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015A -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 Google Patents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015A
KR20040005015A KR1020020039283A KR20020039283A KR20040005015A KR 20040005015 A KR20040005015 A KR 20040005015A KR 1020020039283 A KR1020020039283 A KR 1020020039283A KR 20020039283 A KR20020039283 A KR 20020039283A KR 20040005015 A KR20040005015 A KR 2004000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rrent
boards
terminals
current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238B1 (ko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09/884,031 priority Critical patent/US6806679B2/en
Priority to CNB01131074XA priority patent/CN100466344C/zh
Priority to CN01260533U priority patent/CN2508405Y/zh
Priority to CA2390493A priority patent/CA2390493C/en
Priority to AT02254102T priority patent/ATE482492T1/de
Priority to DE60237758T priority patent/DE60237758D1/de
Priority to EP02254102A priority patent/EP1372207B1/en
Priority to BRPI0202616-3A priority patent/BR0202616B1/pt
Priority to ZA200204967A priority patent/ZA200204967B/xx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riority to KR1020020039283A priority patent/KR100893238B1/ko
Priority to JP2002209567A priority patent/JP5004397B2/ja
Priority to JP2002004596U priority patent/JP3091642U/ja
Publication of KR2004000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Hybrid Cells (AREA)
  • Fuel Cell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칸막이가 통상의 1차 전지 또는 2차 재충전 가능 전지 또는 연료 전지, 또는 커패시터 또는 수퍼 커패시터, 다른 유사한 충전/방전 장치의 적용에 적합하고, 전극 보드는 다수의 합류 전류 경로를 만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류 풀 단자를 가지며, 다른 극성의 탱크로부터 또는 동일 극성의 탱크로부터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의 전류 풀 단자 및 동일 전압 정격의 전류 풀 단자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또는 대안으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전류 풀 단자의 직렬 결합 또는 직렬/병렬 혼합 결합에 의해 입력/출력 전류 풀에 대한 낮은 임피던스 구조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부에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충전/방전 장치에 필요한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충전/방전 장치는 결합 도전체에 의해 동일 전위 및 동일 극성의 상기 전류 풀 단자가 병렬 상태로 동일 극성 전극의 탱크 또는 다른 극성 전극의 탱크에 연결되거나, 직렬 접속 또는 직렬/병렬 혼합 접속으로 다른 전극의 탱크에 있는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전류 풀링 단자와 연결되고, 합류하는 전류의 인피딩/아웃피딩을 촉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극성의 전극 보드의 외부 측에 어떤 선택된 형태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가 유입/유출 풀링 단자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병렬 전류 풀 도전체와 통합되고, 또는 인피딩/아웃피딩 합류 전류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더 좋은 도전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종래의 충전/방전 장치, 모든 1차 혹은 2차 재충전 전지, 또는 연료 전지, 또는 커패시터 또는 수퍼 커패시터, 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한 면에 설치된 전류 풀 단자 전극 보드와 같은 다른 전기 충전 또는 방전 장치에 있어서, 기술 사상은 아웃피딩(outfeeding) 또는 인피딩(infeeding) 전류를 집중시키거나, 대안으로 다른 전극과의 통신을 위한 직렬 또는 병렬 접합점으로서 역할을 하는 각각의 전극 보드(P100)의 한 면에 설치된 전류 풀 단자(T100)를 갖는 것이며,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인피딩 또는 아웃피딩 전류가 이동하는 전극 보드가 양면 대신 한쪽 면에만 있고, 큰 전류가 입력 또는 출력으로서 이동할 때 전극 보드에 불가피하게 따르는 것은 전류 풀 단자(T100)로부터 떨어진 전극 부분 및 전류 풀 단자에 인접한 전극 부분 상의 전류 밀도의 균일함을 필요로 하고, 이것은 한 방향의 전류 경로이기 때문에 내부 임피던스가 반드시 커지며; 보다 향상된 디자인으로, 종래의 전류 풀 단자들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제공되어, 전극 보드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출력 또는 입력 전류 경로가 장치되므로, 내부 임피던스가 감소되며, 또한, 동일 전극 또는 상이한 전극의 탱크 내에 배치된 동일 극성 및 동일 전압 사양의 전극 보드 상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막대 도전체(rod conductor)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되고, 또는 대안으로, 동일한 막대 도전체가 직렬/병렬 혼합 결합 또는 직렬 결합으로 다른 전극의 탱크 내의 다른 전극의 전류 풀 단자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구조적으로, 양극 전극 보드와 음극 전극 보드는 4변형, 5변형, 6변형, 7변형, 8변형 및 보다 높은 차수의 다변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3각형 또는 타원형 또는 거의 타원형 또는 원형 또는 거의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실시에 대해서, (1) 전극 보드의 2 이상의 측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개별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전류 풀 단자들을 갖고, 도 2에는 전극 보드의 어느 한 측면에 고정된 하나의 전류 풀 단자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는 대신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T100)가 전극 보드(P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면에 장치되어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 입력 또는 출력 경로를 형성하므로, 내부 임피던스가 낮아지게 되고, 도 3에는 각 전극 보드 상의 반대 면에 설치된 두 개의 전류 풀 단자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 (2) 전극 보드(P100)의 외면에 인접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면의 선택된 1/4 지점 또는 중간에 각각 설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체 관통 홀(S100)을 가지며, 또는 대신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면의 선택된 1/4 지점에 적어도 2개가 아닌 도전체 관통 홀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양극 전극 보드 또는 음극 전극 보드 상의 둘 또는 그 이상의 면의 선택된 또는 중간 1/4 지점에 예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연 공간 또는 절연 갭으로 보충되며, 상기 도전체 관통 홀은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가 서로 교차하여 순서대로 설치되는 경우 접촉되지 않고 막대 도전체(B100)의 통과를 수용하며, 또는 대신에 상기 관통 홀이 각각의 크기가 막대 도전체보다 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연 관통 홀로 대체되어, 전극 보드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또한 배터리 장치의 내부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며, 도 4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2개의 관통 홀 및 2개의 절연 갭이 설치된 전극 보드의 실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개선된 구조는 충전/방전 장치에서 전류 경로를 증가시킴으로써 충전 장치의 내부 임피던스를 감소시킬수 있고, 당 분야에 포함된 각각의 전극 탱크 사이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상호 연결된 다변형 및 다중 경로는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 및 제조비용의 증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류 풀 수단을 가져서 전극 보드에는 다수의 전류 풀 경로가 만들어지게 되고, 동일한 전극 극성의 탱크의 전류 풀 단자 또는 전압 사양이 동일하지만 다른 전극 극성의 탱크의 전류 풀 단자들과 전극 극성 보드가 병렬로 연결되거나, 대안으로 전극 극성이 다른 탱크의 다른 전극 극성의 보드 사이의 전류 풀 단자들과 직렬 또는 직렬 병렬 혼합 결합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한 입력/출력 합류 전류에 알맞은 낮은 임피던스 구조체로 만들어진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관을 