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841A -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841A
KR20040000841A KR1020020035809A KR20020035809A KR20040000841A KR 20040000841 A KR20040000841 A KR 20040000841A KR 1020020035809 A KR1020020035809 A KR 1020020035809A KR 20020035809 A KR20020035809 A KR 20020035809A KR 20040000841 A KR20040000841 A KR 2004000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laser beam
beam printer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546B1 (ko
Inventor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1Manufactu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는, 용지에 전사된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이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 등을 갖춘 배지유닛프레임을 구비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 하는 배지유닛프레임의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지유닛프레임의 외부에서 그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블로우 인 팬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지유닛프레임에는 상기 블로우 인 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프레임 표면상의 결로 발생부위에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면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팅 동작시 배지유닛프레임에 블로우 인 팬에 의해 외부 공기가 강제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인쇄용지의 얼룩 및 양면 인쇄시의 물방울에 의해 발생되는 부품 불량 및 화상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edew of laser beam pr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 프린터의 프린팅 동작시 발생하는 습기가 용지 가이드 표면 등에 응결되는 현상(이하, '결로'라 칭한다)을 방지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는 감광드럼유닛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한 후, 이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전사유닛을 이용하여 용지에 전사시킨 다음 정착유닛을 경유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형적인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감광드럼유닛 이며, 2는 현상유닛, 3은 전사유닛, 4는 정착유닛, 그리고, 5는 급지유닛이다.
상기 감광드럼유닛(1)은 도시되지 않은 대전유닛에 의해 일정 전압으로 대전되며, 또한 노광유닛에 의해 형성할 화상 데이터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주사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유닛(2)은 상기 감광드럼유닛(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만든다. 상기 전사유닛(3)은 상기 급지유닛(5)으로부터 급지되는 인쇄용지에 감광드럼유닛(1)의 가시화상을 전사시키며, 이와 같이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는 상기 정착유닛(4)을 통과하여 최종 배출된다. 도면에서 부호 6은 제 1 용지경로, 7은 양면인쇄를 위한 제 2 용지경로 이며, 부호 8은 배지유닛프레임이다.
이와 같은 통상의 레이저 빔 프린터는 급지유닛(5)의 인쇄용지가 픽업장치에 의해 낱장씩 공급되어 제 1 용지경로(6)를 따라 이송되면서, 전사유닛(3)과 정착유닛(4)을 거친 후 배지트레이 등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통해 단면 인쇄가 이루어진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는 일단 인쇄용지의 한 쪽면에 대한화상을 인쇄한 후 그 용지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제 2 용지경로(7)를 경유하여 반전된 상태로 다시 전사유닛(3)과 정착유닛(4)을 거침으로써 용지의 뒷면에 대한 화상을 인쇄하는 양면 인쇄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 정착유닛(4)을 거치는 인쇄용지는 고온 고압의 정착환경에 의해 용지 자체내의 수분 등이 증발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때, 발생한 높은 온도의 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주변 구조물의 표면에서 응결되어 물방울을 형성하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정착유닛의 용지 배출부와 용지 배출을 위한 용지 가이드 등의 공기 및 열의 흐름이 원활치 못할 경우, 용지 가이드면 등에 심한 결로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용지 가이드면에 접촉되면서 진행하는 용지 표면에 물방울이 옮겨지면서 심한 물자욱이 발생된다.
특히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단면 인쇄시 인쇄된 면의 반대면에 전이된 다량의 물방울이 뒷면 화상 전사 동작시 감광드럼표면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용지 표면에 있던 물방울이 감광드럼표면 및 현상유닛 내부로 유입되어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롤러 및 클리닝 블레이드 등에 접촉됨으로써 이 부위에서 토너들이 엉킴에 따라 전사 및 현상 프로세스에 악영향을 끼쳐 심각한 부품 불량 및 화상불량이 초래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해 정착유닛 상부의 용지 배출부 및 이송경로 부분에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나,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는 각종 부품의 기능 및 외관적인 문제로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블로우 아웃 팬(10)을 채용하여 정착유닛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내어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고속 프린터의 경우, 용지간의 간격이 매우 짧게 진행됨에 따라 실제적으로 용지에 가로막혀 공기의 유동이 원활치 않게 됨으로써 정착유닛 상부의 습기가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결로에 의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쇄 동작시 외부공기를 결로 발생부위에 직접 유입시킴으로써 용지 가이드 등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를 개략적으로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레이저 빔 프린터에 적용된 결로 제거를 위한 공기순환구조를 보인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감광드럼유닛2;현상유닛
3;전사유닛4;정착유닛
5;급지유닛6,7;제 1 및 제 2 용지경로
8;배지유닛프레임20;블로우 인 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는, 용지에 전사된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이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 등을 갖춘 배지유닛프레임을 구비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 하는 배지유닛프레임의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지유닛프레임의 외부에서 그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블로우 인 팬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지유닛프레임에는 상기 블로우 인 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프레임표면상의 결로 발생부위에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면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팅 동작시 배지유닛프레임에 블로우 인 팬에 의해 외부 공기가 강제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인쇄용지의 얼룩 및 양면 인쇄시의 물방울에 의해 발생되는 부품 불량 및 화상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제거장치가 적용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결로 제거장치를 제외한 프린터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로 제거장치가 적용된 레이저 빔 프린터는, 감광드럼유닛(1)과, 현사유닛(2)과, 전사유닛(3)과, 정착유닛(4)과, 급지유닛(5)과, 배지유닛프렐임(8)과, 블로우 인 팬(20) 등을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유닛(1)은 도시되지 않은 대전유닛에 의해 일정 전압으로 대전되며, 또한 노광유닛에 의해 형성할 화상 데이터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주사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유닛(2)은 상기 감광드럼유닛(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화상으로 만든다. 상기 전사유닛(3)은 상기 급지유닛(5)으로부터 급지되는 인쇄용지에 감광드럼유닛(1)의 가시화상을 전사시키며, 이와 같이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는 상기 정착유닛(4)을 통과하여 최종 배출된다.
