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42B1 -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42B1
KR102521542B1 KR1020220057445A KR20220057445A KR102521542B1 KR 102521542 B1 KR102521542 B1 KR 102521542B1 KR 1020220057445 A KR1020220057445 A KR 1020220057445A KR 20220057445 A KR20220057445 A KR 20220057445A KR 102521542 B1 KR102521542 B1 KR 10252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otation
mounting groove
elastic protrusion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석
한종문
사재빈
류명한
김태성
김수빈
이주영
Original Assignee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석 filed Critical 김원석
Priority to KR102023004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635A/ko
Priority to KR1020230046861A priority patent/KR2023005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가 개시된다. 상기 기능성 반지는,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제2 탄성돌부; 및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RING WITH DETACHABL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착용자의 손가락 치수에 맞춰 제작된다. 반지의 내경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중이 과도하게 감소하거나 증가함에 따라 손가락의 치수가 변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지가 맞지 않는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또한, 손가락이 잘 붙는 사용자들이, 손가락의 치수가 갑자기 증가함에 따라 불편한 착용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치수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줌과 동시에 쉽게 탈착이 가능한 기능성 반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반지의 내측 면에 방사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돌부가 구비된,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지의 착용 또는 해지에 따라 탄성돌부가 반지의 내측 면에 삽입 또는 내측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돌부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탄성돌부가 반지의 내측 면에 삽입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탄성돌부도 반지의 내측 면에 삽입될 수 있는,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를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반지는,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제2 탄성돌부; 및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일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돌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타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이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이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판은 상기 제2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은 상기 제1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반지는,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제2 탄성돌부;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일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돌부와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타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와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의 양 측 단부들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상기 제2 관통공 및 상기 토션스프링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반지는,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제2 탄성돌부;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일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돌부와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타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와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힌지부의 양 측에는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힌지부의 양 측에는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이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판은 상기 제2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은 상기 제1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반지는,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제2 탄성돌부;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일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돌부와 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타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와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힌지부의 양 측에는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힌지부의 양 측에는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이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은 상기 회전핀과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은, 내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를 제작하는 단계; 제1 부재를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일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제2 부재를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의 타 측과 상기 회전홈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 돌출된 제1 힌지부의 제1 관통공과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 돌출된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회전핀의 양 측 각각을 상기 회전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제2 탄성돌부; 및 상기 링부의 둘레방향에 따른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지의 내측 면에 방사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돌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반지의 내측둘레길이와 사용자의 손가락의 둘레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반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지의 착용 또는 해지에 따라 탄성돌부가 반지의 내측 면에 삽입 또는 내측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지의 내측둘레길이와 사용자의 손가락의 둘레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사용자가 반지를 용이하게 착용 또는 착용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돌부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탄성돌부가 반지의 내측 면에 삽입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탄성돌부도 반지의 내측 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지의 내측둘레길이와 사용자의 손가락의 둘레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사용자가 반지를 용이하게 착용 또는 착용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반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반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빠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반지의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6은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7은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8은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9는 도 1에 따른 반지의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반지의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반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지(10)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지(10)는 링부(100)와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링부(10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부(100)의 내측 면에는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의 장착홈(100a)이 함몰 형성된다. 장착홈(100a)은 내측 면에서 외측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홈(100a)은, 내측 면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가 내측 면의 둘레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지(10)의 둘레방향에 따른 장착홈(100a)의 일 측과 일 측의 반대편 타 측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장착홈(100a)에는 고정부(200)가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홈(100a)은 고정부(2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00)의 일 측 및 일 측의 반대편 타 측에는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가 각각 배치된다. 링부(100)의 내측 면의 둘레방향에 따른 장착홈(100a)의 일 측 및 일 측의 반대편 타 측에는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가 각각 배치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이에 두고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하므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한다. 이를 통해,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장착홈(100a)에 삽입되어 링부(100)에 결합되는 고정부(200)는, 제1 탄성돌부(211), 제2 탄성돌부(212), 제1 탄성부재(221), 제2 탄성부재(222),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를 포함한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링부(100)의 내측 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링부(100)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순차적으로 링부(100)의 장착홈(100a)에 배치되며,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과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이 회전핀(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관통공(231a)이 형성되고,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관통공(241a)이 형성된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장착홈(10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이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면, 회전핀(250)이 제1 관통공(231a) 및 제2 관통공(241a)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장착홈(100a)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는 회전홈(100b)이 함몰 형성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장착홈(100a)의 면들 각각에는 회전홈(100b)이 함몰 형성된다. 회전홈(100b)은 장착홈(100a)의 중간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공(231a) 및 제2 관통공(241a)을 모두 관통한 회전핀(250)의 양 단부들은 장착홈(100a)의 마주하는 면들에 함몰 형성된 회전홈(100b)들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링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은 제1 탄성돌부(211)와 제1 탄성부재(221)와 결합된다.
