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00B1 -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 Google Patents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00B1
KR101843100B1 KR1020170118767A KR20170118767A KR101843100B1 KR 101843100 B1 KR101843100 B1 KR 101843100B1 KR 1020170118767 A KR1020170118767 A KR 1020170118767A KR 20170118767 A KR20170118767 A KR 20170118767A KR 101843100 B1 KR101843100 B1 KR 10184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member
elastic
elastic member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이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주 filed Critical 이형주
Priority to KR102017011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에 있어서 반원형의 두 개의 반지 부재를 반지의 내부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반지의 직경이 탄성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반지의 직경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반지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전자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A RING CAPABLE OF ADJUSTING SIZE}
본 발명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직경이 탄력적으로 조절되는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의 일종인 반지는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과 더불어 인기있는 장신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상기 반지는 특히, 손가락에 간편하게 끼워서 사용하므로 남녀노소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지는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춰 구입하게 되는바, 맞춤식으로 형성되는 반지는 그 직경의 크기가 일괄적으로 고정되어 손가락 굵기의 변화에 대응하여서 변경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지는 장신구 이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점차 효용성이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직경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반지 고유의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탑재시켜 반지의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5-0058119호(공개일자 2015년 05월 28일)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직경이 탄력적으로 조절되면서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는 반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지로서, 상기 반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반지 부재와, 상기 반지에서 상기 제1 반지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중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반지 부재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상기 제2 반지 부재를 연결시키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상기 제2 반지 부재에 대해 상기 반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경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 실리콘은, 경도가 30∼5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반지 부재, 상기 제2 반지 부재 및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 반지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에서 형성되는 호의 중심각이 30-180°범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두께가 0.3∼0.5T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지는,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제2 반지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관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지는,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제2 반지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내부면을 감싸는 내측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관 커버 부재 및 내측 커버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지는, 상기 제1 반지 부재 또는 상기 제2 반지 부재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어 도어락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RFID, 블루투스(bluetooth), NFC, IrDA,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에 있어서 반원형의 두 개의 반지 부재를 반지의 내부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반지의 직경이 탄성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반지의 직경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반지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전자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의 정면도와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100)는 제1 반지 부재(102), 제2 반지 부재(104), 제1 탄성 부재(106), 제2 탄성 부재(108), 외관 커버 부재(110), 내측 커버 부재(112), 보석 장착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지 부재(10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지(100)의 링형태 구조 중 한쪽 부분을 형성하며,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반지 부재(102)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광물질을 포함하여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지 부재(104)는 반지(100)의 링형태 구조 중 다른 부분을 형성하며, 제1 반지 부재(102)와 마찬가지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 반지 부재(104)는 제1 반지 부재(102)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광물질을 포함하여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06)는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 사이에 연결되어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가 일정 직경을 가지는 링형태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제1 탄성 부재(106)는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에 형성된 절곡면(107)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의 절곡면에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되어 제1 반지 부재(102) 및 제2 반지 부재(104)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제1 탄성 부재(106)는 경화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경화 실리콘은 일반적인 고무(rubber)와 비교하여 탄성력은 비슷한 반면 잘 끊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때, 제1 탄성 부재(102)로 사용되는 경화 실실리콘의 경도는 30∼50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탄성 부재(108)는 제1 탄성 부재(106)를 관통하여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 사이에 연결되며,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에 대해 반지(100)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때, 제2 탄성 부재(104)가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에 대해 반지(100)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1 탄성 부재(106)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가 링형태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로 이루어지는 반지(100)에서 제2 탄성 부재(108)에 의해 반지(100)의 직경의 안쪽으로 힘이 발생됨으로써, 손가락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은 사용자부터 손가락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사용자까지 반지(100)를 안정적으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탄성 부재(108)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를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판스프링은 반지(100)의 내부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어면서 휘어진 형태로 구현되어 반지(100)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함에 따라 반지(100)의 직경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로 분리된 반지(100)를 이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판스프링은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에서 형성되는 호의 중심각이 30-180°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반지가 직경 사이즈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충분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판스프링의 두께는 사용자가 반지(100)를 착용하였을 때 부담감을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판스프링의 두께를 0.3∼0.5T 범위에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관 커버 부재(110)는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와 제1 탄성 부재(106)로 이루어지는 반지(10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외관 커버 부재(110)는 PC 또는 펩시브 등의 파손의 위험이 적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측 커버 부재(112)는 제1 반지 부재(102)와 제2 반지 부재(104)와 제1 탄성 부재(106)로 이루어지는 반지(100)의 내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커버 부재(112)는 사람의 손마디에 밀접하게 접촉되는 것을 고려하여 티타늄, 금, 은 또는 황동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석 장착부(114)는 제1 반지 부재(102) 또는 제2 반지 부재(10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석 장착부(114)는 오닉스(ONYX) 가공물로 형성되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랙 유광으로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석 장착부(114)에는 도어락(door lock)을 해제시키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도어락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로서의 기능 이외에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전자키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예에서는 위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이 보석 장착부(114)에 탑재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모듈은 제1 반지 부재(102) 또는 제2 반지 부재(104)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탑재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에 있어서 반원형의 두 개의 반지 부재를 반지의 내부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반지의 직경이 탄성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반지의 직경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반지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전자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지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2 : 제1 반지 부재 104 : 제2 반지 부재
106 : 제1 탄성 부재 108 : 제2 탄성 부재
110 : 외관 커버 부재 112 : 내측 커버 부재
114 : 보석 장착부

