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506A -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 Google Patents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506A
KR20040003506A KR1020020038227A KR20020038227A KR20040003506A KR 20040003506 A KR20040003506 A KR 20040003506A KR 1020020038227 A KR1020020038227 A KR 1020020038227A KR 20020038227 A KR20020038227 A KR 20020038227A KR 20040003506 A KR20040003506 A KR 2004000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region
steel
retaining wal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438B1 (ko
Inventor
나승민
정중섭
정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도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도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용 및 임도용 조립식 강재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형강부재를 조립함으로써 형강부재의 조립이 신속하게 수행되는 경량화된 옹벽용 강재틀 및 이런 강재틀을 형성하는 형강부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옹벽을 형성하는 육면체의 강재틀에 있어서, 강재틀의 측면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주부재(11)를 사용하고, 이런 주부재(11)의 단부에는 이음부재(31)들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또한, 주부재(11)의 단부에는 이음부재(31)와 수직하는 스크린부재(21)들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주부재(11)의 횡단면은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영역(12')과, 제1 영역(12')의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제1 영역(12')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영역(13')과, 제2 영역(13')의 말단에서 180°미만의 각도로 상호 벌어져 분기된 두 개의 분기영역(14')과, 두 개의 분기영역(14')의 말단에서 제2 영역(13')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연장영역(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Steel frame and Section steel used therein}
본 발명은 토목용 및 임도용 조립식 강재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형강부재를 조립함으로써 형강부재의 조립이 신속하게 수행되는 경량화된 옹벽용 강재틀 및 이런 강재틀을 형성하는 형강부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옹벽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런 옹벽은 성토 또는 절토부에 있어서 비탈면을 토사의 안정구배보다 급한 구배로 보전하고 토지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된다.
종래의 옹벽에는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과,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이 있다.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인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되고,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용지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그 외에도, 역T형식, 부벽식 등의 여러가지 형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은 풍수해에 의해 붕괴하기도 한다. 이는 옹벽 뒷면의 지반에 빗물이 침투하여 그 지반이 연약하게 됨으로써, 옹벽에 가해지는 토압이 커져 옹벽이 붕괴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소를 확보해야 하고, 거푸집 등의 부대설비를 확보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옹벽의 단점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것이 철강재 옹벽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의 철강재 옹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옹벽(1)을 설치할 기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기저면 상에 옹벽설치선을 따라 2열 이상의 강재틀(2)을 설치한다. 강재틀(2)간은 볼트체결되고, 강재틀(2)의 내부 및 인접한 강재틀(2') 사이의 공간에는 채움재가 채워진다. 채움재로 채워진 강재틀(2, 2') 위에는 다른 강재틀을 적층시키고, 강재틀의 사이는 볼트체결한다. 그런 후에는, 설치된 다른 강재틀의 내부 및 인접한 강재틀 사이의 공간에 채움재를 채우는 방식으로 강재틀 구조물을 쌓아 올려 옹벽을 형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강재 옹벽을 이루고 있는 강재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틀(2)은 12개의 제1 L형강(3)의 단부들이 연결되어 육면체를 형성한다. 이때, 제1 L형강(3)의 안쪽면이 강재틀(2)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결하고, 이런 제1 L형강(3)이 상호 연결된 단부를 커버부(4)로 감싸 체결한다.
이런 강재틀(2)의 4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2 L형강(5)들이 제1 L형강(3)에 볼트체결되어 4측면을 따라 평행하게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2 L형강(5)들은 '측면 스크린부재'라고 한다.
그리고, 강재틀(2)의 상하면에 띠강판(6)들이 서로 마주보는 제1 L형강(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제1 L형강(3)과 띠강판(6)들은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여기에서 띠강판(6)들은 '상면 스크린부재'와 '하면 스크린부재'라고 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측면 스크린에는 제2 L형강(5)이 사용되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강재틀(2)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강재틀(2)의 양 측단면 중에 어느 하나 또는 양 측단면 모두를 브래이싱부재(7)가 대신할 수 있다. 이런 브래이싱부재(7)는 강재틀(2)의 측단면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강재틀(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강재틀은 강재틀의 부재들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시공현장에서 강재틀을 조립한다. 그래서,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철강재 옹벽은 시공시 설치공간 확보가 유리하고, 강재틀을 볼트체결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하다.
