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157U -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157U
KR20220001157U KR2020210000624U KR20210000624U KR20220001157U KR 20220001157 U KR20220001157 U KR 20220001157U KR 2020210000624 U KR2020210000624 U KR 2020210000624U KR 20210000624 U KR20210000624 U KR 20210000624U KR 20220001157 U KR20220001157 U KR 202200011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ring
contact body
pressure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221Y1 (ko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210000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2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 등 인체에 착용된 악세사리가 이에 구비된 장식물의 무게에 의해 옆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악세사리에 설치되는 밀착체와, 밀착체가 악세사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체는 악세사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악세사리에는 밀착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악세사리를 신체에 착용하는 과정 중에는 밀착체가 수용공간부에 삽입되고, 착용이 완료되면 상기 밀착체가 다시 악세사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체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ROTAION PREVENTION STRUCTURE OF ACCESSORY}
본 고안은 악세사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 등 인체에 착용된 악세사리가 이에 구비된 장식물의 무게에 의해 옆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악세사리의 대표적인 것의 하나로 손가락에 끼워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반지이다. 이러한 반지는 통상적으로 링형상의 반지몸체와 상기 반지몸체에 부착되는 다이아 등의 장식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물은 반지를 손가락에 끼웠을 때 손가락의 바깥쪽 중앙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이를 바라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장식물이 나타내는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장식물은 반지의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편심이 발생하게 한다. 아울러 이러한 편심은 장식물이 손가락의 바깥쪽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옆으로 돌아가게 함으로써, 악세사리의 장식물에 의한 아름다움이 표현되지 못하고 이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에게 이용의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반지몸체의 내경이 손가락의 외경보다 클 때 나타난다. 그런데 반지를 제작할 때 그 내경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정확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지몸체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연구되기도 한다.
그에 대한 예의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10-0396514호의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가 있다. 상기의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10)의 내측에 공간부(11)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부(11)에 판스프링(20)의 일측단부를 결합 고정시키며, 상기 판스프링(20)의 타측단부는 반지(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20)은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탄성력을 가하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부터 반지가 이탈되거나 회전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판스프링(20)은 일측단부가 항상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착용이 불편하고 자칫 손가락을 긁어 상처가 생길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06826호의 내경 가변형 반지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내경 가변형 반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20)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길이 각각 연장되어 손가락 굵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반호형의 탄성변형부(33)와, 상기 탄성변형부(33)의 선단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으로 절곡되는 지지부(35)를 갖는 탄성편(30)으로 이루어진다.
즉 등록번호 10-0906826호의 내경 가변형 반지는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탄성변형부(33)가 변형되면서 반지의 내경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번호 10-0906826호의 내경 가변형 반지는 고정부(31)와 지지부(35)가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위치한 탄성변형부(33)의 변형이 쉽지 않을 뿐더러, 탄성변형부(33)를 포함한 탄성편(30) 자체가 항상 반지의 내경에서 돌출된 구조이므로, 상술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10-0396514호의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을 반지에 삽입시킬 때 탄성편(30)에 의해 걸림되므로 착용이 매우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KR 20-0396514 Y1 KR 10-0906826 B1
본 고안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가락 굵기 등 다양한 신체의 사이즈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착용이 매우 용이하고, 일단 착용된 악세사리는 의도하지 않게 손가락 등의 신체에서 회전하거나 이탈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악세사리가 나타내고자 하는 아름다움이 충분히 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악세사리에 설치되는 밀착체와, 밀착체가 악세사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밀착체는 악세사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악세사리에는 밀착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악세사리를 신체에 착용하는 과정 중에는 밀착체가 수용공간부에 삽입되고, 착용이 완료되면 상기 밀착체가 다시 악세사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체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밀착체는 실리콘 재질의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상부의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의 둘레 하부의 수압면이 각각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부에 위치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체는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부에는 좌우로 흔들림이 가능한 탄성재질의 지지대가 설치되되,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는 악세사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밀착체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체는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용공간부 안쪽 방향의 단부에는 원형의 걸림링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용공간부 내면의 바깥쪽 상단에는 상기 걸림링이 걸림되는 원형의 돌기링이 구비되고, 돌기링의 하부에서 악세사리를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방향쪽의 수용공간부 내면의 양쪽에 일시걸림편이 구비되게 하며, 상기 수용공간부에 밀착체를 상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체는 실리콘 재질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상부의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의 양측단과 악세사리 내면 사이를 연결하는 수압면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압면과 수압면은 악세사리를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방향으로 원호 내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압면의 두께가 가압면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되게 