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279A -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279A
KR20040007279A KR1020030046360A KR20030046360A KR20040007279A KR 20040007279 A KR20040007279 A KR 20040007279A KR 1020030046360 A KR1020030046360 A KR 1020030046360A KR 20030046360 A KR20030046360 A KR 20030046360A KR 20040007279 A KR20040007279 A KR 20040007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transport
central contro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736B1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이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욱 filed Critical 이재욱
Publication of KR2004000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하여 고객의 운송차량 호출요청을 받아 운송이 가능한 운송차량을 선정하여 자동으로 연결시켜주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통신망을 통하여 운송차량 호출서비스 사업자에게 호출을 요청할 때,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통보하는 등의 절차없이 호출서비스 사업자의 중앙관제소에 접속함으로써 고객의 위치를 중앙관제소에서 자동으로 추적하여 파악하고, 고객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운송가능한 운송차량을 이동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고객의 도착지 정보까지 입력을 받아 운송차량에게 도착지까지의 최적운송경로를 제공하고 운송시 이탈행위등이 없는가를 감시할 수 있으며, 고객의 도착지 정보 등을 음성으로 접수받아 음성인식장치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Automatically calling and connecting methods for transportation vehicles by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하여 고객의 운송차량 호출요청을 받아 운송이 가능한 운송차량을 선정하여 자동으로 연결시켜주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통신망을 통하여 운송차량 호출서비스 사업자에게 호출을 요청할 때,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통보하는 등의 절차없이 호출서비스 사업자의 중앙관제소에 접속함으로써 고객의 위치를 중앙관제소에서 자동으로 추적하여 파악하고, 고객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운송가능한 운송차량을 이동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고객의 도착지 정보까지 입력을 받아 운송차량에게 도착지까지의 최적운송경로를 제공하고 운송시 이탈행위등이 없는가를 감시할 수 있으며, 고객의 도착지 정보 등을 음성으로 접수받아 음성인식장치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2001-38106호(출원일 1999.10.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이 운송차량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사업자에 접속하면 사업자는 고객의 발신위치를 접속교환국과 고객의 위치를 이동전화 셀단위로 파악하여 고객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고객이 위치한 셀내에 빈 운송차량을 검출하고 해당 빈 운송차량에게 고객의 전화번호를 알려주어 고객과 해당 빈 운송차량의 운전자간의 연결을 시켜줌으로서 고객과 빈 운송차량의 운전자간의 통화에 의하여 운송차량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는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객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서비스 운영자에게 입력하지 않는 등의 장점은 있으나 고객이 운송차량운전자와의 통화를 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운영자가 고객의 위치를 운송차량 운전자에게 설명을 하여야 하고 운송차량 운전자는 자신의 경험에 의하여 고객에게 접근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고객은 자신이 승차할 차량이 언제쯤 도착할 것인지 또는 어떤 차인지 알 수가 없어 호출운송차량의 이용을 기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받지 않기 때문에 운송차량운전자는 고객의 도착지정보를 고려하여 고객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없게 된다. 예를들면, 운송차량운전자는 차고지로 복귀하는 시간이 다가와 차고지 방향의 고객을 태우고 싶지만, 고객의 위치로 이동해야지만 도착지 정보를 알 수 있어 이러한 선택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것은 운송차량의 효율적인 운행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이 현재 고객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다하더라도 위치정보 이외의 정보를 수신받기 위해서는 직접 운영자가 전화를 받아 그 내용을 기록하여 운송차량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과 호출운송차량의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신단말기들에 대한 통신사업자의 발신추적기능과 운송차량에 장착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의 위치를 자동추적하고 추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범위내의 가장 근접한 운송가능한 운송차량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함으로써,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운송차량 호출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운송차량의 운행을 억제함으로써 운송차량영업의 효율화 등에 기여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검색된 운송차량에 고객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운송차량에 전송함으로써 운송차량운전자가 보다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각자 운송차량의 운전자에게도 효율적인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객의 현재위치외에 도착지 정보등 추가적인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기타 고객과의 정보송수신을 위하여, 고객의 음성을 음성인식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고객에게는 가장 편안한 정보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서비스 사업자는 자동화를 통해 운영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객의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운송차량운전자에게 교통상황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판단한 최적운송경로를 운송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지원하며, 최적운송경로를 바탕으로 운행경로를 이탈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신단말기 200 : 중앙관제소
201 : 통신제어장치 202 : 지도정보DB
203 : 고객위치추적장치 204 : 운송차량정보DB
205 : 중앙관제마이크로프로세서 206 : 음성인식장치
300 : 운송차량 301 : 차량항법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운송차량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은,