가짐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내부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고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를 갖는 충전/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전류 풀 단자 전극 보드가 한 면에 제공된 종래 기술의 전극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하나의 전류 풀 단자가 전극 보드의 어느 한쪽에 제공되는 실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두 개의 전류 풀 단자가 전극 보드의 반대 면에 제공되는 실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두 개의 관통 홀과 두 개의 절연 갭이 제공되는 전극 보드의 실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각각의 전극 탱크에서 외부 전극 보드의 외형이 두꺼운 플레이트로 강화되거나 이와 통합되는 전류 풀 도전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동일 극성 병렬 어셈블리 상에 동일 극성으로 실시되는 경우의 도 5에 도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각각의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에 대하여 외부 전극 보드의 외측에 웹 형태로 실시된 전류 풀 도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10은 동일 극성 병렬 어셈블리 상의 동일 극성에 실시된 도 8에 도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에 대하여 외부 전극 보드의 외형이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13은 동일 극성의 병렬 연결 어셈블리가 주제가 되도록 한 도 11에 도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다중 직렬 연결 레이아웃으로 실시된 각각의 독립적인 전극 탱크에 대한 전류 풀 단자를 갖는 도 5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보드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가 제공되도록 외형이 플레이트 도전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극보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17은 각각의 독립적인 전극 탱크 내의 전류 풀 단자가 다중의 복합 직/병렬 결합으로 실시되도록 도 15에 도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한 실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풀 단자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 및
도 36은 막대 도전체를 갖는 관통 홀의 어셈블리 상의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실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00: 막대 도전체 P100, P200: 전극 보드
S100: 도전성 관통 홀 T100: 전류 풀(pool) 단자
본 발명에 따른 충전/방전 장치의 일부분으로서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는 1차 전지, 또는 2차 재충전 전지, 또는 연료 전지, 또는 커패시터 또는 수퍼 커패시터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전/방전 장치의 각각의 전극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전류 풀 수단이 제공되어 전극 보드 플레이트가 다중 전류 집중 회로로서 가능하게 되는데, 다른 전극의 탱크에 있는 것이 아닌, 동일 전극의 탱크 또는 동일 전위 사양의 탱크에 있는 전류 풀 단자를 병렬로 함으로써, 또는 다른 극성의 전극 탱크의 다른 극성의 전극 플레이트 사이의 전류 풀 단자들을 직렬 접속 또는 직렬/병렬 혼합 접속함으로써 각각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플레이트의 외형이 입력 및 출력 풀 전류 모두에 매우 이로운 낮은 임피던스 구조로 만들어지게 된다.
충전/방전 장치는 결합 도전체에 의해 동일 전위 및 동일 극성의 상기 전류 풀 단자가 병렬 상태로 동일 극성 전극의 탱크 또는 다른 극성 전극의 탱크에 연결되거나, 직렬 접속 또는 직렬/병렬 혼합 접속으로 다른 전극의 탱크에 있는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전류 풀링 단자와 연결되고, 합류하는 전류의 인피딩/아웃피딩을 촉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극성의 전극 보드의 외부 측에 어떤 선택된 형태의 낮은 저항 전류 풀 구조체가 유입/유출 풀링 단자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병렬 전류 풀 도전체와 통합되고, 또는 인피딩/아웃피딩 합류 전류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더 좋은 도전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구조적으로, 상기 충전/방전 장치는,
- 개별적인 전극 탱크가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 외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출력/입력 전류 풀 단자(T100)에 접속하기 위한 플레이트(plate) 또는 스트립(strip) 또는 웹(web) 형상 구조,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으로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다른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
- 입력/출력 전류의 풀링을 쉽게 하기 위해, 연속적인 출력 전류 풀 단자들사이의 영역이 용접, 땜납, 리벳팅, 또는 나사 조임 기술에 의해 상호 연결되거나, 압축 응력 받아서, 또는 매립 또는 인레이(inlay)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개별적인 전극 탱크가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출력/입력 전류 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플레이트 또는 스트립 또는 웹 형상 구조,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으로 선택된 재료의 다른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
- 입력/출력 전류 풀의 통과를 쉽게 하기 위해,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충전/방전 장치와 관련된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를 갖는,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두꺼운 보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 또는 스트립 또는 웹 형상의 구조,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이 아닌 선택된 재료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
- 땜납, 용접, 리벳팅, 나사 조임, 압축 응력 기술, 또는 매립, 인레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연결되고,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 외부에 설치되고, 마스터 충전/방전 어셈블리 상의 대응 단자들에 이르며, 입력/출력 전류의 풀링을 쉽게 하기 위해 플레이트, 스트립 또는 웹 형상을 가지며, 선택된 기하학적 외형 및 다른 재료의 낮은 임피던스 도전성 어셈블리인 입력/출력 목적의 전류 풀 단자들,
- 복수의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 상의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들의 세트들 사이의 병렬 도전체들 사이에 끼워진 선택된 재료 및 선택된 기하학적 외형의 도전체의 상호 연결 부분 또는 바(bar), 및
-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의 세트들 상의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 상의 직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체들 사이에 추가로 끼워지는 선택된 기하학적 외형 및 재료의 상호 연결 부분 및 바의 특징 중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충전/방전 장치에 대한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어셈블리에서,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는 외형이 앞서 개시된 낮은 임피던스 구조와 다른 필요한 다른 낮은 임피던스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입력/출력 목적의 전류 풀 단자의 일부로서 단일 측면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단일 또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이 통합되는 충전/방전 장치에 대한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어셈블리의 많은 실례 및 그들의 응용예가 이하에 기술될 것이고, 많은 기하학적 형상이 이 디자인에 적용되며, 또한 전류 풀 단자의 측면의 수와 단자 자체의 수에 대하여 선택 사항이 개방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35 중 어느 하나의 주어진 실례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설명될 것이며, 어떤 수단도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어셈블리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주 디자인의 주요한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종래 충전/방전 장치에 적용된 공지의 기술 중에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놓여진 절연 매트 또는 절연 막, 전해질 절연 실드뿐만 아니라 종래 충전/방전 장치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케이싱, 포함된 매개물에 도포된 유전성 코팅이 간단히 언급되거나, 본 명세서의 다음의 하기에 설명 중에서 완전히 생략될 것이다.
