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708A -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708A
KR20040004708A KR10-2003-7016139A KR20037016139A KR20040004708A KR 20040004708 A KR20040004708 A KR 20040004708A KR 20037016139 A KR20037016139 A KR 20037016139A KR 20040004708 A KR20040004708 A KR 20040004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mixture
tank
expansion vessel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656B1 (ko
Inventor
드바에르뤽알베르오메르메다
스미스페에트로드빅막달레나
Original Assignee
오르가닉 웨이스트 시스템스, 남로제 벤누트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970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047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르가닉 웨이스트 시스템스, 남로제 벤누트샵 filed Critical 오르가닉 웨이스트 시스템스, 남로제 벤누트샵
Publication of KR2004000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4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gas, e.g. bio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7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means for collecting fermentation gases, e.g. m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8Flow directing inserts
    • C12M27/20Baffles; Ribs; Ribbons; Auger v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18External loop; Means for reintroduction of fermented biomass or liquid perco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6Screw convey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유기 재료를 활성 혐기 발효를 위해 접종재료로서 다량의 이미 발효된 재료와 혼합하고, 발효물이 위치되어 발효되면서 상부에 위치된 입구(6A)로부터 바닥에 위치된 출구(8)를 향하여 움직이는 발효실(1A)내로 상기 혼합물을 상부에서 도입하는 생분해성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은 발효물에 가해지기 전에, 그 밀도가 하향 이동의 개시 시점에 이미 존재하는 발효물의 밀도와 거의 같아지게 될 때까지 미리 팽창된다.

Description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NAEROBICALLY FERMENTING ORGANIC MATERIAL}
유기 재료란 본원에서는 특별히 가정의 쓰레기 및 유사한 산업 폐기물의 유기 분류물 및 예컨대, 정수 장치에서 나오는 슬러리, 제지 공업에서 나오는 슬러리 또는 기타 종류의 유기 슬러리와 같은 기타의 유기 분류물을 의도한다.
유기 폐기물을 혐기 발효시키는 방법은 습식 및 건식 발효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습식 발효 방법에서는, 용이하게 펌프될 수 있고 발효 탱크에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는 고도의 액체성 매시 또는 슬러리를 얻기 위하여 고체 유기 폐기물 또는 슬러리에 신선한 물 또는 재순환시킨 물을 가한다. 처리되는 출발 물질의 점도에 따라 건물량이 6∼10%인 이러한 슬러리는 발효 탱크내로 펌프되고 중온성 또는 호열성 온도를 갖는 1 또는 2 상의 혼합 발효 시스템에서 바이오 가스로 변환된다.
발효 탱크내 재료의 수분 함량이 높으므로 이 탱크내 밀도는 비교적 균일하고 생성되는 바이오 가스는 혼합 매시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반대로 건식 발효에서는, 가하는 물의 양을 제한하여, 비교적 고체인 생분해성 폐기물이 특별한 펌프를 이용하여 "건식" 발효 탱크내로 펌프되거나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정의 쓰레기에서 유래하는 유기 분류물에 대하여, 탱크에 공급되는 재료의 건물량은 15∼45%이다. 더욱 점성인 재료에 대하여, 이것은 10∼15%까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건식 발효에서 재료는 바닥에서 입식 탱크내로 펌프되고, 가스가 주입되어 재료가 혼합되고 수평 이동된다. 탱크는 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고, 수평 이동을 실현시키는 혼합 장치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입식 탱크의 바닥에서 재료를 공급하는 이러한 방법은 제WO 86/05200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이오 가스는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 있는 하부면을 통하여 상이한 지점에서 발효 탱크내로 도입된다. 바이오 가스는 구획의 내용물을 혼합시키고, 발효물을 한 구획에서 다른 구획으로, 최종적으로는 역시 바닥에 위치되어 있는 출구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제EP-A-O.476.217호는 혼합 장치를 내장한 수평 발효 탱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생분해성 재료는 발효된 재료의 일부와 혼합된 후 열 교환기로서 실현된 공급 튜브를 통하여 탱크내로 밀어 넣어지고 이 탱크에서 배합기에 의하여 혼합되는데, 그 결과 발효물은 탱크를 통하여 수평으로 한 말단에서 다른 말단으로 유동하여 바닥에서 배출된다.