고객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중앙관제소에 접속되는 접속단계;
중앙관제소에서 상기 통신단말기에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리스트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로부터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정보를 전송받는 운송조건선택단계;
중앙관제소는 고객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발신위치추적단계;
발신위치추적단계에서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는 통신단말기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음성수신단계;
중앙관제소는 상기 통신단말기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지확인단계;
중앙관제소는 상기 운송조건 선택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저장단계;
중앙관제소는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100)을 선정하는 차량선정단계;
중앙관제소는 선정된 운송차량의 차량항법장치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하고,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고객정보송출단계;
중앙관제소는 차량항법장치로부터 이동가능여부 신호를 통보받고 불가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선정단계를 반복하는 이동가능여부통보단계;
중앙관제소는 운송차량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운송차량의 현재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이동최적경로계산단계;
중앙관제소는 상기 도착예정시간과 운송차량의 차량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정보송출단계;
중앙관제소는 상기 차량항법장치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하는 이동신호송출단계;
중앙관제소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운송차량의 차량항법장치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 차량항법장치에 상기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하는 운송최적경로전송단계; 및
중앙관제소는 운송차량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감시하는 운송경로감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하여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객의 통신단말기(100), 운송차량에 장착된 차량항법장치(301), 운송차량 호출서비스 사업자의 중앙관제소(200)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또는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CDMA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이거나, 기타 방식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거나, 유선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단말기 등 모든 통신단말기가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운송차량에 장착된 차량항법장치(301)는 중앙관제소(2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비를 구비하여, 항법장치에서 발생되는 위치신호와 운행기록계 및 운송차량 요금 메터의 요금기록계 등의 운행정보를 중앙관제소(200)에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중앙관제소(200)로부터 고객의 정보나 고객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정보 등을 받아 표시장치에 이를 표시한다. 상기 항법장치는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2001 - 26896호』 및 『공개특허 제1999 - 6486호』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공위성 등을 활용한 위성항법, 차량자체에 장착된 방위각센서와 휠 센서 등에 의한 자기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이용하는 자립항법, 위성항법과 자립항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항법 등을 이용하는 장치이다.
운송차량 호출서비스 사업자의 중앙관제소(200)는 더 세부적으로 통신제어장치(201), 지도정보DB(202), 고객위치추적장치(203), 운송차량정보DB(204), 중앙관제 마이크로프로세서(205), 음성인식장치(206)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제어장치(201)는 상기 통신단말기(100)와 차량항법장치(300)와 데이터를송수신하며, 그 외에 인공위성, 비콘, 교통방송 등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교통정보를 분석하여 운송차량의 위치 및 교통혼잡도 등을 얻어 최적경로나 예상운행시간 등을 계산하는데 활용된다.
지도정보DB(202)는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시내의 자세한 지도정보 및 교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으며, 이는 교통정보를 분석하여 운송차량의 위치 및 교통 혼잡도등을 지도상에 표시하기 하거나, 최적운행경로나 예상운행시간 등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고객위치추적장치(203)는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접속되었을 때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고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장치이다. 통신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는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고객정보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위치를 전송받는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발신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은 『공개특허 제2001-42540호』 및 『공개특허 제2001-46125호』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한다. 또한, 통신단말기(100)가 유선전화인 경우에는, 유선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고객정보DB와 연계하여, 유선전화가 설치된 장소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발신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운송차량정보DB(204)는 중앙관제소(200)의 통제를 받는 운송차량(300)들의 차량정보를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하여 보관하고, 운송차량(300)의 빈차여부, 이동가능여부, 운송진행중 등의 운행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받아 운송차량(300)의 운행상황정보로서 저장하고 보관한다. 통상적으로 운행상황정보의 송수신은 약 1 - 10 초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송수신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간간격은 운영자의 운영에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운송차량정보는 차량종류, 차량번호, 차량색상 등을 포함한다. 또한, 운송차량(300)의 운행상황정보는 지속적으로 운송차량(300)의 차량항법장치(301)를 통해 전송받고 이를 유지하며, 이러한 기술은 종래의 『공개특허 제1999-82835호』 및 『공개특허 제2000-66016호』등에서 개시되고 있는 기술들을 이용한다.
