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586B1 -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586B1
KR100638586B1 KR1019990018980A KR19990018980A KR100638586B1 KR 100638586 B1 KR100638586 B1 KR 100638586B1 KR 1019990018980 A KR1019990018980 A KR 1019990018980A KR 19990018980 A KR19990018980 A KR 19990018980A KR 100638586 B1 KR100638586 B1 KR 10063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onductor
holes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793A (ko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riority to KR101999001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58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Abstract

낮은 내부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에 있어서, 그 전극판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집전 단자를 가지므로 내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둘 또는 그 이상의 입출력 전류회로로 구성되고, 전극판의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집전 단자는 외부 연장 전류단자, 전극판 측부들, 또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속이 차있거나(solid) 또는 속이 비어있는 튜브형 도전체 막대를 포함하여, 병렬 결합을 위해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연결하거나 또는 직렬 결합 또는 직렬 및 병렬의 혼합 결합을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연결하기 위해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전극판에 제공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THE ELECTRICITY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도 1은 전극 집전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전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전극판의 2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전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
도 9는 전극판의 2변에 두개의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전면도,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B-B' 단면도,
도 13은 전극판의 2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전면도,
도 15는 도 14의 A-A'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B-B' 단면도,
도 17은 전극판의 2변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노치 및 영역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8은 도 17의 전면도,
도 19는 도 18의 A-A'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B-B' 단면도,
도 21은 전극판의 2변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22는 도 21의 전면도,
도 23은 도 22의 A-A'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B-B' 단면도,
도 25는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26은 도 25의 전면도,
도 27은 도 26의 A-A'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B-B' 단면도,
도 29는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30은 도 29의 전면도,
도 31은 도 30의 A-A' 단면도,
도 32는 도 30의 B-B' 단면도,
도 33은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34는 도 33의 전면도,
도 35는 도 34의 A-A' 단면도,
도 36은 도 34의 B-B' 단면도,
도 37은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38은 도 37의 전면도,
도 39는 도 38의 A-A' 단면도,
도 40은 도 38의 B-B' 단면도,
도 41은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42는 도 41의 전면도,
도 43은 도 42의 A-A' 단면도,
도 44는 도 42의 B-B' 단면도,
도 45는 사변형 전극판의 4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46은 도 45의 전면도,
도 47은 도 46의 A-A' 단면도,
도 48은 도 46의 B-B' 단면도,
도 49는 사변형 전극판의 4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50은 도 49의 전면도,
도 51은 도 50의 A-A' 단면도,
도 52는 도 50의 B-B' 단면도,
도 53은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노치가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54는 도 53의 전면도,
도 55는 도 54의 A-A' 단면도,
도 56은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상호교차하여 각각 전극판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57은 도 56의 전면도,
도 58은 도 57의 A-A' 단면도,
도 59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전극판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0은 도 59의 전면도,
도 61은 도 60의 A-A' 단면도,
도 62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전극판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3은 도 59의 전면도,
도 64는 도 60의 A-A' 단면도,
도 65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노치가 상호교차하여 각각 전극판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6은 도 65의 전면도,
도 67은 도 66의 A-A' 단면도,
도 68은 도 66의 B-B' 단면도,
도 69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상호교차하여 각각 전극판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70은 도 69의 전면도,
도 71은 도 70의 A-A' 단면도,
도 72는 도 70의 B-B' 단면도,
도 73은 타원형 또는 준타원형 전극판의 2개 대칭적인 최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74는 도 73의 전면도,
도 75는 도 74의 A-A' 단면도,
도 76은 직사각형 또는 준직사각형 전극판의 2개 대칭적인 최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77은 도 76의 전면도,
도 78은 도 76의 A-A' 단면도,
도 79는 직사각형 또는 준직사각형 전극판의 2개 대칭적인 최단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0은 도 79의 전면도,
도 81은 도 80의 A-A' 단면도,
도 82는 삼각형 또는 준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3은 도 82의 전면도,
도 84는 도 83의 A-A' 단면도,
도 85는 대칭적인 사변형 또는 준사변형 전극판의 4개 외부면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6은 도 85의 전면도,
도 87은 도 86의 A-A' 단면도,
도 88은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의 외면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9는 도 88의 전면도,
도 90은 도 89의 A-A' 단면도,
도 91은 도 89의 B-B' 단면도,
도 92는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93은 도 92의 전면도,
도 94는 도 93의 A-A' 단면도,
도 95는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96은 도 92의 전면도,
도 97은 도 96의 A-A' 단면도,
도 98은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서 대칭 교차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99는 도 98의 전면도,
도 100은 도 99의 A-A' 단면도,
도 101은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3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3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서 대칭 교차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2는 도 101의 전면도,
도 103은 도 102의 A-A' 단면도,
도 104는 도 102의 B-B' 단면도,
도 105는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3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3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서 6각 대칭 교차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6은 도 105의 전면도,
도 107은 도 106의 A-A' 단면도,
도 108은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3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3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9는 도 105의 전면도,
도 110은 도 109의 A-A' 단면도,
도 111은 전극판에 4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4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교차-대칭 이중링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12는 도 111의 전면도,
도 113은 도 112의 A-A' 단면도,
도 114는 각각의 전극판에 4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4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교차-대칭 링형상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15는 도 114의 전면도,
도 116은 도 115의 A-A' 단면도,
도 117은 각각 동일 단부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18은 도 117의 측면도,
도 119는 각각 다른 단부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20은 도 119의 측면도,
도 121은 각각 중심부 근방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22는 도 119의 측면도,
도 123은 각각 각 면의 양 단부 근방에서 2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24는 도 123의 측면도,
도 125는 각각 2개 전류집전 단자가 교차하여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26은 도 125의 측면도,
도 127은 각각 중심부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4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 128은 도 127의 측면도,
도 129는 축방향 개구부를 갖는 밀폐되지 않은 탄력적인 속이 비어있는 튜브 도전 구조체를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개략도, 및
도 130은 절연된 링형상 구조를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개략도이다.