제EP-A-O.205.721호 및 제EP-A-O.577.209호에서는, 혼합 장치를 내장하지 않은 수직 발효 탱크에서 발효가 이루어진다. 생분해성 재료는 접종재료인 발효된 재료와 함께 혼합되고 상부에서 탱크내로 펌프된다.
탱크에서, 발효물은 침강되어 발효 재료가 바닥에서 배출된다. 배출은 탱크의 평바닥 상에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활주 그리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그리드는 발효된 재료를 그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스크류 콘베이어 장치내로 밀어낸다. 이 장치는 원뿔형 출구에서 발효된 재료의 스톱퍼를 형성함으로써 자물쇠 역할을 하는 또다른 스크류내로 발효된 재료를 밀어낸다.
또, 제EP-A-O.577.209호의 방법에서는, 또, 장치 디자인으로 인하여 분류물이 액체 및 고체 분류물로 분리되어, 발효 탱크내 고체 물질의 함량이 유지될 수 있고, 접종재료 및 새로운 재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공급 재료의 건물량은 15∼40%가 된다.
혼합기가 없는 이들 발효 탱크에서는, 바이오 가스가 생성되는 결과 그 내용물이 늘어나고 팽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이오 가스가 발생되고 상향으로 누비고 나가야 하는 재료의 점도가 높으므로 이러한 바이오 가스는 습식 탱크에서와 같이 즉시 상향으로 버블될 수 없고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없다.
실제로, 재료는 이런 결과로서 팽창되고 밀도는 약 10∼40% 감소될 것이다. 평균 밀도는 바이오 가스 생성도, 공급 빈도, 가해지는 재료의 구조의 종류 및 공급 탱크의 높이와 같은 여러가지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공급에 따라, 밀도는 0.7∼1.2 kg/l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생분해성 폐기물 및 발효된 재료 또는 잔류물의 혼합물인 이러한 공급물의 밀도는 발효된 재료 및 새로운 재료의 혼합시 상당한 바이오 가스가 발효된 재료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때 대개 1.0 kg/l 보다 크다.
탈기로 인하여 밀도가 높아진, 새로운 재료 및 접종재료를 포함하는 이러한 공급물이 상부에서 발효 탱크로 들어갈 경우, 발효 탱크내 재료는 밀도차, 발효 탱크 및 이의 추출 시스템의 치수 및 직경에 따라 밀도가 더 낮으므로, 이러한 공급물이 탱크내 물질을 통과하는 침강 속도가 너무 빨라 공급물이 발효물의 나머지 보다 더 빨리 바닥에 도달하므로 최적 상태로 발효되지 않은 채로 탱크에서 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재료를 활성 혐기 발효를 위해 접종재료로서 다량의 이미 발효된 재료와 혼합시키고, 발효물이 위치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입구로부터 바닥에 위치하는 출구를 향하여 움직이는 발효실 안으로 상기 혼합물을 상부에서 도입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혐기 발효용 장치의 수직 횡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횡단면도이나 또다른 형태의 구체예에 관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9는 도 1∼3과 유사한 도식적 횡단면도이나 또다른 형태의 본 발명 구체예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낸 유기성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는 장치는 실질적으로 발효실(1A)을 포함하는 밀폐된 발효 탱크(1)와 운반 장치(3), 혼합기(4), 펌프(5) 및 상부가 발효 탱크(1)내로 나와 있는 팽창 용기(6)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2)로 이루어진다. 이 발효 탱크(1)는 또한 가능하다면 다른 추출 시스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바닥에 출구(8) 또는 벽의 하부면에 출구(8)가 있는 평바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8)에는 운반 스크류(9)를 설치할 수 있다. 혼합기(4)는 이 출구(8)에 연결되고 운반 장치(3)(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운반 콘베이어의 형태임)의 말단 아래에 위치된다. 이 운반 콘베이어 또는 스크류 콘베이어와 같은 또다른 운반 장치를 통하여 새로운 유기 재료를 혼합기(4)에 가할 수 있다.