주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어셈블리의 낮은 임피던스 구조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 및 전류 풀 단자들의 외형의 개선을 포함하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전극 보드의 양극 또는 음극 외형의 개선에 관련된 디자인은 개별적인 전극 쌍을 구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전극 탱크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병렬 음극 전극 보드(P100)의 부분, 및 이것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병렬 음극 전극 보드(P100)의 부분을 갖고, 각각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부의 각각의 전류 풀 단자들 사이에 설치된 특정 두께 및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평면 플레이트 형상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를 가져서, 외부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주변의 전류 풀 단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임피던스가 동일한 전극 보드 상의 격자 구성으로 화학적으로 활성인 재료의 한 층(layer)이 적용된 통상의 전극 표면을 가로질러 지배적인 임피던스보다 낮다.
도 5에는 주 충전/방전 장치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 내의 외부의 전극 보드의 외형의 구성 또는 두꺼운 플레이트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태의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고, 플레이트 형태는 적절한 경사로 균일한 두께 또는 균일하지 않은 두께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평행한 동일 극성에 동일한 극성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별적인 전극 탱크에 설치된 개별적인 전극 쌍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바깥쪽의 각각의 전류 풀 단자(T100) 사이에는 도 8에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두께 및 웹 형태의 직선 도전성 어셈블리가 가공 처리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 극성이 평행한 상태인, 도 8에 도시된 실례의 실시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 외부의 전류 풀 단자들 사이의, 상기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에 형성된 개별적인 전극 쌍들에서, 외부에 제공된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주변의 전류 풀 단자(T100) 사이에 지배적인 임피던스가 화학적 활성 코팅의 격자 작업이 적용된 동일한 전극 보드의 다른 측면의 정상적인 전극 표면의 임피던스보다 작게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 조각 또는 웹 형태 또는 스트립(strip) 형태의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가 납땜, 용접, 리벳팅, 나사 조임 결합, 압축 응력에 의한 접합, 내부 매립, 부설(laying), 또는 다른 기술로 상호 연결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에 따른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를 갖는 각각의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외부에 제공된 전극 보드의 바깥쪽의 스트립 형태의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을 동일 극성으로 평행하게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에 플레이트 형태의 단자를 갖는 전극 보드는 2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전극 탱크에 대한 접속에 적합하므로, 동일한 전압 사양 하에서 동일한 극성의 병렬 접속 또는 반대 극성의 직렬 접속의 동일 극성에 적합하고,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독립된 전극 탱크의 전류 풀 단자들에 대하여 이루어진 다중의 직렬 결합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 오는 전류 풀 단자들과 결합하기 위하여 계획된 외부에 제공된 플레이트 형태의 단말 전극 보드의 그 측면 상에 요구되는 곳은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중 결합의 가능성의 원인이 되어 임피던스가 결국 낮아지게 되며, 이것의 실례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 따라서 도 16에는 이것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에서,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 외부의 전류 도전체 어셈블리에 2개의 전류 단자(T100)가 제공되어 다수의 전극 탱크의 세트가 응용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전극 탱크와의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을 수용한다. 도 17에는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독립된 전극 탱크의 일부의 각각의 전류 풀 단자에 대한 다중 직렬 병렬 결합이 나타나 있다.
특히,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에 관한 충전/방전 장치에 있어서, 양 측의 전류 풀 단자의 일부 및 전극 보드의 일부의 임피던스를 추가로 줄이기 위한 관점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은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의 보다 넓은 베이스가 전극 보드에 결합되도록 전류 풀 단자를 밖으로 연장되는 사다리꼴로 가공 처리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전극 보드의 출력 또는 입력, 단자 상의 내부 임피던스가 적절히 감소되고, 상기한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 및 전극 보드의 응용의 실례는 격자 구조의 화학적 능동 코팅이 도포된 양 측면을 갖는 통상의 전극 보드(P100), 각각의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부의 2 또는 그 이상의 출력 또는 입력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전류 풀단자는 전극 보드(P100), 또는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한 측면 또는 그 이상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거나, 전극 보드(P100)의 2 이상의 측면, 또는 음극 또는 양극 전극 보드의 2 이상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에 속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의 전류 풀 단자를 구비한 전극 보드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에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음극 또는 양극 전극 보드(P200)상의 한 외부 측면의 중간에 있는 2개의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T100)는 도 20에 도시된 전극 보드와 대응하는 양극 또는 음극 전극 쌍에 대해 만들어지며, 도 19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는 전류 풀 단자들을 구비한 전극 보드에 관하여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어셈블리를 갖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2 실시예의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들(T100)이 각각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부의 양 측면에 제공되어, 도 18에 도시된 전극 보드와 대칭적으로 전극 쌍을 형성하며, 도 20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디자인의 전류 풀 단자들로 완성되는 전극 보드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3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양쪽 외부 측면 중 어느 한쪽에 외부로 연장되는 2개의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들(T100)이 설치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hunch)의 피크(peak)와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존재하여,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23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디자인의 전류 풀 단자들로 완성된 전극 보드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4 실시예는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각각의 외부 측 상의 3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볼록부(hunchback)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존재하여,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24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도 26에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모양이 강조된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전류 풀 디자인을 갖는 전극 보드의 제 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5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하나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의 피크(hunch peak)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26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도 28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디자인을 갖는 전극 보드의 제 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6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의 피크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28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도 30에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형태를 갖는 전극 보드의 제 7 실시예가도시되어 있으며, 제 7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3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의 피크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P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30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
도 32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디자인을 갖는 전극 보드의 제 8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8실시예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하나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볼록부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P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32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3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4에는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디자인을 갖는 전극 보드의 제 9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 9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볼록부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P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된다. 도 34에 도시된 것의 측면도가 도 3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3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부 또는 모든 실례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응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주목해야 하며, 사변형 또는 거의 사변형의 전극 보드에 대한 응용에서, 2 또는 4개의 측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공급과는 별개로, 또한 전극 보드의 3개 측면 상에 전류 풀 단자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전극 보드의 구성이 단지 사변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제로 원형, 거의 원형, 타원형, 거의 타원형, 삼각형 및 삼각형, 사변형, 5변형, 6변형, 7변형, 8변형 등의 제한이 없는 다변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보드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을 갖도록 제조되어, 각각의 전극 보드에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링 루프가 설치된다.
