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13Y1 - 보강 그레이팅 구조 - Google Patents

보강 그레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13Y1
KR200398813Y1 KR20-2005-0020967U KR20050020967U KR200398813Y1 KR 200398813 Y1 KR200398813 Y1 KR 200398813Y1 KR 20050020967 U KR20050020967 U KR 20050020967U KR 200398813 Y1 KR200398813 Y1 KR 200398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bearing
grating structure
bearing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수
Original Assignee
신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수 filed Critical 신재수
Priority to KR20-2005-0020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구, 배수구, 트렌치 등의 덮개나, 건축물, 플랜트 등의 보행용 답판 등으로 사용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레이팅 구조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베어링바 상호간에 하중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베어링바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통풍,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 이물질(담배꽁초, 휴지 등의 쓰레기)의 통과를 어렵게 한 보강 그레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내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바(bearing ba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레이팅에서, 상기 베어링바는 다수개의 요철(凹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부재로서 이웃하는 베어링바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이웃하는 베어링바의 요부(凹部)와 철부(凸部)는 서로 마주보는 개방형 공간부와 서로 맞닿는 접합부를 형성시키면서 배치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강 그레이팅 구조{The reinforcement grating}
본 고안은 통풍구, 배수구, 트렌치 등의 덮개나, 건축물, 플랜트 등의 보행용 답판 등으로 사용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레이팅 구조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베어링바 상호간에 하중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베어링바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통풍,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 이물질(담배꽁초, 휴지 등의 쓰레기)의 통과를 어렵게 한 보강 그레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그레이팅은 통풍구, 배수구, 트렌치 등의 덮개나, 건축물, 플랜트 등의 보행용 답판 등으로 사용되며, 도 1과 같이 프레임에 직선 부재의 베어링바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베어링바에 크로스바를 걸쳐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작한다. 이와 같은 그레이팅 구조는 크로스바가 이웃하는 베어링바 상호간을 연결하기는 하지만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역할하지 못하므로, 어느 하나의 베어링바에 집중하중이 가해지면 해당 베어링바만이 집중하중에 저항하게 되는 바 부재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물론, 그레이팅을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베어링바와 단순히 공간을 구획하는 크로스바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세로바와 가로바로 구성된 격자 구조체로 완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격자 구조체의 그레이팅은 세로바와 가로바를 일일이 접합하여 완성하여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를 수반한다.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은 이물질(담배꽁초, 낙엽 등 쓰레기)이 투척될 경우 그대도 통과하기 때문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하부 구조물에는 이물질이 퇴적되기 쉬운데, 이는 하부 구조물이 제역할을 수행하는데 큰 장애요인이 된다. 이물질의 통과 문제는 그레이팅에 철망을 장착하여 해결하였으나 철망의 내구성이 그리 좋지 못하여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안출된 것으로서, 그레이팅 구조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베어링바 상호간에 하중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베어링바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킨 보강 그레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풍,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 이물질(담배꽁초, 휴지 등의 쓰레기)의 통과를 어렵게 한 보강 그레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일정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내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바(bearing ba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레이팅에서,
상기 베어링바는 다수개의 요철(凹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부재로서 이웃하는 베어링바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이웃하는 베어링바의 요부(凹部)와 철부(凸部)는 서로 마주보는 개방형 공간부와 서로 맞닿는 접합부를 형성시키면서 배치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그레이팅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일정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내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바(bearing bar, 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레이팅(G)에서 상기 베어링바(20)로 다수개의 요철(凹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부재를 채택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요철로 절곡된 베어링바(20)는 다수개를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도 요철에 의해 개방형 공간부(30)를 형성시키면서 크로스바(cross bar)의 추가 구성없이 이웃하는 베어링바(20) 상호간 접합 연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즉,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베어링바(20) 상호간을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하면 이웃하는 베어링바는 요부(凹部, 21))와 철부(凸部, 25)가 서로 마주보는 개방형 공간부(30)와 이들이 서로 맞닿는 접합부(40)를 형성시키면서 그레이팅 구조로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그레이팅 구조는 이웃하는 베어링바(20)를 상호 연결하는 접합부(40)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베어링바(20)에 집중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집중하중은 절곡부위를 통해 이웃하는 베어링바(20)로 전달되면서 하중 분산이 이루어지고 최종 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바, 구조적인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베어링바(20)의 설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트렌치 덮개로 설치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외력(차량 진행에 따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바, 부재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보강 그레이팅 구조는 베어링바(20)를 통상의 베어링바보다 작은 두께의 부재를 채택해도 소요의 구조 성능을 발휘할 것이다.