제1 탄성돌부(211)는 제1 부재(230)의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에 결합되고, 제1 탄성부재(221)는 제1 탄성돌부(211)가 결합된 일측 면의 반대편 타측 면에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221)의 양 측은 제1 부재(230) 및 장착홈(100a)과 결합된다. 링부(100)의 외측 면을 향하는 제1 탄성부재(221)의 일 측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장착홈(100a)의 저면과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221)는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제1 부재(230) 및 장착홈(100a)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221)가 장착홈(100a)과 제1 부재(230)를 가압하며, 제1 탄성부재(221)에 의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에 결합된 제1 탄성돌부(211)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2 부재(24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은 제2 탄성돌부(212)와 제2 탄성부재(222)와 결합된다.
제2 탄성돌부(212)는 제2 부재(240)의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에 결합되고, 제2 탄성부재(222)는 제2 탄성돌부(212)가 결합된 일측 면의 반대편 타측 면에 결합된다.
제2 탄성부재(222)의 양 측은 제2 부재(240) 및 장착홈(100a)과 결합된다. 링부(100)의 외측 면을 향하는 제2 탄성부재(222)의 일 측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장착홈(100a)의 저면과 결합된다.
제2 탄성부재(222)는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제2 부재(240) 및 장착홈(100a)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222)가 장착홈(100a)과 제2 부재(240)를 가압하며, 제2 탄성부재(222)에 의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를 통해, 제2 부재(240)에 결합된 제2 탄성돌부(212)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반지(10)를 착용하면,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가압되고,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부재(221) 및 제2 탄성부재(222)가 압축되며, 압축된 제1 탄성부재(221) 및 제2 탄성부재(222)가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를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의 둘레길이가 반지(10)의 내측 둘레길이보다 작더라도,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에 의해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가락이 자주 붓거나 손가락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도 편안하게 반지(10)를 착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빠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사용자가 반지(10)를 빼는 과정에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손가락에 의해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고, 이에 의해, 제1 탄성부재(221)가 압축되고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2 탄성부재(222)가 압축되고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손가락에 의해 가압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방사방향 외측으로 손쉽게 이동되므로, 반지(10)가 용이하게 손가락에서 빠질 수 있다.
즉, 반지(10)를 손쉽게 끼고 뺄 수 있음과 동시에 낀 상태에서 반지(10)가 안정적으로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반지(10)의 고정부(200)의 회전되는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회전되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5는 제1 가압판(232), 제2 피가압판(242) 및 회전핀(25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힌지부(231) 및 회전핀(25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2 힌지부(241) 및 회전핀(25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제1 피가압판(233), 제2 가압판(243) 및 회전핀(25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이 도시된다.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힌지부(231)가 돌출 형성되며,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힌지부(24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힌지부(231)에는 링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231a)이 관통 형성되고, 제2 힌지부(241)에는 링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241a)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41)가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이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면, 회전핀(250)이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을 관통한다. 이를 통해,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41)가 연결된다.
또한,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을 관통한 회전핀(250)의 양 측이 회전홈(100b)들에 삽입됨에 따라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링부(100)에 결합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제1 힌지부(231)의 양 측에는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이 배치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은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서 돌출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은 제1 관통공(231a)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가압판(232)이 제1 피가압판(233)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제2 힌지부(241)의 양 측에는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이 배치된다.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은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서 돌출된다.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은 제2 관통공(241a)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2 가압판(243)이 제2 피가압판(242)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가압판(232)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피가압판(242)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중첩된다. 또한, 제1 가압판(232) 및 제2 피가압판(242) 모두 회전핀(250)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가압판(232)이 제2 피가압판(242)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피가압판(242)은 회전핀(25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 가압판(232)과 제2 피가압판(242)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피가압판(233)의 적어도 일부와 제2 가압판(243)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중첩된다. 또한, 제1 피가압판(233) 및 제2 가압판(243) 모두 회전핀(250)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 피가압판(233)이 제2 가압판(243)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제1 피가압판(233)은 회전핀(25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 피가압판(233)과 제2 가압판(243)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탄성돌부(211)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가압판(232)이 제2 피가압판(242)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가압판(243)이 제1 피가압판(233)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돌부(211)만이 가압되더라도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모두 회전될 수 있어,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가압판(243)이 제1 피가압판(233)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가압판(232)이 제2 피가압판(242)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2 탄성돌부(212)만이 가압되더라도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모두 회전될 수 있어,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반지(10)를 빼는 과정에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반지를 보다 부드럽고 쉽게 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반지(10)를 손가락과 교차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반지(10)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 반지(10)를 쉽게 뺄 수 있다.
