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558A -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558A
KR20060086558A KR1020050007380A KR20050007380A KR20060086558A KR 20060086558 A KR20060086558 A KR 20060086558A KR 1020050007380 A KR1020050007380 A KR 1020050007380A KR 20050007380 A KR20050007380 A KR 20050007380A KR 20060086558 A KR20060086558 A KR 2006008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mobile terminal
route information
bus rout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0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558A/ko
Publication of KR2006008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7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35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omestic or space heating, e.g.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16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단말, 위치정보 DB를 포함하는 LBS 서버, 이동단말로 버스노선정보를 음성서비스하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를 이용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음성으로 전달함에 따라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음성서비스하고, 해당 버스가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에 접근하였을 경우에 해당 버스의 도착을 음성서비스하며, 해당 버스에 승차 후, 해당 버스 또는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목적지에 위치할 경우에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이동단말로 하차에 대해 음성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의 음성인식 기술에 의해 자신이 소유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버스 운행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음으로써 시각장애인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스노선, 안내시스템

Description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Bus Lin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발지 및 도착지의 음성입력에 따른 음성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버스 도착 정보를 이동단말로 음성서비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버스 도착 정보를 이동단말로 음성서비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단말 11 : GPS 모듈(이동단말용)
2 : 이동통신망 21 : 기지국
22 : 기지국 제어기 23 : 교환기
24 : 홈 위치 등록기 3 : LBS 서버
31 : 위치정보 DB 4 :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
5 : GPS 모듈(버스용)
본 발명은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PS 모듈을 장착한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음성인식기술을 바탕으로 버스노선정보에 대한 음성서비스를 지원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기반시설을 확장과 더불어 사회기반시설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장비들도 설치되어 있다. 시각장애인 안내보도블록, 건널목 음성안내장비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또한, 최근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이동단말 및 위치추적에 사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보급화되면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대중 교통 수단인 버스 등에 GPS 모듈을 설치하여 버스 노선, 배차 시간 및 현재 위치 등을 서비스하는 기술이 이미 제안된 바 있으며,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버스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정상적인 신체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매우 유용하다 할지라도, 시각장애인에게는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예를 들어, 모든 버스정류장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장비를 마련한다는 것은 엄청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이 안내장비를 찾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과, 설령 버스에 승차하였다 하더라도 버스 내부에 마련된 장비는 시각장애인만을 위한 장비가 아니며 이 또한 버스 내부 장비를 찾는데 어려움을 격게된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대중화된 이동단말과 GPS 모듈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노선정보를 개별적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 개인적으로 마련한 GPS 모듈을 장착한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음성인식기술을 바탕으로 버스노선정보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고, 해당 검색정보를 대응하여 이동단말을 통해 음성서비스를 지원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상은,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하기하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와 호접속하여 버스노선정보를 음성서비스받음과 아울러,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를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이동단말;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를 포함하는 LBS 서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와 버스에 장착된 GPS 모듈에 의한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버스노선정보를 음성서비스하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에 관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상은,
a.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로 호접속한 후, 상기 이동단말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음성으로 전달함에 따라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b.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해당 버스가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에 접근하였을 경우에 해당 버스의 도착을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및