제 1 또는 제 2 측부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입출력 전류 기능을 집전하거나 또는 다른 전극과의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의 연결 노드로서 사용하기 위해 각각의 전극판의 한 변에 전류집전 단자가 준비되어 있지만, 전극판이 한 변만의 입출력 전류를 갖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전류 입출력 전송의 경우 전류집전 단자와 가까운 영역과 전류집전 단자로부터 멀리 있는 영역의 전류 밀도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병렬 결합 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직렬 결합에서, 각각의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용접 또는 압착법에 의해 전기 도전 단자와 연결되어, 한 변 1개 회로는 더 높은 내부 저항을 갖게된다.
낮은 내부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에 있어서, 그 전극판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집전 단자를 가지므로 내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둘 또는 그 이상의 입출력 전류회로로 구성되고, 전극판의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전류집전 단자는 외부 연장 전류단자, 전극판 측부들, 또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속이 차있거나 또는 속이 비어있는 튜브형 도전체 막대를 포함하여, 병렬 결합을 위해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연결하거나 또는 직렬 결합 또는 직렬 및 병렬의 혼합 결합을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연결하기 위해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전극판에 제공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시킨다.
상기한 설계의 구조적 특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1. 양극 및 음극판은 원형 또는 준원형, 타원형, 또는 세 변 또는 그 이상을 갖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또는 8변 이상을 갖는 다각형 포함) 전극판 구조체의 구성을 포함하고, 그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실시예는: (1) 2변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전극판에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연장 전류집전 단자가 설치되는 단계; (2) 양극 또는 음극판의 중심부 근방, 또는 2변 또는 그 이상의 변의 선택된 영역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제공되고, 그 2변 또는 그 이상의 변의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양극 또는 음극판의 중심부에는 전극판이 교차하여 적층된 후 접촉하지 않고서 도전체 막대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도전체 막대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통구멍 또는 노치 또는 절연영역이 설치되어, 전극판이 2 또는 그 이상의 입출력 전류회로를 갖도록 하여, 전기충전장치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2. 도전체 막대가 전류집전 단자로서 사용된다면, 도전체 관통구멍 및 도전체 막대는 압력 또는 용접에 의해,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도전체 관통구멍에 대해 삽입 튜브형 도전체 막대의 탄성 변형을 강요하는 것에 기인한 압력 조정에 의해, 또는 도전체 관통구멍에 대해 축방향 개구부를 갖는 비밀폐된 속이 비어있는 튜브 구조체의 탄성 변형을 강요하는 것에 기인한 압력 조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3. 도전체 막대가 전류집전 단자로서 사용된다면, 양극 또는 음극판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이 교차하여 적층된 후 접촉하지 않고서 도전체 막대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도전체 막대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절연영역 또는 노치 또는 관통구멍이 설치된다;
4. 도전체 막대가 전류집전 단자로서 사용된다면, 각각의 전극판은 병렬 결합 또는 직렬 결합 또는 직병렬 결합의 혼합 결합이 되도록 전극판의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도전체 막대를 관통시키므로써 결합될 수 있다;
5. 도전체 막대가 전류집전 단자로서 사용된다면, 도전체 막대의 양 단부는, 고정을 시키고 전극판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축 잠금 나사가 설치되고, 압축 잠금 너트 또는 다방향 압축 와셔와 매치될 수 있다;
6. 도전체 막대가 전류집전 단자로서 사용되고 도전체 막대가 튜브형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면, 냉각기체 또는 액체는 전극판을 차게하기 위해 튜브 구조체를 통해 분출될 수 있다;
7.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간의 다중 병렬결합 회로, 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간의 직렬결합 회로에서 각각의 전극판의 2변 또는 그 이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연장 전류집전 단자를 각각 설치하므로써, 전기 충전장치내 동일한 전극판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입출력을 위한 전류회로가 설치되어 전기 충전 장치 입출력 공정동안 내부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판-여기서, 상기 각각의 전극판은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current collecting terminals)와,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관통구멍과, 적어도 하나의 절연 개구부(isolating opening)를 구비함-과,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전극판들의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절연체 부재와, 상기 관통구멍들 중 선택된 관통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선택된 관통구멍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회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도전체 막대-여기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의 관통구멍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판들 사이에서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의 관통구멍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판들 사이에서 병렬 연결을 형성함-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또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전극판들의 절연 노치들(isolating notches)을 통과하고, 상기 절연 개구부들은 상기 도전체 막대들보다 더 큰 크기를 가져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과 상기 전극판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속이 빈 튜브들(hollow tubes)이고 냉각 유체(cooling fluid)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상기 관통구멍들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전극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이다. 또한, 상기 전극판들은 적어도 세 개의 면을 갖는 다각형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절연 개구부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 개구부들을 관통하는 상기 도전체 막대들을 상기 도전체 막대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각각의 전극판들로부터 추가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의 양 끝단에 상기 전극판들과 절연체 부재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한 기계적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 1 전극판 쌍-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상기 제 1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1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상기 제 2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2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상기 제 1 전극판 쌍의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을 형성하는 제 1 절연 부재와, 제 3 전극판-여기서, 상기 제 3 전극판은 상기 제 3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3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제 4 전극판-여기서, 상기 제 4 전극판은 상기 제 4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4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상기 제 3 전극판과 상기 제 4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충전 및 방전 셀을 형성하는 제 2 절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전류집전 단자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충전 및 방전 셀 사이에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류집전 단자들의 적어도 두개와 상기 제 4 전류집전 단자들의 적어도 두개는 상기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충전 및 방전 셀을 위한 입력 및 출력 단자로 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집전 단자들의 적어도 두개는 상기 전극판들의 코너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들은 판 형상의 도전체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 1 전극판 쌍-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상기 제 1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1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상기 제 2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2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상기 제 1 전극판 쌍의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을 형성하는 제 1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반대편 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들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이 연결된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갖음-을 구비하며,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반대편 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들은 충전 전원 또는 부하에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추가적인 저장 셀들에 대해 입출력 단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반대편 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들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이 연결된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음-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판들의 상기 각각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전류집전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각각의 판들 위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들의 각각은 그것의 각각의 판들에 대해 입출력 단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들은 상기 셀들의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들 사이에 늘여져 있는 판 형상의 도전체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구조적 특성을 갖는 다양한 응용 실시예가 후술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의 구조적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 사이의 외부 주물 및 절연 플레이트, 시트, 또는 막은 다음 설명의 응용 실시예에서 생략된다; 응용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A. 