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55Y1 - 자동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55Y1
KR200396855Y1 KR20-2005-0020278U KR20050020278U KR200396855Y1 KR 200396855 Y1 KR200396855 Y1 KR 200396855Y1 KR 20050020278 U KR20050020278 U KR 20050020278U KR 200396855 Y1 KR200396855 Y1 KR 200396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ccommodation space
cover member
housing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to KR20-2005-0020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11)을 갖고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20)와,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회동된 커버부재(20)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하우징(10)에 파여진 커버수용공간부(14)와, 이 커버수용공간부(14)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커버부재(20)의 상면과 커버수용공간부(14)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외측걸림리브(15)와, 이 외측걸림리브(15)가 구비된 커버수용공간부(14)의 다른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커버부재(20)의 안쪽면과 커버수용공간부(14)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걸림리브(16)와, 상기 내측걸림리브(16)와 근접되는 위치의 커버부재(20) 안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수용공간부(14)에 빠진 이물질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리브(22)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에 형성된 커버수용공간부(14)에 외측걸림리브(15)와 내측걸림리브(16)가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이 상기 커버수용공간부(14)에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또한, 외측걸림리브(15)와 내측걸림리브(16)에 걸린 이물질은 커버부재(20)의 회동작동 및 상기 커버부재(20)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배출리브(22)를 통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용 트레이(1)를 사용하는데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 및 유지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높여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Automobile Tray}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커버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트레이로는 흡연 시 발생되는 담배 재 및 담배꽁초를 수납할 수 있는 애쉬트레이와 음료수가 담긴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컵 홀더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최근에는 여분의 시디를 수납하는 시디서랍장 등이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어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트레이는 주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자동차의 실내 콘솔(console)에 트레이를 설치하여 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애쉬트레이, 컵 홀더, 시디서랍장 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트레이를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트레이는 탑승자가 필요 시 담배 재 및 담배꽁초를 수용하거나, 음료수가 담긴 컵 등을 수납하도록 하는 편의성은 제공하고 있으나, 하우징과 이를 덮는 커버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빠질 경우 이를 꺼내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구성의 트레이에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이 빠질 경우 이를 꺼내기 위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커버부재를 분리해야 이물질을 꺼낼 수 있어 이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물질을 꺼내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부재의 작동이 불량해지거나, 이물질에 의한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제품의 신뢰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트레이에 이물질이 빠질 경우 이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커버부재의 정확한 동작을 유도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도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과 커버부재 사이에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 등이 빠질 경우 이를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의 사용 및 유지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높여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회동된 커버부재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하우징에 파여진 커버수용공간부와;
이 커버수용공간부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커버부재의 상면과 커버수용공간부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외측걸림리브와;
이 외측걸림리브가 구비된 커버수용공간부의 다른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커버부재의 안쪽면과 커버수용공간부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걸림리브와;
상기 내측걸림리브와 근접되는 위치의 커버부재 안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수용공간부에 빠진 이물질을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리브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걸림리브가 커버수용공간부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됨에 따라 커버부재의 상면에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수직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커버수용공간부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게 되며, 상기 외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은 커버부재의 회동 시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잡아 꺼낼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용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커버부재의 수직회동상태에서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이 커버수용공간부에 빠지는 것을 내측걸림리브가 사전에 차단하게 되며, 상기 내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은 커버부재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배출리브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이를 쉽게 잡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에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외측걸림리브를 통하여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커버수용공간부의 일면에 구비된 외측걸림리브를 통하여 커버부재의 상면에 놓여져 있던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외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이 커버부재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외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을 커버부재의 회동동작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내측걸림리브를 통하여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커버수용공간부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내측걸림리브를 통하여 개방된 커버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내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을 배출리브로 하우징의 안쪽에 배출하는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내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을 커버부재의 안쪽면에 형성된 배출리브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1)는 사용 중 하우징(10)과 커버부재(20) 사이에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하우징(10)은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1)은 자동차용 트레이(1)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 구성 및 형상을 달리하여 성형 제작된다.
즉, 예로 자동차용 애쉬트레이의 경우 본 고안에서와 같이 흡연 후 남게 되는 담배 재 및 담배꽁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재떨이부(13)와 시거잭부(12)로 구성되어 성형 제작되며, 자동차용 컵 홀더의 경우에는 음료수가 담긴 병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홀더부(미도시)로 수용공간(11)이 성형 제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용공간(11)을 통하여 사용자의 흡연 시 남게되는 담배 재 및 담배꽁초를 수용하거나, 음료수가 담긴 병 등을 수납하게 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에는 수용공간(11)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20)의 안쪽면에는 힌지부(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에는 수용공간(11)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된 커버부재(20)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커버수용공간부(14)가 파여지게 된다.
