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595A -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595A
KR20070000595A KR1020050056064A KR20050056064A KR20070000595A KR 20070000595 A KR20070000595 A KR 20070000595A KR 1020050056064 A KR1020050056064 A KR 1020050056064A KR 20050056064 A KR20050056064 A KR 20050056064A KR 20070000595 A KR20070000595 A KR 2007000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temperatur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식
최민구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595A/ko
Priority to US11/402,135 priority patent/US7627259B2/en
Publication of KR2007000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유닛; 정착유닛을 냉각하는 냉각팬;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치로부터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일정시간 딜레이 시킨다.
화상형성장치, 정착유닛, 냉각팬, 냉각제어, 외부환경센서, 온도습도

Description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Fuser cooling fan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어 있는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이 채용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에서의 냉각팬 온/오프 시점을 나타낸 타이밍 챠트,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지 이송유닛 20; 상형성유닛
30; 전사유닛 40; 정착유닛
50; 배지유닛 110; 냉각팬
120; 감지센서 130;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변환경(온도 및/또는 습도)에 따라 정착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칼라 또는 모노 화상이 전사유닛에 의해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닛에 의해 용지에 고착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정착유닛은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과열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에는 정착유닛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착유닛을 냉각하는 냉각팬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은 도 1의 타이밍 챠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파워가 '온/오프'됨에 따라 연동하여 '온/오프'된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파워가 '온'되면 냉각팬도 '온'되어 작동됨으로써 정착유닛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립모드에서 냉각팬은 '오프'되며, 다시 인쇄작업을 시작하면 냉각팬이 작동하여 정착유닛을 냉각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주변환경(온도 및/또는 습도)을 감안하지 않고 단지 화상형성장치의 파워 온/오프와 모드 변화에 따라 냉각팬이 온/오프 제어되기 때문에, 정착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상온(10∼32℃)/상습(30∼ 80%)이거나 이보다 낮을 경우 인쇄용지나 현상제 등은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에서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인쇄초기부터 냉각팬이 작동되면 인쇄용지를 충분한 열로 가열하지 못함에 따라 정착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주변환경, 즉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에 따라 정착유닛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정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온도 및/또는 습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소정시간 딜레이시킨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는 온도 32℃, 습도 80%이다.
상기 주변온도가 10∼32℃인 경우 1∼2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변온도가 32℃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주변온도가 10∼32℃이고, 상기 주변 습도가 30∼80%인 경우 1∼2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미만이고, 상기 주변 습도가 3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변온도가 32℃이상이고, 상기 주변 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일정시간 딜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을 냉각하는 냉각팬;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치로부터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소정시간 딜레이시킨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는 온도 32℃, 습도 8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온도가 10∼32℃인 경우 1∼2매의 용지를 인쇄한 후 상기 작동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를 인쇄한 후 상기 작동팬을 작동시키며, 상기 주변온도가 32℃ 이상 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이송유닛(10), 상형성유닛(20), 전사유닛(30), 정착유닛(40), 배지유닛(50), 냉각팬(110), 감지센서(120) 및 상기 감지센서(120)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냉각팬(110)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을 포함한다.
용지이송유닛(10)은 급지카세트(1)에 수납된 용지를 픽업하여, 전사유닛(30)으로 이송한다. 상형성유닛(20)은 광주사장치(21)에서 발생된 빛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22)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전사유닛(30)은 상기 감광매체(22)상의 가시화상을 인쇄용지에 정전기적으로 부착한다. 정착유닛(40)은 상기 전사유닛(30)에서 부착된 인쇄화상을 고온/고압을 가하여 인쇄용지 표면에 고착시킨다. 배지유닛(50)은 정착유닛(40)에서 인쇄화상이 고착된 인쇄용지를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한다.