사각형 또는 준사각형 전극판의 2변에 전류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 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1은 전극 집전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전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1-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 및 절연영역(S101,S102)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 및 절연영역(S201,S202)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두 개의 이웃하는 전극판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2) 도 5는 전극판의 2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전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이고, 도 5-8에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 관통구멍(S111,S112)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 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 관통구멍(S211,S212)이 각각 유지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3) 도 9는 전극판의 2변에 2개의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전면도,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B-B' 단면도이고, 도 9-12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절연 관통구멍(S101,S102,S103,S104)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이 각각 설치되고, 2개 절연영역(S201,S202,S203,S204)이 각각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 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4) 도 13은 전극판의 2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전면도, 도 15는 도 14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도 14의 B-B' 단면도이고, 도 13-16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이웃하는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S114)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이 각각 설치되고, 2개 이웃하는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이 각각 유지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5) 도 17은 전극판의 2변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노치 및 절연 영역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8은 도 17의 전면도, 도 19는 도 18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B-B' 단면도이고, 도 17-20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절연 노치 및 관통구멍(S101,S102,S103,S104)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절연 노치 및 관통구멍(S201,S202,S203,S204)이 각각 유지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6) 도 21은 전극판의 2변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22는 도 21의 전면도, 도 23은 도 22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24는 도 22의 B-B' 단면도이고, 도 21-2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 및 2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S114)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 및 2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B. 삼각형 또는 준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전류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25는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26은 도 25의 전면도, 도 27은 도 26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28은 도 26의 B-B' 단면도이고, 도 25-2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 및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3변에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 및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2) 도 29는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30은 도 29의 전면도, 도 31은 도 30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32는 도 30의 B-B' 단면도이고, 도 29-32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 및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3변에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이 각각 유지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3) 도 33은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34는 도 33의 전면도, 도 35는 도 34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36은 도 34의 B-B' 단면도이고, 도 33-36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3변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C105,C106)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영역(S101,S102,S103)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3변에는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C205,C206)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영역(S201,S202,S203)이 각각 유지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B105,B106)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B205,B206)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4) 도 37은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38은 도 37의 전면도, 도 39는 도 38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40은 도 38의 B-B' 단면도이고, 도 37-40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3변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C105,C106)이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이웃하는 절연구멍(S111,S112,S113,S114,S115,S116)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3변에는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C205,C206)이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이웃하는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S215,S216)이 각각 유지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B105,B106)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B205,B206)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5) 도 41은 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42는 도 41의 전면도, 도 43은 도 42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44는 도 42의 B-B' 단면도이고, 도 41-4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3변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C105,C106) 및 2개의 절연구멍(S111,S112,S113,S114,S115,S116)이 각각 교차하여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3변에는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C205,C206) 및 2개의 이웃하는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S215,S216)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B105,B106)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B205,B206)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C. 