도 9 및 도10은 도 1에 따른 반지(10)의 고정부(200)의 회전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 내지 도 8과 비교하였을 때, 도 9 및 도 10에 따른 고정부(200)는 제1 가압판(232), 제1 피가압판(233),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이 변형된다.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힌지부(231)가 돌출 형성되며,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힌지부(24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힌지부(231)에는 링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231a)이 관통 형성되고, 제2 힌지부(241)에는 링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241a)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41)가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이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면, 회전핀(250)이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을 관통한다. 이를 통해,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41)가 연결된다.
또한,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을 관통한 회전핀(250)의 양 측이 회전홈(100b)들에 삽입됨에 따라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링부(100)에 결합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제1 힌지부(231)의 양 측에는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이 배치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은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서 돌출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은 제1 관통공(231a)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가압판(232)의 단부에는 제1 가압돌부(2321)가 돌출형성되고, 제1 피가압판(233)의 단부에는 제1 피가압돌부(2331)가 돌출형성된다. 제1 가압돌부(2321)는 제1 피가압돌부(2331)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제2 힌지부(241)의 양 측에는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이 배치된다.
또한, 제2 피가압판(242)의 단부에는 제2 피가압돌부(2421)가 돌출형성되고, 제2 가압판(243)의 단부에는 제2 가압돌부(2431)가 돌출형성된다. 제2 가압돌부(2431)는 제2 피가압돌부(2421)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은 제2 관통공(241a)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가압돌부(232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피가압돌부(2421)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중첩된다. 또한, 제1 가압돌부(2321) 및 제2 피가압돌부(2421) 모두 회전핀(250)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가압돌부(2321)가 제2 피가압돌부(2421)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2 피가압판(242)은 회전핀(25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다.
또한,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피가압돌부(233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가압돌부(2431)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중첩된다. 또한, 제1 피가압판(233) 및 제2 가압판(243) 모두 회전핀(250)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피가압돌부(2331)가 제2 가압돌부(2431)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제1 피가압판(233) 및 제2 가압판(243)은 회전핀(25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다.
제1 탄성돌부(211)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가압돌부(2321)가 제2 피가압돌부(2421)를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가압돌부(2431)가 제1 피가압돌부(2331)를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돌부(211)만이 가압되더라도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모두 회전될 수 있어,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가압돌부(2431)가 제1 피가압돌부(2331)를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가압돌부(2321)가 제2 피가압돌부(2421)를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2 탄성돌부(212)만이 가압되더라도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모두 회전될 수 있어,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반지(10)를 빼는 과정에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반지를 보다 부드럽고 쉽게 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반지(10)를 손가락과 교차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반지(10)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 반지(10)를 쉽게 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장착홈(100a)에 삽입되어 링부(100)에 결합되는 고정부(200)는, 제1 탄성돌부(211), 제2 탄성돌부(212),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를 포함한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링부(100)의 내측 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링부(100)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순차적으로 링부(100)의 장착홈(100a)에 배치되며,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과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이 회전핀(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관통공(231a)이 형성되고,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관통공(241a)이 형성된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장착홈(10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이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면, 회전핀(250)이 제1 관통공(231a) 및 제2 관통공(241a)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장착홈(100a)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는 회전홈(100b)이 함몰 형성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장착홈(100a)의 면들 각각에는 회전홈(100b)이 함몰 형성된다. 회전홈(100b)은 장착홈(100a)의 중간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공(231a) 및 제2 관통공(241a)을 모두 관통한 회전핀(250)의 양 단부들은 장착홈(100a)의 마주하는 면들에 함몰 형성된 회전홈(100b)들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링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은 제1 탄성돌부(211)와 결합된다.