냉각팬(110)은 정착유닛(4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고(blow in type),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공개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blow out type).
감지센서(120)는 화상형성장치 주변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측정치를 제어 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가 동작을 시작하여, 정착유닛(40)이 작동을 시작하면, 상기 감지센서(120)에서 측정된 화상형성장치 주변온도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은 감지센서(120)에서 측정된 화상형성장치의 주변온도와 습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작동시점을 딜레이 시킨다. 이 때, 주변온도의 기준치는 32℃이고, 주변습도의 기준치는 80%이다.
즉,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된 화상형성장치 주변온도가 고온(32℃ 이상), 고습(습도 80% 이상)(H/H환경)이면, 도 3의 타이밍 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온(ON) 되거나,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모드(wake up mode)로 모드변경되면, 냉각팬(110)을 딜레이 시간 없이 바로 온(ON) 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된 화상형성장치 주변온도가 상온(섭씨 10~32도), 상습(습도 30~80%)(N/N환경)이면, 도 4의 타이밍 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을 인쇄용지를 1~2매 인쇄한 후로 딜레이 시킨다. 즉, 상기한 N/N환경에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되면, 현상제나 인쇄용지의 온도는 상온에 근접하므로, 정착유닛(40)을 통과하면서 큰 열손실 없이 정착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작동초기에는 인쇄화상을 고착시키는 정착열의 일부가 인쇄용지 쪽으로 흡수되면서 정착온도가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을 딜레이시켜 정착유닛(40)이 정착에 필요한 온도 이하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된 화상형성장치 주변 공기온도가 저온(섭씨 10도 미만), 저습(습도 30% 미만)(L/L환경)이면, 도 5의 타이밍 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용지를 3매 이상, 바람직하게는 5매 인쇄한 후 냉각팬(110)을 작동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아주 추운환경(영하의 온도)이나, 상온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지는 환경에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경우로서, 이 때에는 현상유닛(10) 내부의 현상제나 인쇄용지가 저온상태이므로, 정착유닛(40)에 진입한 인쇄용지가 정착유닛(40)으로부터 많은 열을 빼앗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열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대략 3~5매 정도의 인쇄용지가 정착유닛(40)을 통과하여 정착된 후에 냉각팬(110)을 작동시켜 정착유닛(40)의 과냉각을 방지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주변온도와 습도정보를 이용하여 냉각팬(110)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감지센서(120)가 측정한 주변온도만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30)는 감지센서(120)가 측정한 주변온도가 기준온도인 32℃ 이상이면, 고온환경으로 인식하여 딜레이 시간 없이 냉각팬(110)을 작동하고, 측정한 주변온도가 상온인 10∼32℃이면,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을 인쇄용지를 1~2매 인쇄한 후로 딜레이 시킨다. 또한, 측정한 주변온도가 저온인 10℃ 미만이면,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을 인쇄용지를 3~5매 인쇄한 후로 딜레이 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핀 제어방법을 도 6의 흐름도와 함께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작동을 시작하면, 정착유닛(40)은 예열/가열 과정을 거쳐 소정의 인쇄과정을 거친 인쇄용지에 고온고압을 가하여 인쇄화상을 정착한다(S10).
이 때, 감지센서(120)는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S20).
제어부(130)는 감지센서(120)에서 측정된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외부공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냉각팬(110)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한다. 즉, 화상형성장치 주변공기의 온도가 32℃ 이상의 고온상태이고, 주변습도가 80% 이상의 고습 상태일 경우(H/H 환경)(S31), 정착유닛(40)의 작동과 동시에 냉각팬(110)을 작동한다(S40).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주변온도가 섭씨 10~32도 사이인 상온상태이고, 주변습도가 30~80%인 상습 상태일 경우(N/N 환경)(S32), 정착유닛(40)이 1~2매의 용지를 정착한 후(S33), 냉각팬(110)을 작동한다(S40).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주변온도가 섭씨 10도 미만인 저온상태 이고, 주변습도가 30% 미만의 저습 상태일 경우(L/L환경)(S34), 정착유닛(40)이 3~5매의 용지를 정착한 후(S35) 냉각팬(110)을 작동한다(S40).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냉각팬(110)의 작동을 제어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외부환경이 N/N환경 이거나, L/L환경일 경우, 정착유닛(40)이 상대적으로 저온상태로 보관되는 인쇄용지와 현상제로 열을 빼앗겨 정착온도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냉각팬(110)에 의해 과냉각되어 충분한 정착온도를 유지하지 못해 발생되는 정착불량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곳의 주변온도와 주변습도 변화를 인식하여, 이에 따라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기 때문에, 인쇄초기단계에서 정착유닛의 과냉각에 의한 정착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7)