사각형 또는 준사각형 전극판의 4변에 전류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45는 사변형 전극판의 4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46은 도 45의 전면도, 도 47은 도 46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48은 도 46의 B-B' 단면도이고, 도 45-4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4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영역(S101,S102,S103,S104)이 각각 유지된 반면, 음극판(P201)의 4변에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영역(S201,S202,S203,S204)이 각각 유지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2) 도 49는 사변형 전극판의 4변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50은 도 49의 전면도, 도 51은 도 50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52는 도 50의 B-B' 단면도이고, 도 49-52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4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관통구멍(S111,S112,S113,S114)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4변에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이 각각 설치되고 절연관통구멍(S211,S212,S213,S214)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D.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전류 도전체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53은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노치가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54는 도 53의 전면도, 그리고 도 55는 도 54의 A-A' 단면도이고, 도 53-55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한 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이 설치되는 반면, 다른 단부에는 절연영역(S101)이 제공되며,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한 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이 설치되는 반면, 다른 단부에는 절연영역(S201)이 제공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2) 도 56은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상호교차하여 각각 전극판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57은 도 56의 전면도, 그리고 도 58은 도 57의 A-A' 단면도이고, 도 56-5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한 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이 설치되는 반면, 다른 단부에는 절연 관통구멍(S111)이 제공되며,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한 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이 설치되는 반면, 다른 단부에는 절연 관통구멍(S211)이 제공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3) 도 59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전극판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0은 도 59의 전면도, 그리고 도 61은 도 60의 A-A' 단면도이고, 도 59-61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절연영역(S101,S102)이 교차하여 설치되는 반면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절연영역(S201,S202)이 교차하여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4) 도 62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영역이 각각 전극판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3은 도 59의 전면도, 그리고 도 64는 도 60의 A-A' 단면도이고, 도 62-6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이웃하는 절연 관통구멍(S111,S112)이 교차하여 설치되며,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이웃하는 절연 관통구멍(S211,S212)이 교차하여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5) 도 65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노치가 상호교차하여 각각 전극판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66은 도 65의 전면도, 도 67은 도 66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68은 도 66의 B-B' 단면도이고, 도 65-6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절연노치(S111,S112)가 교차하여 설치되는 반면,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절연노치(S211,S212)가 교차하여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 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6) 도 69는 다른 극성을 갖는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상호교차하여 각각 전극판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70은 도 69의 전면도, 도 71은 도 70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72는 도 70의 B-B' 단면도이고, 도 69-72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이 교차하여 설치되는 반면,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들에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2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이 교차하여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 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E. 대칭적 또는 준대칭적 전극판의 외측 단부에 전류 도전체 관통구멍이 대칭적으로 각각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73은 타원형 또는 준타원형 전극판의 2개 대칭적인 최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74는 도 73의 전면도, 그리고 도 75는 도 74의 A-A' 단면도이고, 도 73-75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개의 대칭적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개의 대칭적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한 타원형 또는 준타원형 전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영역은 2개의 이웃하는 적층된 전극판들 사이의 비적층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2) 도 76은 직사각형 또는 준직사각형 전극판의 2개 대칭적인 최단부에 도전 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77은 도 76의 전면도, 그리고 도 78은 도 76의 A-A' 단면도이고, 도 76-7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개의 대칭적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개의 대칭적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한 직사각형 또는 준직사각형 전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영역은 2개의 이웃하는 적층된 전극판들 사이의 비적층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3) 도 79는 직사각형 또는 준직사각형 전극판의 2개 대칭적인 최단부에 2개 인라인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0은 도 79의 전면도, 그리고 도 81은 도 80의 A-A' 단면도이고, 도 79-81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2개의 대칭적 외측 단부들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개의 대칭적 외측 단부들에 2개의 이웃하는 도전체 관통구 멍(C201,C202.C203,C204)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한 사각형 또는 준사각형 전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영역은 2개의 이웃하는 적층된 전극판들 사이의 비적층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4) 도 82는 삼각형 또는 준삼각형 전극판의 3변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3은 도 82의 전면도, 그리고 도 84는 도 83의 A-A' 단면도이고, 도 82-8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삼각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삼각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한 삼각형 또는 준삼각형 전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영역은 2개의 이웃하는 적층된 전극판들 사이의 비적층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5) 도 85는 대칭적인 사변형 또는 준사변형 전극판의 4개 외부면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6은 도 85의 전면도, 그리고 도 87은 도 86의 A-A' 단면도이고, 도 85-87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대칭적 사각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사각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한 전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영역은 2개의 이웃하는 적층된 전극판들 사이의 비적층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6) 도 88은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의 외면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89는 도 88의 전면도, 도 90은 도 89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91은 도 89의 B-B' 단면도이고, 도 88-91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원형 또는 준원형 양극판(P101)의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C105,C106)이 교차하여 설치될 뿐만 아니라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S114,S115,S116)이 교차하여 설치되는 반면, 원형 또는 준원형 음극판(P201)의 외측 단부들에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C205)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될 뿐만 아니라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S215,S216)이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한 원형 또는 준원형 전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영역은 2개의 이웃하는 적층된 전극판들 사이의 비적층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B105,B106)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B205,B206)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각각의 전극판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또는 그 이상의 절연 관통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 전극판의 중심영역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92는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 