중앙관제마이크로프로세서(205)는 중앙관제소(200)를 운영통제하는 프로세서로서, 중앙관제소(200)가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등을 내장하여 중앙관제소(200)를 전체적으로 운영하고 통제하며, 지도정보나 교통정보 등을 기반으로 출발지와 도착지간의 최적경로나 예상운행시간 등을 계산하는 프로그램 등을 내장하여 최적경로나 운행시간등을 계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통상의 서비스 운영통제 프로그램이나 최적경로계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한다.
음성인식장치(206)는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고객의 음성을 분석하여 위치정보나 도착지정보 또는 운송조건정보 등을 추출하는 장치이다. 음성인식장치(206)는 통상의 음성인식을 하는 기술을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초에 운송차량에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중앙관제소(200)에 접속한다(S110). 통상적으로 운송차량 호출서비스 사업자는 하나 또는 몇 개의 대표전화를 고객에게 알리고 고객은 이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면 중앙관제소(200)에 접속하게 되면, 통신단말기(100)는 유무선 단말기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이나 무선인터넷 등으로 중앙관제소(200)에 접속도 가능하다. 이렇게 다양한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관용적인 방법으로 이를 이용한다.
고객이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중앙관제소(200)에 접속하면, 중앙관제소(200)는 서비스의 종류 및 운송조건에 대한 질문을 선택형으로 통신단말기(100)에 송출하고 선택된 정보를 전송받는다(S111). 서비스의 종류는 택시, 택배, 퀵서비스, 대리운전 등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송조건은 콜밴택시 등의 운송차량 운송종류, 특정회사 지정, 중형차량 등 운송차량의 종류, 운송차량의 수 등을 정하는 운송의 조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운송조건을 선택하면,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112).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는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고객정보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위치를 전송받고, 통신단말기(100)가 유선전화인 경우에는, 유선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고객정보DB와 연계하여, 유선전화가 설치된 장소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발신위치를 추적한다. 또한, 고객이 유선 인터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자 ID를 활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이는 중앙관제소의 운영자가 미리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본 분야의 공지기술인 Cooky를 이용한 사용자위치추적) 활용한다.
그런데,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200)는 직접 고객의 현재위치를 불러달라고 메시지를 보낸다(S113). 이때,중앙관제소(200)에서 고객의 통신단말기로 보내는 메시지는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 등 이 가능하다. 이하, 중앙관제소(200)에서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 보내는 메시지는 모두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로 보내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본다. 즉,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관제소(200)는 같은 방법으로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한다(S114).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운송조건 선택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를 저장한다(S115).
이 이후에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이 입력한 운송조건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로 구성된 입력내용 확인 통신문 메시지를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고객에게 입력내용을 확인한다(116). 만약, 고객이 중앙관제소(200)에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면 다음단계를 수행하고, 확인이 되지 않으면, 처음인 운송조건을 선택하는 단계(111)로 다시 가서 수행한다.
그런 이후에,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100)을 선정한다(S120).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300)으로부터 차량항법장치(301)를 통해 현재의 위치 및 빈차여부 등 운행상태를 지속적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받아 운송차량정보DB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100)을 선정할 수 있다.
운송차량(300)이 선정되면, 중앙관제소(200)는 선정된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한다. 또한 이러한 고객정보와 함께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도 함께 전송한다(S121). 중앙관제소(200)로부터 받은 지도정보는 차량항법장치(301)의 표시장치에 고객의 위치가 표시된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운송차량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정보전달을 한다. 또한, 상기 지도정보는 표시장치에 시각적인 표시방법 외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의 통보가 가능하고,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도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의 통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지도정보 및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의 표시방법에 모두 해당된다.