또한, 철강재 옹벽은 투수성과 배수기능이 양호하여, 식물성장에 좋은 여건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철강재 옹벽을 시공할 때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L형강이 강재틀의 육면체를 이루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그리고, 브래이싱부재 및 스크린부재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각 부재들을 서로 볼트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 시공자가 각 부재의 길이에 따라 그 체결 위치를 설정하는 조립과정을 완전히 숙지해야만 강재틀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시공자는 여러 시공현장에서 실제경험을 통해서만 강재틀의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철강재 옹벽은 강재틀을 형성하는 형강부재들을 커버부로 접합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형강부재를 조립하여 각 형강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형강부재의 조립이 신속하게 수행되는 옹벽용 강재틀 및 이런 강재틀을 형성하는 형강부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가 필요하지 않는 단순구조형식으로 시공방법이 편리한 옹벽용 강재틀 및 이런 강재틀을 형성하는 형강부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철강재 옹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강재 옹벽을 이루고 있는 강재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강재 옹벽을 이루는 강재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강재틀의 결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강재틀의 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주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크린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음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강재틀들이 결합되어 철강재 옹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 : 강재틀 3 : 제1 L형강
4 : 커버부 5 : 제2 L형강
6, 42 : 띠강판 7, 41 : 브래이싱부재
11 : 주부재 21 : 스크린부재
31 : 이음부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장에 걸쳐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형성된 형강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은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수직하게 측방향으로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말단에서 2방향으로 분기되며 상호 대칭된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분기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의 분기영역의 말단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의 연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1 분기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분기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공간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의 분기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의 연장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3 공간영역이 제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을 형성하는 육면체의 강재틀에 있어서, 상기 강재틀의 측면 모서리에 대응하여 상기의 형강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형강의 단부에는 이음부재들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재틀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형강의 단부에는 상기 이음부재와 수직하는 스크린부재들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재틀의 정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형강의 상기 제3 공간영역에는 상기 이음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형강의 상기 제1 또는 제2 공간영역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강재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재틀의 정면과 배면에 상기 스크린부재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다른 다수 개의 스크린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 공간영역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음부재가 위치한 상기 강재틀의 측면에 브래이싱부재가 상기 측면을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강재 옹벽을 이루는 강재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강재틀의 결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틀(10)은 육면체의 구조로서, 4개의 수직변에 대응하여 주부재(11)가 위치하고, 상기 4개의 주부재(11)의 단부를 스크린부재(21)와 이음부재(31)가 연결하여 육면체를 형성한다. 이런 강재틀(10)에 있어, 길이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크린부재(21)가, 그리고 세로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음부재(31)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강재틀(10)에 있어서, 주부재(1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강재틀의 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부재(1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평판(12)을 가지고 있고, 평판(12)은 좁고 긴 형상이다. 그리고, 평판(12)의 저면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판(13)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런 수직판(13)의 타단에는 두 개의 분기판(14)이 고정된다. 또한, 두 개의 분기판(14)의 자유단부에는 연장판(15)이 고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주부재(1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단면을 갖는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부재(11)의 횡단면은 좁고 긴 직사각형 모양의 제1 영역(12')을 포함하고, 제1 영역(12')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제1 영역(12')과 수직하게 측방향으로 제2 영역(13')이 연장된다. 그리고, 제2 영역(13')의 말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두 개의 분기영역(1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각도는 180도를 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두 개의 분기영역(14')은 상호 동일한 길이이고, 제2 영역(13')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된다. 그리고, 두 개의 분기영역(14')의 말단에는 제2 영역(12')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두 개의 연장영역(15')이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분기영역(14')과 연장영역(15')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런 주부재(11)의 횡단면을 보았을 때, 제1 영역(12'), 제2 영역(13') 및 두 개의 분기영역(14')에 의해 둘러싸인 주부재의 횡단면의 양 측부에는 제1 및 제2 공간영역(17, 17')이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분기영역(14')과 두 개의 연장영역(15')에 의해 둘러싸인 주부재의 횡단면의 하부에는 제3 공간영역(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주부재(11)를 제조함에 있어서, 주부재(11)는 제2 영역(13')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된 단면을 가지는 2개의 형강이 제조되고, 이런 형강의 수직판(13)이 상호 고정되어 도 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형성된다.(도 5a, 도 5b 참조) 또한, 경우에 따라서 주부재(11)는 평판(12), 수직판(13), 분기판(14), 연장판(15)을 용접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주부재(11)의 단면계수를 계산해 보면, 주부재(11)는 주부재와 동일한 두께를 사용한 기존의 L형강(3)에 비해 평판(12)의 수직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배면하중)에 대해 휨모멘트가 적다. 이런 배면하중에 의한 주부재(11)의 변위가 발생할 때 주부재(11)의 분기판(14)이 변위값을 줄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런 주부재(11)가 사용된 강재틀의 변위도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강재틀의 강성은 증가되고, 이런 강재틀을 형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은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강재틀(10)의 주부재(11)간을 연결하는 스크린부재(21)와 이음부재(31)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채널(channel)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스크린부재(21)의 단면과 이음부재(31)의 단면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스크린부재(21)의 웨브(23)와 플랜지(22)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이음부재(31)의 웨브(33)와 플랜지(32)의 길이보다 짧고, 이런 두 부재는 동일한 'ㄷ'형상이다.