및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 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93은 도 92의 전면도, 그리고 도 94는 도 93의 A-A' 단면도이고, 도 92-9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도전체 관통구멍(C101) 및 절연 관통구멍(S111)이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중심영역 근방의 비교적 대칭적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반면, 도전체 관통구멍(C201) 및 절연 관통구멍(S211)은 음극판(P201)의 중심영역 근방의 비교적 대칭적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2) 도 95는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96은 도 92의 전면도, 그리고 도 97은 도 96의 A-A' 단면도이고, 도 95-97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 및 2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이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중심영역 근방의 비교적 대칭적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반면,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 및 2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은 음극판(P201)의 중심영역 근방의 비교적 대칭적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3) 도 98은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2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2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서 대칭 교차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99는 도 98의 전면도, 그리고 도 100은 도 99의 A-A' 단면도이고, 도 98-100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 및 2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이 서로 대칭적 교차 분포된 상태로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반면, 2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 및 2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은 서로 대칭적 교차 분포된 상태로 음극판(P2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4) 도 101은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3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3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서 대칭 교차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2는 도 101의 전면도, 도 103은 도 102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104는 도 102의 B-B' 단면도이고, 도 101-10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 및 3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이 서로 대칭적 교차 분포된 상태로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반면, 3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 및 3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은 서로 대칭적 교차 분포된 상태로 음극판(P2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5) 도 105는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3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3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서 6각 대칭 교차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6은 도 105의 전면도, 그리고 도 107은 도 106의 A-A' 단면도이고, 도 105-107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 및 3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이 대칭적 육각형의 교차 분포된 상태로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반면, 3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 및 3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은 대칭적 육각형의 교차 분포된 상태로 음극판(P2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6) 도 108은 극성이 다른 전극판에 3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3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전극판의 중심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09는 도 105의 전면도, 그리고 도 110은 도 109의 A-A' 단면도이고, 도 108-110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 및 3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이 대칭적 교차 분포된 상태로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양극판(P1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반면, 3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 및 3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은 대칭적 교차 분포된 상태로 음극판(P201)의 중심영역 근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거기서 전극판상의 전류는 집전 출력을 위해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에서 도전체 막대로 흐르는 출력 전류이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에서 다중 회로내 둘레 영역으로 확산된 입력 전류이고, 따라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킨다;
G. 전극판에 도전체 관통구멍이 이중링 배치로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111은 전극판에 4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4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교차-대칭 이중링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12는 도 111의 전면도, 그리고 도 113은 도 112의 A-A' 단면도이고, 도 111-113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에 교차-대칭 링형상 분포된 4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 및 4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S114)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에는 교차-대칭 링형상 분포된 4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 및 4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2) 도 114는 각각의 전극판에 4개 도전체 관통구멍 및 4개 절연 관통구멍이 각각 교차-대칭 링형상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응용 실시예의 3-D 분해 개략도, 도 115는 도 114의 전면도, 그리고 도 116은 도 115의 A-A' 단면도이고, 도 114-116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에 교차-대칭 이중링형상 분포된 4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101,C102,C103,C104) 및 4개의 절연 관통구멍(S111,S112,S113,S114)이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에는 교차-대칭 이중링형상 분포된 4개의 도전체 관통구멍(C201,C202,C203,C204) 및 4개의 절연 관통구멍(S211,S212,S213,S214)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거기서 상기한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양극 도전체 막대(B101,B102,B103,B104) 및 음극 도전체 막대(B201,B202,B203,B204)는 상기한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각각 관통되어, 그들은 병렬 결합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그 부속물의 전극판과 결합되거나, 또는 도전체 막대의 두 개 단부는 각각 관통되고 직렬 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과 결합된다;
도 1-116에서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요구사항에 따라 전극판의 기하학적 모양 및 수량을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상호간의 접촉 없이 다른 극성의 도전체 막대들을 수납하기 위해, 대응 도전체 막대들을 결합하고 스페이스들, 노치들 또는 절연 관통구멍들을 상기 막대들이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극판 및 관통구멍의 추가적인 구조적 특징들이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절연체 및 케이싱 또한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야 한다.
● 양극판 : 제 1 또는 제 2 배터리의 양극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극판은 도전체 관통구멍이 준비되어 있으며, 접촉하지 않고서 다른 극성을 갖는 도전체 막대의 관통을 조정하기 위해 영역, 노치, 또는 절연 관통구멍을 확보했고, 그 도전체 관통구멍은 도전체 막대를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며, 그 도전체 관통구멍 및 도전체 막대는 기계적 밀폐법 또는 용접, 또는 도전체 관통구멍에 대해 삽입된 튜브형 도전체 막대의 탄성 변형을 강제하는 것으로 인한 압력 조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서, 도전체 관통구멍에 축방향 개구부를 갖는 비밀폐의 속이 비어있는 튜브 구조의 탄성 변형을 강제하는 것으로 인한 압력 조정 또는 우수한 전기적 도전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 음극판 : 제 1 또는 제 2 배터리의 양극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음극판은 도전체 관통구멍이 준비되어 있으며, 접촉하지 않고서 다른 극성을 갖는 도전체 막대의 관통을 조정하기 위해 영역, 노치, 또는 절연 관통구멍을 확보했고, 그 도전체 관통구멍은 도전체 막대를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며, 그 도전체 관통구멍 및 도전체 막대는 기계적 밀폐법 또는 용접, 또는 도전체 관통구멍에 대해 삽입된 튜브형 도전체 막대의 탄성 변형을 강제하는 것으로 인한 압력 조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서, 우수한 전기적 도전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 상기한 양극 및 음극판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전극판에 설치된 도전체 관통구멍으로의 도전체 막대의 관통 및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다른 모양을 갖는 전극판, 또는 동일한 모양을 갖는 전극판을 교차 적층하므로써 구성될 수 있다.
