡부(31)에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열장치(43)는 급수호스(40)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급수호스에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며, 상기 저그(50)는 수용탱크(30)의 하부에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캡부(31)에서 추출된 커피가 하부로 흘러내릴 때에 이 커피를 받아 저장한다.
이러한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싱(21)에는 수용탱크(3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21) 양측면에 내향으로 돌출된 탑재부(21a)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탱크(30)에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된 필터캡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탱크(30)는 종이필터가 설치되는 공간부와 물이 담기는 공간부가 분리 형성되며, 상기 필터캡부(31)에 커피재료를 담는 종이필터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상기 수용탱크(30)는 커피재료를 담는 필터캡부(31)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을 담는 수용탱크와 필터캡부가 분리 설치되는 구조에 비하면 설치공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장실(10a)의 전방에 형성된 한정적인 공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용량을 갖는 커피메이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탱크(30)의 상면 일측에는 수용탱크(30)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도록 급수뚜껑(33)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용탱크(30)의 개구부 중에서 필터캡부(31)를 제외한 개구된 부분에는 커버(3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32)의 일측에는 물을 담는 공간부에 대응되도록 급수뚜껑(33)이 설치된다.
상기 전장실(10a)의 개구부에는 도 2와 같이 캐비티 도어(3)와 연속면을 갖도록 전면 프레임 케이스(22)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탱크(30)의 전면(34)은 프레임 케이스(22)와 연속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 프레임 케이스(22)와 수용탱크의 전면(34)은 캐비티 도어(3)와 동일한 색상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캡부(31)의 하면에는 점선 A와 같이 저그(50)를 안착시킬 때에 상기 저그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개방되도록 커피토출밸브(60)가 설치되며, 상기 수용탱크(30)의 후면 하부에는 점선 B와 같이 급수호스의 일단부(4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개방되도록 급수밸브(7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70)를 통해 급수호스(40)로 유입된 물은 가열장치(43)에 의해 가열된 후에 필터캡부(31)에 유입되며, 상기 필터캡부(31)에 유입된 물은 종이커버에 담겨진 커피재료에 의해 커피가 된다. 이 커피는 커피토출밸브(60)를 통해 저그(50)에 유입되어 사용자가 언제나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피토출밸브 및 급수밸브와 급수호스의 설치 구조에 관해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도 3에 나타난 커피토출밸브인 "A"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나타난 급수밸브인 "B"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가열장치 및 급수노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커피토출밸브(60)는 필터캡부(31)의 하면에 형성된 커피토출홀(31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저그(50)를 안착시킬 때에 저그(5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커피토출홀(31a)을 개방시키는개폐부재(61)와, 상기 개폐부재(61)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61)의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여 상기 저그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커피토출홀(31a)을 폐쇄시키는 탄성부재(6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61a)는 커피토출홀(31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62)는 필터캡부(31)의 하면과 개폐부재(61)의 하단부(61b)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그(50)를 인출하면 탄성부재(6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61)의 상단부(61a)가 커피토출홀(31a)을 폐쇄시키고, 상기 저그(50)를 안착시키면 탄성부재(62)가 압축됨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61)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커피토출홀(31a)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커피토출홀(31a)의 테두리부에는 오링(64)이 고정 설치되어 커피토출홀(31a)을 긴밀하게 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61)의 하단부(61b)는 다수개의 홀(61c)이 형성된 캡형상(cap shape)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61b)는 커피토출홀(31a)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는 커피를 수렴하여 상기 홀(61c)들을 통해 저그(50)에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저그(50)의 하면과 저그(50)의 유입홀(51a) 간의 거리는 상기 케이싱(21) 바닥면과 개폐부재의 하단부(61b) 간의 거리보다 커야 한다. 이는 저그(50)를 케이싱(21)에 안착시킬 때에 상기 저그(50)의 유입홀(51a)에 의해 개폐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커피토출밸브는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저그를 케이싱내에 안착시킬 때에 가압됨에 따라 커피토출홀을 개방시키는 다양한 밸브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밸브(70)는 수용탱크(30)의 측벽면 하부에 고정되며, 양단부가 개방된 밸브 몸체(71)와, 상기 밸브 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40)의 일단부(41)에 의해 가압될 때에 유로를 개방시키는 차단판(72)과, 상기 차단판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40)의 가압이 해제되면 차단판(72)을 밸브 몸체(71)의 외측 일단부 측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폐쇄시키는 탄성부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3)의 일단부는 차단판(72)을 지지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또, 상기 밸브 몸체의 외측 일단부는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차단판(73)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호스의 일단부(41)에는 가압돌출부(41a)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탱크(30)를 케이싱(21) 내에 안착시킬 때에 상기 가압돌출부(41a)가 차단판(72)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21)의 바닥면 및 양측면에 가이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탱크(30)를 케이싱(21) 내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상기 수용탱크(3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 상기 급수밸브(70)가 급수호스의 일단부(4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70)가 급수호스의 일단부(41)에 삽입되면, 상기가압돌출부(41a)가 차단판(72)을 내측으로 밀어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수용탱크(30)에 저장된 물이 급수밸브(70)를 통해 급수호스(40)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 몸체(71)의 외측 일단부에는 오링(74)을 설치하여, 상기 차단판(72)에 의해 유로가 긴밀하게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호스의 일단부(41) 내주면에도 오링(41b)을 설치하여, 상기 급수밸브(70)의 외측면과 급수호스(40)의 일단부(41)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밀폐시킨다.
