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532A -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532A
KR20040003532A KR1020020038267A KR20020038267A KR20040003532A KR 20040003532 A KR20040003532 A KR 20040003532A KR 1020020038267 A KR1020020038267 A KR 1020020038267A KR 20020038267 A KR20020038267 A KR 20020038267A KR 20040003532 A KR20040003532 A KR 2004000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main
output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웨이브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웨이브 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웨이브 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3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532A/ko
Publication of KR2004000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5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24B1/04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subjecting the grinding or polishing tools, the abrading or polishing medium or work to vibration, e.g. grinding with ultrasonic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약한 RF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프리-증폭기와; 프리-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주 증폭기와 딜레이 라인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1 방향성 결합기와; 입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출력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주 증폭기와; 상기 제 1 주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 2 딜레이 라인과 제 2 벡터 변조기측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2 방향성 결합기와; 프리-증폭기와 제 1 주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시간지연을 각각 보상해 주는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과; 상기 제 1 딜레이 라인을 지난 신호를 동 위상으로 분배해 주는 제 1 분배기와; 상기 제 1 분배기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주 증폭기에서 분배된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2 분배기와; 상기 제 1 분배기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벡터 변조기를 지난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3 분배기와; 콘트롤 보드의 제어를 받아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와; 상기 제 2 딜레이 라인과 제 2 주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포트간 위상관계를 이용하여 한쪽 포트로는 주 신호만 출력되게 하고 또 다른 출력포트로는 에러 신호만이 출력되게 하는 90°하이브리드 결합기와; 90°하이브리드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LPA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의 한쪽 포트로 출력된 에러 신호를 받아서 LPA의 환경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 특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 전압을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에 각각 발생시켜 주는 콘트롤 보드로 구성하여, 선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개의 벡터 변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간단하게 구현 할 수 있으며, 전체 LPA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증폭기 전체에 대한 크기를 줄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소형화, 고효율, 저가형 증폭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Extraction Apparatus of Phase and Amplitude Error in Linear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리니어 전력 증폭기(LPA; Linear Power Amplifier)에서의 위상(Phase), 크기(Amplitude) 에러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모듈인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에 관한 것으로,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선형화 방법인 피드퍼워드(Feedforward) 방식의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증폭기 성능과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피드퍼워드 방식을 채용한 라이너 전력 증폭기(이하 LPA라 약칭함)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약한 RF 입력신호를 적정 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프리-증폭기(Pre-Amplifier; 18)와;
상기 프리-증폭기(18)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신호를 분배시켜 주는 방향성 결합기(21)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21,37)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조절해 주는 벡터 변조기(Vector Modulator; 22,38)와;
상기 벡터 변조기(22)에서 방향성 결합기(2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출력까지 증폭시켜 주는 주 증폭기(24)와;
상기 주 증폭기(24)와 에러 증폭기(39)에 의한 시간지연을 보상해 주기 위한 딜레이 라인(Delay Line; 27,32)과;
에러 신호가 포함된 신호를 분배시켜 주는 방향성 결합기(26)와; 주 신호를 상쇄시켜 주는 방향성 결합기(36)와;
주 신호가 상쇄된 에러 신호를 적정 레벨로 증폭시켜주기 위한 에러 증폭기(39)와;
에러신호를 포함한 주 신호(25)와 추출된 에러신호(40)를 결합하여 출력포트의 에러신호를 상쇄시켜 주는 방향성 결합기(28)와;
출력 포트에서 반사된 신호가 LPA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31)와;
그 밖에 파일럿(Pilot) 신호를 넣어주기 위한 방향성 결합기(17,23)와;
벡터 변조기(22,38)에 각각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콘트롤 보드(41,42)에 신호를 분배해 주는 방향성 결합기(20,29)와;
상기 벡터 변조기(22,38)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콘트롤 보드(41,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범용적인 피드퍼워드 방식의 LPA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주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주 증폭기(24)외에 에러신호를 적정 레벨로 증폭시키기 위한 에러 증폭기(39)가 있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추가된 에러 증폭기는 LPA 전체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종래의 피드퍼워드 방식의 LPA는 출력포트에서 주 신호와 에러 신호를 분리해 낼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신호인 파일럿 신호(17)(23)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별도로 제공하는 파일럿 신호는 LPA 전체 효율을 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회로가 복잡해지고, LPA전체 크기가 크게 되는 원인이 되며, 생산 원가가 상승하여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90°하이브리드 결합기의 위상 변환기능을 종래의 피드퍼워드방식의 LPA에서 필요했던 파일럿 신호 없이도 주 신호와 에러 신호를 완벽하게 분리하여 선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수개의 벡터 