그리고, 스크린부재(21)는 내부 채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주부재(11)의 분기판(14)이 배면하중에 의해 이상변위를 발생할 경우 주부재(11)의 제1 또는 제2 공간영역(17, 17')에 체결되어 과도한 변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는 이런 주부재(11)와 스크린부재(21) 및 이음부재(31)를 이용한 강재틀(10)의 조립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강재틀(10)의 수직변에 위치한 주부재(11)는 제3 공간영역(16)이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이렇게 마주보는 주부재(11, 11')간의 제3 공간영역(16)에는 이음부재(31)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에서, 주부재(11)의 연장판(15)에는 이음부재(31)의 플랜지(32)가 접하고, 이들 연장판(15)과 플랜지(32)는 볼트체결된다. 이렇게 이음부재(31)는 주부재(11)의 양단부에 각각 2개가 체결되고, 같은 주부재(11)에 체결된 두 개의 이음부재(31, 31')들은 이음부재(31)의 공간영역(34)이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된다.
도 3,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틀(10)의 정면과 배면에는 다수 개의 스크린부재(21)들이 주부재(11)와 직각으로 상호 평행하게 간격을 두면서 주부재(11)의 길이를 따라 체결된다. 이런 스크린부재(21)들은 주부재(11)의 제1, 제2 공간영역(17, 17')에 삽입된다. 그리고, 스크린부재(21)의 웨브(23)는 주부재(11)의 평판(12)에 체결되며, 스크린부재(21)의 플랜지(22)는 주부재(11)의 수직판(13)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양호하다. 단, 스크린부재(21)의 체결되는 간격은 강재틀(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의 재질 또는 토사의 하중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이렇게 다수 개의 스크린부재(21)가 주부재의 길이를 따라 체결되어 강재틀의 정면과 배면에 스크린을 형성하면, 강재틀은 육면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강재틀(10)에서 이음부재(21)가 위치한 양 측면에는 브레이싱부재(41)가 설치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 개의 이음부재(31)가 주부재(11)의 양단부에 체결된 이음부재(31)와 평형하게 위치하도록 주부재(11)에 체결되어 양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강재틀의 상하면에는 띠강판(42)을 사용하여, 강재틀을 보강한다. 이런 띠강판(42)은 스크린부재(21, 21')에 체결되나, 필요에 따라 이음부재(31, 31')에 체결되어도 무방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조립된 강재틀을 이용하여 철강재 옹벽을 설치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강재틀들이 결합되어 철강재 옹벽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우선, 성토하기 위해 옹벽(100)을 시공할 지반을 다지고 정리한다. 그러면, 정리된 지반 위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립된 강재틀(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위치한 강재틀(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된 강재틀(10')을 측면끼리 접하도록 밀착 고정한다. 이런 이웃한 강재틀(10, 10')들을 볼트체결하여 1열을 형성하면, 필요에 따라 다수의 열을 설치한다. 이렇게 형성된 강재틀들의 내부에는 충전재(50)를 충전하고, 강재틀(10)의 상단에는 상면 띠강판(42)을 부착하여 1단 옹벽을 완성한다.
그리고, 1단 옹벽을 완성한 후에는 1단 옹벽의 상면에서 1단의 옹벽과 동일한 방식으로 2단 옹벽을 형성한다. 이런 옹벽의 외측면의 기울기는 성토되는 토압 등을 고려하여 안전구배 이하로 강재틀을 적층해야 한다.
그리고, 2단의 강재틀이 1단의 강재틀의 상면에서 성토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배치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옹벽이 보다 안전한 안전구배를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1단 옹벽의 상면에는 2단 옹벽의 강재틀들이 체결되어 적층되었을 때에, 2단 옹벽의 내부에 돌 및 암석 등의 충전재(50')를 충전한다. 이런 적층 단계를 반복하여 성토하고자 하는 높이까지 강재틀을 쌓는다.
강재틀의 내부에는 돌 및 암석 등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철강재 옹벽(100)에는 식물이 식생할 수 있다.