제1 탄성돌부(211)는 제1 부재(230)의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에 결합된다.
장착홈(100a)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걸림돌부(10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부재(230), 제2 부재(240) 및 회전핀(250)과 결합되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되나, 제1 걸림돌부(101)에 의해 제1 부재(230)의 회전반경이 제한된다.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제1 걸림돌부(101)와 제1 부재(230)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으로 중첩된다.
제2 부재(24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은 제2 탄성돌부(212)와 결합된다.
제2 탄성돌부(212)는 제2 부재(240)의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에 결합된다.
장착홈(100a)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걸림돌부(102)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부재(230), 제2 부재(240) 및 회전핀(250)과 결합되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되나, 제2 걸림돌부(102)에 의해 제2 부재(240)의 회전반경이 제한된다.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제2 걸림돌부(102)와 제2 부재(240)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으로 중첩된다.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반지(10)를 착용하면,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가압되고,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해, 토션스프링이 압축되고, 압축된 토션스프링이 제1 부재(230)를 반시계방향으로, 제2 부재(240)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의 둘레길이가 반지(10)의 내측 둘레길이보다 작더라도,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에 의해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가락이 자주 붓거나 손가락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도 편안하게 반지(10)를 착용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힌지부(231)가 돌출 형성되며,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힌지부(24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힌지부(231)에는 링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231a)이 관통 형성되고, 제2 힌지부(241)에는 링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241a)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41)가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이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면, 회전핀(250)이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을 관통한다. 이를 통해, 제1 힌지부(231)와 제2 힌지부(241)가 연결된다.
또한,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을 관통한 회전핀(250)의 양 측이 회전홈(100b)들에 삽입됨에 따라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링부(100)에 결합된다.
또한, 제1 토션스프링(미도시)에 회전핀(2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토션스프링(미도시)이 회전홈(100b)과 제1 힌지부(231) 사이에 배치되며, 제2 토션스프링(미도시)에 회전핀(2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토션스프링(미도시)이 회전홈(100b)과 제2 힌지부(24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토션스프링은 양 측 단부들은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와 연결되며,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가압됨에 따라 제1 토션스프링이 압축된다. 압축된 제1 토션스프링이 제1 부재(230)를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고, 제2 부재(240)를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한다.
제2 토션스프링은 양 측 단부들은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와 연결되며,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가압됨에 따라 제2 토션스프링이 압축된다. 압축된 제2 토션스프링이 제1 부재(230)를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고, 제2 부재(240)를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제1 힌지부(231)의 양 측에는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이 배치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은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서 돌출된다.
제1 가압판(232) 및 제1 피가압판(233)은 제1 관통공(231a)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가압판(232)이 제1 피가압판(233)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제2 힌지부(241)의 양 측에는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이 배치된다.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은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서 돌출된다.
제2 피가압판(242) 및 제2 가압판(243)은 제2 관통공(241a)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2 가압판(243)이 제2 피가압판(242)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가압판(232)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피가압판(242)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중첩된다. 또한, 제1 가압판(232) 및 제2 피가압판(242) 모두 회전핀(250)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가압판(232)이 제2 피가압판(242)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 피가압판(242)은 회전핀(25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 가압판(232)과 제2 피가압판(242)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피가압판(233)의 적어도 일부와 제2 가압판(243)의 적어도 일부는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중첩된다. 또한, 제1 피가압판(233) 및 제2 가압판(243) 모두 회전핀(250)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제1 피가압판(233)이 제2 가압판(243)보다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제1 피가압판(233)은 회전핀(25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 피가압판(233)과 제2 가압판(243)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탄성돌부(211)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가압판(232)이 제2 피가압판(242)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가압판(243)이 제1 피가압판(233)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돌부(211)만이 가압되더라도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모두 회전될 수 있어,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가압판(243)이 제1 피가압판(233)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가압판(232)이 제2 피가압판(242)을 링부(100)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2 탄성돌부(212)만이 가압되더라도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가 모두 회전될 수 있어, 제1 탄성돌부(211)와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반지(10)를 빼는 과정에서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반지를 보다 부드럽고 쉽게 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반지(10)를 손가락과 교차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 모두가 링부(100)의 방사방향 외측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반지(10)와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 반지(10)를 쉽게 뺄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반지(10)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다.