밸브(7)의 하향 흐름인 분지관(10)은 밸브(11)로 밀폐될 수 있고 두개의 스크류(9) 사이에서 출구(8)에 연결된다. 밸브(11)의 하향 흐름인 분지관(10)에, 운반 스크류(12)도 배치될 수 있다. 분지관(10)은 탈수 장치(13)에 연결된다.
밸브(16)으로 밀폐될 수 있고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흐름을 주입하는 흐름 도관(17) 뿐만 아니라 밸브(14)를 통하여 밀폐될 수 있고 혼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도관(15)이 혼합기(4)에 연결된다.
혼합기(4)의 출구는 펌프(5)의 입구에 연결되는 반면 펌프(5)의 입구는 한편으로는 밸브(18)로 밀폐될 수 있고 재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도관(19)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밸브(20A)로 밀폐될 수 있는 도관(20)을 통하여 팽창용기(6)의 하부면에 연결된다.
팽창 용기(6)는 발효 탱크의 깔대기형 바닥을 통하여 발효 탱크(1)내로 침투하여 그 개구부가 발효 탱크(1)내 발효물의 수위(21)의 아래 또는 위에 있는 입구(6A)의 상부면 상에서 발효 탱크(1)내로 통한다.
팽창 용기(6)는 예컨대, 발효 탱크(1)와 같이 둥근 모양이나 직경은 훨씬 더 작다.
상부의 바이오 가스용 출구(22)는 발효 탱크(1)에 연결된다.
처리될 새로운 재료는 개방된 밸브(7)을 통하여 발효 탱크(1) 밖으로 나오는 발효된 재료의 일부와 함께 운반 장치(3)를 통하여 혼합기(4)내로 도입되고, 또 스크류(9) 또는 또다른 운반 장치에 의하여 혼합기(4)로 이동된다.
혼합기(4)에서, 접종재료인 발효된 재료 및 새로운 재료가 발효된 재료 1∼10 분량에 대하여 새로운 재료 1 분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혼합물의 건물량은 10∼45%, 바람직하게는 15∼45%로 유지되고 필요하거나 의도한다면 다량의 물, 예컨대, 폐수가 수도관(15)을 통하여 혼합기(4)로 도입된다. 이 물은 최종 온도가 30∼42℃(중온성) 또는 45∼60℃(호열성)가 되도록 고온으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을 가해서는 안 될 경우, 온도를 의도하는 수준으로 만들기 위하여 흐름 도관(17)을 통하여 혼합기(4)에 흐름을 주입할 수 있다.
이후, 혼합기(4)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도관(20)을 통하여 팽창 용기(6)로 펌프한다. 밸브(18)은 닫고 밸브(20A)는 연다. 이 팽창 용기(6)에서, 혼합물은 화살표(P1)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향 이동하나 바이오 가스를 생성시키며 생물학적예비-발효를 거친다.
이의 결과로서, 혼합물은 팽창 용기(6)에서 팽창하여 밀도가 감소할 것이다. 팽창 용기(6)내 혼합물의 체재 시간은 10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3 시간이다.
이 체재 시간은, 새로운 혼합물이 펌프되어 들어옴으로써 혼합물이 팽창 용기(6) 밖으로 밀려 나와 발효 탱크(1)의 상부에 이를 때, 그 밀도가 발효 탱크(1)의 상부에 이미 존재하는 발효물의 밀도와 거의 같아지도록 선택한다.
