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381A -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381A
KR20040009381A KR1020020043309A KR20020043309A KR20040009381A KR 20040009381 A KR20040009381 A KR 20040009381A KR 1020020043309 A KR1020020043309 A KR 1020020043309A KR 20020043309 A KR20020043309 A KR 20020043309A KR 20040009381 A KR20040009381 A KR 2004000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sulfur
posi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한상철
송민상
김현석
이호
김진호
안효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2004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381A/ko
Publication of KR2004000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에서 작동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탄소나노튜브를 전기전도체로 첨가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튬유황전지에서 유황양극에 탄소나노튜브를 전기전도체로 첨가하여 전지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황양극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유황양극은 공지의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유황양극에 있어서, 유황양극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20∼4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The fabrication of cathode with carbon nanotubes for rechargeable Li/S cell}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에서 작동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탄소나노튜브를 전기전도체로 첨가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노트북, 캠코더, 핸드폰, 콤팩트디스크(CD), 소형 녹음기와 같은 휴대용 전기기기가 상품화되면서 이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전기기기의 수요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에너지원인 전지가 점차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지중에서 특히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의 수요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2차 전지 중 리튬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및 방전전압으로 인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또한 상용화되고 있다.
리튬이차전지 뿐만 아니라 전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음극 및 양극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며, 특히 리튬이차전지 양극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1)높은 방전용량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2)활물질의 가격이 저렴하여야 하며, (3)오랫동안 사용하기 위하여 전극수명이 우수하여야 한다.
리튬이차전지중 양극에 유황을 사용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양극전극은 이론용량이 유황무게당 1,675mAh/g 으로서 매우 높은 방전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활물질인 유황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며,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리튬유황이차전지는 상온에서 초기에 급격히 퇴화되어 50 사이클(cycle) 이후에 전지 용량이 초기 용량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 매우 나쁜 단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아직 까지 상온에서의 리튬유황전지의 퇴화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전지 수명의 향상 방법이 명확하게 제시된 바가 없다. 다만, 방전시 생성물인 리튬설파이드(Li2S)가 충방전을 할수록 점점 뭉치게 되어서, 결국에는 충전시에 유황(Sulfur)로 다시 환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퇴화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미국 버클리 대학교의 E.J. Cairns 교수 그룹[Journal of Power Sources 89 (2000) 219-226]은 리튬유황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해질을 PEO(Polyethylene-oxide)에서 PEMO(Poly(ethylene-methylene oxide))로 바꾸어서 실험을 하였으나, 방전용량이 크게 감소 하였으며, Cycle Life의 향상도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 리튬유황이차 전지의 유황양극에 첨가되는 전기전도체(current collector)를 구형의 카본블랙(carbon black) 대신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로 바꿈으로써 전지 수명이 개선되어 진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즉,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충방전시에 유황양극에 두꺼운 필름(thick film) 형태로 리튬설파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황양극을 다공성(porous) 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여야 유황양극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가 방전을 하더라도 전해질내로 녹아나지 않고 유황양극에 머물러 있게 된다. 이러한 물질로서 카본나노튜브를 적용하여 보았다. 