c. 상기 해당 버스에 승차 후, 해당 버스 또는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목적지에 위치할 경우에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이동단말로 하차에 대해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 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크게 GPS 모듈이 장착된 이동단말(1), 이동통신망(2),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3) 및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가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이동단말(1)은 통상의 무선통신단말기(셀룰라폰, PCS, PDA)로서 통신을 위한 최소한의 통화 기능과,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게 되므로 음성인식 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1)의 정확한 위치추적을 위한 GPS 모듈(11)이 더 장착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망(2)은 통상의 기지국(21), 기지국 제어기(22),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23),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21)은 상기 이동단말(1)과의 통신, 및 전달된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1)로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2)는 기지국(21)을 통해 이동단말(1)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기지국(21)을 관리한다. 상기 교환기(23)는 기지국 제어기(22)와 접속되어 이동단말(1)의 통화 설정 및 해제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타 망(Network)과의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홈 위치 등록기(24)는 이동단말(1) 가 입자의 정보,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교환기(23) 및 하기하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와 상호 작용하여 이동단말(1)의 위치정보에 관한 전달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LBS 서버(3)는 이동단말(1)의 위치정보가 교환기(23)를 통해 전달되면 해당 위치 및 시간을 위치정보 DB(31)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위치정보 DB(31)는 이동단말(1) 사용자정보 DB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DB(31)는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와 항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이동단말(1)로부터 전달된 출발지 및 목적지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버스를 검색함과 아울러, 검색된 버스정보를 음성서비스하며, 상기 위치정보 DB(31)로부터 전달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목적지 근처에서 이동단말(1)을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GPS 모듈(11)을 이동단말(1)에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GPS 모듈(11)을 장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21)을 이용하여 기지국(21)을 단위로 위치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1) 사용자는 이동단말(1)을 이용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고, 이어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로부터 해당 버스에 대한 정보를 음성서비스 받는다(S10). 사용자가 특정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를 선택하여 음성으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 전달하면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는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버스의 도착을 음성서비스하고(S20), 해당 버스 또는 이동단말(1)의 위치를 추적하여 목적지에 위치할 경우에 이동단말(1)로 하차를 음성서비스하게 된다(S3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발지 및 도착지의 음성입력에 따른 음성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자신이 사용하는 이동단말(1)을 이용하여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로 호접속을 시도한다(S101). 이에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S102),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로부터 안내되는 다양한 서비스중에서 버스 노선정보 음성서비스를 선택한다(S103). 이 때,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로부터 이루어지는 음성서비스에 대해 시각장애인은 음성을 입력하여 선택에 대응한다. 즉, 이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 사용자 이동단말(1)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음성인식 모듈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의 이동단말(1)에 음성인식 모듈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동단말(1)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버스 노선정보 서비스에 대응하여 다음으로 출발지 선택 음성안내를 수행한다. 이에 사용자는 이동단말(1)을 통해 음성으로 출발지를 입력한다(S104). 이에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출발지를 세팅하고(S105), 이어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목적지 선택 음성안내를 수행한다. 이에 사용자는 이동단말(1) 을 통해 음성으로 목적지를 입력한다(S106). 이에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목적지를 세팅한다(S107). 이어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버스를 검색하게 된다(S108).
검색이 완료되면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이동단말(1)로 검색된 버스에 대해 음성서비스한다(S109). 이에 사용자는 이동단말(1)을 통해 음성으로 특정 버스번호를 입력한다(S110). 이에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는 해당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게 되는데(S111), 이 때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는 호접속된 이동단말(1)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DB(31)로부터 전달받아 가장 근접한 해당 버스를 검색하게 된다.