상기 급수호스(40)는 도 5와 같이 일단부(41)가 케이싱(21)의 상부(61a)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필터캡부(3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호스(40)는 케이싱(21)의 후면과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21)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급수호스 부분(40a)은 가열장치(43)를 구성하는 열선과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이 급수호스 부분(40a)과 열선은 열전달부재(미도시)에 의해 열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케이싱(21) 하면에는 가열장치(43)에서 전도된 열이 저그(50)에 전달되도록 가열판(44)을 설치하며, 상기 열전달부재는 케이싱(21)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열판(44)과 열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선에서 발생될 열이 급수호스와 가열판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급수호스(40)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체크밸브(42)를 설치한다. 즉, 상기 체크밸브(42)는 급수호스의 일단부(41)와 가열장치(43)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체크밸브(42)는 급수호스에 유입된 물이 가열장치(43)에 의해 가열 팽창되더라도 상기 팽창된 물이 필터캡부(31)로만 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그(5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필터캡부(31)에서 토출된 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테두리부재(52) 및 상기 테두리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52)는 몸체(51)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대략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며, 손으로 잡고 저그를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2a)가 연결된다. 상기 커버(53)는 몸체의 개구된 상단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캡부(31)의 커피토출홀(31a)에 대응되도록 유입홀(53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수용탱크(30)에 물을 채운 후 상기 수용탱크(30)를 케이싱(21)의 탑재부(21a)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수용탱크의 급수밸브(70)는 급수호스의 일단부(41)에 삽입됨에 따라 개방되며, 상기 커피토출밸브(60)는 저그의 유입홀(51a)에 의해 가압되면서 개방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가열장치(43)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급수호스(40)에 유입된 물은 가열장치(43)에 의해 가열되어 팽창되고, 이 팽창된 물은 급수호스(40)의 안내에 의해 필터캡부(31)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급수호스에 설치된 체크밸브(42)는 물이 일방향, 다시 말해 필터캡부(31) 측으로만 유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필터캡부(31)에 유입된 물은 커피재료와 혼합된 다음에 종이필터를 통과하고, 개방된 커피토출밸브(60)를 통해 저그(5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종이필터에는 커피찌꺼기가 남게된다.
상기기 케이싱(21)의 바닥면에는 가열장치(43)와 접촉된 가열판(44)이 설치되므로, 상기 가열판(44)에 의해 저그(50)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뜨거운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관해 참조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저그에 설치되는 계란지지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저그에 설치되는 계란지지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저그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저그(80)는 필터캡부(31)에서 흘러내리는 물를 받아 저장하는 몸체(81)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는 계란지지부재(83)와,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테두리부재(82)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83)는 몸체(81)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대략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어 몸체의 테두리를 이룬다. 이러한 테두리부재에는 손잡이부(88)가 연결된다.
상기 계란지지부재(83)는 몸체(81)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란(E)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계란이 몸체 내의 뜨거운 물에 접촉되도록 대략 그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계란지지부재(83)는 몸체(81)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한정되며, 이에 따라 계란의 수용 개수도 변경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87)는 테두리부재(82)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캡부(31)에 대응되도록 유입홀(5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저그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그의 몸체(81)는 내부에 담긴 커피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재질로는 내열성 유리재질이나 내열성 플라스틱을 적용한다.
