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99Y1 -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99Y1
KR200275499Y1 KR2020020003989U KR20020003989U KR200275499Y1 KR 200275499 Y1 KR200275499 Y1 KR 200275499Y1 KR 2020020003989 U KR2020020003989 U KR 2020020003989U KR 20020003989 U KR20020003989 U KR 20020003989U KR 200275499 Y1 KR200275499 Y1 KR 200275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per cup
ashtray
receiving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이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룡 filed Critical 이승룡
Priority to KR2020020003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99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종이컵을 결합하여 사용한 후, 상기 종이컵을 탈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된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에 관한 것인 바, 일회용 종이컵; 상기 종이컵의 주연부가 안착되는 단턱이 내벽에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컵 수용부; 및 상기 컵 수용부의 걸림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열림버튼을 가지며, 상기 컵 수용부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하여 컵 수용부를 긴밀하게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담배재 및/또는 냄새에 의해 차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종이컵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담배불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고, 차실내의 컵 홀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ASH TRAY USING ONE TIME PAPER CUP}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종이컵을 결합하여 사용한 후, 상기 종이컵을 탈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된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실내 흡연자를 고려하여 전면 패널 및/또는 콘솔박스에 재떨이가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식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재떨이는 전면 패널 또는 콘솔박스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이 비좁기 때문에 흡연자가 부주의하면 담배재가 비산하여 그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재떨이를 장기간 비우지 않을 경우, 차실내에 악취가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택시를 포함하여 영업용으로 제작된 자동차는 미터기 등 영업에 필요한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재떨이가 설치되지 않는게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동차에 탑승한 흡연자는 차내에 설치된 재떨이보다는 차창 밖으로 손을 내밀어 도로상에 담배재를 떨거나, 빈병 또는 일회용 종이컵 등을 차내에 설치된 컵 홀더에 삽입하여 재떨이로 활용하고, 하차시 이를 폐기함으로써, 담배연기와 담배재로 인해 차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현실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01-23886호는 종이컵의 내부에 수분을 함유한 셀룰로오스를 충진하고, 컵의 개구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를 설치한 일회용 재떨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수분을 함유한 셀룰로오스로 인해 담배불을 용이하게 소화할 수는 있으나, 종이컵과 덮개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흡연자가 담배재를 떨기 위해서는 덮개를 따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정된 공간, 특히 자동차에서 흡연자가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함으로써, 차실내가 담배재 및/또는 냄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종이컵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담배불이 일회용 종이컵으로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방화구조를 가진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한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제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 상기 종이컵의 주연부가 안착되는 단턱이 내벽에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컵 수용부; 및 상기 컵 수용부의 걸림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열림버튼을 가지며, 상기 컵 수용부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하여 컵 수용부를 긴밀하게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종이컵 2-컵 수용부
3-덮개부 4-개구창
5-보조덮개 6-필터부
7-소화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는 일회용 종이컵(1), 컵 수용부(2) 및 덮개부(3)를 포함한다.
상기 일회용 종이컵(1)은 펄프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통상의 일반 종이컵이며, 커피 자판기 등에서 이미 사용된 재활용품도 적용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일회용 종이컵(1)의 개구부는 원형이며, 컵의 형상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보강하기 위하여 주연부(11)가 절첩되어 있다.
상기 컵 수용부(2)는 대체로 링형상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절첩된 종이컵(1)의 주연부(11)가 안착되는 단턱(21)이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턱(21)은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안착된 종이컵(1)의 주연부(11)와 상기 덮개부(3)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 수용부(2)의 내벽은 단턱(21)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증되는 기울기를 갖는다. 상기 내벽의 기울기는 컵 수용부(2)에 삽입되는 종이컵(1)의 기울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컵 수용부(2)의 내벽에 종이컵(1)의 외표면이 소정구간 접촉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컵 수용부(2)의 일측 상단에는 걸림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2)는 후술하는 덮개부(3)의 후크(31)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컵수용부(2)에 대한 덮개부(3)의 잠금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컵 수용부(2)의 상부에는 원형상의 덮개부(3)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덮개부(3)는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하여 컵 수용부(2)를 긴밀하게 개폐하게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의 일측 하단에는 2개의 돌출부(33)가 서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3)의 측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힌지축(3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컵 수용부(2)의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32)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돌기(23)가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32)이 덮개부(3)에 형성되고, 힌지축(32)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돌기(23)가 컵 수용부(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당업자는 이와 반대되는 구성도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힌지축을 컵 수용부에 형성하고, 그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돌기를 덮개에 형성하는 변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3)의 상단에는 전술한 컵 수용부(2)의 걸림부(22)와 결합되는 후크(31)를 포함하는 열림버튼(34)이 설치된다. 