카본나노튜브는 표면적이 매우 넓으며, 긴 실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물망구조로서 유황의 전해질내로의 dissolution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전기전도체이기 때문에 전기전도도가 나쁜 Li2S가 형성될 때 주위에 탄소나노튜브가 분포하여 원활하게 전자를 공급한다면, Li2S의 가역성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유황전지에서 유황양극에 탄소나노튜브를 전기전도체로 첨가하여 전지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황양극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나타낸 탄소나노튜브의 사진이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 전극과 사용하지 않은 전극의 수명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양극전극을 포함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충/방전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유황양극은 공지의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유황양극에 있어서, 유황양극에 전기전도체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20∼4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본나노튜브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카본나노튜브는 가늘고 긴 형태의 외양을 가지고 있으며, 직선의 형태가 아닌 정렬되어 있지 않은 형태이며 여러 카본나노튜브들이 뒤엉켜 있는 특징을 가지며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본나노튜브는 직경이 3∼30nm, 길이는 1∼10㎛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카본나노튜브를 유황양극에 있어서 20중량% 미만 사용하면 카본나노튜브의 양이 적게되어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며 충방전 특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고, 40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전기전도체로 사용하는 카본나노튜브 이외에 기타 활물질 또는 바인더의 사용량이 감소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 카본나노튜브는 유황양극에 20∼4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유황양극은 전기전도체로서 탄소나노튜브 이외에 통상의 첨가물인 활물질, 바인더와 같은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바 이는 당업자라면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유황양극을 양극으로 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비교예> : 기존의 유황양극의 제조
유황 0.2g(50wt%), 카본블랙 0.16g(40wt%)을 칭량한 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ine fluoride, PVDF) 0.04g(10wt%)을 녹인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용액 5ml에 넣고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균질하게 교반시켜 양극 슬러리(slurry)를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양극 슬러리를 1cm2넓이로 알루미늄 포일(Al foil)에 1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60℃의 온도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켜 유황양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유황양극의 제조
유황 0.2g(50wt%), 탄소나노튜브 0.12g(30wt.%), 카본블랙 0.04g(10wt%)을 칭량한 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0.04g(10wt%)을 녹인 N-메틸-2-피롤리돈(NMP) 용액 5ml에 넣고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균질하게 교반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양극 슬러리를 1cm2넓이로 알루미늄 포일에 1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60℃의 온도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켜 유황양극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황양극과 1M LiTFSI가 첨가된 분자량이 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 에테르(Poly(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PEGDME) 전해질, 격리막으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그리고 리튬포일(Lithium Foil) 음극을 사용하여 아르곤(Ar) 분위기의 글로브 박스(glove box)에서 각각 코인(coin)형태의 리튬유황전지를 조립하였다.
제조된 전지를 30℃의 항온조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충방전 실험을하였다. 충전조건은 50㎂/cm2의 충전속도로 10시간 동안 하였으며,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3.5V에서 자동으로 컷트 오프(Cut off) 하게 하였다. 방전조건은 50㎂/cm2의 방전속도로 1.5V 까지 방전을 하였으며 충전과 방전사이에 휴지시간은 10분을 주었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를 양극에 사용하였을 경우(실시예)와 탄소나노튜브를 양극에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비교예)에 나타나는 전극수명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양극을 사용한 리튬유황전지가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지 않은 양극을 사용한 리튬유황전지 보다 전지 수명이 현격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양극을 사용한 리튬유황전지의 충/방전곡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2.0V 고유의 리튬/유황 전지의 전지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의 첨가로 인한 다른 부수적인 반응은 일어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시험예의 결과에서처럼 상온형 리튬유황전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급격한 전지 수명의 퇴화를 개선시켰으며 충방적 특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상용화에 있어서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공지의 리튬유황이차전지의 양극에 있어서,
    양극에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2. 제 1항에 있어서,
    카본나노튜브는 양극내에 20∼4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3. 제 1항에 있어서,
    카본나노튜브는 직선의 형태가 아닌 정렬되어 있지 않은 형태이며 여러 카본나노튜브들이 뒤엉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4. 특허청구범위 제 1항 내지 제 3항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항의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유황이차전지.