바이오 가스가 생성된 결과, 예비-발효된 공급 혼합물의 밀도는 팽창으로 인하여 펌프(5)에 의하여 혼합기(4)로부터 팽창 용기(6)내로 펌프되는 새로 공급된 혼합물의 밀도 보다 낮다.
발효 탱크(1)에서, 발효가 더욱 진행되어 발효물은 출구(8)을 향하여 침강하고 여기서 발효된 재료로서 발효 탱크(1)를 나간다. 생성된 바이오가스는 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된다.
밸브(11)을 개방함으로써, 발효된 재료는 출구(8)로부터 분기관(10)으로 들어간다. 이 재료는 스크류(12)에 의하여 탈수 장치(13)로 운반되고, 여기서 압착수(13A) 및 압착 케이크(13B)로 분리되어 운반된다.
장치가 하나 이상의 팽창 용기(6)를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한데, 예컨대, 3개의 팽창 용기(6)가 펌프(5)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동일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2에는, 두개의 추가적 팽창 용기(6)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3 및 4에 나타낸 구체예의 형태는 팽창 용기(6), 몇개가 있다면 팽창 용기들(6)이 각각 발효 탱크(1)의 외부면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1 및 2와 상이하다.
도 3에, 점선 안에 도관(23)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팽창 용기(6)의 바이패스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는 한편으로는 도관(19)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발효 탱크(1)의 상부면에 통하는 분기관(23A)으로 갈라지고 밸브(24)로 밀폐될 수 있다. 탱크(1)의 분기관들의 출구는 이 탱크(1)의 입구(6A)가 된다.
기능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으나, 바란다면 바이패스(23)를 통하여 접종재료 및 새로운 재료의 혼합물을 팽창 없이 발효 탱크(1)내로 도입시킬 수 있다.
접종재료 및 새로운 재료의 혼합물은 반드시 팽창 용기(6)내에서의 예비-발효를 통하여 팽창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팽창은 가스 주입, 예컨대, 수거한 바이오 가스의 일부를 혼합물에 주입하여 얻을 수 있을 것인데, 이렇게 함으로써 발효실(1A)로 도입된 혼합물은 즉시 팽창하여 그 밀도가 발효실(1A) 상부에서의 발효물의 밀도와 동일해진다.
이 가스는 팽창 용기(6)내로 주입될 수 있으나, 이 팽창 용기(6)는 또 통상적인 도관, 예컨대, 도 3 및 4에 따른 구체예 형태인 밸브(24)를 갖는 바이패스(23)만으로 줄어들 수 있어 가스가 압력하에 혼합물로 도입된다.
도 5에, 이러한 장치를 도시하였는데, 이렇게 하여 밸브(26)으로 밀폐될 수 있는 주입 도관(25)이 도관(23)으로 통한다.
가스를 주입하는 대신 혼합물에 가스를 생성시키는 화학적 제제를 주입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 이러한 화학적 제제의 입구(27)를 점선으로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도관(23)에 연결되고 밸브(28)로 밀폐될 수 있다. 가스를 생성시키는 이러한 화학적 제제는 혼합기(4) 또는 펌프(5)에 가해질 수 있다.
발효실(1A)에 공급되는 접종재료 및 새로운 재료의 혼합물의 밀도를 감소시키고 이 혼합물을 팽창시키는 또다른 가능한 방법은 예컨대, 팽창 용기(6)내에서 이 혼합물을 타융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팽창 용기(6)는 도관(23)으로 줄어들 수 있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23)의 분기관(23A)내에 있는 챔버(30)의 타융 장치(29)에 의하여 타융시킬 수 있다.
팽창 용기(6)는 반드시 발효 탱크(1)의 전체 높이를 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예컨대, 반 높이에서 발효 탱크(1)의 외부에 연결되는 용기일 수 있을 것이다.
장치는 반드시 펌프(5)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펌프 대신 스크류 등과 같은 또다른 운반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팽창 용기(6)는 또 파티션(31)으로 경계지어진 하나 이상의 수직 탱크(33) 격실(32)로 제조될 수 있어 격실(32) 또는 격실들(32)의 외부는 각각 발효실(1A)을 갖는 발효 탱크(1)를 형성한다.