운송차량운전자는 이동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차량의 상태 등 제 여건을 고려하여 고객위치로 이동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중앙관제소(200)에 통보한다(S122). 운송차량운전자는 고객의 도착지까지 앎으로써, 운송차량(300)의 원래 가려는 방향에 부합되는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만약 운송차량운전자가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불가능 신호를 보내고, 이럴때는 상기 운송차량을 선정하는 단계(S120)를 다시 반복해서, 이동이 가능한 운송차량(300)이 나올 때까지 반복한다.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운송차량(100)의 현재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고(130), 중앙관제소(200)는 도착예정시간과 운송차량(300)의 차량정보를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한다(S131). 이때 송출되는 운송차량정보는 해당차량의 색상 및 번호, 운전자의 경력 등 중앙관제소(200)가 사전에 통제하는 운송차량(300)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이 호출한 차량임을 알 수 있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
중앙관제소(200)로부터 운송차량(300)의 도착예정시간과 차량정보를 수신 받은 고객은 운송차량탑승여부를 판단하여 탑승의사 재확인을 중앙관제소(200)에 송출한다(S132).
고객의 탑승의사가 재확인되면,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한다(S133).
고객이 송출된 메시지에 대하여 일정시간(본 발명에서는 30초로 한정하나 이는 시스템운영자의 운영에 따라 선택된다)이 지나거나 의사 없음 신호를 중앙관제소로 송출하면, 이를 수신한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까지 접근 가능하다고 답한 운송차량(300)에 이동하지 말라는 신호를 송출하여 다음 호출을 대기한다(S134).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저장하고 있다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 차량항법장치(301)에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한다(S140). 고객탑승 신호는 차량항법장치(301)에 의해 운행메터 등에 의해 빈차가 아니면 이러한 신호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 운송차량(300)에서 차량항법장치(301)를 통해 받은 운송최적경로를 표시장치의 지도정보에 표시함으로써, 운송차량운전자는 보다 낯선 도로일지라도 손쉽게 도착지를 찾아갈 수 있게된다.
특히, 차량항법장치(301)를 운영하는 본 분야의 공지기술을 활용하여, 중앙관제소는 운송차량이 항시 최적경로를 선택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운송차량이동 위치에 따른 지도정보와, 도로여건, 정체현황 등의 교통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운송차량에 장착된 항법장치 등의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도록 송출하며 운송차량항법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통보함으로써 이를 참고하여 목적지까지 최적경로를 선택하여 운행하고 탑승객은 이를 시청함으로서 고객 자신이 승차한 차량의 이동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등 고객서비스에 기여하게 할 수 있다.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로 보내는 경우는 지도상의 중요지점들 및 교통정보 들을 음성 또는 문자로 보낸다.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150). 일정범위는 운송최적경로에서 통상 100m, 300m, 또는 500m 정도로 일정하게 정할 수 있다.
운행경로가 운송최적경로의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이 운송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 변경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51).
고객이 도착지 변경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송신하면, 중앙관제소(200)는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운송경로를 감시하는 단계(S141)를 반복한다(S152).
만약, 도착지 변경됐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변경된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처리장치(206)로 분석하여 변경된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141)를 반복한다(S153).
그러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아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정보와 고객정보와 현재 운행위치와 운송경로이탈사실을 경찰에 통보하여 위험가능성의 상황을 사전에 경찰에 알리도록 한다(S154). 또는 고객이 지정하는 위험가능성이 있을 때 알리는 곳을 사전에 정한다면 이 연락처로 연락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이 지정된 도착지에 내리면 운송차량(300)에 대한 감시 통제를 해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 비하여, 이동이 가능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제 1실시예에서는 한대씩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하여 이동가능여부를 묻고 실패하면 그 다음 근접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한 것에 반하여, 제 2실시예는 일정반경에 있는 모든 이동가능한 운송차량(300)을 선택하여 한꺼번에 이동가능여부를 묻고 이동가능 신호의 답변을 한 운송차량(300)중에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한 것이다. 이것은 제 2실시예가 통신량은 증가하지만, 이동가능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이 이외의 단계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동가능한 운송차량(300)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들만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고 나머지는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에 운송차량에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중앙관제소(200)에 접속하고(S310), 중앙관제소(200)는 서비스의 종류 및 운송조건에 대한 질문을 선택형으로 통신단말기(100)에 송출하고 선택된 정보를 전송받고(S311),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312). 만약,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313). 그리고 중앙관제소(200)는 같은 방법으로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고(S314),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운송조건 선택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를 저장한다(S315).