이에 검색된 해당 버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동단말(1)로 음성서비스하게 된다(S112). 이 음성서비스는 해당 버스의 도착 시간 등이 포함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버스 도착 정보를 이동단말로 음성서비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도 3에서와 같이 해당 버스의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 해당 버스를 주기적으로 위치를 체크하여 수시로 감시하고 있다가(S201) 해당 버스가 이동단말(1)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값 이내로 접근하였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S202),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는 이동단말(1)로 호접속을 시도한다(S203). 이에 호접속이 이루어지면(S204) 해당 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음성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S205). 이에 시각장애인이 현장에서의 적절한 대응 에 의해 해당 버스에 승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버스 도착 정보를 이동단말로 음성서비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도 4에서와 같이 버스에 승차가 이루어지면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는 이동단말(1)에 마련된 GPS 모듈(11)에 의해 위치추적만이 이루어지게 된다(S301). 즉, 버스에 장착된 GPS 모듈(5)과 이동단말(1)에 장착된 GPS 모듈(11)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므로 어느 한쪽의 추적은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동단말(1)에 GPS 모듈(11)이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버스에 장착된 GPS 모듈(5)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동단말(1)의 위치추적을 주기적으로 계속 수행하면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4)에서는 이동단말(1)의 위치가 목적지에 설정값 이내로 접근하였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S302), 이동단말(1)로 호접속을 시도한다(S303). 이에 호접속이 이루어지면(S304) 해당 버스로부터 하차를 알리는 음성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S305). 이에 시각장애인이 현장에서의 적절하게 대응하여 해당 버스에서 하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은, 이동통신의 음성인식 기술에 의해 자신이 소유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버스 운행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음으로써 특정 위치에 고정된 안내장비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장비의 사용법을 숙지해야만 하는 불편함도 없앨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을 이동단말에 장착할 경우에는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시각장애인이 버스를 하차한 이후에도 출발지와 목적지의 입력에 대응하여 지리정보를 안내하는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하기하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와 호접속하여 버스노선정보를 음성서비스받음과 아울러,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를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이동단말;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를 포함하는 LBS 서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와 버스에 장착된 GPS 모듈에 의한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버스노선정보를 음성서비스하는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GPS 모듈을 더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3. a.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로 호접속한 후, 상기 이동단말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음성으로 전달함에 따라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b.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해당 버스가 미리 설정된 거리이내에 접근하였을 경우에 해당 버스의 도착을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및
    c. 상기 해당 버스에 승차 후, 해당 버스 또는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목적지에 위치할 경우에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이동단말로 하차에 대해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이동단말에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로 호접속하는 단계;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의 음성서비스 안내에 대응하여 이동단말에서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음성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를 경유하는 버스를 검색하여 이동단말로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에서 특정버스 번호를 음성으로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최근접 특정버스를 검색하여 해당 버스의 운행정보를 음성서비스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이동단말의 위치와 해당 버스의 위치를 파악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는가를 판별하는 단계;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다고 판별되면,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이 동단말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및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음성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이동단말 또는 버스에 장착된 GPS 모듈에 의한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와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는가를 판별하는 단계;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다고 판별되면, 버스노선정보 서비스센터에서 이동단말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및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버스의 하차를 알리는 음성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이동단말이 GPS 모듈을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만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50007380A 2005-01-27 2005-01-27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60086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380A KR20060086558A (ko) 2005-01-27 2005-01-27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380A KR20060086558A (ko) 2005-01-27 2005-01-27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558A true KR20060086558A (ko) 2006-08-01

Family

ID=3717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380A KR20060086558A (ko) 2005-01-27 2005-01-27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5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1499A (zh) * 2011-08-04 2011-12-14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多用户群体运动特征的交通工具定位系统及方法
KR101243679B1 (ko) * 2012-05-07 2013-03-19 권순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1499A (zh) * 2011-08-04 2011-12-14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多用户群体运动特征的交通工具定位系统及方法
KR101243679B1 (ko) * 2012-05-07 2013-03-19 권순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778B1 (ko)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코어 네트워크
US8260345B2 (en) Method for changing the mobile numb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02279028A (ja) 情報支援システム、情報支援方法、情報端末装置並びに情報支援装置
KR10062090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람 방법 및 시스템
US793355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H06120875A (ja) 携帯端末装置
KR20060086558A (ko) 버스노선정보 안내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269135B1 (ko) 지리정보서비스장치및그방법
JP2908406B1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40009512A (ko)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01847B1 (ko) 무선 통신망에서 위치기반 고객 연결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위치정보 송수신 장치
KR100541772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81903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位置情報案内方 式
JP2003152867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呼通知方式
KR100610200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H08265835A (ja) 移動無線通信方法
JP3933837B2 (ja) 目的位置通知システム並びに基地局情報管理端末、無線端末
KR100702649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06953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情報端末
KR20060039695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 방법
KR2007006262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164366A (ja) 移動体通信網を活用し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40026469A (ko) 항법시스템에서의 무선전화를 이용한 목적지 설정방법
KR20060044074A (ko) Gps를 이용하여 버스 운행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4784A (ko)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