격실(32) 또는 격실들(32)이 각각 발효실(1A)의 상부로 통하여 발효될 혼합물의 상향 흐름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7에, 이러한 탱크(33)를 갖는 장치를 도시한다. 탱크(33)의 원뿔형 바닥상에 위치된 파티션(31)은 탱크(33) 벽의 일부와 더불어 바닥에서 밀폐되고 상부에서 개방되는 격실(32)을 이룬다. 접종재료 및 새로운 재료의 혼합물은 바닥에서 이 격실 안으로 도입되고 여기서 생물학적 예비-발효를 통하여 팽창된다.
도 8에, 유사한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이 경우 파티션(31)은 탱크 내부로부터 출발하여 비스듬히 상부를 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링은 탱크(33)의 전체 내부 환경에 제공되어 격실이 원형 거터를 이룰 수 있고 또는 국부적으로 제공되어 몇개의 기압골형 격실(32)이 탱크(33)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후자의 격실은 팽창 용기(6)를 이룬다.
팽창 용기(6)는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 탱크(1)의 내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 탱크(1) 주위에 중심적으로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이러한 발효 탱크(1)는 상부에서 개방되고 팽창 용기(6)의 깔대기형 바닥을 통하여 하나의 출구(8)로 돌출되는 튜브형 요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된 구체예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생분해성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는 이러한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변형으로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단점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새로운 재료 및 발효된 재료의 혼합물이 상부에서 수직 발효실로 도입되어 여기에서 재료가 상부로부터 하향 이동하나 상기 가해진 혼합물이 발효물의 잔류물 보다 더 빨리 침강하지 않는 방법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서, 혼합물은 이러한 하향 이동의 시작 시점에서 이미 발효물의 밀도에 대략 맞먹는 밀도가 될때까지 미리 팽창된 다음 발효물에 가해져 더욱 하향 이동하면서 발효된다.
상향 이동하는 동안 혼합물을 미리 팽창시키거나 또는 밀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은 1 분량의 새로운 재료와 1∼10 분량의 발효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량이 10∼45%인 혼합물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실내에서의 발효물의 하향 이동은 아무런 혼합기도 없는 발효 탱크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혼합물은 팽창 용기에서 밀도가 감소된 후 발효 탱크의 상부면에서 공급된다.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내로 가스를 주입하거나, 혼합물을 가열시키거나 또는 혼합물내에 가스의 방출을 유도하는 화학물질을 첨가함으로써 또는 이들 절차를 둘 이상 조합함으로써 생물학적 예비-발효를 진행시켜 미리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 또는 밀도 감소가 생물학적 예비-발효를 통하여 수행될 경우, 이것은 팽창 용기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 용기에서 혼합물은 5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분 내지 3 시간 체재한다.
팽창 용기내 체재 시간은 또, 3 시간 이상, 예컨대, 3∼72 시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전술한 형태의 구체예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기에 특히 적당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효실, 바닥에 위치하고 있는 발효된 재료용의 출구 및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바이오 가스 출구를 갖는 발효 탱크 및 상부에서 발효 탱크내로 통하고 있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유기 폐기물을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공급 장치가 혼합기 및 발효 탱크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급 장치는 또 혼합기에 통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어 팽창 용기가 펌프 및 발효 탱크 사이에 위치된다.
이 팽창 용기는 발효 탱크의 외면에 뿐만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효 탱크내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팽창 용기는 공급 도관으로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장치는 가스 주입 장치 또는 가스의 방출을 이끄는 화학물질용의 입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인데, 후자는 팽창 용기, 혼합기 또는 이에 연결된 펌프에 연결되거나 공급 장치에 타융 장치(beating de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어떤 제한적 특성이 없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특성을 더 잘 보이려는 의도에서 몇가지 바람직한 형태의 구체예를 첨부 도면을 들어 기술하고자 한다.

