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115B1 -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115B1
KR100334115B1 KR1020000025990A KR20000025990A KR100334115B1 KR 100334115 B1 KR100334115 B1 KR 100334115B1 KR 1020000025990 A KR1020000025990 A KR 1020000025990A KR 20000025990 A KR20000025990 A KR 20000025990A KR 100334115 B1 KR100334115 B1 KR 10033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image forming
paper
driv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832A (ko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2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11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115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과 구동시간 및 용지의 위치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전사성 및 정착성을 개선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이 상온상습한 경우, 팬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고, 용지의 앞단이 정착기의 전방 20mm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끝단이 정착기의 전방 100mm에 도달한 시점까지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을 오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정착기의 히팅 롤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이 저온저습한 경우, 전원이 인가된 후 10분 동안은 팬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고, 10분 이후부터는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의 전방 50mm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의 후방 30mm에 도달한 시점까지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전사롤러의 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과 구동시간 및 용지위치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전사성 및 정착성을 개선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나 프린터, 복사기 혹은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복합기 등은 모두 공통적으로 인쇄 기능을 바탕으로 제작된 제품들이며, 따라서 이를 위해 화상형성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상기록체인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가 마련되어 있어,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pickup)하여 이송하고, 상형성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용지 위에 토너(toner)와 같은 염료로 상을 형성하여 배출한다.
또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용지가 원활하게 공급(feeding)되지 못하여 출력물을 얻지 못하는 용지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용지의 이송경로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센서는 용지가 픽업된 것을 감지하며 모든 타이밍(timing) 동작의 시발점 역할을 하는 급지센서와, 용지의 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배지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상형성수단에서 최적의 화상을 용지에 기록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고,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이 장착되는데, 이 팬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사용환경에 따라 특정 구간 계속해서 온 또는 오프된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사용환경을 고온고습, 상온상습, 저온저습한 단계로 구분하여 팬의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저온저습한 상태에서 팬은 구동되지 않으며, 상온상습한 상태에서 팬은 소정주기로 온/오프되어 구동되고, 고온고습한 상태에서 팬은 상온상습한 상태에서 팬이 구동되는 주기보다 긴 주기로 구동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에 따라 팬을 소정주기 동안 계속해서 온 또는 오프하기 때문에 인쇄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변동하는 상형성수단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저온저습한 상태에서는 팬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형성수단인 감광드럼의 표면이나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창에 이슬같이 습기가 맺히는 현상인 결로(結露) 현상이 발생한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은 저온저습하기 때문에 팬이 구동되지 않고, 상형성수단인 히팅롤러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 가열되기 때문에, 히팅롤러와 감광드럼이나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 차에 의해서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결로현상이 발생하면 화상이 흐릿하거나 뭉쳐진 결과물이 출력되기 때문에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과 구동시간 및 용지의 위치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술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 엔진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3은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흐름도.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메모리 맵.
도 5는 저온저습한 사용환경에서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설명도.
도 6은 상온상습한 사용환경에서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설명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상형성수단을 통해 인쇄하고, 상형성수단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과, 인쇄 데이터가 기록되는 용지의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을 체크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이 저온저습하면 상형성수단의 결로현상 방지를 위하여 팬의 구동을 제어한 후 상형성수단의 전사제어를 위하여 팬의 구동을 제어하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이 상온상습이면 상형성수단의 정착제어를 위하여 팬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0)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환경과 구동시간 및 용지의 위치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최상의 화상품질을 출력할 수 있도록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조작패널(OPE: Operation Panel)(11)은 시스템의 키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며 키 데이터 발생시 제어부(10)에 입력시키고 제어부(10)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을 포함한다.
메모리(12)는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부(1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과 구동시간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데이터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기 저장된다.
여기서, 메모리(12)에 저장되는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는 실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여러번의 테스트를 수행하여 획득된 결과값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사용환경을 고온고습, 상온상습, 저온저습의 3단계로 구분하고,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시간을 전원인가후 10분과 10분후로 구분하며, 각각의 사용환경과 구동시간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팬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시간을 구분하는 기준구동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저온저습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어 방치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온도의 급격한 변화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결로현상을 해소하기에 적합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시간을 전원이 인가된 시점부터 기준구동시간인 10분까지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기준구동시간인 10분 이후부터는 전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팬의 구동을 제어한다.
사용환경 감지부(13)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사용환경을 센서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이를 제어부(10)에 입력한다.
타이밍부(14)는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의 구동시간을 체크하고, 또한 후술될 프린터 엔진(16)의 급지센서에서 용지가 감지되면 용지의 이송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시간을 체크한다.
