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09Y1 - 완성통발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완성통발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09Y1
KR200396309Y1 KR20-2005-0019704U KR20050019704U KR200396309Y1 KR 200396309 Y1 KR200396309 Y1 KR 200396309Y1 KR 20050019704 U KR20050019704 U KR 20050019704U KR 200396309 Y1 KR200396309 Y1 KR 200396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elevating member
support
bund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이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20-2005-0019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성통발의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발골조에 그물을 씌운 후 완성통발의 부피를 간소화시켜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밴딩장치에 완성통발을 기계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작업 능률 향상 및 안전사고 위험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완성통발의 적층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완성통발(A)을 안치하는 안치부(2a)가 마련된 베이스프레임(2)과, 베이스프레임에 세워지는 H빔과 같은 지주(3)와, 지주(3)를 따라서 슬라이드 승강 되도록 설치한 수개의 안내롤러(4)가 설치된 승강부재(5)와, 지주(3)의 상하단에 축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켓(6)(6')에 결합되며 승강부재(5)와 연결되는 체인(7) 및 이를 구동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8)와, 승강부재(5)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지주(3)의 상하측에 설치한 리미트스위치(9)(9')와, 회동 핀(11)에 의해 회동되도록 승강부재(5)에 설치되는 선단에 결합관(10a)을 형성한 클램프설치대(10)와, 회동 핀(11)에 결합되는 ㄱ형 링크(13) 및 링크(13)에 결합되어 링크(13)를 회동시키도록 승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방향전환실린더(12)와, 결합관(10a)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고정부재(15a)가 결합되는 승강축봉(15)이 상측 중앙에 돌출 형성된 클램프뭉치(14)와, 상기 클램프뭉치(14)의 양측에 설치되는 클램프실린더(16)(16') 및 클램프실린더(16)(16')에 의해 작동되는 걸고리(17)(17')와, 클램프설치대(10)와 클램프뭉치(14)에 각각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18) 및 감지판(19)과, 일측 걸고리(17) 상측으로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20)와, 모터(8) 및 방향전환실린더(12)와 클램프실린더(16)(16')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1)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지 않고도 완성통발(A)을 적층 할 수 있어 안전사고 위험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완성통발 적층장치{Stacking device of completion weir}
본 고안은 완성통발의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발골조에 그물을 씌운 후 완성통발의 부피를 간소화시켜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밴딩장치에 완성통발을 기계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작업 능률 향상 및 안전사고 위험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완성통발의 적층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완성된 통발은 적층 밴딩하여 컨테이너에 적재 운반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완성통발을 적층한 다음 이를 압축 밴딩하여 많은 수량의 완성통발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상기한 완성통발을 일정 높이로 적층 및 압축 밴딩하는 작업은 위험성이 높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수작업에 의존하였던 바, 작업성이 떨어지고 밴딩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없어 물류비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자는 선 출원한 특허 제030165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20354호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통발골조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완성통발을 보다 많이 적층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는 하였으나, 적층된 통발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밴딩 작업을 행하였는바, 올바른 압축을 기대하기가 어려워 큰 효과를 발휘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적층된 완성통발을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압축 밴딩할 수 있도록 한 밴딩장치(특허 제0383807호)를 제공하여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양호한 적층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완성통발을 압축 밴딩하여 보다 많은 량의 완성통발을 컨테이너에 적재토록 하여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한 바 있다.