베어링바의 요철(21, 25)은 반원, 삼각, 사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요철의 형상에 따라 개방형 공간부(30)는 원, 마름모, 사각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접합부(40)의 길이가 길수록 이웃하는 베어링바(20) 상호간의 하중 전달이 유리할 것이므로 요철(21, 25)은 사각, 육각 등의 2n각형(짝수개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도 2에서와 같이 요철(21, 25)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형 공간부(30)가 육각형의 허니콤(honeycomb)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그레이팅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전체적으로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개방형 공간부(30)에 코일스프링(50)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코일스프링(50)은 개방형 공간부(30)를 통해 배수, 통풍을 가능케 하면서 이물질(담배꽁초, 낙엽 등의 쓰레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여 그레이팅 하부 구조물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코일스프링(50)에 걸린 이물질들은 그레이팅(G)을 설치장소에서 떼어낸 후 흔들어 털어냄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베어링바(20)로 상·하부플랜지(20a, 20b)와 웨브(20c)로 이루어진 I형 베어링바를 채택하고 있는데, I형 베어링바는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꾀하는데 유리하며, 또한 차량 또는 보행자의 착지면적을 확장시켜 착지감(바퀴 또는 발이 땅에 닿는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I형 베어링바(20)는 코일스프링(50)의 설치에도 유리한 단면구조이다. 왜냐하면 요부(21)와 철부(25)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는 접합부(40)에서는 I형 베어링바의 상·하부플랜지(20a, 20b)와 웨브(20c)로 둘러싸인 폐쇄형 공간부(40a)가 생기게 마련인데(도 4 참고), 이러한 폐쇄형 공간부(40a)에 코일스프링(50)의 양끝을 접합하면 코일스프링의 접합 상태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감출 수 있게 되므로 코일스프링(50)의 접합 상태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다만, 코일스프링으로 도 4에서와 같은 싱글 코일스프링(50a)과 싱글 코일스프링(50a)을 잇는 연결부(50b)를 구비하는 멀티 코일스프링(50)을 채택하면, 싱글 코일스프링(50a)을 개방형 공간부(30)에 배치하고 연결부(50b)를 I형 베어링바의 접합부(40) 내에 형성된 폐쇄형 공간부(40a)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멀티 코일스프링(50)은 한번의 설치작업으로 싱글 코일스프링(50a) 복수개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간편한 설치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의 접합 개소를 덜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그레이팅 구조가 트렌치(T) 덮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방진패드(60)가 더 설치된 그레이팅(G)이 채택된 상태이다. 방진패드(60)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 의하여 갑작스레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차단하거나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전해지는 것을 막으면서 그레이팅(G)이 설치장소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방진패드(60)는 그레이팅 설치위치의 하부 구조체(트렌치 등)와 맞닿는 부분에 설치하도록 하며, 트렌치 덮개와 같이 그레이팅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상호간 맞닿는 부분에도 설치하도록 한다. 도 5는 프레임의 측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ㄴ자형의 방진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부재(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가 내접하는 프레임의 일부분을 포함한 부분) 자체를 우레탄코팅 처리하는 것으로도 방진패드 설치와 거의 동일한 효과(충격흡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우레탄코팅을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하면 시각적인 연출이 가능한 그레이팅 구조로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상의 배수구, 트렌치 등의 덮개나, 건축물, 플랜트 등의 보행용 답판 등으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조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베어링바를 요철로 절곡된 부재를 채택하여 이웃하는 베어링바가 공간부를 형성시키면서 서로 맞닿도록 배치함으로써 베어링바 상호간에 하중 전달이 이루어지는 바, 베어링바의 변형을 억제하고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요철로 절곡된 베어링바 다수개를 어긋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개방형 공간부에 코일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통풍, 배수는 용이하게 하면서 이물질(담배꽁초, 휴지 등의 쓰레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여 그레이팅 하부 구조물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그레이팅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그레이팅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강 그레이팅 구조의 분해사시도 및 접합부의 상세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보강 그레이팅 구조가 트렌치 덮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베어링바 20a: 상부플랜지
20b: 하부플랜지 20c: 웨브
21: 요부(凹部) 25: 철부(凸部)
30: 개방형 공간부
40: 접합부 40a: 폐쇄형 공간부
50: (멀티) 코일스프링 50a: 싱글 코일스프링
50b; 연결부
60: 방진패드
T: 트렌치 G: 그레이팅