할 수도 있고, 그 하부에 자유단을 가진 복원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악세사리의 착용과정 중에 밀착체가 수용공간부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밀착체가 위치하지 아니한 반대쪽에서는 신체와 악세사리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악세사리에 대한 신체의 진입이 용이지면서도, 악세사리의 착용이 완료되면 말착체가 악세사리의 내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신체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의 간극을 제거하게 되므로, 악세사리는 신체에 밀착되어 임의로 회전하여 장식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악세사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정상적 착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악세사리 이용의 활성화와 이에 의한 아름다움 표출의 극대화가 도모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내경 가변형 반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제3실시예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의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4실시예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손가락 등의 신체(200)에 착용된 반지 등의 악세사리(10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신체(200)의 표면과 악세사리(100) 내면 사이를 밀착체(110)로 밀착시키기는 하나, 이로 인하여 상기 밀착체(110)가 악세사리(100)를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과정 중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악세사리(100)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도 3, 4는 이에 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6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 8은 이에 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 10은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악세사리(100)의 회전방지 구조는 밀착체(110)와 이탈방지수단 및 수용공간부(120)를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밀착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체(200)에 착용된 악세사리(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악세사리(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의 형상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악세사리(100)의 착용과정 또는 제거 과정 중 상기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 내에 수용되게 하면서 본연의 밀착기능이 최소화되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 및 제거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한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예컨대 밀착체(110)는 악세사리(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신체(200)의 표면과 악세사리(100)의 내면 사이 간극을 밀착시켜 악세사리(100)가 스스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나, 악세사리(100)를 신체(200)에 착용하는 과정 중에는 상기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에 삽입됨으로써 악세사리(100)에 신체(2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악세사리(100)의 착용이 완료되면 수용공간부(120)에 삽입되었던 밀착체(110)가 악세사리(100)의 내면으로 다시 돌출되어 신체(200)의 표면을 가압하여 악세사리(1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부(120)는 악세사리(100)에 형성되되, 설치된 밀착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밀착체(110)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설정된다.
이탈방지수단은 악세사리(100)의 착용과정 또는 제거 과정 중에 밀착체(110)가 악세사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고안의 회전방지 구조가 깨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밀착체(110) 자체를 악세사리(100)에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도 있고,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 내에서 걸림됨으로써 이탈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에서의 밀착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악세사리(100) 내면의 가상선(101)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밀착체(110)는,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의 얇은 막구조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중앙 상부의 가압면(111)과, 상기 가압면(111) 둘레 하부의 수압면(1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밀착체(110)의 그 내부에는 수용홈(113)이 형성되고, 수용공간부(120) 안쪽 방향의 단부에는 악세사리(100)에 구비된 고정홈(1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5)가 구비되어 이탈방지수단을 형성시킨다.
상기 수용홈(113)은 밀착체(110)가 변형되면서 가압면(111)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부(120)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밀착체(110)는 상기 수용홈(113)을 매개로 하여 수용공간부(120)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4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의 착용과정 중과 착용후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악세사리(100)에 신체(200)를 밀어 넣게 되면, 도 4의 (a)에서와 같이, 밀착체(110)는 측면에 위치한 수압면(112)이 측압을 받아 뒤로 밀려가 변형되면서 가압면(111)을 수용홈(113)에 삽입시킨다. 따라서 악세사리(100)의 반대쪽에 위치한 내면과 신체(200)의 표면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악세사리(100)에 대한 신체(200)의 진입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신체(200)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수압면(112)에 대한 측압이 없어지게 되므로 수용홈(113)에 삽입되었던 가압면(111)은 다시 복원하여 상기한 간극을 제거하면서 신체(20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에서의 밀착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악세사리(100) 내면의 가상선(101)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수용공간부(120) 내에 설치된 지지대(130)에 의해 악세사리(100)에 고정된다. 즉 지지대(130)의 일단부는 악세사리(1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밀착체(110)에 고정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밀착체(110)는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가압면(111)과 수압면(112)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의 밀착체(11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밀착체(110) 자체를 수용공간부(120)에 출몰됨으로써 악세사리(100) 내면과 신체(200)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제거 및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것이므로, 굳이 그 내부에 수용홈(113)을 반드시 구비시킬 필요는 없다. 물론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수용홈(113)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의 지지대(130)는 좌우로 흔들림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공간부(120)에 대한 밀착체(110)의 출몰이 용이해야 한다.
도 6은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의 착용과정 중과 착용후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악세사리(100)에 신체(200)를 밀어 넣어, 도 6의 (a)에서와 같이, 밀착체(110)에 측방향으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외측면에 위치한 수압면(112)이 측압을 받으면서 지지대(130)와 함께 밀착체(110)가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착체(110)의 가압면(111)이 수용공간부(120) 내로 삽입되면서 악세사리(100)의 내면으로부터 밀착체(110)가 돌출되는 길이가 줄게된다.