그러나 밴딩장치에 완성통발을 적층하는 작업은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작업능률 개선에 한계가 있었고, 작업 중 안전사고 발생 위험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는바, 밴딩장치와 연계할 수 있는 완성통발의 적층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선 출원 등록한 바 있는 완성통발의 압축 밴딩장치와 연계 사용할 수 있는 적층장치를 제공함으로 해서 작업 능률과 안전사고 위험을 해소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으로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완성통발을 클랭핑하여 상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밴딩장치로 회동 각운동한 상태에서 언클램핑 함으로 해서 완성통발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한 것이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클램프뭉치가 하강하기 전 및 하강한 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클램프뭉치 작동상태도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클램프뭉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완성통발 적층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 상측으로 H빔과 같은 지주(3)를 세우고, 지주(3)에는 수개의 안내롤러(4)가 설치된 승강부재(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승강부재(5)에는 지주(3)의 상하단 축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켓(6)(6')에 결합된 체인(7)을 연결하고, 하측 스프로켓(6')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8)와 연결하여 승강부재(5)가 지주(3)를 따라서 승강되게 하되, 지주(3)의 상하측에는 리미트스위치(9)(9')를 설치하여 모터(8)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8)는 후술할 클램프뭉치(14)가 상승할 때도 클램프설치대(10)에 마련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8)에 의해 정지되며, 상측 리미트스위치(9)는 후술할 클램프설치대(10)를 회동시키는 방향전환실린더(12)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5)의 전방으로는 클램프설치대(10)를 회동 핀(11)으로 축 설치하고, 회동 핀(11)에는 승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실린더(12)와 연결 구성되어 있는 ㄱ형 링크(13)를 결합하여 방향전환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설치대(10)를 적어도 90°이상 회동 각 운동 되게 한다. 이때 클램프설치대(10)의 회동 범위는 방향전환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승강부재(5)에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여 방향전환실린더(12)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클램프설치대(10)의 선단에는 결합관(10a)을 형성하고, 결합관(10a)에는 클램프뭉치(14)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승강축봉(15)을 결합하고, 승강축봉(15)의 상단에는 결합관(1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재(15a)를 결합하여 결합관(10a) 상에서 클램프뭉치(14)가 이탈 없이 승강되도록 고정한다. 클램프뭉치(14)의 양측에는 클램프실린더(16)(16')에 의해 작동하는 걸고리(17)(17')를 설치하고, 클램프설치대(10)와 클램프뭉치(14)에는 각각 리미트스위치(18)와 감지판(19)을 마련하여 승강축봉(15)이 승강할 때 클램프실린더(16)(16')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터(8)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하며, 일측 걸고리(17) 상측으로 리미트스위치(20)를 설치하여 걸고리(17)(17')가 내향 이동되어 클램핑된 상태를 감지하여 모터(8)를 역회전 구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 상측에는 완성통발(A)을 안치할 수 있는 안치부(2a)를 형성한다. 안치부(2a)에 안치되는 완성통발(A)의 중심은 상기 클램프뭉치(14)의 중심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계 구성하며, 상기 모터(8) 및 방향전환실린더(12)와 클램프실린더(16)(16')를 수동 및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1)를 별도로 마련한다.
본 고안에서는 모터(8) 및 방향전환실린더(12)와 클램프실린더(16)(16')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리미트스위치(9)(9')(18)(20)를 사용하였으나, 광 센서등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압축 밴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완성통발의 적층장치(1)는 도 5와 같이 본 고안자가 선 출원 등록한 압축 밴딩장치(22)의 측방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적층장치(1)로 완성통발(A)을 적층코자 할 시에는 베이스프레임(2)에 마련되어 있는 안치부(2a)에 완성통발(A)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컨트롤박스(21)에 전원을 인가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완성통발(A)을 소망하는 높이로 간편하게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컨트롤박스(21)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모터(8)를 정회전 구동시켜서 승강부재(5)를 하향 이동시켜 클램프설치대(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뭉치(14)를 완성통발(A)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프뭉치(14)가 완성통발(A)의 상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부재(5)가 계속 하향 이동되면 클램프뭉치(14)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축봉(15)이 클램프설치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관(10a)을 통하여 상향 이동되는데, 이때 클램프뭉치(14)에 마련된 감지판(19)에 의해 클램프설치대(10)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8)가 접점되고, 리미트스위치(18)의 접점에 따라 모터(8)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클램프뭉치(14)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실린더(16)(16')가 작동하면서 걸고리(17)(17')를 내향 이동시켜 완성통발(A)의 상단 환형지주 하측으로 내입 클램핑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고리(17)(17')가 완전히 내입 클램핑되면 클램프뭉치(14)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20)가 