도 24 내지 도 35에 포함되는 각각 및 모든 실례들에서, 사용시 전극 보드에 대한 응용상의 특수성 때문에 특수한 특징이 나타나며,
- 양극 극성 전극 보드 및 음극 극성 전극 보드는 원형, 거의 원형, 타원형, 거의 타원형, 삼각형 또는 예를 들어 사변형, 5변형, 6변형, 7변형, 8변형 및 보다 높은 차수의 다변형과 같은 다변형으로 구성되어, 쌍을 이루거나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의 각각의 작업 전극 보드 상의 동일 극성의 전류 풀 단자들 및 동일한 전압 사양의 전류 풀 단자들과의 병렬 결합을 수용하거나, 대안적으로 다른 전극 탱크의 반대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의 전류 풀 단자들과의 직렬, 병렬 또는 직렬/병렬 합성 결합을 수용하고,
-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가 비극성 충전/방전 장치, 커패시터(예를 들어)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양극 전극 보드 및 음극 전극 보드는 비극성 제 1 전극 보드 및 비극성 제 2 전극 보드로 대체될 수 있고,
- 막대(rod) 도전체는 전극 보드 상의 도전성 관통 홀을 가로질러 관통 및 결합을 위한 것이고, 막대 도전체 및 전극 보드가 일단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막대 도전체 및 전극 보드는 양호한 도전 상태를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상기 막대 도전체가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또는 다른 구성 형태, 하드코어 도전성 바(bar) 또는 공동 상태의 바, 또는 축 방향의 틈을 갖는 끝이 막히지 않은 공동 상태 구조의 유연성 있는 튜브로 구성되기 때문이며.
- 상기 막대 도전체는 그의 양 단이 캡(cap), 너트, 나사 고정된, 한쪽 면으로 압착된 쿠션 차단 절연 범프로 엠보싱되어 전극 보드 세트에 대한 압력을 가하도록 추가로 처리되어, 상기 어셈블리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 상기한 구조의 막대 도전체는 그의 병렬 전류 풀링 가능 출력의 방전에서, 동일 극성의 전극 보드 상의 도전성 관통 홀을 관통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직렬 가능 출력의 방전에서 다른 극성의 전극 도전성 관통 홀을 가로질러 관통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동일 극성 및 다른 극성의 전극들을 동시에 가로질러 관통함으로써 병렬 전류 풀링 및 직렬 결합 기능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며,
- 상기 막대 도전체가 공동의 튜브로 구성되는 경우, 기체 또는 액체 펌프 및 냉각 장치, 또는 반대로 온도를 올리는 히터를 설치하여, 튜브 막대 도전체를 통해서 기체 또는 액체를 펌핑하여, 냉각 또는 가열로 적절히 조절되는, 즉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막대 도전체가 병렬 전류 풀을 위한 구조체로서 역할을 하고, 통과되는 유체는 절연 유체인 경우, 동일 전위의 모든 전극 상의 튜브 막대 도전체는 전체적으로 직선 직렬 루프 또는 병렬 루프를 형성할 수 있으며,
- 막대 도전체가 직렬 결합 응용과 함께 병렬 전류 풀의 목적에 알맞은 경우, 다른 전위 레벨의 막대 도전체가 절연 도관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냉각 또는 가열 기술을 사용하여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절연 기체 또는 액체의 통과를 쉽게 할 수 있으며,
- 막대 도전체 및 막대 도전체가 통과될 전극 보드 상의 절연 관통 홀로 삽입될 절연 링 또는 튜브 인슐런트(insulant)는 절연을 보호하고, 또한 전극 보드 자신들 사이의 구조적 안전을 향상시키며,
- 막대 도전체 자체 및 막대 도전체가 통과될 전극 보드 상의 절연 갭(gap)에 절연이 설비되어 절연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전극 보드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 막대 도전체 상에, 및 상기 막대 도전체가 통과될 전극 보드 상의 절연 공간에 공간 안정성의 절연이 설비되어 절연을 확실하게 하고, 추가적으로 전극 보드의 구조적인 안전을 향상시키며,
- 각각이 개별적인 전극 보드의 2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상의 외부로 연장되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은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의 다중 병렬 결합을 쉽게 하거나, 대안으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직렬 결합을 만들고, 또한 충전 배터리의 동일한 전극 보드 상의 어떤 입력 또는 출력 전류에 뒤이어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경로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입력 또는 출력이 진행 중인 경우 배터리의 일부의 내부 임피던스가 적절히 감소되며,
- 서로 다른 극성의 구획된 인슐런트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제공된 절연 매트, 절연막으로 절연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슐런트가 결합 기술, 슬리브 연결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인슐런트는 양(兩) 극성의 전극 보드 상에, 또는 대신하여 양극 또는 음극의 어느 한 극성의 전극 보드에만 적용된 절연 슬리브 연결로 실행될 수 있으며,
- 충전/방전 장치의 컨테이너는 외부 상자(shell casing)이고, 절연 또는 비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전극 보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비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상자의 내부 및 전극의 내부 공간은 절연 강화제로 커버되는 특징들의일부 또는 모두가 고유한 것이다.
도 36에는 충전/방전 장치가 관통 홀 및 막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한 본 발명의 충전/방전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어셈블리에서, 필요한 경우 단일하게 또는 복수로 하나의 측면 또는 그 이상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음극 전극 보드 상의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와는 별개로, 개별적으로 외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개별적인 전극 보드 상의 2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상에 설치되도록, 또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모두 단지 하나의 측면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상에 설치되도록 모든 다른 전극 보드들이 설치되어, 동일 극성의 전극 보드 상에 집중되는 다중 전류 경로 병렬 접속, 또는 대신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다중 경로 직렬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구조적으로, 상기 전류 풀 단자들은 원형, 사각형, 다른 형태의 구성을 취하는 하드코어 또는 공동(空洞)의 튜브 막대 도전체로 만들어져, 충전/방전 장치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있는 도전성 관통 홀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장착되어, 동일 극성의 전극 보드와의 병렬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또는 대안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에 직렬 접속이 이루어지고, 또한, 결합된 직렬/병렬 접속이 완성되며, 동일한 전극 탱크 또는 서로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 동일한 전압 사양 및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 상의 도전체 자신인 전류 풀 단자들을 포함하기 위해 추가적인 병렬 실행이 연장되고, 또한 서로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전류 풀 단자들을 직렬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직렬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직렬/병렬 합성 결합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들이 결합되어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부에 입력/출력 전류의 풀링이 촉진되고, 또는 대안으로, 병렬 전류 풀 도전체가 보충되어 합류하는 입력 또는 출력 전류에 대한 임피던스가 감소된다.