그리고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이 입력한 운송조건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로 구성된 입력내용 확인 통신문 메시지를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고객에게 입력내용을 확인한다(S316). 만약, 고객이 중앙관제소(200)에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면 다음단계를 수행하고, 확인이 되지 않으면, 처음인 운송조건을 선택하는 단계(S311)로 다시 가서 수행한다.
그런 이후에,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반경내의 운송차량(100)들을 검색한다(S320). 일정반경은 1Km, 3Km, 5Km 등 일정한 반경을 호출서비스의 운영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정반경내의 검색된 이동가능한 운송차량(300) 중 가까운 곳에 대기중인 일정수의(본 발명에서는 5대로 하나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운송차량을 선정할 수 있다. 중앙관제소(200)는 검색된 다량의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하고,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321), 중앙관제소(200)는 차량항법장치들(301)로부터 이동가능여부 신호를 통보받고 가능신호가 하나도 없으면 반경의 범위를 넓혀서 상기 차량검색단계(S120)를 반복한다(S322).
중앙관제소(2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차량(100)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그 가운데 고객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운송차량(100)을 선정하고, 선정된 운송차량(100)의 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한다(330). 또한, 선정되지 않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대기신호를 송출한다. 중앙관제소(200)는 도착예정시간과 운송차량(300)의 차량정보를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고(S331), 중앙관제소(200)로부터 운송차량(300)의 도착예정시간과 차량정보를 수신 받은 고객은 운송차량탑승여부를 판단하여 탑승의사재확인을 중앙관제소(200)에 송출한다(S332). 고객의 탑승의사가 재확인되면,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한다(S333).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저장하고 있다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 차량항법장치(301)에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하고(S340),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350).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자동연결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 3실시예는 제 2실시예에 비하여, 고객에게 이동할 운송차량(300)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제 2실시예에서는 일정반경내에 검색되어 이동이 가능한 운송차량(300)들 중에서 고객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300)을 선정하여 고객에게 이동하라는 신호를 보낸 것에 반하여, 제 3실시예에서는 일정반경내에 검색되어 이동이 가능한 운송차량(300)들을 모두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여 고객이 이들 중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운송차량(300)에게 고객에게 이동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것은 제 3실시예가 운송차량(300)을 선정하는 시간이 길지만, 고객이 선택할 수 있다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이외의 단계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동가능한 운송차량(300)을 선택하는 단계들만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고 나머지는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에 운송차량에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중앙관제소(200)에 접속하고(S510), 중앙관제소(200)는 서비스의 종류 및 운송조건에 대한 질문을 선택형으로 통신단말기(100)에 송출하고 선택된 정보를 전송받고(S511),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512). 만약,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513). 그리고 중앙관제소(200)는 같은 방법으로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고(S514),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운송조건 선택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를 저장한다(S515).
그리고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이 입력한 운송조건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로 구성된 입력내용 확인 통신문을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고객에게 입력내용을 확인한다(516). 만약, 고객이 중앙관제소(200)에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면 다음단계를 수행하고, 확인이 되지 않으면, 처음인 운송조건을 선택하는 단계(511)로 다시 가서 수행한다.
그런 이후에,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반경내의 운송차량(100)들을 검색하고(S520), 중앙관제소(200)는 검색된 다량의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하고,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521), 중앙관제소(200)는 차량항법장치들(301)로부터 이동가능여부 신호를 통보받고 가능신호가 하나도 없으면 반경의 범위를 넓혀서 상기 차량검색단계(S120)를 반복한다(S522).
중앙관제소(2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차량(100)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가능신호가 입력된 모든 운송차량(100)들의 각 운송차량(100)의 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고(530), 중앙관제소(200)는 이동가능한 운송차량(100)들의 도착예정시간과 차량정보를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여(S531), 고객이 이들 중에서 호출하고 싶은 운송차량(100)을 선택하여 중앙관제소(200)로 전송한다(S532). 고객은 차량종류, 차량색상, 이동시간 등의 차량정보를 바탕으로 본인이 원하는 운송차량(100)을 선택할 수 있다.