변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간단하게 구현 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피드퍼워드방식에서 필요했던 에러 증폭기의 제거를 통해 전체 LPA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증폭기 전체에 대한 크기를 줄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소형화, 고효율, 저가형 증폭기를 만들 수 있는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약한 RF 입력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프리-증폭기와; 상기 프리-증폭기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주 증폭기와 딜레이 라인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1 방향성 결합기와; 입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출력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주 증폭기와; 상기 제 1 주 증폭기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제 2 딜레이 라인과 제 2 벡터변조기측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2 방향성 결합기와; 프리-증폭기와 제 1 주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시간지연을 각각 보상해 주기 위한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과; 상기 제 1 딜레이 라인을 지난 신호를 동 위상으로 분배해 주는 제 1 분배기와; 상기 제 1 분배기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주 증폭기에서 분배된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2 분배기와; 상기 제 1 분배기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벡터 변조기를 지난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3 분배기와; 콘트롤 보드의 제어를 받아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와; 상기 제 2 딜레이 라인과 제 2 주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포트간 위상관계를 이용하여 한쪽 포트로는 주 신호만 출력되게 하고 또 다른 출력포트로는 에러 신호만이 출력되게 하는 90° 하이브리드 결합기와; 90° 하이브리드 결합기의 출력포트에 출력되는 신호가 LPA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90° 하이브리드 결합기의 한쪽 포트로 출력된 에러 신호를 받아서 LPA의 환경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 특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 전압을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에 각각 발생시켜 주는 콘트롤 보드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신호 없이도 주 신호와 에러 신호를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어 선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개의 벡터 변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간단하게 구현 할 수 있으며, 종래의 피드퍼워드방식에서 필요했던 에러 증폭기의 제거를 통해 전체 LPA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증폭기 전체에 대한 크기를 줄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소형화, 고효율, 저가형 증폭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피드퍼워드(Feedforward) 방식의 LPA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90°하이브리드 결합기(Hybrid Coupler)의 위상 관계 파형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리-증폭기
2, 4 : 제 1 및 제 2 방향성 결합기
3, 15 : 주 증폭기
5, 8 :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
6 : 90°하이브리드 결합기
7 : 아이솔레이터
9, 12, 14 :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
10, 11, 13 : 제 1 내지 제 3 분배기
16 : 콘트롤 보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90°하이브리드 결합기(Hybrid Coupler)의 위상 관계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미약한 RF 입력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프리-증폭기(1)와;
상기 프리-증폭기(1)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주 증폭기(3)와 딜레이 라인(8)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1 방향성 결합기(2)와;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2)와 제 3 벡터 변조기(14)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출력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주 증폭기(3)(15)와;
상기 제 1 주 증폭기(3)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제 2 딜레이 라인(5)과 제 2 벡터 변조기(9)측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2 방향성 결합기(4)와;
상기 프리-증폭기(1)와 제 1 주 증폭기(3)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시간지연을 각각 보상해 주는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8)(5)과;
상기 제 1 딜레이 라인(8)을 지난 신호를 동 위상으로 분배해 주는 제 1 분배기(10)와;
상기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주 증폭기(3)에서 분배된 후제 2 방향성 결합기(4)와 제 2 벡터 변조기(9)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2 분배기(11)와;
상기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벡터 변조기(12)를 지난 제 2 분배기(11)의 출력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3 분배기(13)와;
콘트롤 보드(16)의 제어를 받아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각각 동시에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12)(9)(14)와;
상기 제 2 딜레이 라인(5)과 제 2 주 증폭기(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포트간 위상관계를 이용하여 한쪽 포트로는 주 신호만 출력되게 하고 또 다른 출력포트로는 에러 신호만이 출력되게 하는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와;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5)의 출력포트에 출력되는 신호가 LPA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아이솔레이터(7)와;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5)의 다른 한쪽 포트로 출력된 에러 신호를 받아서 LPA의 환경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 특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 전압을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12)(9)(14)에 각각 발생시켜 주는 콘트롤 보드(1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PA 입력된 에러 신호를 포함하지 않은 미약한 입력신호(S)는 프리-증폭기(1)를 거쳐 일정 레벨의 신호(43)로 증폭된 후 제 1 방향성 결합기(2)를 통해 제 1 딜레이 라인(8)과 주 증폭기(3)으로 분배된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2)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신호(43)를 원하는 출력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제 1 주 증폭기(3)의 출력신호는 제 1 주 증폭기 소자의 비선형 특성 때문에 에러 신호를 포함한 신호(44)가 된다.
이와같이 에러신호가 포함된 상기 제 1 주 증폭기(3)의 출력신호는 제 2 방향성 결합기(4)를 통해 분배되어 제 2 딜레이 라인(5)과 제 2 벡터 변조기(9)측으로 입력되는데, 이때 제 2 딜레이 라인(5)으로 입력된 신호는 제 2 주 증폭기(15)의 시간 지연이 보상된 형태의 신호(45)로 변환된 후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1번 포트(도 3의 45 형태)에 입력된다.