대체로, 상기한 설명에 의해 전류 풀 구조를 갖는 충전/방전 장치는 구조적인 강도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개선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중요한 일부라고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전극 보드에 대한 임피던스가 감소되는 효과 및 전극 보드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차 셀 또는 2차 재충전/방전 셀, 또는 연료 셀 또는 커패시터 또는 수퍼 커패시터 또는 유사한 충전/방전 장치에서의 응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전류 풀(current pool) 수단으로 완성되어 다수의 전류 수렴 경로를 만드는, 충전/방전 장치를 구성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pool) 구조체에 있어서,
같은 극성의 탱크 또는 다른 극성의 탱크로부터 동일한 전압 정격의 전류 풀 단자들 및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의 전류 풀 단자들을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의 전류 풀 단자 방향을 직렬 접속 또는 직렬/병렬 혼합 접속시킴으로써, 입력/출력 전류 풀에 대한 낮은 임피던스 구조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兩)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부에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방전 장치를 구성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는 결합 도전체에 의해 동일 전위 및 동일 극성의 상기 전류 풀 단자가 병렬 상태로 동일 극성 전극의 탱크 또는 다른 극성 전극의 탱크에 연결되거나, 직렬 접속 또는 직렬/병렬 혼합 접속으로 다른 전극의 탱크에 있는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전류 풀링 단자와 연결되고, 합류하는 전류의 인피딩/아웃피딩을 촉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극성의 전극 보드의 외부 측에어떤 선택된 형태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가 유입/유출 풀링 단자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병렬 전류 풀 도전체와 통합되고, 또는 인피딩/아웃피딩 합류 전류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더 좋은 도전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 개별적인 전극 탱크가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 외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출력/입력 전류 풀 단자(T100)에 접속하기 위한 플레이트(plate) 또는 스트립(strip) 또는 웹(web) 형상 구조,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으로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다른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
- 입력/출력 전류의 풀링을 쉽게 하기 위해, 연속적인 출력 전류 풀 단자들 사이의 영역이 용접, 땜납, 리벳팅, 또는 나사 조임 기술에 의해 상호 연결되거나, 압축 응력 받아서, 또는 매립 또는 인레이(inlay)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개별적인 전극 탱크가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출력/입력 전류 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플레이트 또는 스트립 또는 웹 형상 구조,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으로 선택된 재료의 다른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
- 입력/출력 전류 풀의 통과를 쉽게 하기 위해,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충전/방전 장치와 관련된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를 갖는,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두꺼운 보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 또는 스트립 또는 웹 형상의 구조,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이 아닌 선택된 재료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
- 땜납, 용접, 리벳팅, 나사 조임, 압축 응력 기술, 또는 매립, 인레이 또는다른 수단에 의해 확실하게 연결되고,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 외부에 설치되고, 마스터 충전/방전 어셈블리 상의 대응 단자들에 이르며, 입력/출력 전류의 풀링을 쉽게 하기 위해 플레이트, 스트립 또는 웹 형상을 가지며, 선택된 기하학적 외형 및 다른 재료의 낮은 임피던스 도전성 어셈블리인 입력/출력 목적의 전류 풀 단자들,
- 복수의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 상의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들의 세트들 사이의 병렬 도전체들 사이에 끼워진 선택된 재료 및 선택된 기하학적 외형의 도전체의 상호 연결 부분 또는 바(bar), 및
-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의 세트들 상의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 상의 직렬,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체들 사이에 추가로 끼워지는 선택된 기하학적 외형 및 재료의 상호 연결 부분 및 바의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단일 또는 복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는 외형이 상기 낮은 임피던스 구조와 다른 필요한 다른 낮은 임피던스 재료로 구성되고, 입력/출력 목적의 전류 풀 단자의 일부로서 단일 측면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단일 또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전극 보드의 양극 또는 음극의 외형의 개선에 관한 디자인은, 개별적인 전극 쌍을 구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전극 탱크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병렬 양극 전극 보드(P100)의 부분, 및 이것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병렬 음극 전극 보드(P100)의 부분을 갖고, 각각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부의 각각의 전류 풀 단자들 사이에 설치된 특정 두께 및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평면 플레이트 형상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를 가져서, 외부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주변의 전류 풀 단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임피던스가 동일한 전극 보드 상의 격자 구성으로 화학적으로 활성인 재료의 한 층(layer)이 적용된 통상의 전극 표면을 가로질러 지배적인 임피던스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외부 전극 보드의 외관은 경사를 주도록 처리된 균일한 원소 또는 비균일 원소의 두꺼운 라미나(lamina) 형태로 전류 풀 도전체 내에 가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류 풀 단자들(T100) 사이의, 상기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에 있는 개체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면은 선택된 두께의 웹 형태의 도전체로 곧게 가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 외부의 전류 풀 단자들 사이의, 상기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에 형성된 개별적인 전극 쌍들에서, 외부에 제공된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주변의 전류 풀 단자(T100) 사이에 우세한 임피던스가 화학적 능동 코팅의 격자 작업이 적용된 동일한 전극 보드의 다른 측면의 정상적인 전극 표면의 임피던스보다 작게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 조각 또는 웹 형태 또는 스트립(strip) 형태의 전류 풀 도전체 어셈블리가 납땜, 용접, 리벳팅, 나사 조임 결합, 압축 응력에 의한 접합, 내부 매립, 부설(laying), 또는 다른 기술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 플레이트 형태의 단자를 갖는 상기 전극 보드는 2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전극 탱크에 대한 접속에 적합하므로, 동일한 전압 사양 하에서 동일한 극성의 병렬 접속 또는 반대 극성의 직렬 접속의 동일 극성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 오는 전류 풀 단자들과 결합하기 위하여 계획된 외부에 제공된 플레이트 형태의 단말 전극 보드의 그 측면 상에 요구되는 곳은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중 결합의 가능성의 원인이 되어 임피던스가 결국 낮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 외부의 전류 도전체 어셈블리에 2개의 전류 단자(T100)가 제공되어 다수의 전극 탱크의 세트가 응용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전극 탱크와의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양 측의 전류 풀 단자의 일부 및 전극 보드의 일부의 임피던스를 추가로 줄이기 위한 관점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은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의 보다 넓은 베이스가 전극 보드에 결합되도록 전류 풀 단자를 밖으로 연장되는 사다리꼴로 가공 처리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전극 보드의 출력 또는 입력, 단자 상의 내부 임피던스가 적절히 감소되고,