이는,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커버부재(20)의 하단을 커버수용공간부(14)가 수용함에 따라 수용공간(11)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한 상기 커버부재(20)의 움직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자동차용 트레이(1)를 통하여 사용자의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 재 및 담배꽁초를 수용공간(11)에 털어서 수용하여 이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흡연 후에는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커버부재(20)로 이 수용공간(11)의 상부를 밀폐하여 추가로 발생되는 담배연기 및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커버부재(20)의 하단을 수용하여 수용공간(11)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수용공간부(14)의 일면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부재(20)의 상면과 상기 커버수용공간부(14)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외측걸림리브(15)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즉, 이 외측걸림리브(15)가 커버수용공간부(14)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됨에 따라 커버부재(20)의 상면에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0)의 수직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커버수용공간부(14)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걸림리브(15)에 걸린 이물질은 커버부재(20)의 수평회동 시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잡아 꺼낼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측걸림리브(15)이 형성된 커버수용공간부(14)의 다른 일면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부재(20)의 안쪽면과 커버수용공간부(14)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내측걸림리브(16)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 내측걸림리브(16)와 근접되는 위치의 커버부재(20) 안쪽면에는 커버수용공간부(14)에 빠진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리브(2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공간(11)을 개방하기 위한 커버부재(20)의 수직회동상태에서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이 커버수용공간부(14)에 빠지는 것을 내측걸림리브(16)가 사전에 차단하게 되며, 상기 내측걸림리브(16)에 걸린 이물질은 커버부재(20)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배출리브(22)를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이를 쉽게 잡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외측걸림리브(15) 및 내측걸림리브(16)는 커버수용공간부(14)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어 이물질의 배출에 따른 편의성 및 성형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1)를 통하여 하우징(10)과 커버부재(20)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빠진 이물질을 손쉽게 외부로 배출하여 이물질에 의해 커버부재(20)의 작동이 불량해지거나 불필요한 소음 등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에 형성된 커버수용공간부에 외측걸림리브와 내측걸림리브가 구비됨으로써, 볼펜, 카드, 동전 등의 이물질이 상기 커버수용공간부에 빠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또한, 커버수용공간부에 이물질이 빠질 경우 커버부재의 회동작동 및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배출리브를 통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용 트레이를 사용하는데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 및 유지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높여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외측걸림리브를 통하여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외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이 커버부재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내측걸림리브를 통하여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내측걸림리브에 걸린 이물질을 배출리브로 하우징의 안쪽에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수용공간
14 - 커버수용공간부 15 - 외측걸림리브
16 - 내측걸림리브 20 - 커버부재
21 - 힌지부 22 - 배출리브

Claims (2)

  1.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11)을 갖고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20)와;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회동된 커버부재(20)의 하단이 수용되도록 하우징(10)에 파여진 커버수용공간부(14)와;
    이 커버수용공간부(14)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커버부재(20)의 상면과 커버수용공간부(14)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외측걸림리브(15)와;
    이 외측걸림리브(15)가 구비된 커버수용공간부(14)의 다른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커버부재(20)의 안쪽면과 커버수용공간부(14) 사이에 이물질이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걸림리브(16)와;
    상기 내측걸림리브(16)와 근접되는 위치의 커버부재(20) 안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수용공간부(14)에 빠진 이물질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리브(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걸림리브(15) 및 내측걸림리브(16)는 커버수용공간부(14)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KR20-2005-0020278U 2005-07-12 2005-07-12 자동차용 트레이 KR200396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78U KR200396855Y1 (ko) 2005-07-12 2005-07-12 자동차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78U KR200396855Y1 (ko) 2005-07-12 2005-07-12 자동차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55Y1 true KR200396855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78U KR200396855Y1 (ko) 2005-07-12 2005-07-12 자동차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07B1 (ko) 2008-04-08 2011-08-0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KR20160112603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07B1 (ko) 2008-04-08 2011-08-0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KR20160112603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트레이
KR101684077B1 (ko) * 2015-03-20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299B1 (ko)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US7731254B2 (en) Motor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ssembly with a flush door
KR101251258B1 (ko) 자동차 콘솔 박스의 컵 홀더
KR200396855Y1 (ko) 자동차용 트레이
US7422260B2 (en) Center console having a stowable map pocket cover
JP5342379B2 (ja) 車両用ドアライニング構造
JP2016101769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
JP2017178315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
JP3744493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US20080143120A1 (en) Device for locking door of a tray in a vehicle
JP3678302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680370B1 (ko) 차량용 재떨이의 구조
JP4024648B2 (ja) 開閉リッド付収納ケース
KR101477931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100543759B1 (ko) 자동차의 트레이 개폐 구조
JP4830344B2 (ja) 移動可能な灰皿を備えたカップホルダー部構造
JP5252632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432079B1 (ko) 자동차의 에쉬 트레이
KR100733644B1 (ko) 자동차용 재떨이
KR200431906Y1 (ko) 차량용 휴지통
KR200275499Y1 (ko)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KR200323534Y1 (ko)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
KR100380384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19990018773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어셈블리
KR100488790B1 (ko) 자동차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