팬모터 구동부(15)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프린터 엔진(16)은 실제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메모리(12)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프린터 엔진(16)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의 이미지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픽업롤러(111), 대전롤러(112), 감광드럼(OPC:Organic Photoconductive)(113), 전사롤러(114), 현상롤러(115), 공급롤러(116), 정착기(117), 노광장치(118), 및 센서(119, 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전롤러(112)에는 -1.4[㎸]의 대전전압, 현상롤러(115)에는 -300[V]의 현상전압, 전사롤러(114)에는 +2.0[㎸]의 전사전압, 공급롤러(116)에는 -500[V]의 공급전압이 인가된다. 즉, 고압의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112)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13)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면, 노광장치(118)에서 발생된 빛이 대전된 감광드럼(113)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고압의 공급전압을 인가받은 공급롤러(116)와 공급롤러(116)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을 인가받은 현상롤러(115)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공급롤러(116)에서 현상롤러(115)로 음전하 성분을 띈 토너가 이동되고, 이렇게 현상롤러(115)로 공급된 토너는 감광드럼(11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고압의 전사롤러(114)는 감광드럼(113)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가 형성한 가시상을 이송되는 용지(P)에 전사시킨다. 용지(P)에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117)의 히팅롤러(117a)의 고열과 압착롤러(117b)의 압력에 의해 용지(121)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또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용지(121)가 원활하게 공급(feeding)되지 못하여 원하는 출력물을 얻지 못하는 용지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급지센서(119)와 배지센서(120)가 장착되어 있는데, 급지센서(119)는 급지롤러(111)와 감광드럼(113) 사이에 장착되고, 배지센서(120)는 정착기(117)와 배출롤러(미도시)의 사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0)는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S100), 사용환경 감지부(13)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센서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온도를 체크하며(S200), 제어부(10)는 사용환경 감지부(13)에서 체크된 사용환경이 고온고습, 상온상습, 저온저습의 3단계 중 어느 단계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사용환경을 3단계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며, 제어부(10)는 사용환경 감지부(13)에서 체크된 온도가 포함되는 범위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이 고온고습한 경우(S300), 제어부(10)는 고압인가부(도시 안됨)를 제어하여 프린터 엔진(16)의 각 롤러(112,114,115,116)에 해당 전압을 인가하여 프린터 엔진(16)을 구동시키고(S310),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따라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고, 팬모터 구동부(15)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모터를 구동시켜서 팬을 온시킨다(S320).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이 상온상습한 경우(S400), 제어부(10)는 고압인가부를 제어하여 프린터 엔진(16)의 각 롤러(112,114,115,116)에 해당 전압을 인가하여 프린터 엔진(16)을 구동시키고(S410), 메모리(12)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따라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정착제어를 위한 시스템으로 구동시킨다.
제어부(10)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환경이 상온상습하면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on)시킨다. 그런데, 팬을 온시키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정착기(117)의 히팅롤러(117a)에서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열의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정착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화상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정착제어를 위하여 팬을 구동시키는데, 팬의 구동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시키고(S420), 프린터 엔진(16)의 급지센서(119)에서 용지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S430).
급지센서(119)에서 용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고, 급지센서(119)에서 용지가 감지되면 화상형성작업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므로 제어부(10)는 타이밍부(14)를 제어하여 용지이송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S440).
제어부(10)는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용지이송시간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앞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20mm에 도달한 시간인지 확인한다(S450).
확인결과, 용지이송시간이 용지의 앞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20mm에 도달한 시간이면,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팬을 오프한다(S460).
여기서, 용지의 앞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20mm에 도달한 시간이 아니면 팬모터 구동부(15)는 팬모터를 계속 구동시켜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한다.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한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용지이송시간이 용지의 끝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100mm에 도달한 시간인지 확인한다(S470).
확인결과, 용지이송시간이 용지의 끝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100mm에 도달한 시간이면,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시킨다(S480).
여기서, 확인결과 용지의 끝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100mm에 도달한 시간이 아니면 팬모터 구동부(15)는 팬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을 오프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이 상온상습한 경우, 팬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고, 용지의 앞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20mm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끝단이 정착기(117)의 전방 100mm에 도달한 시점까지만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을 오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정착기(117)의 히팅 롤러(117a)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200(S200)에서 확인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이 저온저습한 경우(S500), 제어부(10)는 고압인가부를 제어하여 프린터 엔진(16)의 각 롤러(112,114,115,116)에 해당 전압을 인가하여 프린터 엔진(16)을 구동시키고(S510), 메모리(12)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따라 팬모터 구동부(15)를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전사제어를 위한 시스템으로 구동시킨다.
제어부(10)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환경이 저온저습하면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을 오프(off)시킨다. 그런데, 팬을 오프시키면 저온저습한 내부 환경과 정착기(117)에서 발생되는 열과의 사이에서 감광드럼(113)의 표면이나 노광장치(118)의 창에 이슬같이 습기가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전사성이 떨어져서 화상품질이 저하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이 저온저습한데도 불구하고 팬을 온시키면, 전사롤러(114)의 저항이 팬의 영향으로 쉽게 내려가지 않게 되어 전사성이 떨어져서 화상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전사제어를 위하여 팬을 구동시키는데, 팬의 구동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0)는 타이밍부(14)를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S515),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시킨다(S520).