Claims (5)

  1. 일정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내접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바(bearing ba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레이팅에서,
    상기 베어링바는 다수개의 요철(凹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된 부재로서, 이웃하는 베어링바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이웃하는 베어링바의 요부(凹部)와 철부(凸部)는 서로 마주보는 개방형 공간부와 서로 맞닿는 접합부를 형성시키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베어링바의 요철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형 공간부가 육각형의 허니콤(honeycom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개방형 공간부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베어링바는 상·하부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진 I형 베어링바이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싱글 코일스프링과 싱글 코일스프링을 잇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멀티 코일스프링으로서, 싱글 코일스프링은 개방형 공간부에 배치되고 연결부는 접합부 내에 웨브에 의해 형성된 폐쇄형 공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
  5. 제4항에서,
    상기 그레이팅에서 베어링바가 내접하는 프레임의 일부분을 포함한 부분이 우레탄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그레이팅 구조.
KR20-2005-0020967U 2005-07-19 2005-07-19 보강 그레이팅 구조 KR200398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67U KR200398813Y1 (ko) 2005-07-19 2005-07-19 보강 그레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67U KR200398813Y1 (ko) 2005-07-19 2005-07-19 보강 그레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13Y1 true KR200398813Y1 (ko) 2005-10-19

Family

ID=4369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967U KR200398813Y1 (ko) 2005-07-19 2005-07-19 보강 그레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91B1 (ko) 2013-10-02 2014-04-07 (주)우창그레이팅 복합 고강성 그레이팅
KR101612794B1 (ko) * 2015-09-01 2016-04-15 주식회사 브리텍 유지관리가 용이한 복합형 그레이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91B1 (ko) 2013-10-02 2014-04-07 (주)우창그레이팅 복합 고강성 그레이팅
KR101612794B1 (ko) * 2015-09-01 2016-04-15 주식회사 브리텍 유지관리가 용이한 복합형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G63576B1 (bg) Панел за повдигнат под
KR200398813Y1 (ko) 보강 그레이팅 구조
KR20044970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1839135B1 (ko)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JP2005314893A (ja) 縁石排水溝
KR200484470Y1 (ko) 트렌치 커버
KR200434102Y1 (ko) 소음저감형 배수 트렌치
JP3930836B2 (ja) 金属製路面用排水溝の構造
KR20110102701A (ko)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KR101030522B1 (ko) V자 홈을 가지는 그레이팅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JP4491437B2 (ja) グレーチング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JPH09184104A (ja) グレーチング
KR102088795B1 (ko) 투수기능을 갖는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7373150B2 (ja) 溢水防止カバー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KR102268141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2552591B1 (ko) 도로 포장용 조립식 모듈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용 구조체
KR100852086B1 (ko) 그레이팅 어셈블리
JP2010180558A (ja) グレーチング
JP4445453B2 (ja) 導水用取付金具、及びこれを装着した側溝ブロック
KR200491774Y1 (ko) 방음벽 보강판
JP2506263Y2 (ja) 排水機能付金属製縁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