상기 계란지지부재(83)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에 계란(E)을 넣고 상호 체결함에 따라 각 계란의 절반을 각각 지지하는 제1계란지지부재(83a) 및 제2계란지지부재(83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2계란지지부재(83a,83b)는 길이방향에 평행한 세로부재(V) 및 길이방향에 대략 수직한 가로부재(H)가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망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망형상에서 구멍의 크기나 연결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83a,83b)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일측변부에는 힌지부(84)를 설치하고, 타측변부에는 제1,2계란지지부재를 체결함에 따라 상호 구속하도록 후크부(85a,85b)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계란지지부재(83a)에계란(E)을 안착시킨 후에 상기 힌지부(84)를 중심으로 제2계란지지부재(83b)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계란지지부재(83a)를 제2계란지지부재(83b)가 덮이도록 한 후에 후크부(85a,85b)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계란지지부재와 제2계란지지판 사이에 계란(E)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83a,83b)는 도 7과 같이 내측에 계란(E)을 2열로 안착시키도록 2열의 안착열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2계란지지부재에는 안착된 계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로부재(H)를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 가로부재(H)는 계란지지부재(83)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계란(E)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계란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착열 공간부는 폭이 계란의 단방향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부재(H)는 계란의 장방향 양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로부재(H)가 계란의 장방향 양측의 어느 부분을 지지할 것인지를 고려하여 가로부재의 위치와 돌출 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21)은 전장실(10a) 내에 제한적인 크기로 설치되고, 상기 저그(50) 또한 케이싱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저그(5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높이를 고려하여 계란(E)의 설치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계란지지부재(83)의 길이 및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계란지지부재(83)에는 도 7과 같이 계란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계란(E)의 장방향이 평행하도록 계란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폭은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상기 계란지지부재는 계란을 2열로 배열하여 저그(50)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동일 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개수의 계란을 삶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그(50)가 전자레인지의 좌우방향에 대해 충분히 크게 형성되면, 상기 계란(E)은 장방향이 전자레인지의 좌우방향에 평행하게 안착되도록 계란지지부재(83)의 구조를 변경시킬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저그(80)에 계란이 담긴 상태로 케이싱(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 때에, 상기 계란(E)은 장방향이 전자레인지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계란지지부재(83)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케이싱(21)의 내부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구조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계란지지부재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계란지지부재(83)는 제1,2계란지지부재(83c,83d)로 구성되며,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83c,83d)는 내측에 계란(E)을 1열로 안착시키도록 1열의 안착열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2계란지지부재(83c,83d)에는 안착된 계란(E)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로부재(H)를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계란(E)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안착열 공간부의 폭은 계란(E)의 장방향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부재(H)는 계란의 단방향 양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계란지지부재(83)는 계란(E)을 1열로 배열하는 구조 이외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계란지지부재(83)는 저그(8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테두리부재(82)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면에는 걸이부(82a)가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일단부에는 걸림부(86)가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82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걸림부(86)는 저그(80)에 계란(E)을 삶는 물의 수면 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계란을 삶은 후에 걸림부(86)를 잡고 계란지지부재(83)를 꺼내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계란지지부재(83a)에 계란(E)을 안착시킨 후에 제2계란지지부재(83b)를 힌지부(84)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된 후크부(85a,85b)를 체결한 후에 계란지지부재를 저그(80)에 넣는다.
이때, 사용자가 계란 삶음 버튼을 조작하면, 마이컴은 가열장치(4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급수호스(40)에 유입된 물을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된 물은 필터캡부(31)와 커피토출밸브(60)를 거쳐 저그(80)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은 체크밸브(42)를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커피메이커가커피 메이킹 모드 또는 계란 삶는 모드로 운전될 때에 저그(8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각각 달리한다.
이는 계란(E)의 부피만큼 저그(8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저그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마이컴에 계란 삶는 온도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상기 계란을 소비자가 선택한 바에 따라 완숙이나 반숙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계란이 선택한 바대로 삶아지면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계란이 삶아지면 사용자는 저그(80)를 인출하여 계란지지부재의 걸림부(86)를 잡고 꺼낸다.