먼저, 장착홈(100a) 및 회전홈(100b)이 형성된 링부(100)를 제작한다(S100).
링부(10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자는, 링부(100)의 내측 면의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의 장착홈(100a)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지의 내측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장착홈(100a)은 내측 면에서 외측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홈(100a)은, 내측 면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가 내측 면의 둘레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지(10)의 둘레방향에 따른 장착홈(100a)의 일 측과 일 측의 반대편 타 측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는, 장착홈(100a)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 각각에 회전홈(100b)을 형성한다.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장착홈(100a)의 면들 각각에는 회전홈(100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작자는 회전홈(100b)은 장착홈(100a)의 중간위치에 회전홈(100b)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지 내측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작자는, 고정부(200)를 링부(100)에 결합한다(S200).
장착홈(100a)에 삽입되어 링부(100)에 결합되는 고정부(200)는, 제1 탄성돌부(211), 제2 탄성돌부(212), 제1 탄성부재(221), 제2 탄성부재(222), 제1 부재(230), 제2 부재(240) 및 회전핀(250)을 포함한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링부(100)의 내측 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링부(100)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는 순차적으로 링부(100)의 장착홈(100a)에 배치되며,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과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이 회전핀(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 관통공(231a)이 형성되고, 제2 부재(24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2 관통공(241a)이 형성된다.
제작자는,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를 장착홈(100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 관통공(231a)과 제2 관통공(241a)이 링부(10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제1 부재(230)와 제2 부재(240)를 배치시킨다.
또한 제작자는, 회전핀(250)을 제1 관통공(231a) 및 제2 관통공(241a)에 삽입한 후, 회전핀(250)의 양측 단부들을 회전홈(100b)들에 삽입시킨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부(200)가 링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230)의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은 제1 탄성돌부(211)와 제1 탄성부재(221)와 결합된다.
제1 탄성돌부(211)는 제1 부재(230)의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에 결합되고, 제1 탄성부재(221)는 제1 탄성돌부(211)가 결합된 일측 면의 반대편 타측 면에 결합된다.
제작자는, 제1 부재(230)에 결합된 제1 탄성부재(221)를 장착홈(100a)에 결합시킨다.
링부(100)의 외측 면을 향하는 제1 탄성부재(221)의 일 측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장착홈(100a)의 저면과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221)는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제1 부재(230) 및 장착홈(100a)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221)가 장착홈(100a)과 제1 부재(230)를 가압하며, 제1 탄성부재(221)에 의해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를 통해, 제1 부재(230)에 결합된 제1 탄성돌부(211)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2 부재(240)의 시계방향을 향하는 일 측은 제2 탄성돌부(212)와 제2 탄성부재(222)와 결합된다.
제2 탄성돌부(212)는 제2 부재(240)의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에 결합되고, 제2 탄성부재(222)는 제2 탄성돌부(212)가 결합된 일측 면의 반대편 타측 면에 결합된다.
제작자는, 제2 부재(240)에 결합된 제2 탄성부재(222)를 장착홈(100a)에 결합시킨다. 링부(100)의 외측 면을 향하는 제2 탄성부재(222)의 일 측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장착홈(100a)의 저면과 결합된다.