상기한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 및 전극 보드의 응용의 실례는 격자 구조의 화학적 능동 코팅이 도포된 양 측면을 갖는 통상의 전극 보드(P100), 각각의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부의 2 또는 그 이상의출력 또는 입력 전류 풀 단자(T10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전류 풀 단자는 전극 보드(P100), 또는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한 측면 또는 그 이상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거나, 전극 보드(P100)의 2 이상의 측면, 또는 음극 또는 양극 전극 보드의 2 이상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음극 또는 양극 전극 보드(P200)상의 한 외부 측면의 중간에 있는 2개의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T100)는 전극 보드와 대응하는 양극 또는 음극 전극 쌍을 위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들(T100)이 각각의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외부의 양 측면에 제공되어, 전극 보드와 대칭적으로 전극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양쪽 외부 측면 중 어느 한쪽에 외부로 연장되는 2개의 사다리꼴 전류 풀 단자들(T100)이제공되고,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hunch)의 피크(peak)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존재하여,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각각의 외부 측 상의 3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볼록부(hunchback)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존재하여,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하나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의 피크(hunch peak)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의 피크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T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3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혹의 피크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배열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P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하나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볼록부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P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사변형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P200)의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외부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전류 풀 단자(T100)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동일 측면 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볼록부와 전극 보드의 양 측면의 에지 사이에 치수의 차가 유지되어, 전극 쌍이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전극 보드의 배면을 포갬으로써 만들어지는 경우, 상호 작용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류 풀 단자(P100)가 서로 방해하지 않고 교차하면서 인접한 전극 보드의 양극/음극 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상호 조화된 포갬이 만들어져, 보다 나은 전류 풀링 효과가 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베이스 영역에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사변형 또는 거의 사변형의 전극 보드에 대한 응용에서, 2 또는 4개의 측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의 공급과는 별개로, 또한 전극 보드의 3개 측면 상에 전류 풀 단자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전극 보드의 구성이 단지 사변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제로 원형, 거의 원형, 타원형, 거의 타원형, 삼각형 및 삼각형, 사변형, 5변형, 6변형, 7변형, 8변형 등의 제한이 없는 다변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보드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을 갖도록 제조되어, 각각의 전극 보드에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링 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전극 보드에 대한 응용상의 특수성 때문에 특수한 특징이 나타나며,
- 양극 극성 전극 보드 및 음극 극성 전극 보드는 원형, 거의 원형, 타원형, 거의 타원형, 삼각형 또는 예를 들어 사변형, 5변형, 6변형, 7변형, 8변형 및 보다 높은 차수의 다변형과 같은 다변형으로 구성되어, 쌍을 이루거나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의 각각의 작업 전극 보드 상의 동일 극성의 전류 풀 단자들 및 동일한 전압 사양의 전류 풀 단자들과의 병렬 결합을 수용하거나, 대안적으로 다른 전극 탱크의 반대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의 전류 풀 단자들과의 직렬, 병렬 또는 직렬/병렬 합성 결합을 수용하고,
-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가 비극성 충전/방전 장치, (예를 들어)커패시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양극 전극 보드 및 음극 전극 보드는 비극성 제 1 전극 보드 및 비극성 제 2 전극 보드로 대체될 수 있고,
- 막대(rod) 도전체는 전극 보드 상의 도전성 관통 홀을 가로질러 관통 및 결합을 위한 것이고, 막대 도전체 및 전극 보드가 일단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막대 도전체 및 전극 보드는 양호한 도전 상태를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상기 막대 도전체가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또는 다른 구성 형태, 하드코어 도전성 바(bar) 또는 공동 상태의 바, 또는 축 방향의 틈을 갖는 끝이 막히지 않은 공동 상태 구조의 유연성 있는 튜브로 구성되기 때문이며.
- 상기 막대 도전체는 그의 양 단이 캡(cap), 너트, 나사 고정된, 한쪽 면으로 압착된 쿠션 차단 절연 범프로 엠보싱되어 전극 보드 세트에 대한 압력을 가하도록 추가로 처리되어, 상기 어셈블리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 상기한 구조의 막대 도전체는 그의 병렬 전류 풀링 가능 출력의 방전에서 동일 극성의 전극 보드 상의 도전성 관통 홀을 관통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직렬 가능 출력의 방전에서 다른 극성의 전극 도전성 관통 홀을 가로질러 관통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동일 극성 및 다른 극성의 전극들을 동시에 가로질러 관통함으로써 병렬 전류 풀링 및 직렬 결합 기능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며,
- 상기 막대 도전체가 공동의 튜브로 구성되는 경우, 기체 또는 액체 펌프 및 냉각 장치 또는 반대로 온도를 올리는 히터를 설치하여, 튜브 막대 도전체를 통해서 기체 또는 액체를 펌핑하여, 냉각 또는 가열로 적절히 조절되는, 즉 온도가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막대 도전체가 병렬 전류 풀을 위한 구조체로서 역할을 하고, 통과되는 유체는 절연 유체인 경우, 동일 전위의 모든 전극 상의 튜브 막대 도전체는 전체적으로 직선 직렬 루프 또는 병렬 루프를 형성할 수 있으며,
- 막대 도전체가 직렬 결합 응용과 함께 병렬 전류 풀의 목적에 알맞은 경우, 다른 전위 레벨의 막대 도전체가 절연 도관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냉각 또는 가열 기술을 사용하여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절연 기체 또는 액체의 통과를 쉽게 할 수 있으며,
- 막대 도전체 및 막대 도전체가 통과될 전극 보드 상의 절연 관통 홀로 삽입될 절연 링 또는 튜브 인슐런트(insulant)는 절연을 보호하고, 또한 전극 보드 자신들 사이의 구조적 안전을 향상시키며,
- 막대 도전체 자체 및 막대 도전체가 통과될 전극 보드 상의 절연 갭(gap)에 절연이 설비되어 절연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전극 보드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 막대 도전체 상에, 및 상기 막대 도전체가 통과될 전극 보드 상의 절연 공간에 공간 안정성의 절연이 설비되어 절연을 확실하게 하고, 추가적으로 전극 보드의 구조적인 안전을 향상시키며,
- 각각이 개별적인 전극 보드의 2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상의 외부로 연장되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은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의 다중 병렬 결합을 쉽게 하거나, 대안적으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직렬 결합을만들고, 또한 충전 배터리의 동일한 전극 보드 상의 어떤 입력 또는 출력 전류에 뒤이어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경로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입력 또는 출력이 진행 중인 경우 배터리의 일부의 내부 임피던스가 적절히 감소되며,
- 서로 다른 극성의 구획된 인슐런트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제공된 절연 매트, 절연막으로 절연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슐런트가 결합 기술, 슬리브 연결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인슐런트는 양(兩) 극성의 전극 보드 상에, 또는 대신하여 양극 또는 음극의 어느 한 극성의 전극 보드에만 적용된 절연 슬리브 연결로 실행될 수 있으며,