제어부(10)는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구동시간이 기준구동시간에 도달하는지 확인한다(S525). 여기서, 기준구동시간은 화상형성장치의 저온저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팬이 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실험치에 의해 미리 저장되는데, 본 발명에서 기준구동시간은 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을 온시킨 시간인 구동시간이 기준구동시간에 도달하면,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를 정지시켜 팬을 오프시키고(S530), 프린터 엔진(16)의 급지센서(119)에서 용지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S535).
확인결과 급지센서(119)에서 용지가 감지되면 화상형성작업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므로, 제어부(10)는 타이밍부(14)를 제어하여 용지이송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S54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용지이송시간이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전방 50mm에 도달한 시간인지 확인한다(S545).
또한, 단계 535(S535)에서의 확인결과 급지센서(119)에서 용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을 오프상태로 유지한다.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용지이송시간이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전방 50mm에 도달한 시간이면,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시킨다(S550).
여기서,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용지이송시간이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전방 50mm에 도달한 시간이 아니면 팬모터 구동부(15)는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팬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제어부(10)는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전방 50mm에 도달하여 팬을 온시킨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부(14)에서 카운트된 용지이송시간이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후방 30mm에 도달한 시간인지 확인한다(S555).
확인결과,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후방 30mm에 도달한 시간이면, 제어부(10)는 팬모터 구동부(15)를 제어하여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팬을 오프시킨다(S560).
여기서, 확인결과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후방 30mm에 도달한 시간이 아니면 팬모터 구동부(15)는 팬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면서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후방 30mm에 도달하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이 저온저습한 경우, 전원이 인가된 후 10분 동안은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고, 10분 이후부터는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전방 50mm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앞단이 전사롤러(114)의 후방 30mm에 도달한 시점까지만 팬 모터를 구동시켜 팬을 온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전사롤러(114)의 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사용환경과 구동시간 및 용지의 위치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면, 저온저습한 사용환경에서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전사성을 향상시키고, 상온상습한 사용환경에서 정착성을 향상시켜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상형성수단을 통해 인쇄하고, 상기 상형성수단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기록되는 용지의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이 저온저습하면, 상기 상형성수단의 결로현상 방지를 위하여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결로 현상 방지를 위한 팬의 구동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상형성수단의 전사제어를 위하여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환경이 상온상습이면, 상기 상형성수단의 정착제어를 위하여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현상 방지를 위한 팬의 구동 제어단계는,
    상기 상형성수단의 각 롤러에 해당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전원이 인가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팬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구동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구동시간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상기 구동시간과 상기 기준구동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팬을 오프시키고, 상기 구동시간이 상기 기준구동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팬을 온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구동시간은 10분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제어를 위한 팬의 구동 제어단계는,
    상기 센서 중에서 상기 용지가 픽업된 것을 감지하는 급지센서에서 상기 용지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급지센서에서 상기 용지가 감지되면, 상기 용지의 이송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용지의 이송시간이 소정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팬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팬을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범위는,
    상기 용지의 앞단이 상기 상형성수단의 전사롤러 전방 50mm에 도달한 시점부터 상기 용지의 앞단이 상기 전사롤러 후방 30mm에 도달한 시점까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제어를 위한 팬의 구동 제어단계는,
    상기 상형성수단의 각 롤러에 해당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팬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 중에서 상기 용지가 픽업된 것을 감지하는 급지센서에서 상기 용지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급지센서에서 상기 용지가 감지되면, 상기 용지의 이송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용지의 이송시간이 소정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팬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범위는
    상기 용지의 앞단이 상기 상형성수단의 정착기 전방 20mm에 도달한 시점부터 상기 용지의 끝단이 상기 정착기 전방 100mm에 도달한 시점까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KR1020000025990A 2000-05-16 2000-05-16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KR10033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990A KR100334115B1 (ko) 2000-05-16 2000-05-16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990A KR100334115B1 (ko) 2000-05-16 2000-05-16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32A KR20010104832A (ko) 2001-11-28
KR100334115B1 true KR100334115B1 (ko) 2002-05-03

Family

ID=4581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990A KR100334115B1 (ko) 2000-05-16 2000-05-16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46B1 (ko) * 2002-06-25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KR20070000595A (ko)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32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0685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98898B1 (ko)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US77517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US106205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5502546A (en) Image fixing heater having standby temperature control
KR100306746B1 (ko) 전자사진현상기의팬구동제어방법
KR10033411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JP2001005353A (ja) 定着装置
US5276482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fixing apparatus
JP200617802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85748B1 (ko) 전사전압제어장치및방법
KR100460963B1 (ko) 용지 예열장치를 구비한 프린터
KR100303661B1 (ko) 정착기의 온도 제어방법
JP471034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色ずれ補正方法
JP200328044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34112B1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방법
KR100389873B1 (ko)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JP4338474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装置の制御方法
KR100242121B1 (ko) 전사전압 제어방법
JP39793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63011A (ja) 画像形成装置
KR20000045982A (ko) 용지 예열 기능을 갖는 프린터
KR20040024016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74686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