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168Y1 - 코인류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코인류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168Y1
KR200316168Y1 KR20-2003-0008243U KR20030008243U KR200316168Y1 KR 200316168 Y1 KR200316168 Y1 KR 200316168Y1 KR 20030008243 U KR20030008243 U KR 20030008243U KR 200316168 Y1 KR200316168 Y1 KR 200316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irculator
circulation body
coins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남
Original Assignee
전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남 filed Critical 전용남
Priority to KR20-2003-0008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인, 메달, 구슬 등의 코인류를 순환시켜 게임을 행하는 게임기에 장착되어 코인류를 순환시키는 코인류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개의 코인류로 이루어진 순환체(10)와,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판(21) 및 상기 순환체(10)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22)를 구비하는 프레임(20)과, 낙하되어 수집된 순환체(10)를 상기 이송 통로(22)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유닛(3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원반부재(32)와, 상기 원반부재(32)에 1개의 링크부재(3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이송막대(34)와, 상기 이송막대(34)가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35)와, 상기 이송막대(34)가 후진되더라도 상기 순환체(10)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 순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코인류 순환장치{Device for circulating coins}
본 고안은 코인, 메달, 구슬 등의 코인류를 순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인류를 순환시켜 게임을 행하는 게임기에 장착되어 코인류를 순환시키는 코인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게임기에 있어서, 코인, 메달, 구슬 등의 코인류(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인류라 함은 코인, 메달과 같은 원반형상 물체뿐만 아니라 구슬과 같은 구형상 물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를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낙하시키고 낙하 도중에 핀 등의 다양한 방해물에 부딪히도록 하여 핀에 부딪힌 횟수나 낙하된 위치 등을 점수화하는 게임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게임기에는 낙하된 코인류를 상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코인류 순환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다양한 종류의 코인류 순환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인류 순환장치는, 낙하된 코인류를 낙하전 위치인 장치의 상단으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코인들 사이에서의 마찰, 그리고 코인과 이송기구 사이에서의 마찰에 의해 마모를 야기시킨다. 그에 따라 코인류들이 마모되면서 미세한 분말이 발생되고, 이 코인류를 만지게 되는 사용자의 손을 더럽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세한 분말로 인하여 게임기가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인류들 사이의 마찰 및 코인류와 이송통로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코인류 순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인류 순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순환체 20 : 프레임
21 : 게임판 22 : 이송 통로
23 : 개구 24 : 경사로
25 : 수집구 30 : 이송유닛
32 : 원반부재 33 : 링크부재
34 : 이송막대 35 : 지지부재
36 : 브레이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복수개의 코인류로 이루어진 순환체와,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판 및 상기 순환체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를구비하는 프레임과, 낙하되어 수집된 순환체를 상기 이송 통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인류 순환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 유닛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원반부재와, 상기 원반부재에 1개의 링크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이송막대와, 상기 이송막대가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막대가 후진되더라도 상기 순환체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임판의 상부에는 순환체를 낙하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낙하된 순환체를 경사로에 의해 한 곳으로 모아 수집하는 수집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통로는 프레임 하부의 상기 수집구로부터 프레임 상부의 상기 개구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으며, 상기 이송 통로의 폭 및 넓이는 순환체가 일렬로 이송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막대가 당겨져 들어가면 그 공간에 1개의 순환체가 수집구로부터 떨어져 들어가며, 원반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막대가 밀려 나오면 순환체 1개만큼 순환체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그에 따라 이송막대가 한번 왕복될 때마다 순환체는 1개씩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코인류 순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인류 순환장치는, 복수개의 코인류로 이루어진 순환체(10)와,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판(21) 및 상기 순환체(10)가 이송되는이송 통로(22)를 구비하는 프레임(20)과, 낙하되어 수집된 순환체(10)를 상기 이송 통로(22)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체(10)는 코인, 메달, 구슬 등 게임기에서 사용되는 원형 혹은 구형의 모든 물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순환체의 종류나 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판(21)의 상부에는 순환체(10)를 낙하시키기 위한 개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낙하된 순환체(10)를 경사로(24)에 의해 한 곳으로 모아 수집하는 수집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임판(21)에는 각종 핀 등이 설치되는데 그러한 핀의 배열 및 구성은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 통로(22)는 프레임 하부의 상기 수집구(25)로부터 프레임 상부의 상기 개구(23)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다. 상기 이송 통로(22)의 폭 및 넓이는 순환체(10)가 일렬로 이송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이송 통로(22)의 내부표면은 순환체(10)가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유닛(3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시생략)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원반부재(32)와, 상기 원반부재(32)에 1개의 링크부재(3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이송막대(34)와, 상기 이송막대(34)가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35)과, 상기 이송막대(34)가 후진되더라도 상기 순환체(10)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 유닛(30)은, 상기 원반부재(32)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막대(34)가 일정한 변위로 왕복 직선이동 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이송막대(34)의 끝부분은 상기 수집구(25)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이송막대(34)가 당겨져 들어가면 그 공간에 1개의 순환체(10)가 수집구(25)로부터 떨어져 들어가며, 원반부재(3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막대(34)가 밀려 나오면 순환체(10) 1개만큼 순환체(10)가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송막대(34)가 한번 왕복될 때마다 순환체(10)는 1개씩 이송된다. 순차적으로 밀려 이송되는 순환체(10)는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개구(23)에 도달하면 낙하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막대(34)가 당겨져 들어갔을 때 이송 통로(22)에 수용된 순환체(10)의 자중에 의해 순환체(10)들이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송막대(34)의 선단 부근에는 브레이크(36)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36)는 이송막대(34)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순환체(1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브레이크(36)의 하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쪽에서 힘이 가해지면 브레이크는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지만, 경사면 반대쪽에서 힘이 가해지면 브레이크는 움직이지 않는다.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 브레이크는 자중 혹은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36)에 의해서 이송 통로(22)의 순환체(10)가 뒤로 밀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이송막대(34)가 뒤로 물러나면서 생기는 빈 공간으로 상기 수집구(25)로부터 하나의 순환체(10)가 낙하된다. 낙하된 하나의 순환체(10)는 곧바로 이송막대(3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브레이크(36)의 경사면에 맞닿게 된다.
순환체(10)에 의해 경사면에 힘이 가해짐에 따라 브레이크(36)의 선단은 순환체(10)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미끄러져 올라가, 결국 브레이크(36)는 상승 이동된다. 순환체(10)의 중심점이 브레이크(36)의 선단을 기준으로 반대쪽으로 넘어가는 순간 브레이크(36)의 선단은 순환체(10)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미끄러져 내려가, 결국 브레이크(36)는 하강 이동된다.
그 후 이송막대(34)가 뒤로 물러나기 시작하면 순환체(10)는 이송막대(34)의 가압력이 없어지더라도 브레이크(36)에 의해 지지되어 뒤로 밀려나지 않게 되고, 새로운 하나의 순환체(10)가 상기 수집구(25)로부터 상기 이송막대(34)가 뒤로 물러나면서 생기는 빈 공간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순환체(10)가 하나씩 이송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코인류 순환장치의 전면에는 게임판 부분만이 투명하게 된 별도의 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송 유닛에 의해 코인류가 순차적으로 밀려 이송되기 때문에 코인류들 사이의 마찰 및 코인류와 이송통로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된다. 그에 따라 코인류나 이송통로가 마모되면서 분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코인류 순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코인류로 이루어진 순환체(10)와,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판(21) 및 상기 순환체(10)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22)를 구비하는 프레임(20)과,
    낙하되어 수집된 순환체(10)를 상기 이송 통로(22)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유닛(3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원반부재(32)와, 상기 원반부재(32)에 1개의 링크부재(3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이송막대(34)와, 상기 이송막대(34)가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35)와, 상기 이송막대(34)가 후진되더라도 상기 순환체(10)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 순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21)의 상부에는 순환체(10)를 낙하시키기 위한 개구(23)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낙하된 순환체(10)를 경사로(24)에 의해 한 곳으로 모아 수집하는 수집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통로(22)는 프레임 하부의 상기 수집구(25)로부터 프레임 상부의 상기 개구(23)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으며,
    상기 이송 통로(22)의 폭 및 넓이는 순환체(10)가 일렬로 이송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 순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30)은 상기 이송막대(34)가 당겨져 들어가면 그 공간에 1개의 순환체(10)가 수집구(25)로부터 떨어져 들어가며, 원반부재(3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막대(34)가 밀려나오면 순환체(10) 1개만큼 순환체(10)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그에 따라 이송막대(34)가 한번 왕복될 때마다 순환체(10)는 1개씩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 순환장치.
KR20-2003-0008243U 2003-03-19 2003-03-19 코인류 순환장치 KR200316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43U KR200316168Y1 (ko) 2003-03-19 2003-03-19 코인류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43U KR200316168Y1 (ko) 2003-03-19 2003-03-19 코인류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168Y1 true KR200316168Y1 (ko) 2003-06-11