이러한 구조의 커피메이커는 적은 개수의 계란을 삶을 때에 간편히 계란을 삶아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계란을 삶지 않고 커피를 끊일 때에는 상기 계란지지부재(83)만을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저그(90)는 필터캡부(31)에서 흘러내리는 물를 받아 저장하는 몸체(91)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대략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어 몸체의 테두리를 이루며, 내측면에는 내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지지부(92a)가 형성된 테두리부재(92)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지지부(92a)에 탑재되며 차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부재(93)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캡부에 대응되도록 유입홀(94a)이 형성되는 커버(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재(93)는 차재료를 담으며 물이 투과할 수 있는 필터(93a)와, 상기 필터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지지부(92a)에 올려놓음으로써 필터(93a)를 고정하는 고정부재(93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재(92)의 지지부(92a)에 고정부재(93b)를 설치한 후에 상기 필터(93a)에 차재료를 소정 량 넣고 커버(94)를 닫는다. 이러한 저그(92)를 케이싱(21)에 안착시키면 차재료가 뜨거운 물에 잠겨 차를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재료는 말린 차잎을 봉지에 담아 차잎을 물에 직접 넣고 우려낸 후에 마실 수 있는 제품과, 차잎을 일정한 가공을 통해 티백에 넣고 간편히 마실 수 있는 제품들이 있다.
이러한 티백 제품은 티백에 실이 연결되어 차를 우려낸 다음에 실을 잡고 빼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92a)에는 대략 쐬기 형상의 실고정홈(92b)을 형성하여, 상기 티백에 연결된 실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어떠한 종류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저그 내에서 차를 우려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전장실의 전방에 컴팩트하게커피메이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커피메이커는 커피를 끓일 뿐만 아니라 계란을 삶거나 다양한 종류의 차를 끊일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커피메이커를 갖는 전자레인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커피메이커를 설치하므로 상기 전자레인지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서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는 별도의 커피메이커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별도의 커피메이커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실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커피메이커에서 수용탱크에 물를 넣는 공간부와 종이필터를 넣는 공간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피메이커의 부피를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전장실의 제한된 공간 내에 커피메이커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커피메이커 계란을 삶는 기능과 커피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차를 끓일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의 기술적인 관건인 컴팩트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넷째, 상기 커피메이커는 저그의 높이 및 폭 등이 공간상 제한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한정되더라도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공간상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5)

  1. 조리 대상물을 넣고 가열하기 위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및 고전압 트랜스와 같은 구성 부품들이 설치되는 전장실을 구비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 설치되며,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 및 종이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캡부가 각각 분리 형성된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를 케이싱에 안착시킬 때에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필터캡부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급수호스에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수용탱크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캡부에서 추출된 커피가 하부로 흘러내릴 때에 이 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저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에는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탱크를 안착시키도록 탑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부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의 상면 일측에는 수용탱크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도록 급수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부의 하면에는 저그를 안착시킬 때에 상기 저그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개방되도록 커피토출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탱크의 후면 하부에는 저그를 안착시킬 때에 급수호스의 일단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개방되도록 급수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토출밸브는:
    상기 필터캡부의 하면에 형성된 커피토출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저그를 안착시킬 때에 저그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커피토출홀을 개방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여 상기 저그에 의한 가압 해제시 커피토출홀을 폐쇄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토출홀의 테두리부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에 의해 커피토출홀이 긴밀하게 폐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수용탱크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며, 양단부가 개구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의 일단부에 의해 가압될 때에 유로를 개방시키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의 가압이 해제되면 차단판을 밸브 몸체의 외측으로 가압하여 유로를 폐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외측 일단부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에 의해 유로가 긴밀하게 폐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호스의 일단부에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탱크를 케이싱 내에 안착시킬 때에 상기 가압돌출부가 차단판을 가압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호스에는 수용탱크 측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급수호스의 일단부와 가열장치 사이에 체크밸브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하면에는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장치와 접촉됨과 아울러 저그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가열판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그는:
    상기 필터캡부에서 토출된 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대략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몸체의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어 몸체의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단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캡부의 커피토출홀에 대응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그는:
    상기 필터캡부에서 흘러내리는 물를 받아 저장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대략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어 몸체의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란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계란이 몸체 내의 뜨거운 물에 접촉되도록 대략 그릴 형상을 갖는 계란지지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캡부에 대응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지지부재는 내부에 계란을 넣고 상호 체결함에 따라 각 계란의 절반을 각각 지지하는 제1계란지지부재 및 제2계란지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일측변부에는 힌지부를 설치하고, 타측변부에는 제1,2계란지지부재를 체결함에 따라 상호 구속하도록 후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는 내측에 계란을 2열로 안착시키도록 2열의 안착열 공간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에는 안착된 계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로부재를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계란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열 공간부의 폭은 계란의 단방향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재는 계란의 장방향 양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는 내측에 계란을 1열로 안착시키도록 1열의 안착열 공간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계란지지부재에는 안착된 계란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로부재를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계란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열 공간부의 폭은 계란의 장방향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재는 계란의 단방향 양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면에는 걸이부가 내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란지지부재의 일단부에는 걸림부가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에 걸리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그는:
    상기 필터캡부에서 흘러내리는 물를 받아 저장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단부와 대응되도록 대략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어 몸체의 테두리를 이루며, 내측면에는 내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어 차재료가 담긴 필터부재를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캡부에 대응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필터에 연결된 실을 끼워 고정하도록 대략 쐬기 형상의 실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KR10-2002-0044690A 2002-03-05 2002-07-29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KR10048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690A KR100487318B1 (ko) 2002-07-29 2002-07-29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RU2003106141/09A RU2250574C2 (ru) 2002-03-05 2003-03-04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имеющая кофеварку
US10/378,752 US6737620B2 (en) 2002-03-05 2003-03-05 Microwave oven having a coffee maker
CN03119837.6A CN1243929C (zh) 2002-03-05 2003-03-05 具有咖啡壶的微波炉
JP2003058588A JP3742392B2 (ja) 2002-03-05 2003-03-05 コーヒーメーカーが備えられた電子レンジ
EP03004847A EP1343356B1 (en) 2002-03-05 2003-03-05 Microwave oven having a coffe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690A KR100487318B1 (ko) 2002-07-29 2002-07-29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211A true KR20040011211A (ko) 2004-02-05
KR100487318B1 KR100487318B1 (ko) 2005-05-03

Family

ID=3731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690A KR100487318B1 (ko) 2002-03-05 2002-07-29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22B1 (ko) * 2003-10-13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메이커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5601A (ko) 2015-08-31 2017-03-08 하정원 음식물 조리용 휴대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423B2 (ja) * 1988-03-30 1994-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沸し器付き調理器
JPH0759229B2 (ja) * 1989-04-17 1995-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調理器
KR920005615Y1 (ko) * 1990-04-24 1992-08-17 최진민 가스 보일러
KR970002109Y1 (ko) * 1994-06-27 1997-03-19 대웅전기산업 주식회사 복합조리기구
KR970073475A (ko) * 1996-05-20 1997-12-10 김광호 커피 제조기의 온수흐름안내장치
KR19980082639A (ko) * 1997-05-08 1998-12-05 윤종용 커피 제조 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KR19990008865U (ko)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전자렌지용 온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22B1 (ko) * 2003-10-13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메이커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5601A (ko) 2015-08-31 2017-03-08 하정원 음식물 조리용 휴대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318B1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2392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が備えられた電子レンジ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705147B1 (ko) 가열 조리기
KR101985528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CN209450324U (zh) 用于糕点制品的烹饪设备
JP3999724B2 (ja) 電子レンジ
KR100487318B1 (ko)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JP3854959B2 (ja) ヒータを有する電気オーブン及び電子レンジ
CN105030080A (zh) 烤箱
RU2335098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кофеваркой
CN209733475U (zh) 一种蒸烤组合机
JP2015136577A (ja) 調理器およびその調理方法
KR102064790B1 (ko) 스팀 오븐 레인지
KR100519290B1 (ko)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JP6884353B2 (ja) 圧力式炊飯器
KR200393592Y1 (ko) 커피메이커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CN215777480U (zh) 烹饪器具
CN215686958U (zh) 烹饪器具
CN109744850A (zh) 用于糕点制品的烹饪设备
KR100654800B1 (ko) 오븐
CN215777418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3248344U (zh) 烹饪器具
CN220045654U (zh) 一种带翻盖的抽屉式空气炸锅
KR100565596B1 (ko) 다기능 전자 레인지
JP6534965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