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69Y1 - 반지 - Google Patents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69Y1
KR200476969Y1 KR2020140007680U KR20140007680U KR200476969Y1 KR 200476969 Y1 KR200476969 Y1 KR 200476969Y1 KR 2020140007680 U KR2020140007680 U KR 2020140007680U KR 20140007680 U KR20140007680 U KR 20140007680U KR 200476969 Y1 KR200476969 Y1 KR 200476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ather layer
leather
depress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언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언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언제이
Priority to KR2020140007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에 장착가능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외주면의 일부가 리세스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디부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무늬 및 색상을 포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함몰부에 장착되며 가죽층 및 상기 함몰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죽층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옻층을 포함하는 반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지{RING}
본 고안은 외주면에 가죽재질이 고정된 반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 가죽의 색감이 노출되도록 가죽부재를 이용한 반지에 관한 것이다. 악세서리(accessory)는 복장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한 부속품으로 반지, 넥타이핀, 핸드백, 모자, 장갑, 목걸이, 귀걸이 등이 이에 포함된다.
특히 반지는 공지된 바와 같이 백금, 금, 은 따위의 금속 쇠붙이로 형성되며, 이의 촉감은 딱딱하고 차가우며 귀금속 자체의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최근에는 반지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에 의하여 금속성 반지에 추가되는 재료도 다양해지고 있다.
반지에 포함되는 보석과 귀금속은 차갑고 깨끗한 느낌을 주는데, 소프트하고 따뜻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가죽재질을 이용하는 반지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가죽부재는 금속재료에 고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에 대한 변형 및 손상이 쉬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보존성이 향상된 가죽재질을 포함하는 반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반지는, 손가락에 장착가능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외주면의 일부가 리세스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무늬 및 색상을 포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함몰부에 장착되며 가죽층 및 상기 함몰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죽층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옻층을 포함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장식부의 표면은 외부로 노출된 외주면의 일 영역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바디부가 폐루프 및 상기 함몰부가 폐루프를 이루는 경우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는 상기 함몰부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옻층이 형성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를 덮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면에 가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텍스트를 이루고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표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바디부는 개루프를 이루며, 상기 바디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를 이루는 가장자리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의 곡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옻층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가죽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주면의 중심을 향할수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죽층은 상기 함몰부에 고정되어 분리가 방지되며, 상기 가죽층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로부터 가죽층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옻층에 의하여 별도의 고정부재가 불필요하며 반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반지는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단면도.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
도 2b는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a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
도 4b는 도 4b의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반지는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지(100)는 바디부(101) 및 장식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1)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101a)과 내주면(101b)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장착가능하도록 폐루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는 상기 외주면(101)으로부터 기 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부(102)의 표면은 상기 바디부(101)의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장식부(102)는 상기 함몰부(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장식부(102)는 상기 함몰부(미도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부(102)는 일체로 형성되는 가죽층(102a)과 옻층(10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미도시)에 상기 가죽층(102a)가 장착되고, 상기 가죽층(102a) 상에 상기 옻층(102b)이 형성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함몰부에 상기 가죽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죽층(102a)의 표면에 옻칠된다. 상기 가죽층(102a)의 표면에 옻칠되면 상기 가죽의 표면이 변형된다. 상기 가죽층(102a)이 상기 옻층(102b)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죽층(102a)이 상기 함몰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가죽층(102a)은 상기 옻층(102b)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101)에 고정된다.
상기 장식부(102)는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옻층(102b)이 상기 가죽층(102a)의 표면을 감싸므로 상기 장식부(102)의 표면은 옻층(102b)의 표면으로 형성되고, 가죽층(102a)는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죽층(102a)는 상기 함몰부에 고정되어 분리가 방지되며, 상기 가죽층(102a)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로부터 가죽층(102a)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옻층(102b)에 의하여 별도의 고정부재가 불필요하며 반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나, 상기 바디부(101) 및 상기 가죽층(102a) 사이에 사이 옻층(102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옻층(102b)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상기 가죽층(102a)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1)는 상기 가죽층(102a)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절곡영역(10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영역(101c)는 상기 폐루프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곡영역(101c)의 표면은 상기 장식부(102)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102) 중 상기 가죽층(102a)을 고정하고, 상기 옻층(102b)은 상기 가죽층(102a)이 상기 절곡영역(101c)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죽층이 상기 바디부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에 따른 반지(100)는 바디부(101), 장식부(102) 및 커버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03)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도 1의 반지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장식부(102)를 감싸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102)의 일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바디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죽층(102a)의 양단부(102')는 상기 함몰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양단부(102')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옻층(10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옻층(102b)을 이루는 옻재료는 상기 양단부(102')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가죽층(102a)를 변형시키며, 상기 양단부(102')를 서로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양단부(102')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장식부(102)와 마주보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0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103'')는 상기 양단부(102')와 인접한 상기 장식부(102)의 표면을 눌러 상기 장식부(10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03)의 표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영역(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103')은 텍스트, 이미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따른 반지(200)는 바디부(201) 및 장식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202)는 가죽층(202a) 및 옻층(202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202)는 도 1의 장식부(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바디부(202)는 도 1의 바디부(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202)는 손가락을 감싸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개루프 형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부(202)의 양단부(201')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이격된다. 