그러나 신체(200)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6의 (b)에서와 같이, 수압면(112)에 대한 측압이 없어지게 되므로 수용홈(113)에 삽입되었던 가압면(111)은 다시 복원 돌출하여 신체(20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에서의 밀착체(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악세사리(100) 내면의 가상선(101)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용공간부(120)에서 출몰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의 밀착체(110)는 악세사리(100)에 고정된 지지대(130)에 의해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이나, 제3실시예에서는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의 내면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공간부(120)에 대한 밀착체(110)의 출몰은 더욱 자유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한 밀착체(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부(120) 안쪽 방향의 단부에 원형의 걸림링(114)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링(114)에 대응하도록 수용공간부(120) 내면의 바깥쪽 상단에도 원형의 돌기링(122)이 구비된다.
따라서 밀착체(110)의 걸림링(114)은 악세사리(100)의 돌기링(122)에 둘레의 전체가 걸림되므로 이들은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작용한다.
또한 수용공간부(120) 내면의 돌기링(122) 하부에는 일시걸림편(12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일시걸림편(123) 역시 밀착체(110)의 걸림링(114)이 걸림되도록 하는 것이나, 돌기링(122)과는 달리 악세사리(100)를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방향쪽의 내면에만 짧게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밀착체(110)의 걸림링(114)의 양측 일부만이 일시걸림편(123)에 걸림되므로 밀착체(11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만으로도 일시걸림편(123)에 대한 걸림링(114)의 걸림상태가 쉽게 해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일시걸림편(123)의 위치는, 밀착체(110)의 걸림링(114)이 일시걸림편(123)에 걸림된 상태에서 밀착체(110)의 상단이 약간 돌출되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그의 돌출정도는 측압이 가해졌을 때 밀착체(110)가 비틀려져 걸림링(114)이 일시걸림편(123)으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한 정도여야 한다.
또한 수용공간부(120)에는 밀착체(110)를 상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1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가압스프링(140)은 일시걸림편(123)에 대한 밀착체(110)의 걸림상태 해지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신체(200)의 표면을 가압하여 악세사리(100)와의 간극을 제거하기 위한 밀착체(110)의 밀착기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8은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의 착용과정 중과 착용후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악세사리(100)에 신체(200)를 밀어 넣기 전에, 밀착체(110)를 누르면, 도 8의 (a)에서와 같이,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체(110)의 걸림링(114) 일부가 양쪽의 일시걸림편(123)에 함께 걸림된다. 이때 가압스프링(140)도 함께 압축된다.
다음으로 악세사리(100)에 신체(200)를 충분히 밀어 넣은 후, 신체(200)를 이용하여 악세사리(100)의 내면에서 약간 돌출된 밀착체(110)를 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도 8의 (b)에서와 같이, 밀착체(110)가 비틀리면서 한 쪽 일시걸림편(123)에 걸림되었던 걸림링(114)이 먼저 이탈하게 되고, 이어서 압축되었던 가압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쪽 일시걸림편(123)에 걸림되었던 걸림링(114) 역시 이탈하면서 밀착체(110)가 상부로 이동하여 신체(200) 표면에 대한 밀착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에서의 밀착체(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100) 내면의 가상선(101)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밀착체(110)는,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의 얇은 판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중앙 상부의 가압면(111)과, 상기 가압면(111)의 양측단과 악세사리(100) 내면 사이를 연결하는 수압면(112)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가압면(111)과 수압면(112)은 악세사리(100)를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방향으로 원호 내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수압면(112)의 두께를 가압면(111)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얇은 두께의 수압면(112)은 밀착체(110)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세사리(100) 착용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압면(112)의 두께를 가압면(111)보다 얇게 구성시킬 경우 밀착체(110)가 완전히 뒤집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악세사리(100)의 착용이 완료되더라도 가압면(111)이 신체(2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밀착체(110)가 복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부(120)에 복원스프링(15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복원스프링(150)은 밀착체(110)가 완전히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복원스프링(150)은 일단부가 악세사리(10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야 하나, 타단부는 밀착체(110)에 고정시키지 않고 자유단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복원스프링(150)의 타단부를 밀착체(110)에 고정시키게 되면 그의 탄성력이 밀착체(110)에 작용함으로써 밀착체(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해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원스프링(150)은 고정되지 아니한 자유단의 타단부가 악세사리(100) 내면의 가상선(101) 이하에서 가압면(111)의 지나친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위치에 놓여지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이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 악세사리 회전방지 구조의 착용과정 중과 착용후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악세사리(100)에 신체(200)를 밀어 넣게 되면, 도 10의 (a)에서와 같이, 밀착체(110)는 측면에 위치한 수압면(112)이 측압을 받아 뒤로 밀려가 변형되면서 가압면(111)을 수용공간부(1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악세사리(100)의 반대쪽에 위치한 내면과 신체(200)의 표면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악세사리(100)에 대한 신체(200)의 진입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원스프링(150)은 가압면(111)이 수용공간부(120)의 내측으로 지나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신체(200)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수압면(112)에 대한 측압이 없어지게 되므로 수용홈(113)에 삽입되었던 가압면(111)은 다시 복원하여 상기한 간극을 제거하면서 신체(20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150)은 탄성력으로 가압면(111)의 복원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고안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악세사리 101; 가상선