상기 열림버튼(34)은 내장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후크(31)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22)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통상의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림버튼(34)을 가압하면 후크(31)가 걸림부(22)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컵 수용부(2)에 대해 덮개부(3)를 회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와 반대로, 컵 수용부(2)에 대해 덮개부(3)를 가압하면 상기 후크(31)가 걸림부(22)에 걸려 잠금상태가 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내지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를 제외한 일회용 종이컵(1)과 컵 수용부(2)의 구조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열림버튼(34)의 구조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3)는 소정 면적의 개구창(4)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창(4)은 원터치식으로 작동하는 보조 덮개(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덮개부(3)의 중앙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개구창(4)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창(4)에는 개구창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보조 덮개(5)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창(4)에 근접되게 열림버튼(34)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덮개(5)의 일단은 덮개부(3)에 설치된 핀(3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덮개(5)의 타측 상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보조 덮개(5)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돌기(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기(51)를 잡고 보조 덮개(5)를 들어올리면, 핀(35)을 중심으로 보조 덮개(5)가 회동하여 개구창(4)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개구창(4)을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보조 덮개(5)의 상면을 가압하면, 핀(35)을 중심으로 보조 덮개(5)가 회동하여 개구창(4)을 페쇄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3)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소정 면적의 개구창(4)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창(4)은 슬라이드식으로 작동하는 보조 덮개(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덮개부(3)의 중앙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개구창(4)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창(4)에는 개구창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보조 덮개(5')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창(4)에 근접되게 열림버튼(34)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덮개(5')는 덮개부(3)의 저면에 부착된 2개의 선형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지지되며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덮개(5')는 덮개부(3)의 내면을 따라 굴곡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유연한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덮개(5')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보조 덮개(5')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된 돌기(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보조 덮개(5')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1)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보조 덮개(5')는 가이드를 따라 덮개부(3)의 저부 속으로 밀려들어가 개구창(4)이 개방된다. 역으로, 개구창(4)을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으로 돌기(51)를 잡고 보조 덮개(5')를 덮개부(3)의 저부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개구창(4)을 폐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3)는 소정 면적의 개구창(4)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창(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터치식(도 4a 참조) 또는 슬라이드식(도 4b 참조)으로 작동하는 보조 덮개(5)(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개구창(4)에 근접되게 열림버튼(34)이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3)는 개구창(4)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평판상의 천공된 필터부(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6)는 흡연자가 담배불을 소등할 때 가하게 되는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소정의 탄성과, 고온의 담배불에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철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6)는 담배재가 적당량 통과하여 종이컵에 낙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매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6)는 덮개부(3)의 내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단턱(36)에 스크류에 의해 캔틸레버형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3)는 소정 면적의 개구창(4)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창(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터치식(도 5a 참조) 또는 슬라이드식(도 5b 참조)으로 작동하는 보조 덮개(5)(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개구창(4)에 근접되게 열림버튼(34)이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5)(5')는 개구창(4)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평판상의 천공된 필터부(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3)는 필터부(6)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평판상의 소화부(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7)는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담배재가 필터부(6)를 통과하여 종이컵(미도시)으로 낙하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는 화재를 에방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열성 재료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부(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덮개부(3)의 내벽에 스크류에 의해 캔틸레버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 4 및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6)와 소화부(7)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케이싱을 억지끼움방식으로 덮개부(3)의 저면에 결합되도록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한다. 이 경우, 담배꽁초가 필터부(6) 및소화부(7)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종이컵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필터부(6)와 소화부(7)의 길이는 짧아야 한다.