Claims (19)

  1. 생분해성 유기 재료를 활성 혐기 발효를 위해 접종재료로서 다량의 이미 발효된 재료와 혼합하고, 발효물이 위치되어 발효되면서 상부에 위치된 입구(6A)로부터 바닥에 위치된 출구(8)를 향하여 움직이는 발효실(1A)내로 상기 혼합물을 상부에서 도입하는 생분해성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의 밀도가 하향 이동의 개시 시점에 이미 존재하는 발효물의 밀도와 거의 같아지게 될 때까지 상기 혼합물을 미리 팽창시킨 다음 발효물에 가하여 더욱 하향 이동하면서 발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상향 이동하는 동안 이것을 미리 팽창시키거나 밀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1 분량의 새로운 재료와 1∼10 분량의 발효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물량이 10∼45%인 생분해성 새로운 재료 및 발효된 재료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실(1A)내 발효물의 하향 이동이 어떤 혼합기도 없는 발효 탱크(1)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 혼합물이 팽창 용기(6)내에서 밀도가 감소된 다음 발효 탱크(1)의 상부면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예비-발효를 진행시키는 기법, 혼합물에 가스를 주입하는 기법, 혼합물을 타융(beating)하는 기법, 혼합물내에 가스 발생을 야기하는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기법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혼합물을 미리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팽창 또는 밀도 감소가 생물학적 예비-발효에 의하여 실행되고, 이들은 혼합물이 5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분 내지 3 시간 잔류하는 팽창 용기(6)내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팽창시 팽창 용기(6)내 혼합물의 체재 시간이 3∼72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9. 수직 발효 탱크(1), 이 탱크의 바닥에 있는 발효된 재료용의 출구(8), 상부에 있는 바이오 가스용의 출구(22) 및 발효 탱크(1)의 상부에서 이의 내부로 통하고 혼합기(4)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2)를 포함하는 유기 폐기물을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공급 장치(2)가 혼합기(4) 및 발효 탱크(1)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직 팽창 용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공급 장치(2)가 혼합기(4)에 통하는 펌프(5)를 포함하고 있어, 팽창 용기(6)가 펌프(5) 및 발효 탱크(1)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효 탱크(1)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가 발효 탱크(1)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가 탱크(33)의 내부벽 및 하나 이상의 파티션(31)으로 형성된 격실(32)이어서, 격실 옆의 탱크(33)의 챔버가 발효 탱크(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가 완전히 발효 탱크(1)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가 도관(23)으로 줄어드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 혼합기(4) 또는 혼합기(4)에 연결된 펌프(5)에 연결되는, 가스용 주입 장치(25-26) 또는 가스 생성을 야기하는 화학적 제제용 입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용기(6)내에 타융 장치(29)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23)이 분기관(23A)을 통하여 발효 탱크(1)의 상부면으로 통하고, 타융 장치(29)가 있는 챔버(30)가 분기관(23A)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19.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 탱크(1)가 평바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장치.
KR1020037016139A 2001-06-20 2002-06-19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54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1/0426A BE1014261A3 (nl) 2001-06-20 2001-06-20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naeroob vergisten van organisch materiaal.