- 충전/방전 장치의 컨테이너는 외부 상자(shell casing)이고, 절연 또는 비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전극 보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비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상자의 내부 및 전극의 내부 공간은 절연 강화제로 커버되는 특징의 일부 또는 모두가 본질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제 1 항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단일하게 또는 복수로 하나의 측면 또는 그 이상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전극 탱크의 양 측면의 양극, 음극 전극 보드 상의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와는 별개로, 개별적으로 외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개별적인 전극 보드 상의 2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상에 설치되도록, 또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 풀 단자들이 모두 단지 하나의 측면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상에 설치되도록 모든 다른 전극 보드들이 설치되어, 동일 극성의 전극 보드 상에 집중되는 다중 전류 경로 병렬 접속, 또는 대신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다중 경로 직렬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구조적으로, 상기 전류 풀 단자들은 원형, 사각형, 다른 형태의 구성을 취하는 하드코어 또는 공동(空洞)의 튜브 막대 도전체로 만들어져, 충전/방전 장치의 전극 보드들 사이에 있는 도전성 관통 홀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장착되어, 동일 극성의 전극 보드와의 병렬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또는 대안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에 직렬 접속이 이루어지고, 또한, 결합된 직렬/병렬 접속이 완성되며,
동일한 전극 탱크 또는 서로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 동일한 전압 사양 및 동일한 극성의 전극 보드 상의 도전체 자신인 전류 풀 단자들을 포함하기 위해 추가적인 병렬 실행이 연장되고, 또한 서로 다른 전극 탱크로부터 다른 극성의 전극 보드 사이의 전류 풀 단자들을 직렬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직렬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직렬/병렬 합성 결합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입력/출력 전류 풀 단자들이 결합되어 개별적으로 설치된 전극 탱크의 양 측면 상의 양극 또는 음극 전극 보드의 외부에 입력/출력 전류의 풀링이 촉진되고, 또는 대안적으로, 병렬 전류 풀 도전체가 보충되어 합류하는 입력 또는 출력 전류에 대한 임피던스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KR1020020039283A 2001-06-20 2002-07-08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수집 구조체 KR10089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84,031 US6806679B2 (en) 2001-06-20 2001-06-20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CN01260533U CN2508405Y (zh) 2001-06-20 2001-09-19 改进型储放电装置的低内阻汇流结构
CNB01131074XA CN100466344C (zh) 2001-06-20 2001-09-19 一种储放电装置的低内阻汇流结构
CA2390493A CA2390493C (en) 2001-06-20 2002-06-11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DE60237758T DE60237758D1 (de) 2001-06-20 2002-06-12 Stromabnehmer mit niedriger inneren Impedanz für Lade/Entlade Vorrichtung
EP02254102A EP1372207B1 (en) 2001-06-20 2002-06-12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AT02254102T ATE482492T1 (de) 2001-06-20 2002-06-12 Stromabnehmer mit niedriger inneren impedanz für lade/entlade vorrichtung
BRPI0202616-3A BR0202616B1 (pt) 2001-06-20 2002-06-19 combinaÇço de correntes de baixa impedÂncia interna para um dispositivo de carga/descarga.
ZA200204967A ZA200204967B (en) 2001-06-20 2002-06-20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KR1020020039283A KR100893238B1 (ko) 2001-06-20 2002-07-08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수집 구조체
JP2002209567A JP5004397B2 (ja) 2001-06-20 2002-07-18 低いインナー抵抗を有する蓄電、放電装置のバス構造
JP2002004596U JP3091642U (ja) 2001-06-20 2002-07-25 低いインナー抵抗を有する蓄電、放電装置のバス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84,031 US6806679B2 (en) 2001-06-20 2001-06-20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CN01260533U CN2508405Y (zh) 2001-06-20 2001-09-19 改进型储放电装置的低内阻汇流结构
CNB01131074XA CN100466344C (zh) 2001-06-20 2001-09-19 一种储放电装置的低内阻汇流结构
CA2390493A CA2390493C (en) 2001-06-20 2002-06-11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EP02254102A EP1372207B1 (en) 2001-06-20 2002-06-12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BRPI0202616-3A BR0202616B1 (pt) 2001-06-20 2002-06-19 combinaÇço de correntes de baixa impedÂncia interna para um dispositivo de carga/descarga.
ZA200204967A ZA200204967B (en) 2001-06-20 2002-06-20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KR1020020039283A KR100893238B1 (ko) 2001-06-20 2002-07-08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수집 구조체
JP2002209567A JP5004397B2 (ja) 2001-06-20 2002-07-18 低いインナー抵抗を有する蓄電、放電装置のバス構造
JP2002004596U JP3091642U (ja) 2001-06-20 2002-07-25 低いインナー抵抗を有する蓄電、放電装置のバス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015A true KR20040005015A (ko) 2004-01-16
KR100893238B1 KR100893238B1 (ko) 2009-04-10

Family

ID=5061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83A KR100893238B1 (ko) 2001-06-20 2002-07-08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수집 구조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06679B2 (ko)
EP (1) EP1372207B1 (ko)
JP (2) JP5004397B2 (ko)
KR (1) KR100893238B1 (ko)
CN (2) CN100466344C (ko)
AT (1) ATE482492T1 (ko)
BR (1) BR0202616B1 (ko)
CA (1) CA2390493C (ko)
DE (1) DE60237758D1 (ko)
ZA (1) ZA200204967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43A (ko)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벳에 의해 전극탭과 리드선이 접합되는 적층형리튬이차전지의 전극탭 처리방법
KR100683836B1 (ko) * 2006-07-18 2007-02-16 김용환 전착도장용 격막장치의 프로텍터
KR100770518B1 (ko) * 2004-04-23 2007-10-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이차전지
DE102008001137A1 (de) * 2008-04-14 2009-10-15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mit zumindest einem Aufnahmebehältnis für ein Fluid an einem Bodenbereich eines Fahrzeuges
KR20110060855A (ko) * 2009-11-30 2011-06-08 양태허 전극판에 보조용 전기 전도체가 설치된 축전형 전원공급기
KR101139016B1 (ko) * 2009-06-17 2012-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
WO2013022938A3 (en) * 2011-08-08 2013-05-16 Rogers Corporation Busbar including flexible circuit
US8968910B2 (en) 2010-12-20 2015-03-03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KR20190143407A (ko) * 2018-06-19 2019-12-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US11545706B2 (en) 2018-06-19 2023-01-03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6679B2 (en) * 2001-06-20 2004-10-19 Tai-Her Yang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JP4977356B2 (ja) * 2005-10-26 2012-07-1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集合体
JP4923679B2 (ja) * 2006-03-31 2012-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