아울러, 전술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컵 수용부(2)는 그 저면(24)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차의 컵 홀더가 수평면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에서 담배재를 떨거나 소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컵 홀더와 종이컵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수용부(2)의 저면(24)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내벽이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된 내벽은 컵 홀더와 종이컵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컵 홀더에 대한 종이컵의 긴밀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는 차내에 설치된 컵 홀더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컵 홀더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형 승용차, 승합차, 영업용 승용차 등을 고려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는 컵 수용부가 부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으로는 양면 테이프, 스크류, 행거 등이 포함되지만, 본 고안이 반듯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양면 테이프는 일면이 컵 수용부의 외표면에 부착되고 타면이 자동차의 전면 패널 등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적용가능하며, 상기 스크류는 컵 수용부를 관통하여 자동차의 전면 패널 등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적용가능하고, 상기 행거는 컵 수용부의 외표면에 피스등 적당한 수단으로 고정되어 에어콘 덕트등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적용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일회용 종이컵(1)을 컵 수용부(2)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덮개부(3)에 설치된 열림버튼(34)을 가압하면 후크(31)가 컵 수용부(2)의 걸림부(22)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걸림부(22)로부터 후크(31)가 해제되면, 덮개부(3)는 컵 수용부(2)에 대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컵 수용부(2)에 대해 덮개부(3)를 수직하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회용 종이컵(1)을 컵 수용부(2)에 삽입하게 된다. 컵 수용부(2)에 삽입된 종이컵(1)은 컵 수용부의 내벽에 형성된 단턱(21)에 주연부(11)가 안착됨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종이컵(1)이 컵 수용부(2)에 안정적으로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차내에 설치된 컵 홀더에 삽입하여 재떨이로 사용하게 되며, 흡연을 마친후 덮개부(3)를 다시 회동시킴으로써, 덮개부(3)의 후크(31)가 컵 수용부(2)의 걸림부(22)와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덮개부(3)에 의해 컵 수용부(2)가 밀폐되면, 종이컵(1)에 수용된 담배재 및 담배꽁초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등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차실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 내지 제 5 실시예의 경우,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종이컵(1)을 컵 수용부(2)에 안착시킨 후, 덮개부(3)를 다시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덮개부(3)의 후크(31)가 컵 수용부(2)의 걸림부(22)와 체결되도록 한다. 그 후, 보조 덮개(5)(5')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1)를 손으로 밀거나 들어올려 개구창(4)을 개방한 다음, 그 개구창(4)을 통해 담배재를 떨게 된다. 이 때, 개구창(4)의 수직 하부에 설치된 필터부(6)에 담배재를 마찰시킴으로써 담배재가 차실내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며 안정적으로 종이컵(1)에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제 4 실시예). 또한, 필터부(6)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평판상의 소화부(7)에 의해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고온의 담배재가 종이컵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제 5 실시예). 흡연을 마친 사용자는 필터부(6)에 담배불을 마찰시켜 완전히 소등할 수 있다. 그 후, 보조 덮개(5)(5')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1)를 잡고 보조 덮개(5)를 원터치식으로 가압하거나, 덮개부(3)의 저부 속으로 슬라이드된 보조 덮개(5')를 인출함으로써, 개구창(4)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덮개(5)(5')에 의해 개구창(4)이 밀폐되면, 종이컵(1)에 수용된 담배재 및 담배꽁초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등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차실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종이컵(1)에 담배재 및 담배꽁초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충진되어 이를 폐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덮개부(3)에 설치된 열림버튼(34)을 가압하면, 후크(31)가 컵 수용부(2)의 걸림부(22)로부터 해제되고, 힌지축(32)을 중심으로 덮개부(3)를 회동시켜 컵 수용부(2)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컵 수용부(2)의 외주연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단턱에 안착된 종이컵(1)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컵 수용부(2)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컵 수용부(2)로부터 종이컵(1)을 탈거하여 폐기하게 된다. 그 후,다른 종이컵을 전술한 방식으로 컵 수용부에 삽입하여 재떨이로 사용하게 된다.
당업자라면, 상기 컵수용부의 상면에 덮개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창의 가장자리에 보조 덮개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기술적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는 일회용종이컵을 채용하여 사용후 폐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배재 및/또는 냄새에 의해 차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종이컵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미연소된 담배불이 종이컵에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필터부 및 소화부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담배불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고, 양면 테이프, 스크류, 행거 등을 채용하여 차실내의 컵 홀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일회용 종이컵;
    상기 종이컵의 주연부가 안착되는 단턱이 내벽에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컵 수용부; 및
    상기 컵 수용부의 걸림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열림버튼을 가지며, 상기 컵 수용부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하여 컵 수용부를 긴밀하게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개구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창은 보조 덮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덮개는 원터치식으로 개구창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덮개는 슬라이드식으로 개구창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개구창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평판상의 천공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필터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평판상의 소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수용부는 그 저면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수용부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KR2020020003989U 2002-02-07 2002-02-07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KR200275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989U KR200275499Y1 (ko) 2002-02-07 2002-02-07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989U KR200275499Y1 (ko) 2002-02-07 2002-02-07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99Y1 true KR200275499Y1 (ko) 2002-05-11

Family

ID=7307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989U KR200275499Y1 (ko) 2002-02-07 2002-02-07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1161A (ja) ごみ処理装置
EP1125510A2 (en) Ashtray
KR200275499Y1 (ko) 일회용 종이컵을 이용한 재떨이
JPS59223529A (ja) 車両用灰皿
US2626613A (en) Lighted cigarette holder
KR200210691Y1 (ko) 차량용 재떨이
KR100488790B1 (ko) 자동차용 재떨이
JPS6146728A (ja) 車両用灰皿
KR200396855Y1 (ko) 자동차용 트레이
JP3142224U (ja) 車載用灰皿
JPH11225736A (ja) ライター付携帯用灰皿
US1401282A (en) Ash-receiver
JPS6138474Y2 (ko)
KR101167047B1 (ko) 자동차 도어용 접이식 재떨이
KR200372863Y1 (ko) 차량용 휴지통
JP2505254Y2 (ja) アッシュトレイ
KR0139451B1 (ko) 자동차용 재털이
KR101685347B1 (ko) 차량용 재떨이
KR0122514Y1 (ko) 자동차의 담배케이스구조
KR100324371B1 (ko) 자동차용 재떨이
KR101685066B1 (ko) 차량용 재떨이
KR930002212Y1 (ko) 휴대용 휴지통의 구조
KR200317782Y1 (ko) 차량용 쓰레기통
JPS6322110Y2 (ko)
KR200231220Y1 (ko)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