한편, 옹벽(100)은 성토된 토사에 의해 옹벽의 전면 방향으로 토압을 받게 된다. 이런 옹벽(100)에 작용하는 토압은 강재틀에 작용되고, 고장력 볼트에 의해 체결된 강재틀이 토사의 하중과 외부하중을 견뎌내면서 옹벽(100)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주부재(11)를 사용하여 조립한 강재틀은 토목 또는 임도 시공현장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용 강재틀은 강재틀을 구성하는 각 형강의 단면이 다르게 형성되어 강재틀을 조립함에 있어서, 각 형강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시공자가 강재틀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강재틀에 사용되는 부재들의 역할을 주부재, 이음부재, 스크린부재로 대체함으로써, 강재틀을 체결하는 공정이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토사의 하중을 받는 강재틀의 강성이 증가되고, 강재틀을 형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이 경량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전장에 걸쳐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형성된 형강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은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수직하게 측방향으로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말단에서 2방향으로 분기되며 상호 대칭된 좁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분기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의 분기영역의 말단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의 연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1 분기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1 공간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분기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공간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의 분기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의 연장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제3 공간영역이 제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2. 옹벽을 형성하는 육면체의 강재틀에 있어서,
    상기 강재틀의 측면 모서리에 대응하여 제 1항에 사용된 형강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형강의 단부에는 이음부재들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재틀의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형강의 단부에는 상기 이음부재와 수직하는 스크린부재들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재틀의 정면과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형강의 상기 제3 공간영역에는 상기 이음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형강의 상기 제1 또는 제2 공간영역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강재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틀의 정면과 배면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다른 다수 개의 스크린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 공간영역에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강재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가 위치한 상기 강재틀의 측면에는 브래이싱부재가 상기 측면을 대각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강재틀.
KR10-2002-0038227A 2002-07-03 2002-07-03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KR100448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27A KR100448438B1 (ko) 2002-07-03 2002-07-03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27A KR100448438B1 (ko) 2002-07-03 2002-07-03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506A true KR20040003506A (ko) 2004-01-13
KR100448438B1 KR100448438B1 (ko) 2004-09-13

Family

ID=3731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227A KR100448438B1 (ko) 2002-07-03 2002-07-03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5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사방댐의 시공방법
KR20040025345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선진건설 조립식 강재옹벽
KR100513816B1 (ko) * 2002-08-30 2005-09-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강재틀
KR100898334B1 (ko) * 2002-08-30 2009-05-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의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사방댐용 조립식강재틀
KR20210117023A (ko) * 2020-03-18 2021-09-28 이석호 파형 강판 벽체의 마감부
KR20220080458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구조체의 배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04B1 (ko) * 2004-12-23 2012-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틀의 식생구조
KR101178810B1 (ko) 2011-11-25 2012-08-31 (주)대흥이엔지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24Y2 (ko) * 1981-06-15 1986-08-08
JPS6135921U (ja) * 1984-08-02 1986-03-05 日本鋼管ライトスチ−ル株式会社 土木工事用鋼製枠
JPH0376022A (ja) * 1989-08-18 1991-04-02 Konica Corp 磁気記録媒体
JPH07102583A (ja) * 1993-09-30 1995-04-18 Daikure:Kk 簡易土留め擁壁用ユニット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870683B2 (ja) * 1993-10-15 1999-03-17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法面付き鋼製自在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3689835B2 (ja) * 1998-01-20 2005-08-31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土木構造物
KR100409196B1 (ko) * 2001-09-20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경사지 도로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45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사방댐의 시공방법
KR100513816B1 (ko) * 2002-08-30 2005-09-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강재틀
KR100898334B1 (ko) * 2002-08-30 2009-05-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강재틀의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사방댐용 조립식강재틀
KR20040025345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선진건설 조립식 강재옹벽
KR20210117023A (ko) * 2020-03-18 2021-09-28 이석호 파형 강판 벽체의 마감부
KR20220080458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구조체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438B1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649B1 (ko)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
KR101637520B1 (ko) 보호용 방공호
KR102208793B1 (ko)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851557B1 (ko)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48438B1 (ko)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EP1028196B1 (en) Prefabrication type high level road structure
JPH10140558A (ja) 地中壁体の鉄骨鉄筋籠
KR20110135056A (ko)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KR100787591B1 (ko) 곡선부 적용 가능한 강재틀 옹벽구조
KR100793684B1 (ko)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JP6279892B2 (ja) 壁面構築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の構築方法
JP5828986B1 (ja) Pc版型枠材及びこれを用いた基礎の構築施工方法
KR100409196B1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경사지 도로 시공방법
KR102376018B1 (ko) 파형 강판 벽체의 마감부
JP6235509B2 (ja) シェッドとその施工方法
JP7313022B1 (ja) 敷地嵩上げ方法及び嵩上げ敷地構造
KR101929459B1 (ko) 2겹 벽체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990548B1 (ko) 벽면보강 조립식 기둥
KR102621651B1 (ko) 복수의 수평 다이아프램 플레이트로 수직강재를 구속시킨 조립강재 기둥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57796B1 (ko) 철골 골조와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복합구조 건축물
JP6203336B1 (ja) 組み合わせ法面保護ブロック及びその法面保護ブロックによる法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