한편, 제 1 딜레이 라인(8)은 제 1 주 증폭기(3)의 시간지연을 보상해 주기 위한 것으로, 제 1 딜레이 라인(8)을 지난 신호(50)는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다.
이렇케 분배된 한쪽 신호는 제 1 주 증폭기(3)를 지나 제 1 반향성 결합기(4)로 분배되고 제 2 벡터 변조기(9)에서 크기와 위상이 변화된 신호(47)와 제 2 분배기(11)에서 결합된다.
상기 제 2 분배기(2)에서 결합된 신호는 제 2 벡터 변조기(9)에서 위상과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해 주면 주 신호가 제거된 에러 신호만을 만들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주 신호가 제거된 에러 신호는 제 1 벡터 변조기(12)에서 위상이 조절되어 출력되어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 한쪽 신호(52)와 역 위상으로 만들어 주게 된다(즉, 도 2의 51 형태를 가짐).
따라서, 상기 제 3 분배기(13)에서는 상기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신호(52)와 제 1 벡터 변조기(12)에서 출력되는 신호(51)를 상호 결합시켜 주게 됨에 따라, 상기 제 3 분배기(13)에서 결합되어 출력되는 최종 신호는 주 신호와 에러 신호의 위상이 반대가 되는 신호(53)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같은 상기 제 3 분배기(13)의 출력신호(53)은 제 2 벡터 변조기(14)에 의해 그 크기와 위상(즉, 90°위상 반전)이 조절된 다음 제 2 주 증폭기(15)를 통해 소정레벨로 증폭된 후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포트 3에 소정신호(즉, 신호 48) 형태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위상 관계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
즉,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포트 1에 입력되는 신호 45의 형태를 갖고, 포트 3에 입력되는 신호는 48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포트 1에서 입력된 신호는 포트 2에서 90°위상이 지연되어 신호 55의 형태가 되며, 포트 4에서는 180°위상이 지연되어 신호 59의 형태가 된다.
또한, 포트 1로 신호가 입력될 때 포트 3은 격리 포트(Isolation Port)가 되어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포트 3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48의 형태이며, 이 신호는 포트 2 에서는 180°위상이 지연된 형태인 56의 신호가 되고, 포트 4에서는 90°위상이 지연되어 60의 신호가 된다.
이때, 포트 3으로 신호가 입력될 때 포트 1은 격리포트(Isolation Port)가 되어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
결국,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포트 1에서 입력된 신호와 포트 3으로 입력된 신호는 서로 결합되어 포트 2에서는 에러신호가 제거된 57의 형태가 되어 LPA 출력포트로 출력되며, 포트 4에서는 주신호가 제거된 61의 신호형태가 되어 콘트롤 보드(16)로 들어가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12)(9)(14)에 대한 제어신호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의 포트 4에서 에러 신호의 크기가 항상 최대로 되도록 제어해야 포트 2에서의 출력은 에러 신호가 가장 작아 최대의 선형화 특성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LPA는 범용적인 피드퍼워드(Feedforward) 방식에서 필요로 했던 에러 증폭기가 필요 없게 되며, 주 신호와 인접해 있는 에러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파일럿(Pilot) 신호가 필요 없게 되어 전체 LPA 선형화 성능과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생산 원가를 절감하여 저가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회로가 복잡하지 않아 전체 LPA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90°하이브리드 결합기를 이용하여 에러 신호만을 추출해 낼 수 있으므로, 범용적인 피드퍼워드 방식의 LPA의 단점인 에러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파일럿의 추가로 기인한 증폭기 효율 저하 및 회로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주 증폭기 두개의 출력을 합성하는 방식으로 에러신호를 상쇄시키기 때문에 종래 방식의 단점인 에러신호를 상쇄시키기 위한 에러 증폭기의 추가로 인한 LPA의 효율 저하, 회로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90°하이브리드 결합기의 결합 손실이 종래 출력단에서 사용하던 방향성 결합기의 결합 손실보다 작아서 전체적인 LPA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현재 LPA 시장의 저가형, 고효율, 소형화 추세에 적합한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미약한 RF 입력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프리-증폭기(1)와;
    상기 프리-증폭기(1)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주 증폭기(3)와 딜레이 라인(8)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1 방향성 결합기(2)와;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2)와 제 3 벡터 변조기(14)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출력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주 증폭기(3)(15)와;
    상기 제 1 주 증폭기(3)를 통해 적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제 2 딜레이 라인(5)과 제 2 벡터 변조기(9)측으로 분배시켜 주는 제 2 방향성 결합기(4)와;
    상기 프리-증폭기(1)와 제 1 주 증폭기(3)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시간지연을 각각 보상해 주는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8)(5)과;
    상기 제 1 딜레이 라인(8)을 지난 신호를 동 위상으로 분배해 주는 제 1 분배기(10)와;
    상기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주 증폭기(3)에서 분배된 후 제 2 방향성 결합기(4)와 제 2 벡터 변조기(9)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2 분배기(11)와;
    상기 제 1 분배기(10)에서 분배된 신호와 제 1 벡터 변조기(12)를 지난 제 2 분배기(11)의 출력 신호를 결합시켜 주는 제 3 분배기(13)와;
    콘트롤 보드(16)의 제어를 받아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각각동시에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12)(9)(14)와;