BE2001/0426 2001-06-20
PCT/BE2002/000101 WO2002102966A1 (en) 2001-06-20 2002-06-19 Method and device for anaerobically fermenting organic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08A true KR20040004708A (ko) 2004-01-13
KR100654656B1 KR100654656B1 (ko) 2006-12-08

Family

ID=389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139A KR100654656B1 (ko) 2001-06-20 2002-06-19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905601B2 (ko)
EP (1) EP1397482B1 (ko)
JP (1) JP4067487B2 (ko)
KR (1) KR100654656B1 (ko)
CN (1) CN1236045C (ko)
AT (1) ATE402992T1 (ko)
AU (1) AU2002315579B2 (ko)
BE (1) BE1014261A3 (ko)
BR (1) BR0210024B1 (ko)
CA (1) CA2446676C (ko)
CY (1) CY1108432T1 (ko)
DE (1) DE60227948D1 (ko)
DK (1) DK1397482T3 (ko)
ES (1) ES2311609T3 (ko)
HK (1) HK1068367A1 (ko)
MA (1) MA26022A1 (ko)
NZ (1) NZ529453A (ko)
PL (1) PL209102B1 (ko)
PT (1) PT1397482E (ko)
WO (1) WO2002102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5066B3 (de) * 2006-02-03 2007-10-18 Perske, Günt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Biogas aus organischen Stoffen
JP2007229638A (ja) * 2006-03-01 2007-09-13 Sumitomo Heavy Ind Ltd 廃棄物処理装置
US20090209025A1 (en) * 2006-03-30 2009-08-20 Iut Global Pte Ltd. High solid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er
US8148142B2 (en) * 2006-09-27 2012-04-03 Sapp Michael R System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gaseous products from organic waste
BE1017390A3 (nl) * 2006-12-07 2008-08-05 Organic Waste System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naeroob vergisten van organisch materiaal.
DE102007058967A1 (de) * 2007-12-07 2009-06-10 Eltaga Licens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Biogas aus organischen Stoffen
WO2009108899A2 (en) * 2008-02-28 2009-09-03 Renaud Regis P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enriched steam
US8258364B2 (en) * 2008-06-16 2012-09-04 Renaud Regis P Method for steam biomass reactor
CN104342459A (zh) 2008-07-02 2015-02-11 西里斯能源公司 优化含碳岩层的现场生物转化的方法
JP5248984B2 (ja) * 2008-11-04 2013-07-31 エースバイオプロダクト株式会社 バイオ燃料電池
JP5222755B2 (ja) * 2009-02-20 2013-06-26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嫌気性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廃棄物処理システム
AU2010332294C1 (en) * 2009-12-18 2015-06-18 Ciris Energy, Inc. Biogasification of coal to methane and other useful products
BE1019570A4 (fr) 2010-11-10 2012-08-07 Bertrand Yves Procede et installation de methanisation de matiere organique a haute teneur en solides.
PL2691506T3 (pl) * 2011-03-28 2024-02-19 Rainbowtec Environmental Solutions 2010 Ltd. Urządzenie do segregacji odpadów
US8329455B2 (en) 2011-07-08 2012-12-11 Aikan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estion of solid waste
GB2496599A (en) * 2011-08-26 2013-05-22 Tha Ni Ind E Gmbh Two tank ferment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N104024163B (zh) * 2011-09-06 2017-07-28 安纳科股份有限公司 有机材料的加压再循环
CN103184147B (zh) * 2011-12-28 2015-06-17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生产沼气的干式厌氧发酵系统及方法
CN203323492U (zh) * 2012-11-23 2013-12-04 华南再生资源(中山)有限公司 自动卸料多级干燥装置
US9145538B2 (en) 2012-12-13 2015-09-29 Loos Family Winer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selected undesirable matter during fermentation
CN105255709A (zh) * 2015-10-30 2016-01-20 李宗明 发酵料渣液自动搅拌的沼气池
CN106281982B (zh) * 2016-08-12 2019-08-02 青岛华睿弘光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沼气发生装置及其沼气生产方法
IT201900003799A1 (it) * 2019-03-15 2020-09-15 Severino Trevisan Biodigestore anaerobico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e organico e la produzione di biogas combustibi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5865A (en) * 1949-06-21 1953-01-14 Ferdinand Schmid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fermenting organic substances
FR1146820A (fr) * 1956-02-16 1957-11-15 Procédé de destruction des déchets urbains et ménagers
FR2518116A2 (fr) * 1980-04-21 1983-06-17 Dedenon Jean Marie Installations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gaz combustible par fermentation
FR2533548B1 (fr) * 1982-09-28 1985-07-26 Degremont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anaerobie d'eaux residuaires dans un filtre a remplissage de materiau granulaire
CH655948A5 (fr) * 1983-11-09 1986-05-30 Armand Cotton Procede et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 biogaz et de compost.
