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514Y1 -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 Google Patents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514Y1
KR200396514Y1 KR20-2005-0019480U KR20050019480U KR200396514Y1 KR 200396514 Y1 KR200396514 Y1 KR 200396514Y1 KR 20050019480 U KR20050019480 U KR 20050019480U KR 200396514 Y1 KR200396514 Y1 KR 200396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ner diameter
finger
leaf spring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균
Original Assignee
박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균 filed Critical 박현균
Priority to KR20-2005-0019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내경이 자유롭게 가변되도록 반지 내측에 판스프링을 형성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며 밀착되도록 형성된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반지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판스프링이 결합되는 한편,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공간부에 형성된 고정핀에 끼워져 판스프링이 용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INSIDE HOLE ADJUSTABLE RING}
본 고안은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내경이 자유롭게 가변되도록 반지 내측에 판스프링을 형성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며 밀착되도록 형성된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판매장에서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하게 되고, 이를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춰 구입하게 되는 바, 상기 맞춤식으로 형성되는 반지는 그 내경의 크기가 일괄적으로 고정되어 손가락 굵기의 변화에 대해 대응하며 변경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의 체중 감량에 따른 손가락 마디의 마름현상이나 체중의 늘어남에 따른 손가락 마디의 붓는현상 등 손가락 굵기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며 내경이 변화되지 못함으로써, 얇은 손가락일때는 반지가 헐거워 빠지는 분실의 위험이 있고, 굵은 손가락일때는 반지가 꽉껴 혈액순환이 안되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내경이 자유롭게 가변되도록 반지 내측에 판스프링을 형성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며 밀착되도록 형성된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반지(100)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110)에 판스프링(200)이 결합되며 이때, 상기 판스프링(200)의 일측에는 고정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10)은 공간부(110)에 형성된 고정핀(111)에 끼워져 상기 판스프링(200)이 용착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형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중량을 감소하기 위해 공간부(110)가 형성된 반지(100)가 마련되며, 이때 상기 공간부(110)의 일측에는 고정핀(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반지(100)에는 기 성형된 통공보다 내경 중심측을 향해 일정부분 돌출되는 한편, 스프링 탄성에 의해 반지의 공간부(110) 홈에서 몸체 일부가 돌출되는 판스프링(200)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판스프링(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10)이 상기 고정핀(111)에 결합되어 이를 기점으로 반지(100)의 내경 즉, 공간부(110) 내,외측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신축된다.
상기 판스프링(200)은 고정핀(111)에 고정됨에 있어서 용착으로 고정되며 살에 닿는 면이 매끈하게 처리되어 반지(100)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00)은 반지의 공간부(110) 내측에 결합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손가락에 착용되기 위해 판스프링(200)이 결합되는 부분이 손가락 마디의 살이 많은 부분 즉, 반지(100)를 끼웠을 때 손가락 하방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손가락에 보다 정확하게 밀착되기 위해 상기 판스프링(200)은 반지의 공간부(110) 내에서 두 군데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00)은 최초 자유상태에서 공간부(110)를 돌출하여 내경의 크기가 최소로 설정된 값과, 손가락이 반지(100) 내경에 꽉차 판스프링(200)이 공간부(110) 내측에 잠기는 최대의 값이 반지(100)의 본래 내경에 대해 2호 사이즈가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사용자의 상태 또는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내경이 가변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최초 사용자는 본인의 일정한 손가락의 크기에 대응되는 반지(100)를 끼게 되는데, 착용 후 체형변화에 따른 손가락 마디의 굵기에 대해 가변될 수 있도록 반지의 공간부(110) 내측에는 판스프링(200)이 결합되어 신축되며, 손가락 마디의 하방 살이 많은 부분을 계속적으로 밀착하며 지지하게 된다.
이는 상술한 공간부(110)의 고정핀(111)과 판스프링(200)의 일측 고정홈(210)이 대응되게 체결되고, 이를 용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기본적인 탄성 지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200)은 반지(100)의 내경 중심을 향해 몸체 일부가 상시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을 유지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반지(100)에 손가락을 끼면 손가락 굵기에 따라 판스프링(200)이 손가락의 살 많은 밑부분을 밀착하며 신축된다.
이러한 판스프링(200)은 손가락의 굵기에 유연하게 대응되며 크기가 가변되어 손가락으로부터 반지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손가락이 굵어져 반지에 꽉차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판스프링(200)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내경이 자유롭게 가변되도록 반지 내측에 판스프링을 형성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며 밀착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2는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경이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지 110 ... 공간부
111 ... 고정핀 200 ... 판스프링
210 ... 고정홈