    상기 제 2 딜레이 라인(5)과 제 2 주 증폭기(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포트간 위상관계를 이용하여 한쪽 포트로는 주 신호만 출력되게 하고 또 다른 출력포트로는 에러 신호만이 출력되게 하는 90°하이브리드 결합기(6)와;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5)의 출력포트에 출력되는 신호가 LPA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아이솔레이터(7)와;
    상기 90°하이브리드 결합기(5)의 다른 한쪽 포트로 출력된 에러 신호를 받아서 LPA의 환경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출력 특성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 전압을 제 1 내지 제 3 벡터 변조기(12)(9)(14)에 각각 발생시켜 주는 콘트롤 보드(1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KR1020020038267A 2002-07-03 2002-07-03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KR20040003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67A KR20040003532A (ko) 2002-07-03 2002-07-03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67A KR20040003532A (ko) 2002-07-03 2002-07-03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744U Division KR200321637Y1 (ko) 2003-04-24 2003-04-24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532A true KR20040003532A (ko) 2004-01-13

Family

ID=3731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267A KR20040003532A (ko) 2002-07-03 2002-07-03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5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882B1 (ko) * 2010-10-19 2012-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 지연 보상 기능을 가지는 폴라 송신기와 이의 운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N107134981A (zh) * 2016-02-26 2017-09-05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具有预抵消的多路径放大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965A (ja) * 1994-08-31 1996-03-22 Nec Corp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US6111462A (en) * 1998-11-18 2000-08-29 Mucenieks; Lance T. RF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parallel RF power amplifiers having intermod-complementing predistortion paths
KR20010027655A (ko) * 1999-09-15 2001-04-06 안창엽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20010048606A (ko) * 1999-11-27 2001-06-15 김철동 파일럿 톤을 사용하지 않는 자동적응 선형전력증폭기용 주신호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965A (ja) * 1994-08-31 1996-03-22 Nec Corp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US6111462A (en) * 1998-11-18 2000-08-29 Mucenieks; Lance T. RF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parallel RF power amplifiers having intermod-complementing predistortion paths
KR20010027655A (ko) * 1999-09-15 2001-04-06 안창엽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20010048606A (ko) * 1999-11-27 2001-06-15 김철동 파일럿 톤을 사용하지 않는 자동적응 선형전력증폭기용 주신호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882B1 (ko) * 2010-10-19 2012-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 지연 보상 기능을 가지는 폴라 송신기와 이의 운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N107134981A (zh) * 2016-02-26 2017-09-05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具有预抵消的多路径放大器
CN107134981B (zh) * 2016-02-26 2022-05-10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具有预抵消的多路径放大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4316B2 (en) Series-Type Doherty Amplifier Without Hybrid Coupler
EP2980990B1 (en) Power amplifier
KR100801578B1 (ko) 전력증폭기의 혼변조 신호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전치왜곡선형화 장치
JP2006339888A (ja) 高周波増幅回路
KR20000035437A (ko) 네스트된 피드포워드 왜곡 감소 시스템
KR100429956B1 (ko) 피드포워드 증폭기
KR20040003532A (ko)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KR200321637Y1 (ko) 리니어 전력 증폭기에서의 위상, 크기 에러 추출장치
KR101712753B1 (ko) 높은 이득 특성을 갖는 피드백 포트 증폭기 및 그 동작방법
US5304944A (en) High frequency linearizer
KR100309720B1 (ko)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100371531B1 (ko)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JP4299213B2 (ja) 歪み発生回路および歪み補償装置
JP2006093872A (ja) Eer変調増幅装置
KR20060032270A (ko) 능동 위상 보상기를 이용한 도허티 증폭기
JP4500671B2 (ja) 歪生成器及び低歪増幅器
JP2002374129A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歪み補償回路、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歪み補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2007006436A (ja) 歪補償増幅器
KR20020015183A (ko) 전력증폭기의 전치 왜곡기
JP2007536832A (ja) 直交結合増幅器による信号の増幅
KR20060038793A (ko) 선형 전력 증폭기의 멀티 증폭 장치 및 그 방법
KR940002969B1 (ko) 고전력 증폭장치
JP2003258562A (ja) 歪み補償付き増幅回路
CN115804007A (zh) 多尔蒂放大器
JPH03195204A (ja) 低歪高周波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