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38Y1 -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38Y1
KR200399338Y1 KR20-2005-0020750U KR20050020750U KR200399338Y1 KR 200399338 Y1 KR200399338 Y1 KR 200399338Y1 KR 20050020750 U KR20050020750 U KR 20050020750U KR 200399338 Y1 KR200399338 Y1 KR 200399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main body
coins
pusher
repeate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진
송기은
이준형
임진호
Original Assignee
이은진
송기은
이준형
임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진, 송기은, 이준형, 임진호 filed Critical 이은진
Priority to KR20-2005-0020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63F2007/341Ball collecting devices or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궤적을 따라 이송되는 코인류를 반복적으로 낙하시키되, 낙하 경로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핀 등의 장애물과 코인의 접촉되는 횟수 또는 코인이 미리 점수화된 경로를 통과하는 횟수 등을 검출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코인류를 낱개로 형성하되, 이송수단에 의해 낱개의 코인류를 원형 또는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는,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가 배면에 장착되는 본체와,
구동모터에 축고정되고,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와,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coin rotation device of rotation type}
본 고안은 코인, 메달 등의 코인(coin)류를 궤적으로 이루어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켜 게임을 행하는 게임기에 장착되어져 사용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궤적을 따라 이송되는 코인류를 반복적으로 낙하시키되, 낙하 경로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핀 등의 장애물과 코인의 접촉되는 횟수 또는 코인이 미리 점수화된 경로를 통과하는 횟수 등을 검출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코인류를 낱개로 형성하되, 이송수단에 의해 낱개의 코인류를 원형 또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인류 순환장치가 장착되는 게임기는, 구동수단에 의해 일정한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코인류를 상단으로 부터 일정한 시간간격을 유지하여 반복적으로 낙하시키되, 낙하되는 통로에 설치된 핀 등의 장애물에 접촉되는 횟수, 낙하되는 경로를 검출하여 점수화하여 회득된 점수에 해당되는 코인류를 소정량 지급하거나, 또는 경품으로 교환시켜 주게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코인류 순환장치는, 복수의 코인류로 이루어진 순환체(1)와,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판(2) 및 순환체(1)가 이송되는 이송통로(3)를 갖는 프레임(4)과, 낙하되어 수집된 다수개로 이루어진 순환체(1)를 이송통로(3)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5)을 포함하되,
전술한 이송유닛(5)은, 미도시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반부재(6)와, 원반부재(6)에 편심되게 고정된 링크부재(7)에 연결되어 왕복이동하는 이송막대(8)와, 이송막대(8)와 링크부재(7)사이에 설치되고 이송막대(8)를 지지하는 지지부재(9)와, 이송막대(8) 후진시 순환체(1)가 뒷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게임판(2) 상부에는 순환체(1)를 낙하시키는 개구(11)가 형성되고, 게임판(2) 하부에는 경사로(13)에 의해 낙하되는 순환체(1)를 한곳으로 모으는 수집구(12)가 형성된다.
전술한 순환체(1) 뒷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10)가 이송막대(8) 전진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순환체(1)를 통과시키고, 이송막대(8) 후진시 브레이크(10)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순환체(1)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순환체(1)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브레이크(10)가 마모 및 휨변형될 경우 결합홈(14)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이동되지않는 경우, 게임기로 부터 코인류 순환장치를 분리하여 브레이크(10)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보수작업을 하게되어 유지관리비용(A/S)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이송막대(8) 왕복이동시 이송통로(3)에 대기중인 순환체(1)에 외력이 가해지므로, 낱개의 순환체(1)가 개구(11)부를 통과하지않고 많은 량의 순환체(1)가 동시에 개구(11)부를 통과하여 낙하되므로, 게임판(2)에 형성되며 미리 점수화된 각종 장애물 등을 통과하는 것을 검출시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코인류 또는 경품등으로 보상해주는 게임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코인류 순환장치는, 전술한 이송통로(3)를 따라 이송되는 순환체(1)가 다수개의 코인류로 이루어지므로, 오락실(유기장을 말함)에 동일한 종류의 게임기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 많은 양의 순환체(1)를 취급 및 관리해야되는 불편한 점과, 다량의 순환체(1)를 구입하게되어 높은 원가비용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메달, 구슬 등으로 이루어진 순환체(1)의 이송도중 상호간에 접촉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순환체(1)로 부터 미세한 분말이 발생되어 이를 취급하는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고, 분말 비산시 오락실에 출입하는 불특정 다수인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인류 순환장치가 장착되는 게임기에 있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낱개의 코인류를 원형 또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낙하시킴에 따라 많은 분량의 코인류 사용이 불필요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코인류 낙하되는 것을 검출할 경우 정확도를 높여 검출값에 따라 코인류 또는 경품 등으로 보상해주는 게임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갖도록 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코인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구성하는 해당 부품의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사후관리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가 배면에 장착되는 본체와,