  1.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냉각하는 냉각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또는 습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소정시간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온도 32℃, 습도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온도가 10∼32℃인 경우 1∼2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온도가 32℃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온도가 10~32℃, 상기 주변 습도가 30∼80%인 경우 1∼2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미만, 상기 주변 습도가 3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온도가 32℃이상, 상기 주변 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8.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냉각하는 냉각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일정시간 딜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32℃ 이며,
    상기 주변온도가 10~32℃ 범위이면 1∼2매의 용지를 인쇄한 후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 미만이면 3∼5매의 용지를 인쇄한 후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온도가 32℃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11.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을 냉각하는 냉각팬;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치로부터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온도 및/또는 습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상형성장치 주변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냉각팬의 작동시점을 소정시간 딜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온도 32℃, 습도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온도가 10∼32℃인 경우 1∼2매의 용지를 인쇄한 후 상기 작동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를 인쇄한 후 상기 작동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온도가 32℃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온도가 10~32℃이고, 상기 주변습도가 30∼80%인 경우 1∼2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주변온도가 10℃미만, 상기 주변습도가 30% 미만인 경우 3∼5매의 용지 인쇄후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온도가 32℃이상, 상기 주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딜레이 시간없이 바로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56064A 2005-06-28 2005-06-28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070000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064A KR20070000595A (ko) 2005-06-28 2005-06-28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402,135 US7627259B2 (en) 2005-06-28 2006-04-12 Fuser cooling fan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064A KR20070000595A (ko) 2005-06-28 2005-06-28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595A true KR20070000595A (ko) 2007-01-03

Family

ID=3756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064A KR20070000595A (ko) 2005-06-28 2005-06-28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27259B2 (ko)
KR (1) KR200700005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1520B2 (ja) * 2008-02-08 2013-02-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90100830A (ko) * 2008-03-21 200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제어하는방법 및 장치
JP2010054813A (ja) * 2008-08-28 2010-03-1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368884B2 (ja) * 2009-06-05 2013-12-1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精密ホットプレス装置における転写部の加熱冷却制御方法及び装置
JP6173075B2 (ja) * 2012-07-19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9285701B2 (en) * 2012-10-16 2016-03-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carrier, a charging member, a voltage applying part, a current measuring part and a controlling part
JP2015125429A (ja) * 2013-12-27 201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3472B2 (ja) * 2014-09-18 2017-07-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33259B2 (ja) * 2014-09-19 2017-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22295B2 (ja) * 2014-10-08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70338B2 (ja) * 2015-06-25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37156A (ja) * 2015-08-10 2017-0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排気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9371A (en) 1980-01-11 1981-08-10 Toshiba Corp Copying apparatus
JPH08211763A (ja) 1995-02-03 1996-08-20 Toshiba Corp 電子写真装置
JPH08262958A (ja) * 1995-03-27 1996-10-11 Nec Corp 電子写真記録装置の筐体内温度制御器
JPH11143151A (ja) * 1997-11-10 1999-05-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194980A (ja) 2000-01-14 2001-07-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334115B1 (ko) 2000-05-16 2002-05-03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JP2004126125A (ja) 2002-10-01 2004-04-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71013A (ja) 2004-01-13 2004-06-17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5266678A (ja) * 2004-03-22 2005-09-29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27259B2 (en) 2009-12-01
US20060291894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0595A (ko) 정착유닛 냉각팬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4963943A (en) Fusing apparatus having a heat-dissipating device
US92857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85253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886201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517284A (en) Fixing device
US99042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densation member provided in an airflow path to collect and condense vapor in airflow
JP2005141220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電圧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320745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정착온도제어방법
JP4821215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7003564A (ja) 印刷装置
KR20080075742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정착기 온도제어방법
US10042322B2 (en) Image formation system
JP2008129215A (ja) 画像形成装置
JP461532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6284618A (ja) 画像形成装置の除湿制御装置
US8311432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JP6507831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84621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41162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상부표면 결로방지 방법 및 장치
JP37538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73100A (ja) 定着装置の温度制御方法
JP20070413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9629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4061553A (ja) 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226

Effective date: 2007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