KR1020020043309A 2002-07-23 2002-07-23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KR20040009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309A KR20040009381A (ko) 2002-07-23 2002-07-23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309A KR20040009381A (ko) 2002-07-23 2002-07-23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381A true KR20040009381A (ko) 2004-01-31

Family

ID=3731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309A KR20040009381A (ko) 2002-07-23 2002-07-23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3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2889B2 (en) 2006-10-31 2011-03-08 Hynix Semiconductor Inc. Delay locked loop
CN103137944A (zh) * 2011-11-22 2013-06-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锂硫电池的金属-硫电极及其制备方法
US8597832B2 (en) 2009-12-23 2013-12-03 Robert Bosch Gmbh Lithium-sulfur cell with nanostructured cath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1390585B1 (ko) * 2011-12-27 2014-04-30 윈스톤 중 희토류 리튬 황 전지용 나노황 복합 양극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29842B1 (ko) * 2013-01-11 2014-08-12 한국과학기술원 리튬 황 전지에 사용되는 자기 조립된 카본나노튜브와 유황의 혼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12234184A (zh) * 2020-10-14 2021-01-15 桑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SnS/CNTs/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82A (ja) * 1993-06-24 1995-01-17 Nec Corp 電池電極合剤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
WO1999050921A1 (en) * 1998-03-31 1999-10-07 Axiva Gmbh Lithium battery and electrode
JPH11283629A (ja) * 1998-03-27 1999-10-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有機電解質電池
KR20010052228A (ko) * 1998-03-31 2001-06-25 크레머, 포프 리튬 배터리 및 전극
KR20030006746A (ko) * 2001-07-14 2003-01-23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양극용 도전재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KR20030081778A (ko) * 2002-04-12 2003-10-22 조수연 리튬 황 전지의 양극용 탄소-황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82A (ja) * 1993-06-24 1995-01-17 Nec Corp 電池電極合剤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
JPH11283629A (ja) * 1998-03-27 1999-10-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有機電解質電池
WO1999050921A1 (en) * 1998-03-31 1999-10-07 Axiva Gmbh Lithium battery and electrode
KR20010052228A (ko) * 1998-03-31 2001-06-25 크레머, 포프 리튬 배터리 및 전극
KR20030006746A (ko) * 2001-07-14 2003-01-23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양극용 도전재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KR20030081778A (ko) * 2002-04-12 2003-10-22 조수연 리튬 황 전지의 양극용 탄소-황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2889B2 (en) 2006-10-31 2011-03-08 Hynix Semiconductor Inc. Delay locked loop
US8597832B2 (en) 2009-12-23 2013-12-03 Robert Bosch Gmbh Lithium-sulfur cell with nanostructured cath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3137944A (zh) * 2011-11-22 2013-06-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锂硫电池的金属-硫电极及其制备方法
KR101361329B1 (ko) * 2011-11-22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황 배터리용 금속황 전극과 그 제조방법
US8846248B2 (en) 2011-11-22 2014-09-30 Hyundai Motor Company Metal-sulfur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390585B1 (ko) * 2011-12-27 2014-04-30 윈스톤 중 희토류 리튬 황 전지용 나노황 복합 양극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29842B1 (ko) * 2013-01-11 2014-08-12 한국과학기술원 리튬 황 전지에 사용되는 자기 조립된 카본나노튜브와 유황의 혼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및 그 제조방법
CN112234184A (zh) * 2020-10-14 2021-01-15 桑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SnS/CNTs/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7270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ergy storage device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9843045B2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40886B1 (ko) 고체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CN1088267C (zh) 无水电解质锂二次电池
EP2642577B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KR101440884B1 (ko) 표면 처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US11295901B2 (en) Hybrid electrode materials for bipolar capacitor-assisted solid-state batteries
JP2008034368A (ja) 負極活物質としてTiO2−B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蓄電池
KR20100062297A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음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전지
KR20150078432A (ko) 표면 처리된 양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0758383B1 (ko) 리튬/유황이차전지용 탄소 코팅 유황전극
CN111433946A (zh) 用于锂金属电池的负极和包括其的锂金属电池
KR20080054100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30518A (ko) 리튬 배터리용 캐소드
JP2021510904A (ja) 再充電可能な金属ハロゲン化物バッテリー
CN113574696A (zh) 负极和包括所述负极的锂二次电池
JP2003077476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90056844A (ko) 표면 개질된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N110024190B (zh) 非水二次电池用电极活性物质及使用其的非水二次电池
KR20040009381A (ko)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리튬유황이차전지용 양극
KR100899549B1 (ko) 고효율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전극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KR102280793B1 (ko) 밀도 제어된 유기 화합물 기반의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3149B1 (ko) 코어-쉘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2415160B1 (ko) 탄소 표면 처리된 바나듐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JP5766009B2 (ja) 負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採用した負極とリチウム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