제2 탄성부재(222)는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제2 부재(240) 및 장착홈(100a)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222)가 장착홈(100a)과 제2 부재(240)를 가압하며, 제2 탄성부재(222)에 의해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를 통해, 제2 부재(240)에 결합된 제2 탄성돌부(212)가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반지(10)를 착용하면,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가압되고, 제1 부재(23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부재(240)가 회전핀(250)을 회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부재(221) 및 제2 탄성부재(222)가 압축되며, 압축된 제1 탄성부재(221) 및 제2 탄성부재(222)가 제1 부재(230) 및 제2 부재(240)를 링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의 둘레길이가 반지(10)의 내측 둘레길이보다 작더라도, 제1 탄성돌부(211) 및 제2 탄성돌부(212)에 의해 반지(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가락이 자주 붓거나 손가락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도 편안하게 반지(10)를 착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로서,
    내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내주면의 둘레의 절반인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장착홈의 일 단까지 연장되는 제1 부재;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장착홈의 타 단까지 연장되는 제2 부재;
    상기 장착홈의 일 단에서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및
    상기 장착홈의 타 단에서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탄성돌부를 포함하며,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의 양 측 단부들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상기 제2 관통공 및 상기 토션스프링에 삽입되고,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이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이 돌출되며,
    상기 제1 가압판은 상기 제2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은 상기 제1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기능성 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판이 상기 제2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압판이 상기 제1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4.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로서,
    내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내주면의 둘레의 절반인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장착홈의 일 단까지 연장되는 제1 부재;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장착홈의 타 단까지 연장되는 제2 부재;
    상기 장착홈의 일 단에서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상기 장착홈의 타 단에서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탄성돌부;
    상기 장착홈의 일 단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장착홈의 타 단에서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이 돌출되고,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이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판은 상기 제2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은 상기 제1 피가압판보다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기능성 반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판이 상기 제2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압판이 상기 제1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7.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로서,
    내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내주면의 둘레의 절반인 길이로 장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장착홈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들 각각에 회전홈이 함몰 형성되는 링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이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장착홈의 일 단까지 연장되는 제1 부재;
    상기 회전홈에서 상기 장착홈의 타 단까지 연장되는 제2 부재;
    상기 장착홈의 일 단에서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탄성돌부;
    상기 장착홈의 타 단에서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탄성돌부;
    상기 장착홈의 일 단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장착홈의 타 단에서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장착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힌지부가 돌출되고,
    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압판 및 제1 피가압판이 돌출되며,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가 돌출되며,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제2 피가압판 및 제2 가압판이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회전홈이 함몰된 방향을 따라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핀이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고,
    상기 제2 가압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피가압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기능성 반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판이 상기 제2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압판이 상기 제1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압판이 상기 제2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압판이 상기 제1 피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돌부가 상기 링부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기능성 반지.
KR1020220057445A 2022-05-09 2022-05-10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2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863A KR20230056635A (ko) 2022-05-09 2023-04-10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230046861A KR20230056634A (ko) 2022-05-09 2023-04-10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39 2022-05-09
KR20220056739 2022-05-09
KR1020220057379 2022-05-10
KR20220057379 2022-05-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863A Division KR20230056635A (ko) 2022-05-09 2023-04-10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230046861A Division KR20230056634A (ko) 2022-05-09 2023-04-10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542B1 true KR102521542B1 (ko) 2023-04-17

Family

ID=8613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445A KR102521542B1 (ko) 2022-05-09 2022-05-10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5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608A (ko) * 2006-02-13 2007-08-17 배기웅 사이즈가변장치를 구비한 반지
KR100803518B1 (ko) * 2007-01-12 2008-02-14 이은수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KR101544762B1 (ko) * 2014-06-02 2015-08-19 진경준 개폐가 가능한 반지
KR101843100B1 (ko) * 2017-09-15 2018-03-28 이형주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KR102014687B1 (ko) * 2019-01-09 2019-08-26 박상욱 내경 가변형 반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608A (ko) * 2006-02-13 2007-08-17 배기웅 사이즈가변장치를 구비한 반지
KR100803518B1 (ko) * 2007-01-12 2008-02-14 이은수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KR101544762B1 (ko) * 2014-06-02 2015-08-19 진경준 개폐가 가능한 반지
KR101843100B1 (ko) * 2017-09-15 2018-03-28 이형주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KR102014687B1 (ko) * 2019-01-09 2019-08-26 박상욱 내경 가변형 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500B2 (en) Ring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EP3564732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6231940A (zh) 具有双旋转轴的耳罩附接件
KR102521542B1 (ko)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JP3254450B1 (ja) 指 輪
US10009679B1 (en) Bluetooth earphone combined with a pair of eyeglasses
KR200396514Y1 (ko)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20230056634A (ko)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30188433A1 (en) Cigar cutting device
KR102014687B1 (ko) 내경 가변형 반지
US5186023A (en) Rings that open and close
KR101900422B1 (ko) 손목 보호대
EP4023099A1 (en) Ring structure with adjustable size
US11559120B2 (en) Ring structure with adjustable size
US10082677B2 (en) Eyeglass frame
JP6391313B2 (ja) イヤーマフの支持構造
KR200477149Y1 (ko) 직경이 조절되는 반지
KR20220001157U (ko) 악세사리의 회전방지 구조
JP2002333012A (ja) ヒンジ装置
GB2522446A (en) Spectacles
KR200253672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220137569A (ko) 회전 반지
TWI510170B (zh) 角度調整機構
JPH08168406A (ja) 指 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