Claims (12)

  1. 반지로서,
    상기 반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반지 부재와,
    상기 반지에서 상기 제1 반지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중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반지 부재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상기 제2 반지 부재를 연결시키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상기 제2 반지 부재에 대해 상기 반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제2 반지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경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반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실리콘은,
    경도가 30∼50도 범위로 형성되는 반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반지 부재, 상기 제2 반지 부재 및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관통하는 반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 반지 부재와 연결되는 반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에서 형성되는 호의 중심각이 30-180°범위가 되도록 형성되는 반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두께가 0.3∼0.5T 범위로 형성되는 반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는,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제2 반지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외부면을 감싸는 외관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반지 부재와 제2 반지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내부면을 감싸는 내측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반지.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커버 부재 및 내측 커버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반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는,
    상기 제1 반지 부재 또는 상기 제2 반지 부재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어 도어락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반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RFID, 블루투스(bluetooth), NFC, IrDA,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반지.
KR1020170118767A 2017-09-15 2017-09-15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KR10184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67A KR101843100B1 (ko) 2017-09-15 2017-09-15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67A KR101843100B1 (ko) 2017-09-15 2017-09-15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100B1 true KR101843100B1 (ko) 2018-03-28

Family

ID=6190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767A KR101843100B1 (ko) 2017-09-15 2017-09-15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30B1 (ko) 2022-11-11 2023-02-13 주식회사 더여운 착용자의 체온을 이용해 작동되는 사이즈 조정 구조를 포함하는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21542B1 (ko) * 2022-05-09 2023-04-17 김원석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18B1 (ko) * 2007-01-12 2008-02-14 이은수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18B1 (ko) * 2007-01-12 2008-02-14 이은수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42B1 (ko) * 2022-05-09 2023-04-17 김원석 탈착구조가 형성된 기능성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499130B1 (ko) 2022-11-11 2023-02-13 주식회사 더여운 착용자의 체온을 이용해 작동되는 사이즈 조정 구조를 포함하는 반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100B1 (ko) 사이즈 조절 가능 반지
TW200628122A (en) Wristband or other type of band having an adjustable antenna for use with a sensor reader
HK1148440A1 (en) Adjustable sized jewelry
USD851775S1 (en) Wearable neck and shoulder heating pad
US20160213103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ing a hair retention device hidden from view using a bracelet
EP2233963A1 (en) Eyeglass frame without nose pad and eyeglass supporting method thereof
WO2015171694A1 (en) Adjustable jewelry
KR20150063328A (ko) 목걸이 겸용 블루투스 내장형 이어폰
USD976740S1 (en) Bracelet
US20130278413A1 (en) Electronic Leash System for Personal Articles
EP3583550B1 (en)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0476139Y1 (ko) 스마트 반지
KR20160001507U (ko) 체온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어피스를 갖는 블루투스 일체형 귀걸이
JP2006247282A (ja) 金属製品
KR200477149Y1 (ko) 직경이 조절되는 반지
KR20130043135A (ko) Nfc 전자태그를 이용한 신원확인용 팔찌
KR200478498Y1 (ko) 항균커버를 포함하는 귀걸이
US20170123070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0655835B1 (ko) 스프링 링 체결구
KR200335680Y1 (ko) 넥마이크 장치
CN204351220U (zh) 吊坠固定座及首饰
KR200476969Y1 (ko) 반지
CN208523941U (zh) 一种具有磁吸闭合手环带的手环
CN213188437U (zh) 一种环形智能首饰
JP3218643U (ja) 装着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