H. 전극판의 2변 또는 그 이상에 각각의 외부 연장 전류 집전단자가 설치되는 응용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도 117은 각각 동일 단부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실시예, 그리고 도 118은 도 117의 측면도이고, 도 117-11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동일한 단부에서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T101,T102)가 각각 설치되어, 2개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하나의 전극판의 구조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동일한 단부에서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T201,T202)가 각각 설치되어, 2개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하나의 전극판의 구조적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한 전극판은 양극판(P101) 및 음극판(P2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거나 또는 다중 교차 적층판들이 직렬 또는 병렬 결합에서 측부 방향으로 열 구조로 배치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는 병렬 결합의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와 결합되거나, 또는 2개의 전류집전 단자는 2개의 전류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이웃하는 전극판과 각각 직렬 결합된다.
2) 도 119는 각각 다른 단부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실시예, 그리고 도 120은 도 119의 측면도이고, 도 119-120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상이한 단부에서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T101,T102)가 각각 설치되어, 2개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하나의 전극판의 구조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상이한 단부에서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T201,T202)가 각각 설치되어, 2개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하나의 전극판의 구조적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한 전극판은 양극판(P101) 및 음극판(P2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거나 또는 다중 교차 적층판들이 직렬 또는 병렬 결합에서 측부 방향으로 열 구조로 배치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는 병렬 결합의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와 결합되거나, 또는 2개의 전류집전 단자는 2개의 전류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이웃하는 전극판과 각각 직렬 결합된다.
3) 도 121은 각각 중심부 근방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실시예, 그리고 도 122는 도 119의 측면도이고, 도 121-122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중심 근방에서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T101,T102)가 각각 설치되어, 2개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하나의 전극판의 구조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중심 근방에서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T201,T202)가 각각 설치되어, 2개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하나의 전극판의 구조적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한 전극판은 양극판(P101) 및 음극판(P2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거나 또는 다중 교차 적층판들이 직렬 또는 병렬 결합에서 측부 방향으로 열 구조로 배치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는 병렬 결합의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와 결합되거나, 또는 2개의 전류집전 단자는 2개의 전류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이웃하는 전극판과 각각 직렬 결합된다.
4) 도 123은 각각 각 면의 양 단부 근방에서 2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실시예, 그리고 도 124는 도 123의 측면도이고, 도 123-124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변의 양 단부 근방에서 2개의 전류집전 단자(T101,T102,T103,T104)가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변의 양 단부 근방에서 2개의 전류집전 단자(T201,T202,T203,T204)가 각각 설치되며, 즉 전극판은 각각 4개의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것으로 실시되고, 상기한 전극판은 양극판(P101) 및 음극판(P2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거나 또는 다중 교차 적층판들이 직렬 또는 병렬 결합에서 측부 방향으로 열 구조로 배치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는 병렬 결합의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와 결합되거나, 또는 4개의 전류집전 단자는 4개의 전류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이웃하는 전극판과 각각 직렬 결합된다.
5) 도 125는 각각 2개 전류집전 단자가 교차하여 전극판의 2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실시예, 그리고 도 126은 도 125의 측면도이고, 도 125-126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의 2변에 2개의 전류집전 단자(T101,T102,T103,T104)가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2변에는 2개의 전류집전 단자(T201,T202,T203,T204)가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며, 즉 전극판은 각각 4개의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것으로 실시되고, 상기한 전극판은 양극판(P101) 및 음극판(P2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거나 또는 다중 교차 적층판들이 직렬 또는 병렬 결합에서 측부 방향으로 열 구조로 배치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는 병렬 결합의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와 결합되거나, 또는 4개의 전류집전 단자는 4개의 전류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이웃하는 전극판과 각각 직렬 결합된다.
6) 도 127은 각각 중심부에서 전류집전 단자가 전극판의 4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낮은 내부 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실시예, 그리고 도 128은 도 127의 측면도이고, 도 127-128에서 설명된 응용 실시예에서는 전기 충전장치의 양극판(P101)의 4변에 변의 중심에서 하나의 전류집전 단자(T101,T102,T103,T104)가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는 반면, 음극판(P201)의 4변에는 변의 중심에서 하나의 전류집전 단자(T201,T202,T203,T204)가 교차하여 각각 설치되며, 즉 전극판은 각각 4개의 전류집전 단자를 갖는 것으로 실시되고, 상기한 전극판은 양극판(P101) 및 음극판(P2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교차 적층되거나 또는 다중 교차 적층판들이 직렬 또는 병렬 결합에서 측부 방향으로 열 구조로 배치되고, 절연판(I101)은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이웃하는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는 병렬 결합의 전류 집전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전류집전 단자와 결합되거나, 또는 4개의 전류집전 단자는 4개의 전류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이웃하는 전극판과 각각 직렬 결합된다.