Family

ID=4940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243U KR200316168Y1 (ko) 2003-03-19 2003-03-19 코인류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98B1 (ko) * 2012-11-23 2015-04-06 김재창 메달게임기용 스프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98B1 (ko) * 2012-11-23 2015-04-06 김재창 메달게임기용 스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6349B2 (ja) 封入球循環式遊技機
JP3539618B2 (ja) 部品搬送装置
US7537217B2 (en) Article acquisition game apparatus
JPH0632701B2 (ja) ダイスゲームユニット
EP1624419A1 (en) Game machine and media inserting apparatus
KR200316168Y1 (ko) 코인류 순환장치
KR20210046074A (ko) 카드 핸들링 장치와 관련 방법, 어셈블리 및 구성 요소
JP3781568B2 (ja) ゲーム機
JP5503176B2 (ja) ゲーム装置
JP2557028B2 (ja) 封入球式弾球遊技機
CN211237037U (zh) 一种推币游艺装置
KR200397493Y1 (ko) 코인류 이송장치
KR200399338Y1 (ko) 회전식 코인류 순환장치
JP2021090490A (ja) 遊戯装置
JP7235289B2 (ja) 管理遊技機の球発射・回収ユニット
JP3647931B2 (ja) カード式弾球遊技機
JPH0698222B2 (ja) 封入式遊技機
JPH0768008A (ja) 封入球式弾球遊技機
CN217612845U (zh) 一种游艺机
KR200418617Y1 (ko) 게임기용 메달 순환 장치
JP2004298410A (ja) 弾球遊技機
JP2557026B2 (ja) 封入球式弾球遊技機
JP4825602B2 (ja) 遊技機
KR102166926B1 (ko)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JP2559228B2 (ja) 封入球式弾球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501

Effective date: 2006102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1219

Effective date: 200707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831

Effective date: 200712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