구동모터에 축고정되고,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와,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회전체를 레버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되, 이동통로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타원형 이동통로를 따라 코인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푸셔는 레버 단부에 형성된 장공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축고정되는 구동풀리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결합되는 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와,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축고정되는 구동기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치합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와,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회전체의 단면형상이 일자형(━) 레버, 십자형(╋) 레버, 별표형(*) 레버, 원형판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동모터는 AC모터, DC모터, 스텝핑모터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는, 코인(50)(메달, 구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51)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52)(AC모터, DC모터, 스텝핑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음)가 배면에 브라킷(52a)에 의해 장착되는 본체(53)와,
구동모터(52)에 축고정되고, 구동모터(52)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50)을 이동통로(51)를 따라 반복적으로 밀고다녀 순환시키는 푸셔(54)(pusher)가 미도시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55)(단면형상이 일자형(━) 레버, 십자형(╋) 레버, 별표형(*) 레버, 원형판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이동통로(51)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51)로 부터 코인(50)이 유입되는 입구(56)와 이동통로(51)로 코인(50)이 배출되는 출구(57)가 형성되며, 입구(56)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50)이 방향변경용 핀(58)과 접촉되는 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50)의 통과위치(미리 점수화되어 있음)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59)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60)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회전체(55)를 레버(61)(일예로서, 도면에는 4개의 레버로서 이루어져 있음)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되, 이동통로(51)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타원형 이동통로(미도시됨)를 따라 코인(50)을 반복적으로 밀고다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푸셔(54)는 레버(61)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6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70은 전면커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53) 배면에 장착된 구동모터(52)에 외부로 부터 상용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모터(52)에 축고정된 회전체(55)가 저속도를 유지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베어링(미도시됨)에 의해 회전체(55)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푸셔(54)는 본체(53)에 원형의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동통로(51)를 따라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회전된다.
한편, 전술한 이동통로(51)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전술한 회전체(55)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푸셔(54)가 회전체(55) 가장자리에 형성된 장공(62)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회전체(55) 회전시 푸셔(54)는 타원형 이동통로(미도시됨)를 따라 반복하여 순환될 수 있다.
전술한 출구(57)를 통하여 이동통로(51)에 배출되는 코인(50)은 회전체(55)회전시, 이동통로(51)를 따라 회전되는 푸셔(54)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밀리면서 반복적으로 이동통로(51)를 따라 순환된다.
전술한 이동통로(51)와 연통되는 입구(56)를 통하여 유입되는 코인(50)은 게임공간부(60)를 경유하여 낙하된 후 출구(57)를 통하여 이동통로(51)에 배출된다. 이와같이 회전체(55) 회전운동시 푸셔(54)에 의해 코인(50)을 이동통로(51)를 따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오락실에 코인류 순환장치가 장착된 동일한 종류의 게임기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에도 많은 분량의 코인(50)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코인(50)이 입구(56)로 부터 출구(57)쪽으로 낙하될 경우 게임공간부(60)를 통과하게 되는 바, 코인(50)은 게임공간부(60)에 불규칙으로 형성된 방향변경용 핀(58)과 접촉되거나, 이웃한 핀(58)사이의 지정통로(69)를 통과하여 출구(57)로 낙하된다.