Claims (2)

  1. 반지(100)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110)에 판스프링(2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200)의 일측에 고정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10)은 공간부(110)에 형성된 고정핀(111)에 끼워져 판스프링(200)이 용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20-2005-0019480U 2005-07-05 2005-07-05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200396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80U KR200396514Y1 (ko) 2005-07-05 2005-07-05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80U KR200396514Y1 (ko) 2005-07-05 2005-07-05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514Y1 true KR200396514Y1 (ko) 2005-09-22

Family

ID=4369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480U KR200396514Y1 (ko) 2005-07-05 2005-07-05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51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70A3 (ko) * 2010-06-28 2012-05-03 Hwang Min-Soo 내경 조절이 되는 반지
KR101263379B1 (ko) 2012-03-05 2013-05-16 오성문 2중 링 결합식 저중량 반지 및 상기 저중량 반지의 제조방법
CN110169628A (zh) * 2019-07-05 2019-08-27 深圳市星光达珠宝首饰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的可调节指圈号大小的戒指结构
KR200493575Y1 (ko) 2020-11-16 2021-04-23 박영철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IT202000014737A1 (it) 2020-06-19 2021-12-19 Massimo Battistella Struttura di monile del tipo anello
KR20220030708A (ko) 2020-09-03 2022-03-11 박경수 저중량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2478A (ko) 2020-12-10 2022-06-17 김현민 주얼리용 로즈실버, 이를 포함하는 반지 및 각각의 제조방법
US11986066B2 (en) 2016-09-20 2024-05-21 Flexible Jewelry Llc Multicolored flexible wearable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70A3 (ko) * 2010-06-28 2012-05-03 Hwang Min-Soo 내경 조절이 되는 반지
KR101263379B1 (ko) 2012-03-05 2013-05-16 오성문 2중 링 결합식 저중량 반지 및 상기 저중량 반지의 제조방법
US11986066B2 (en) 2016-09-20 2024-05-21 Flexible Jewelry Llc Multicolored flexible wearables and related methods
CN110169628A (zh) * 2019-07-05 2019-08-27 深圳市星光达珠宝首饰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的可调节指圈号大小的戒指结构
IT202000014737A1 (it) 2020-06-19 2021-12-19 Massimo Battistella Struttura di monile del tipo anello
WO2021255764A1 (en) 2020-06-19 2021-12-23 Battistella Massimo Ring type jewel structure
KR20220030708A (ko) 2020-09-03 2022-03-11 박경수 저중량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93575Y1 (ko) 2020-11-16 2021-04-23 박영철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KR20220001157U (ko) 2020-11-16 2022-05-24 박영철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KR20220082478A (ko) 2020-12-10 2022-06-17 김현민 주얼리용 로즈실버, 이를 포함하는 반지 및 각각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514Y1 (ko)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100906826B1 (ko) 내경 가변형 반지
US7441892B2 (en) Contact lenses
US9763500B2 (en) Ring
KR20100087550A (ko) 단일 사이즈용 반지
US20130000077A1 (en) Hinge assembly for eyewear
US7472991B1 (en) Structure of an adjustable nose pad device of a pair of eyeglasses
TW201343101A (zh) 內徑可調環形珠寶
KR102369154B1 (ko) 귀찌형 귀걸이
KR102014687B1 (ko) 내경 가변형 반지
US2609538A (en) Goggles
US2101690A (en) Wrist watch guard
JP3174805U (ja) 眼鏡の鼻パッド
JP2008167789A (ja) 装身具
US20180000207A1 (en) Adjustable sized finger ring
JP2016035523A (ja) アイウェア
US20170248800A1 (en) Eyeglass frame
US3049973A (en) Nose pad for spectacles
KR100656591B1 (ko) 바지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JP4804736B2 (ja) ノーズパッド
US1817991A (en) Nonslip device for garments
JP2010284275A (ja) イヤリング
KR101522715B1 (ko) 손가락 굵기에 따라 내경 치수 조절이 가능한 반지
CN214179417U (zh) 手环
KR20130071692A (ko)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