중앙관제소(200)는 선정되지 않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대기신호를 송출하고, 선택된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한다(S533).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저장하고 있다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 차량항법장치(301)에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하고(S540),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S5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방법은 통신단말기들에 대한 통신사업자의 발신추적기능과 운송차량에 장착된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의 위치를 자동추적하고 추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범위내의 가장 근접한 운송가능한 운송차량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함으로써,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운송차량 호출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운송차량의 운행을 억제함으로써 운송차량영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운송차량에 고객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운송차량에 전송함으로써 운송차량운전자가 보다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운송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최적의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고객의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운송차량운전자에게 교통상황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판단한 최적운송경로를 운송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지원하므로, 초보자라 하더라도 안정적이고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객의 현재위치외에 도착지 정보 등 추가적인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기타 고객과의 정보송수신을 위하여, 고객의 음성을 음성인식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고객에게는 가장 편안한 정보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서비스 사업자는자동화를 통해 운영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운송차량이 운행경로를 이탈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에 의한 차량강도 등 범죄를 미리 예방할 수 있어, 여성고객 등 위험에 노출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 안전성이 확보되는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운송차량에 한정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를 하는 타 산업 분야 즉 화물 운송업등 타 운송업등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와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차량항법장치(301)를 이용하여 운송차량(100)의 위치정보와 운행정보를 지속적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전송받아 운행상태를 파악하고,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를 추적하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와 음성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음성인식장치(206)를 구비한 중앙관제소(200)를 이용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중앙관제소(200)에 접속되는 접속단계(S110);
    중앙관제소(200)에서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리스트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정보를 전송받는 운송조건선택단계(S111);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발신위치추적단계(S112);
    발신위치추적단계(S112)에서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음성수신단계(S113);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지확인단계(S114);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운송조건 선택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저장단계(S115);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운송차량(100)을 선정하는 차량선정단계(S120);
    중앙관제소(200)는 선정된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하고,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고객정보송출단계(S121);
    중앙관제소(200)는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이동가능여부 신호를 통보받고 불가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선정단계(S120)를 반복하는 이동가능여부통보단계(S122);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운송차량(100)의 현재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이동최적경로계산단계(130);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도착예정시간과 운송차량(100)의 차량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차량정보송출단계(S131);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하는 이동신호송출단계(S133);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차량항법장치(301)에 상기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하는 운송최적경로전송단계(S140); 및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감시하는 운송경로감시단계(S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운송경로감시단계(S150)는,
    상기 운행경로가 운송최적경로의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 변경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도착지변경질의단계(S151);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도착지 변경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141)를 반복하는 운송경로재조정단계(S152);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도착지 변경됐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변경된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변경된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141)를 반복하는 도착지변경단계(S153);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아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정보와 고객정보와 현재 운행위치와 운송경로이탈사실을 경찰에 통보하는 위험경고단계(S15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저장단계(115)이후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이 입력한 운송조건정보와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로 구성된 입력내용 확인 통신문을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확인통신문송출단계(116); 및