US7696729B2 (en) * 2006-05-02 2010-04-13 Advanced Desalination Inc. Configurable power tank
JP4462245B2 (ja) * 2006-07-19 2010-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次電池、積層2次電池および組電池
JP4569534B2 (ja) * 2006-07-19 2010-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4501905B2 (ja) * 2006-07-19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BRPI0915812A2 (pt) * 2008-07-09 2015-11-10 Li Tec Battery Gmbh coletor de corrente e célula galvânica
JPWO2010010717A1 (ja) * 2008-07-25 2012-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ポーラ型電池
JP2010108840A (ja) * 2008-10-31 2010-05-13 Sony Corp 燃料電池およびこれに用いる電極ならびに電子機器
US8304112B2 (en) * 2008-12-01 2012-11-06 Tai-Her Yang Electrode plate multi-end sides to single end side current collector of an electricity storage/discharge device
US8264208B2 (en) * 2008-12-20 2012-09-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of charging super-capacitors
DE102009009923A1 (de) * 2009-02-20 2010-08-26 Li-Tec Battery Gmbh Kontaktierungselement
US20110262787A1 (en) * 2010-04-23 2011-10-27 Hosein Maleki Electrochemical Cell with Reduced Magnetic Field Emission and Corresponding Devices
US8642205B2 (en) 2010-08-09 2014-02-04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chemical battery pack with reduced magnetic field emission and corresponding devices
US9270102B2 (en) * 2013-07-30 2016-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layered bus bar
DE102015202338A1 (de) * 2015-02-10 2016-08-11 Robert Bosch Gmbh Design für Feststoffzellen
KR102113323B1 (ko) * 2017-01-26 2020-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온 이차전지
KR102137699B1 (ko) * 2017-02-23 2020-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바를 적용한 배터리 셀
JP6645999B2 (ja) * 2017-03-21 2020-02-14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両
JP2018174094A (ja) * 2017-03-31 2018-11-08 リチウム エナジー アンド パワ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ッ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蓄電装置
JP2018181422A (ja) * 2017-04-03 2018-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のターミナルプレート
JP6881264B2 (ja) * 2017-12-01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平型電線
JP6939522B2 (ja) * 2017-12-25 202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のターミナルプレート
KR102519443B1 (ko) * 2017-12-27 2023-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19239560A1 (ja) * 2018-06-14 2019-12-19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蓄電素子とそれを用いた蓄電池
KR102469872B1 (ko) * 2019-04-15 2022-11-2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24807B1 (ko) * 2019-05-14 2024-01-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및 이의 검사 방법
KR20210052984A (ko) * 2019-11-01 2021-05-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시스템
KR102596075B1 (ko) * 2021-05-21 2023-10-31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커패시터의 직병렬 적층 구조를 갖는 고전압 출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080A (en) * 1983-12-29 1987-03-17 John A. Draper High efficiency battery charging system
US4951255A (en) * 1989-04-14 1990-08-21 Atmel Corporation Memory current sink
US5578396A (en) * 1994-10-19 1996-11-26 Arthur D. Little, Inc. Current collector device
JP3363335B2 (ja) * 1996-12-27 2003-01-08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薄膜コンデンサ
CN100336245C (zh) * 1998-01-14 2007-09-05 杨泰和 储放电装置的低内阻汇流结构
JP2000150290A (ja) * 1998-09-11 2000-05-30 Kyocera Corp コンデンサ
US6191934B1 (en) * 1998-10-02 2001-02-20 Sarnoff Corporation & Co., Ltd. High dielectric constant embedded capacitors
JP3860675B2 (ja) * 1999-02-26 2006-12-20 京セラ株式会社 コンデンサ
US6806679B2 (en) * 2001-06-20 2004-10-19 Tai-Her Yang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518B1 (ko) * 2004-04-23 2007-10-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060033643A (ko)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벳에 의해 전극탭과 리드선이 접합되는 적층형리튬이차전지의 전극탭 처리방법
KR100683836B1 (ko) * 2006-07-18 2007-02-16 김용환 전착도장용 격막장치의 프로텍터
DE102008001137A1 (de) * 2008-04-14 2009-10-15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mit zumindest einem Aufnahmebehältnis für ein Fluid an einem Bodenbereich eines Fahrzeuges
KR101139016B1 (ko) * 2009-06-17 2012-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
KR20110060855A (ko) * 2009-11-30 2011-06-08 양태허 전극판에 보조용 전기 전도체가 설치된 축전형 전원공급기
US8968910B2 (en) 2010-12-20 2015-03-03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WO2013022938A3 (en) * 2011-08-08 2013-05-16 Rogers Corporation Busbar including flexible circuit
KR20190143407A (ko) * 2018-06-19 2019-12-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KR20210109494A (ko) * 2018-06-19 2021-09-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모듈
US11545706B2 (en) 2018-06-19 2023-01-03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508405Y (zh) 2002-08-28
EP1372207A1 (en) 2003-12-17
DE60237758D1 (de) 2010-11-04
ATE482492T1 (de) 2010-10-15
EP1372207B1 (en) 2010-09-22
JP2004055270A (ja) 2004-02-19
JP3091642U (ja) 2003-02-07
BR0202616A (pt) 2004-05-11
CA2390493C (en) 2010-05-04
ZA200204967B (en) 2003-07-30
CA2390493A1 (en) 2003-12-11
KR100893238B1 (ko) 2009-04-10
CN1409423A (zh) 2003-04-09
BR0202616B1 (pt) 2011-06-14
US6806679B2 (en) 2004-10-19
CN100466344C (zh) 2009-03-04
JP5004397B2 (ja) 2012-08-22
US20020195990A1 (en)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5015A (ko) 충전/방전 장치용 낮은 내부 임피던스 전류 풀 구조체
JP6320585B2 (ja) 蓄電及び給電装置
EP2192643B1 (en) Electrode plate multi-end sides to single end side current collector of an electricity storage/discharge device
US6531247B1 (en) Electricity storage/discharge device with low internal resistance current collector structure
US4262064A (en) Toroidal cell and battery
CN102195047B (zh) 具绝缘分流导电结构的均流电极板
US20020102449A1 (en) Electrode and interconnect for miniature fuel cells using direct methanol feed
JP2000012050A (ja) ガスセパレー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CN220420813U (zh) 电池组件及用电设备
US20230275325A1 (en) Busbar for a battery
CN212517441U (zh) 一种二次电池模组
CN114497912A (zh) 一种极耳结构、焊接方法及电池
KR100638586B1 (ko)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BRPI0905285B1 (pt) dispositivo de armazenamento/descarga de eletricid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