이러한 설계의 응용범위는 도 117-128에서 제공된 상기 나열된 실재적 실시예, 즉 사각형 또는 준사각형 전극판상에서의 실재 응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류집전 단자가 2변 또는 4변상에 설치될 수 있지만, 전류집전 단자는 또한 3변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사각형에 추가하여, 전극판의 기하학적 형태는 원형 또는 준원형, 타원형 또는 준타원형, 또는 3변 또는 그 이상의 변을 갖는 구성(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또는 8변 이상을 갖는 다각형 포함)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극판은 전극판에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회로가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2 또는 그 이상의 전류집전 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약한 바와 같이, 도 1-128에서 설명한 실시예 각각이 각각의 특성을 갖지만, 다음과 같은 공통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원형 또는 준원형, 타원형 또는 준타원형, 또는 3 또는 그 이상의 변을 갖는 구성(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또는 8 이상의 변을 갖는 다각형 포함)의 전극판의 실시 구조를 포함하고, 그 낮은 내부 저항 전류집전 구조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전극판의 2변 또는 그 이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연장 전류집전 단자가 각각 설치된다; 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체 관통구멍이 각각 2변 또는 그 이상의 선택된 영역, 또는 양극 또는 음극판의 중심영역 근방에 제공되며, 2변 또는 그 이상의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양극 또는 음극판의 중심영역에는 전극판이 교차 적층된 후 접촉하지 않고서 도전체 막대의 관통을 허용하기 위해 설계된 도전체 막대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연영역 또는 노치 또는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어, 전극판이 2 또는 그 이상의 입출력 전류회로를 갖도록 허용하므로써 전기 충전 장치의 내부저항을 감소시킨다.
● 무극성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예를 들어 커패시터)에서 사용될 낮은 내부저항 전류 집전자 구조를 갖는 전기 충전/방전 장치에서, 상기 양극 및 음극판은 무극성 제 1 변 전극판 및 제 2 변 전극판으로 대체된다.
● 도전체 막대는 전극판상의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하고 그것과 결합되어, 결합된 도전체 막대와 전극판은 우수한 도전상태를 나타낸다; 도전체 막대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속이 차있거나 또는 속이 비어있는 튜브형 도전체 막대, 또는 도 1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개구부를 갖는 비밀폐된 탄성의 속이 비어있는 튜브 도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구조에서 도전체 막대의 2개 단부는 전극판의 압력 조정을 위해 튀어나온 보닛 또는 나사, 너트 또는 다방향 압축 와셔, 절연체 압축판 등이 추가로 각각 설치될 수 있어서, 그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 상기 구조에서 도전체 막대는 병렬 결합 전류집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을 통해 관통하거나, 또는 직렬 결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의 도전체 관통구멍을 통해 관통한다; 또는 병렬 결합 전류집전 또는 직렬 결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극성 및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을 관통한다.
● 속이 비어있는 튜브 구조로 이루어진 도전체 막대에서, 기체 또는 액체 유체 펌프 및 냉각 라디에이터(또는 가열장치)는 냉각 또는 가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튜브형태 도전체 막대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 유체가 관통하도록 펌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 전류집전 구조체로서 사용될 도전체 막대에서, 만일 흐르는 유체가 절연 유체라면, 동일한 전압레벨에서 전극상의 튜브형 도전체 막대는 직렬 결합 또는 병렬 결합된 전류회로 구조체로 직접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 병렬 결합 전류집전 또는 직렬 결합 기능에서 사용될 도전체 막대에서, 다른 전압레벨의 도전체 막대는 온도 냉각 또는 가열 조절 절연 기체 또는 액체 상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절연 도관(insulation conduits)에 의해 직렬 결합 또는 병렬 결합될 수 있다.
● 절연 링형태 또는 튜브형태 절연체는 절연을 보장하고 전극판들 사이의 구조 안정성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 도 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 막대와 도전체 관통구멍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 절연 블럭은 절연을 보장하고 전극판들 사이의 구조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전체 막대와 그 관통 전극판 절연체 노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 영역 설정 블럭은 절연을 보장하고 전극판들 사이의 구조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전체 막대와 그 관통 전극판 절연영역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 2 또는 그 이상의 각각의 외부 연장 전류집전 단자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간의 다중회로 병렬 결합 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간의 직렬 결합에서 2 또는 그 이상의 각각의 전극판에 설치되어,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내 각각의 전극판이 전류 입출력동안 2 이상의 회로를 갖도록 하여, 입출력동안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의 내부저항을 감소시킨다.
● 절연체 바디는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 사이에 설치된 절연판 또는 막(또는 절연 시트) 층이 된다. 만일 절연체 바디가 삽입 구조라면, 그것은 양극 및 음극판 위에 동시에 삽입되거나 또는 극성들 중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극판 위에 삽입될 수 있다.
● 케이스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를 수납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전극판 보호를 위해 컨테이너로서 사용되고, 절연재료 또는 비절연재료로 구성되며, 만일 비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부 케이스와 내부 전극 사이에 추가적으로 절연 물질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 충전/방전 장치의 낮은 내부저항 전류집전 구조는 혁신적인 설계이고, 속이 차있거나 또는 속이 비어있는 튜브형 도전체 막대는 병렬 결합에서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을 통해 관통되거나 또는 직렬 결합 또는 병렬 및 직렬 결합의 혼합결합에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을 통해 관통된다; 또는 2 또는 그 이상의 각각의 외부 연장 전류집전 단자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 사이의 다중 회로 병렬 결합 또는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 사이의 직렬 결합에서 각각의 전극판의 2 또는 그 이상의 변에 설치되어, 전기 충전 장치내 내부저항을 감소시키고, 전기 충전 장치의 관련 전류집전 구조는 혁신적이며, 전기 충전 장치의 전극판 전류집전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의 강도상의 그 실제의 개선은 실질적으로 매우 명백하고, 설계의 진보성의 본질이 된다.