    중앙관제소(200)에서 통신단말기(1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다음단계를 수행하고, 확인이 되지 않으면, 상기 운송조건선택단계(111)를 다시 수행하는 확인여부단계(11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4.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와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송수신하고, 운송차량(100)의 위치정보와 운행정보를 지속적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전송받아 운행상태를 파악하고,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를 추적하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와 음성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음성인식장치(206)를 구비한 중앙관제소(200)를 이용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중앙관제소(200)에 접속되는 접속단계(S310);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리스트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정보를 전송받는 운송조건선택단계(S311);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발신위치추적단계(S312);
    발신위치추적단계(S112)에서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음성수신단계(S313);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지확인단계(S314);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반경내의 운송차량(100)들을 검색하는 차량검색단계(S320);
    중앙관제소(200)는 검색된 다량의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하고,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고객정보송출단계(S321);
    중앙관제소(200)는 차량항법장치들(301)로부터 이동가능여부 신호를 통보받고 가능신호가 하나도 없으면 반경의 범위를 넓혀서 상기 차량검색단계(S120)를 반복하는 이동가능여부통보단계(S322);
    중앙관제소(2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차량(100)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그 가운데 고객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운송차량(100)을 선정하고, 선정된 운송차량(100)의 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이동최적경로계산단계(330);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도착예정시간과 운송차량(100)의 차량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차량정보송출단계(S331);
    중앙관제소(200)는 선정되지 않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대기신호를 송출하고, 선정된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하는 이동신호송출단계(S333);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 차량항법장치(301)에 상기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하는 운송최적경로전송단계(S340); 및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감시하는 운송경로감시단계(S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운송경로감시단계(S350)는,
    상기 운행경로가 운송최적경로의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 변경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도착지변경질의단계(S351);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도착지 변경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141)를 반복하는 운송경로재조정단계(S352);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도착지 변경됐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변경된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변경된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341)를 반복하는 도착지변경단계(S353);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아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정보와 고객정보와 현재 운행위치와 운송경로이탈사실을 경찰에 통보하는 단계(S35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6.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와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송수신하고, 운송차량(100)의 위치정보와 운행정보를 지속적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전송받아 운행상태를 파악하고,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의 발신위치를 추적하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와 음성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음성인식장치(206)를 구비한 중앙관제소(200)를 이용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중앙관제소(200)에 접속되는 접속단계(S510);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리스트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종류와 운송조건에 대한 선택정보를 전송받는 운송조건선택단계(S511);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위치추적장치(203)를 이용하여 고객의 발신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발신위치추적단계(S512);
    발신위치추적단계(S112)에서 발신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현재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현재위치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음성수신단계(S513);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는 도착지확인단계(S514);
    중앙관제소(200)는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반경내의 운송차량(100)들을 검색하는 차량검색단계(S520);
    중앙관제소(200)는 검색된 다량의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정보와 도착지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나타난 지도정보를 송출하고, 고객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의 여부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고객정보송출단계(S521);
    중앙관제소(200)는 차량항법장치들(301)로부터 이동가능여부 신호를 통보받고 가능신호가 하나도 없으면 반경의 범위를 넓혀서 상기 차량검색단계(S120)를 반복하는 이동가능여부통보단계(S522);
    중앙관제소(2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차량(100)으로부터 가능신호가 입력되면 가능신호가 입력된 모든 운송차량(100)들의 각 운송차량(100)의 위치에서 고객위치까지의 이동최적경로와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이동최적경로계산단계(530);
    중앙관제소(200)는 이동가능한 운송차량(100)들의 도착예정시간과 차량정보를 상기 통신단말기(100)로 송출하는 차량정보송출단계(S531);
    통신단말기(100)에서 나열된 이동가능한 운송차량(100)들 중 호출하고 싶은 운송차량(100)을 선택하여 중앙관제소(200)로 전송하는 차량선택단계(S532);
    중앙관제소(200)는 선택되지 않은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대기신호를 송출하고, 선택된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에 고객의 위치로 이동하라는 신호와 상기 이동최적경로를 송출하는 이동신호송출단계(S533);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계산하고, 운송차량(100)의 차량항법장치(301)로부터 고객탑승 신호가 오면, 차량항법장치(301)에 상기 운송최적경로를 전송하는 운송최적경로전송단계(S540); 및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100)의 운행경로가 상기 운송최적경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진행되는가를 감시하는 운송경로감시단계(S5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운송경로감시단계(S550)는,
    상기 운행경로가 운송최적경로의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중앙관제소(200)는 고객의 통신단말기(100)에 도착지 변경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도착지변경질의단계(S551);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도착지 변경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141)를 반복하는 운송경로재조정단계(S552);