FR2580294B1 (fr) * 1985-04-16 1988-04-22 Sgn Soc Gen Tech Nouvelle Procede de fermentation et perfectionnement aux fermenteurs a garnissage
CA2062682C (en) * 1991-03-13 1997-11-25 Sidney E. Clark Method and apparatus for anaerobic sludge digestion
US5185079A (en) * 1991-05-16 1993-02-09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US5660724A (en) * 1996-05-28 1997-08-26 Deep Shaft Technology Inc. Multi-pressure head tank for use with vertical shaft bioreactors
DE10001107A1 (de) * 2000-01-13 2001-07-19 Knuth Boedecker Anox-Schnellrottebioreaktor zu anaeroben und/oder aeroben (Oxygen) Vergärung von 80-95% flüssigen Abfallreststo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46676C (en) 2010-07-20
CY1108432T1 (el) 2014-04-09
CN1236045C (zh) 2006-01-11
EP1397482B1 (en) 2008-07-30
BR0210024A (pt) 2004-08-24
WO2002102966A1 (en) 2002-12-27
JP4067487B2 (ja) 2008-03-26
ES2311609T3 (es) 2009-02-16
CN1529750A (zh) 2004-09-15
HK1068367A1 (en) 2005-04-29
US6905601B2 (en) 2005-06-14
ATE402992T1 (de) 2008-08-15
DK1397482T3 (da) 2008-11-24
PT1397482E (pt) 2008-10-15
NZ529453A (en) 2005-06-24
PL209102B1 (pl) 2011-07-29
AU2002315579B2 (en) 2006-09-07
CA2446676A1 (en) 2002-12-27
JP2004533921A (ja) 2004-11-11
KR100654656B1 (ko) 2006-12-08
MA26022A1 (fr) 2003-12-31
EP1397482A1 (en) 2004-03-17
BR0210024B1 (pt) 2011-05-31
DE60227948D1 (de) 2008-09-11
BE1014261A3 (nl) 2003-07-01
PL367186A1 (en) 2005-02-21
US20040164020A1 (en)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656B1 (ko) 유기 재료를 혐기 발효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023155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erobically fermenting organic material
US5773526A (en) Method and device for anaerobic fermentation of solid organic waste substances
RU2006141345A (ru) Способ и бр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анаэробного сбражив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JP2002529232A (ja) 有機物を含有する物質混合物の処理用方法および装置
US20220145535A1 (en) Steam-explosion equipment and method for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
KR20110000550A (ko) 바이오가스의 생성 방법
CN101200693A (zh) 有机材料厌氧发酵的方法和设备
FR299443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fermentation en continu
CN111808727A (zh) 厨余垃圾物料的卧式推流厌氧反应器和处理方法
AU2016273352A1 (en) Hydrothermal carbonization reactor with optimised sludge and steam mixing
RU2008140264A (ru) Емкость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оломы или других легких объем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ее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555158B1 (ko) 오니 처리 방법 및 오니 처리 시스템
CA2721201C (en) Device, method and use of a reactor for producing starting materials, combustible substances and fuels from organic substances
US20060180547A1 (en) Process and hybrid reactor for the processing of residual waste
US20120064619A1 (en) Device for the Anaerobic Fermentation of Organic Material
KR20160057243A (ko) 건식 혐기 소화조
FI12339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orgaanisen aineksen mädättämiseksi
RU246075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ырья, горю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топлива из орган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NL1036955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gisten van droge biomassa.
KR20240005799A (ko) 유기 재료를 처리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JPH05269496A (ja) ケーキ状汚泥の消化方法
JPH0679298A (ja) ケーキ状汚泥の消化装置
JPH05269494A (ja) ケーキ状汚泥の消化方法
JPH05269495A (ja) ケーキ状汚泥の消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