110; 밀착체 111; 가압면
112; 수압면 113; 수용홈
114; 걸림링 115; 고정돌기
120; 수용공간부 121; 고정홈
122; 돌기링 123; 일시걸림편
130; 지지대 140; 가압스프링
150; 복원스프링 200; 신체

Claims (4)

  1. 신체(200)에 착용된 악세사리(1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악세사리(100)에 설치되는 밀착체(110)와, 밀착체(110)가 악세사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밀착체(110)는 악세사리(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악세사리(100)에는 밀착체(110)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악세사리(100)를 신체(200)에 착용하는 과정 중에는 밀착체(110)가 수용공간부(120)에 삽입되고, 착용이 완료되면 상기 밀착체(110)가 다시 악세사리(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체(200)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체(110)는 실리콘 재질의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상부의 가압면(111)과, 상기 가압면(111)의 둘레 하부의 수압면(112)이 각각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부(120)에 위치한 수용홈(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체(1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상부의 가압면(111)과, 상기 가압면(111)의 양측단과 악세사리(100) 내면 사이를 연결하는 수압면(11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압면(111)과 수압면(112)은 악세사리(100)를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방향으로 원호 내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면(112)의 두께는 가압면(111)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KR2020210000624U 2020-11-16 2021-02-25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KR200496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24U KR200496221Y1 (ko) 2020-11-16 2021-02-25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37U KR200493575Y1 (ko) 2020-11-16 2020-11-16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KR2020210000624U KR200496221Y1 (ko) 2020-11-16 2021-02-25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37U Division KR200493575Y1 (ko) 2020-11-16 2020-11-16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57U true KR20220001157U (ko) 2022-05-24
KR200496221Y1 KR200496221Y1 (ko) 2022-11-30

Family

ID=757338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37U KR200493575Y1 (ko) 2020-11-16 2020-11-16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KR2020210000624U KR200496221Y1 (ko) 2020-11-16 2021-02-25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37U KR200493575Y1 (ko) 2020-11-16 2020-11-16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35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30B1 (ko) * 2022-11-11 2023-02-13 주식회사 더여운 착용자의 체온을 이용해 작동되는 사이즈 조정 구조를 포함하는 반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14Y1 (ko) 2005-07-05 2005-09-22 박현균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100906826B1 (ko) 2007-08-23 2009-07-09 신세호 내경 가변형 반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14U (ja) * 1991-07-25 1993-02-09 信明 小倉 指輪の回り止め具
JP3028114U (ja) * 1996-01-12 1996-08-30 安雄 饗場 指 輪
JPH09299114A (ja) * 1996-05-16 1997-11-25 Toshikazu Fuchimoto 指輪の回り止め具
JP3028114B2 (ja) * 1997-04-17 2000-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81608A (ko) * 2006-02-13 2007-08-17 배기웅 사이즈가변장치를 구비한 반지
KR101870515B1 (ko) * 2016-06-30 2018-06-25 정진성 장신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14Y1 (ko) 2005-07-05 2005-09-22 박현균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100906826B1 (ko) 2007-08-23 2009-07-09 신세호 내경 가변형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75Y1 (ko) 2021-04-23
KR200496221Y1 (ko)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4398A (en) Eyelid spreader
KR20120007846U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20220001157U (ko)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EP1677643B1 (en) Attaching apparatus of artificial nail
JP2011036639A (ja) バックル装置
JP3164680U (ja) バックル装置
JP5461456B2 (ja) イヤリング
KR20150109137A (ko) 화장용 퍼프
CA2619774C (en) Band with selectively adjustable pressure orb
US20070093867A1 (en) Acupressure Treatment Device
EP1811330B1 (en) Accessory
US20160258455A1 (en) Multifunctional strap
US5606873A (en) Finger ring
KR200491932Y1 (ko) 무선 이어폰 케이스용 비접착 커버 유닛
EP0915263A1 (en) Suction cup support
US1213673A (en) Toe-nail protector.
JP6872213B2 (ja) 装身具の挟着構造
FR2793122A1 (fr) Applicateur, notamment cosmetiques, a surface d'application de section deformable elastiquement
KR200478498Y1 (ko) 항균커버를 포함하는 귀걸이
KR102630269B1 (ko) 반지형 미끄럼방지 착용구
JP3036771U (ja) 健康リング
US3509733A (en) Ear ornament clasp with spring actuated jaw
KR102521542B1 (ko)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JP6337033B2 (ja) 開閉指輪の止着固定構造とその指輪の製造方法
KR20090119571A (ko) 구두 뒤꿈치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