Claims (15)

  1.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판-여기서, 상기 각각의 전극판은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current collecting terminals)와,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 관통구멍과, 적어도 하나의 절연 개구부(isolating opening)를 구비함-과,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전극판들의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절연체 부재와,
    상기 관통구멍들 중 선택된 관통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선택된 관통구멍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회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도전체 막대-여기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의 관통구멍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판들 사이에서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전극판들의 관통구멍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판들 사이에서 병렬 연결을 형성함-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또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전극판들의 절연 노치들(isolating notches)을 통과하고,
    상기 절연 개구부들은 상기 도전체 막대들보다 더 큰 크기를 가져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과 상기 전극판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속이 빈 튜브들(hollow tubes)이고 냉각 유체(cooling fluid)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은 상기 관통구멍들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들은 적어도 세 개의 면을 갖는 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개구부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 개구부들을 관통하는 상기 도전체 막대들을 상기 도전체 막대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각각의 전극판들로부터 추가로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막대들의 양 끝단에 상기 전극판들과 절연체 부재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한 기계적 고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8.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 1 전극판 쌍-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상기 제 1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1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상기 제 2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2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상기 제 1 전극판 쌍의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을 형성하는 제 1 절연 부재와,
    제 3 전극판-여기서, 상기 제 3 전극판은 상기 제 3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3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제 4 전극판-여기서, 상기 제 4 전극판은 상기 제 4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4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상기 제 3 전극판과 상기 제 4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충전 및 방전 셀을 형성하는 제 2 절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전류집전 단자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충전 및 방전 셀 사이에 직렬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류집전 단자들의 적어도 두개와 상기 제 4 전류집전 단자들의 적어도 두개는 상기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충전 및 방전 셀을 위한 입력 및 출력 단자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집전 단자들의 적어도 두개는 상기 전극판들의 코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들은 판 형상의 도전체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11.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에 있어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 1 전극판 쌍-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은 상기 제 1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1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상기 제 2 전극판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제 2 전류집전 단자들을 구비함-과,
    상기 제 1 전극판 쌍의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을 형성하는 제 1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12.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반대편 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들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이 연결된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갖음-을 구비하며,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반대편 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들은 충전 전원 또는 부하에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추가적인 저장 셀들에 대해 입출력 단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반대편 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늘여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전류집전 단자들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은 상기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이 연결된 상기 제 1 충전 및 방전 셀의 판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음-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14.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판들의 상기 각각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전류집전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각각의 판들 위의 상기 전류집전 단자들의 각각은 그것의 각각의 판들에 대해 입출력 단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15.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추가적인 충전 및 방전 셀들은 상기 셀들의 각각의 전류집전 단자들 사이에 늘여져 있는 판 형상의 도전체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KR1019990018980A 1999-05-26 1999-05-26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KR10063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80A KR100638586B1 (ko) 1999-05-26 1999-05-26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80A KR100638586B1 (ko) 1999-05-26 1999-05-26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793A KR20000074793A (ko) 2000-12-15
KR100638586B1 true KR100638586B1 (ko) 2006-10-26

Family

ID=4175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980A KR100638586B1 (ko) 1999-05-26 1999-05-26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5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6659A (ja) * 1988-08-05 1990-02-16 Meidensha Corp 積層型燃料電池
JPH0878044A (ja) * 1994-08-31 1996-03-22 Aqueous Res:Kk 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
KR960037441U (ko) * 1995-07-04 1996-12-16 김상남 산수가스 발생기의 전해조구조
KR19990054989A (ko) * 1997-12-27 1999-07-15 최동환 쌍극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6659A (ja) * 1988-08-05 1990-02-16 Meidensha Corp 積層型燃料電池
JPH0878044A (ja) * 1994-08-31 1996-03-22 Aqueous Res:Kk 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
KR960037441U (ko) * 1995-07-04 1996-12-16 김상남 산수가스 발생기의 전해조구조
KR19990054989A (ko) * 1997-12-27 1999-07-15 최동환 쌍극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793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0749C (en) The electricity storage/discharge device with low internal resistance current collector structure
JP5004397B2 (ja) 低いインナー抵抗を有する蓄電、放電装置のバス構造
CN104979504B (zh) 电池模块阵列、电池组和电池操作系统
US739360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059000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1371212B1 (ko) 전지 모듈용 셀 카트리지 및 전지 모듈
US20060177734A1 (en) Battery assembly
KR100542238B1 (ko) 전지 모듈
JP2008091183A (ja) 角型電池と組電池
US8304112B2 (en) Electrode plate multi-end sides to single end side current collector of an electricity storage/discharge device
KR20180131602A (ko)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위한 냉각 장치
WO2019131358A1 (ja) 電池パック
JP7354429B2 (ja) バスバー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200034469A (ko) 모듈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0638586B1 (ko) 전기 충전 및 방전 장치
KR100648732B1 (ko) 이차 전지 모듈
CN216720179U (zh) 电池模组
US5128221A (en) Storage battery
CN220306294U (zh) 一种电堆模块二次电池
CN217719795U (zh) 一种电池模组及电池包
CN217114698U (zh) 一种大容量电池的串联结构
CN216773450U (zh) 电池模组和储能装置
ES2477330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descarga de electricidad con una estructura de colector de corriente de baja resistencia interna
CN114024083A (zh) 电池模组
RU22330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копления/разряд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с токосъемной системой с низким внутренним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