상기 양단부(101')의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식부(202)가 형성되는 함몰부(미도시)의 형상도 상기 가장자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식부(202)도 양단부르 포함하고 상기 양단부의 형상은 상기 바디부(202)의 가장자리 영역과 실질적을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장식부(202)의 양단부가 서로 이격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옻층(202b)는 상기 가죽층(202a)의 표면에형성되어 상기 가죽층(202a)을 변형시킨다. 또한. 상기 옻층(202b)은 상기 가죽층(202a)과 상기 바디부(201) 사이에도 형성된다. 상기 옻층(202b)은 상기 가죽층(202a)과 바디부(201)를 접착하는 접착부재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죽층(202a)은 양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거나 커버부가 없이도 상기 바디부(20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01)와 상기 가죽층(202a) 사이의 공간도 옻재료에 의하여 메워지므로 수분이나 오염물질에 의한 가죽층(202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300)는 바디부(301) 및 장식부(302)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302)는 가죽층(302a) 및 옻층(302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302)는 도 1의 장식부(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바디부(302)는 도 1의 바디부(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반지(300)의 외주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주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곡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301)의 내주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몰부(미도시)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에 상기 가죽층(302a) 및 상기 옻층(302a)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옻층(302a)의 표면이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지는 외주면의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는 외주면이 평평하지 아니하는 바디부 상에서 옻층을 이용하여 표면에 가죽재질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품(400)은 바디부(401) 및 장식부(402)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도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바디부(401)는 상기 장식부(402)가 형성되기 위하여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함몰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402)는 상기 함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함물부에 형성되는 가죽층과 상가 가죽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층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옻층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401)는 한번 구부러진 형상으로 양단부가 서로 만나는 구조를 포함하며, 구부러진 영역에 공간(401')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401)는 금속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양단부를 벌렷서 상기 공간(401')을 확장하고 특정 객체를 상기 양단부 사이에 끼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죽층은 상기 옻층에 의하여 표면이 변형되면서 상기 바디부(401)에 고정되므로, 상기 구부러진 영역이 변형되더라도 가죽층자체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손가락에 장착가능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외주면의 일부가 리세스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무늬 및 색상을 포함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함몰부에 장착되며 가죽층;
    상기 함몰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죽층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옻층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가 폐루프 및 상기 함몰부가 폐루프를 이루는 경우,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는 상기 함몰부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옻층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죽층의 양단부를 덮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면에 가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표면은 외부로 노출된 외주면의 일 영역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텍스트를 이루고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옻층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가죽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주면의 중심을 향할수록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KR2020140007680U 2014-10-22 2014-10-22 반지 KR200476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80U KR200476969Y1 (ko) 2014-10-22 2014-10-22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80U KR200476969Y1 (ko) 2014-10-22 2014-10-22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69Y1 true KR200476969Y1 (ko) 2015-04-22

Family

ID=5343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680U KR200476969Y1 (ko) 2014-10-22 2014-10-22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51U (ko) * 2020-06-13 2021-12-21 방민영 네오디움 자석을 이용한 건강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406A (ja) * 1995-04-25 1996-11-12 Miyako Furuya 装身具
JP2007195766A (ja) * 2006-01-27 2007-08-09 Hirota Osada 装身具の製造方法
KR20080098309A (ko) * 2006-03-01 2008-11-07 나카쿠라, 세키카즈 귀금속 쥬얼리 및 귀금속 쥬얼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406A (ja) * 1995-04-25 1996-11-12 Miyako Furuya 装身具
JP2007195766A (ja) * 2006-01-27 2007-08-09 Hirota Osada 装身具の製造方法
KR20080098309A (ko) * 2006-03-01 2008-11-07 나카쿠라, 세키카즈 귀금속 쥬얼리 및 귀금속 쥬얼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51U (ko) * 2020-06-13 2021-12-21 방민영 네오디움 자석을 이용한 건강밴드
KR200496325Y1 (ko) * 2020-06-13 2023-01-02 방민영 네오디움 자석을 이용한 건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15949S1 (en) Cycling computer mount
USD824274S1 (en) Bracelet
USD572476S1 (en) Eyeglass case
USD551116S1 (en) Inscribed pyramid ornament
USD961584S1 (en) Electronic watch device
USD532714S1 (en) Combined jewelry component and a cap
USD970503S1 (en) Mouse
USD539691S1 (en) Open star jewelry item
USD830863S1 (en) Portable test instrument
USD561636S1 (en) Jewelry clasp
USD970286S1 (en) Interface dial for small appliances
USD606288S1 (en) Cap jewelry
USD851538S1 (en) Precious stone base for pendants
USD536551S1 (en) Secretaire
KR200476969Y1 (ko) 반지
USD554033S1 (en) Automotive cockpit
USD899964S1 (en) Precious stone jewelry setting
USD911206S1 (en) Wristband
USD915962S1 (en) Visor
USD619489S1 (en) Pocket adornment
USD491078S1 (en) Wrist watch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USD527864S1 (en) Work glove with slip-preventive palm
USD863072S1 (en) Watch
USD966080S1 (en) Clip for securing elastic bands and attaching cha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