단면 인쇄의 경우, 용지는 제 1 용지경로(6)를 통하여 정착유닛(4)을 통과한 후 배지되며, 양면 인쇄의 경우, 정착유닛(4)을 통과한 용지가 제 2 용지경로(7)를 통하여 다시 제 1 용지경로(6)로 재진입된 후 전사유닛(3)과 정착유닛(4)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단면 인쇄나 양면 인쇄 어느 경우에나 정착유닛(4)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유닛프레임(8)에 구비된 용지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배지트레이나 제 2 용지경로(7)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한 블로우 인 팬(20)이 상기 배지유닛프레임(8)의 외부에서 그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지유닛프레임(8)의 용지 가이드 표면에 온도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결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는, 상기 배지유닛프레임(8)의 외측에 프린팅 동작시 구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프린터의 내부로 일정풍량으로 유입시키는 블로우 인 팬(2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배지유닛프레임(8)의 용지 가이드 표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용지 가이드 표면의 응결점 조건이 변화되어, 결로 현상이 방지된다. 부연하면, 결로가 발생되려는 물체 표면에 강제적인 공기 흐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상대 습도가 낮아지면서 응결점이 변화하는 현상(자동차 유리창의 습기 제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결로가 발생되지않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로우 인 팬(20)은 프린팅 동작시에만 작동하고 인쇄 대기모드 등에서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배지유닛프레임(8)에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동작시 외부 공기가 결로 발생부위에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예컨대, 배지유닛프레임의 용지 가이드 표면에 생성되는 결로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지 가이드 등의 결로에 인해 인쇄용지에 얼룩이 생기거나 양면 인쇄시 용지에 옮겨진 물방울이 현상유닛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결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결로에 의한 각종 구성 부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원리에 의해 결로 발생문제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제품의 인지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용지에 전사된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이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 등을 갖춘 배지유닛프레임을 구비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 하는 배지유닛프레임의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지유닛프레임의 외부에서 그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블로우 인 팬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유닛프레임에는 상기 블로우 인 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프레임 표면상의 결로 발생부위에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KR10-2002-0035809A 2002-06-25 2002-06-25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KR10045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09A KR100452546B1 (ko) 2002-06-25 2002-06-25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09A KR100452546B1 (ko) 2002-06-25 2002-06-25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841A true KR20040000841A (ko) 2004-01-07
KR100452546B1 KR100452546B1 (ko) 2004-10-14

Family

ID=3731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809A KR100452546B1 (ko) 2002-06-25 2002-06-25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107B2 (ja) * 1991-12-02 1997-01-22 株式会社リコー 帯電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帯電ローラ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帯電装置
JPH05232775A (ja) * 1992-02-26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249534A (ja) * 1998-02-27 1999-09-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308024B1 (en) * 1999-08-30 2001-10-23 Fuji Xerox Co., Ltd. Dust protector for image exposur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KR100334115B1 (ko) * 2000-05-16 2002-05-03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546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211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94116B1 (ko) 복합기
KR100490436B1 (ko) 화상형성장치
JP302964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9019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52546B1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US75135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78166A (ja) 画像形成装置
JP436733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30067152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냉각장치
JP74767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858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722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659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64905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164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37685A (ja) 画像形成装置
JP724335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94683A (ja) 画像形成装置
JP5262527B2 (ja) 電磁シールドボックス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78534A (ja) 画像形成装置
JP623117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63180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4053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93411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