이때, 코인(50)이 방향변경용 핀(58)과 접촉되는 횟수 또는 코인(50)이 지정통로(69)(미리 점수화되어 있음)를 통과하는 횟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59)에 의해 검출함에 따라, 검출값에 따라 코인(50)을 지급하거나 또는 해당 경품으로 교환하여 주게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는, 코인(50)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본체(53)와,
본체(53)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3)(AC모터, DC모터, 스텝핑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구동모터(63)에 축고정되는 구동풀리(63a)와, 본체(5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풀리(63b)와, 구동풀리(63a)와 종동풀리(63b)에 결합되는 벨트(64)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63)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50)을 이동통로(51)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54)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55)(단면형상이 일자형(━) 레버, 십자형(╋) 레버, 별표형(*) 레버, 원형판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이동통로(51)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51)로 부터 코인(50)이 유입되는 입구(56)와 이동통로(51)로 코인(50)이 배출되는 출구(57)가 형성되며, 입구(56)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50)이 방향변경용 핀(58)과 접촉되는 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50)의 통과위치(미리 점수화되어 있음)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59)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60)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본체(53)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3)로 부터 벨트(64)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53)에 대해 회전되며 푸셔(5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체(55)를 제외한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는, 코인(50)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51)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본체(53)와,
본체(53)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7)(AC모터, DC모터, 스텝핑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구동모터(67)에 축고정되는 구동기어(66)와, 본체(5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68)와, 구동기어(66)와 종동기어(68)의 치합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67)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50)을 이동통로(51)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54)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55)와,
이동통로(51)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51)로 부터 코인(50)이 유입되는 입구(56)와 이동통로(51)로 코인(50)이 배출되는 출구(57)가 형성되며, 입구(56)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58)과 접촉되는 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50)의 통과위치(미리 점수화되어 있음)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59)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60)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본체(53)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7)로 부터 구동기어(66)와 피동기어(68)의 치합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53)에 대해 회전되며 푸셔(5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체(55)를 제외한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코인류 순환장치가 장착되는 게임기에 있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낱개의 코인류를 원형 또는 타원형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낙하시킴에 따라 많은 분량의 코인류 사용이 불필요하여 원가비용이 절감되므로 업소 운영시 초기비용을 줄일수 있다.
또한, 코인류 낙하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값의 정확성을 높임에 따라 코인류, 경품 등으로 보상해주는 게임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코인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구성하는 해당 부품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고, 사후관리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코인류 순환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순환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의 다른 변형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의 또다른 변형예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코인(coin)
51; 이동통로
52,63,67; 구동모터
53; 본체
54; 푸셔
55; 회전체
56; 입구
57; 출구
58; 핀
59; 센서
60; 게임공간부
61; 레버
62; 장공
64; 벨트
66; 구동기어부
68; 피동기어부

Claims (5)

  1.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가 배면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구동모터에 축고정되고,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 및
    상기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를 레버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이동통로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타원형 이동통로를 따라 코인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셔는 레버 단부에 형성된 장공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3.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축고정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결합되는 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 및
    상기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4. 코인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이동통로가 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축고정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치합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코인을 이동통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푸셔가 회전가능하게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 및
    상기 이동통로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동통로로 부터 코인이 유입되는 입구와 이동통로로 코인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코인이 방향변경용 핀과의 접촉횟수 및 낙하되는 코인의 통과위치를 검출하는 코인검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게임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단면형상이 일자형(━) 레버, 십자형(╋) 레버, 별표형(*) 레버, 원형판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KR20-2005-0020750U 2005-07-16 2005-07-16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KR200399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50U KR200399338Y1 (ko) 2005-07-16 2005-07-16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50U KR200399338Y1 (ko) 2005-07-16 2005-07-16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557A Division KR20070009925A (ko) 2005-07-16 2005-07-16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38Y1 true KR200399338Y1 (ko) 2005-10-24

Family

ID=4370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50U KR200399338Y1 (ko) 2005-07-16 2005-07-16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28B1 (ko) 2005-09-28 2006-08-08 구철민 게임기용 메달순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28B1 (ko) 2005-09-28 2006-08-08 구철민 게임기용 메달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2738B2 (ja) 遊技機の球研磨装置
JPH0632701B2 (ja) ダイスゲームユニット
KR200399338Y1 (ko)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JP4669802B2 (ja) 遊技機
KR20070009925A (ko)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KR0115288Y1 (ko) 주화 송출 장치
JP4931086B2 (ja) メダルゲーム機で用いられる抽選機用ボールリフト
AU717954B2 (en) Amusement machine
JP4247450B2 (ja) 遊技機
JP5097643B2 (ja) ゲーム機
KR200397493Y1 (ko) 코인류 이송장치
JP2888956B2 (ja) 弾球遊技機における可変入賞球装置
KR200316168Y1 (ko) 코인류 순환장치
JPH0838699A (ja) パチンコ機の中央入賞装置
JP5086400B2 (ja) 遊技機
JP5097645B2 (ja) メダル投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ダルゲーム機
JP5086405B2 (ja) 遊技設備
JPH07171247A (ja) 弾球遊技機の振分装置
JP5086404B2 (ja) 遊技機
KR200393939Y1 (ko) 코인류 순환장치의 코인류 이송구조
JP5086403B2 (ja) 遊技機
JP5086401B2 (ja) 遊技機
JP5086402B2 (ja) 遊技機
JP6002306B2 (ja) 遊技機の球研磨装置、及びカセット
KR200390053Y1 (ko) 게임기용 코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