    통신단말기(100)로부터 도착지 변경됐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통신단말기(100)에 변경된 도착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신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도착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인식장치(206)로 분석하여 변경된 도착지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최적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운송경로감시단계(S541)를 반복하는 도착지변경단계(S553);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아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소(200)는 운송차량정보와 고객정보와 현재 운행위치와 운송경로이탈사실을 경찰에 통보하는 단계(S55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3-0046360A 2002-07-15 2003-07-09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방법 KR100529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03 2002-07-15
KR1020020041403A KR20020070400A (ko) 2002-07-15 2002-07-15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279A true KR20040007279A (ko) 2004-01-24
KR100529736B1 KR100529736B1 (ko) 2005-11-22

Family

ID=277273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03A KR20020070400A (ko) 2002-07-15 2002-07-15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KR10-2003-0046360A KR100529736B1 (ko) 2002-07-15 2003-07-09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03A KR20020070400A (ko) 2002-07-15 2002-07-15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020070400A (ko)
AU (1) AU2003246167A1 (ko)
WO (1) WO20040087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27B1 (ko) * 2011-10-06 2013-07-08 팅크웨어(주) 서비스 수요자 위치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D3405B2 (ro) * 2004-06-21 2007-09-30 БЕРЕКЕЛЯ Анатолий Procedeu şi sistem automatizat de comandă a serviciilor de taximetru
US8046103B2 (en) 2006-09-29 2011-10-25 F Robotics Acquisi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achine
US8655581B2 (en) 2008-09-04 2014-0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server, user terminal, rou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A013294B1 (ru) * 2008-09-26 2010-04-30 Алексей Анатольевич ИВАНЧИКОВ Способ обмена голосовыми сообщениями между водителем и пользователе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FR2945257B1 (fr) * 2009-05-11 2013-01-18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 d'ouverture d'une session d'utilisation d'un vehicule de transport et systeme associe.
IT1394114B1 (it) * 2009-05-14 2012-05-25 Dalenz Bove Sistema automatico e di tele gestione di utenti e mezzi di trasporto
FR2950453B1 (fr) * 2009-09-18 2013-05-17 Henri Bismuth Systeme de gestion de la prise en charge et du transport d'au moins
GB2483094A (en) * 2010-08-26 2012-02-29 Sivapathalingham Sivavakeesar Taxi location and availability reporting system
CN102227144A (zh) * 2011-03-10 2011-10-26 王勇 利用手机呼叫出租车的智能打的系统
CN105094767B (zh) 2014-05-06 2019-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调度方法、车辆调度服务器及自动驾驶车辆
CN107438226B (zh) * 2016-05-25 2021-03-16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订单发布处理方法及服务器
CN108230569A (zh) * 2016-12-21 2018-06-29 乐视汽车(北京)有限公司 自动租车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55A (ko) * 2000-09-08 2000-12-05 이광진 위치추적 방법을 이용한 합리적인 운송 시스템
JP2002163775A (ja) * 2000-11-24 2002-06-07 Nec Infrontia Corp 無線タクシー呼び出しシステム
KR100433734B1 (ko) * 2001-06-18 2004-06-04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27B1 (ko) * 2011-10-06 2013-07-08 팅크웨어(주) 서비스 수요자 위치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8799A1 (en) 2004-01-22
AU2003246167A1 (en) 2004-02-02
KR100529736B1 (ko) 2005-11-22
KR20020070400A (ko) 200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734B1 (ko)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US57242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pected time of arrival
KR100529736B1 (ko) 통신망과 음성인식장치를 이용한 운송차량 자동연결서비스 방법
US62789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vance not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proximity of a vehicle
US69526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on of an advance notif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status of vehicle travel
KR100267873B1 (ko) 위치파악시스템
JP2004514207A (ja) 移動関連情報を移動通信装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関連するシステム並びに装置
EP1244085A2 (en) Information assisting system and apparatus
KR10084994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4377533B2 (ja) 利用者案内システム
JP2006172061A (ja) 予約対象管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KR100507232B1 (ko) 택시의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8348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4434A (ko)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및 택시 지령방법
JP2004128598A (ja) 端末装置
JPH081903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位置情報案内方 式
KR20050000485A (ko) 택시 호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22492A (ja) 最適車両配車方法および最適車両配車システム
KR20060016964A (ko)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6558A (ko)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162956B1 (ko) 공용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2143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を用いた経路誘導方法及びシステム、サービス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JP2001268235A (ja) サービス手配システム
JP2003227726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KR20070105402A (ko) 셔틀버스 운행에 따른 도착예정 문자 알람서비스 방법 및그에 따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