접점 해지되어 모터(8)를 역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8)의 역회전 구동에 따라 승강부재(5)는 지주(3)를 따라 상승하여 지주(3)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9)를 접점시켜 모터(8)를 역회전 구동시킴과 동시에 방향전환실린더(12)를 작동시켜 클램프뭉치(14)를 포함하는 실린더회동대(10)를 압축 밴딩장치(22) 상측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방향전환실린더(12)가 완전히 작동한 상태에서 승강부재(5)의 하향 이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승강부재(5)의 하향 이동에 따라 클램프뭉치(14)에 클램핑된 상태로 하향 이동하는 완성통발(A)은 먼저 적층되어 있는 완성통발(A) 상측에 적층되면서 클램프뭉치(14)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승강축봉(15)에 클램프설치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관(10a)을 통하여 상향 이동되는데, 이때 클램프뭉치(14)에 마련된 감지판(19)에 의해 클램프설치대(10)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8)가 접점되고, 리미트스위치(18)의 접점에 따라 모터(8)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클램프뭉치(14)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실린더(16)(16')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서 걸고리(17)(17')를 외향 이동시켜 완성통발(A)의 상단 환형지주에서 언클램핑 되면서 클램프뭉치(14)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20)를 점접하여 모터(8)를 역회전 구동시킨 후 상기와는 반대로 클램프설치대(10)를 안치부(2a) 상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면서 완성통발(A)을 소망하는 높이로 적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고안 완성통발의 적층장치(1)는 안치부(2a)에 올려지는 완성통발(A)을 클램핑하여 압축 밴딩장치(22)에 소망하는 높이로 적층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지 않고도 완성통발(A)을 적층 할 수 있어 안전사고 위험도 일소할 수 있는 등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클램프뭉치가 하강하기 전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클램프뭉치가 하강한 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클램프뭉치 작동상태도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클램프뭉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완성통발) 적층장치 2:베이스프레임
2a:안치부 3:지주
4:안내롤러 5:승강부재
6,6':스프로켓 7:체인
8:모터 9,9':리미트스위치
10:클램프설치대 10a:결합관
11:회동 핀 12:방향전환실린더
12:링크 14:클램프뭉치
15:승강축봉 15a:고정부재
16,16':클램프실린더 17,17':걸고리
18,20:리미트스위치 19:감지판
21:컨트롤박스 A:완성통발

Claims (1)

  1. 완성통발(A)을 안치하는 안치부(2a)가 마련된 베이스프레임(2)과, 베이스프레임에 세워지는 지주(3)와,
    지주(3)를 따라서 슬라이드 승강 되도록 설치한 수개의 안내롤러(4)가 설치된 승강부재(5)와,
    지주(3)의 상하단에 축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켓(6)(6')에 결합되며 승강부재(5)와 연결되는 체인(7) 및 이를 구동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8)와,
    승강부재(5)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지주(3)의 상하측에 설치한 리미트스위치(9)(9')와,
    회동 핀(11)에 의해 회동되도록 승강부재(5)에 설치되는 선단에 결합관(10a)을 형성한 클램프설치대(10)와,
    회동 핀(11)에 결합되는 ㄱ형 링크(13) 및 링크(13)에 결합되어 링크(13)를 회동시키도록 승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방향전환실린더(12)와,
    결합관(10a)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고정부재(15a)가 결합되는 승강축봉(15)이 상측 중앙에 돌출 형성된 클램프뭉치(14)와,
    클램프뭉치(14)의 양측에 설치되는 클램프실린더(16)(16') 및 클램프실린더(16)(16')에 의해 작동되는 걸고리(17)(17')와,
    클램프설치대(10)와 클램프뭉치(14)에 각각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18)와 감지판(19)과,
    일측 걸고리(17) 상측으로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20)와,
    모터(8) 및 방향전환실린더(12)와 클램프실린더(16)(16')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성통발의 적층장치.
KR20-2005-0019704U 2005-07-06 2005-07-06 완성통발 적층장치 KR200396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704U KR200396309Y1 (ko) 2005-07-06 2005-07-06 완성통발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704U KR200396309Y1 (ko) 2005-07-06 2005-07-06 완성통발 적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09Y1 true KR200396309Y1 (ko) 2005-09-20

Family

ID=4369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704U KR200396309Y1 (ko) 2005-07-06 2005-07-06 완성통발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263B1 (ko) * 2015-12-31 2018-04-06 (주) 파이엘테크 폐축전지 절단 장치
KR102270177B1 (ko) * 2020-12-28 2021-06-28 유한회사 우진통발 통발의 프레임 커버 체결방법
KR102270172B1 (ko) * 2020-10-29 2021-06-28 유한회사 우진통발 통발의 프레임 커버 체결장치
CN114290537A (zh) * 2022-01-28 2022-04-08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化的网络优化系统安装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263B1 (ko) * 2015-12-31 2018-04-06 (주) 파이엘테크 폐축전지 절단 장치
KR102270172B1 (ko) * 2020-10-29 2021-06-28 유한회사 우진통발 통발의 프레임 커버 체결장치
KR102270177B1 (ko) * 2020-12-28 2021-06-28 유한회사 우진통발 통발의 프레임 커버 체결방법
CN114290537A (zh) * 2022-01-28 2022-04-08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化的网络优化系统安装装置
CN114290537B (zh) * 2022-01-28 2023-11-24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化的网络优化系统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1078A (zh) 一种码垛搬运机器人用的复合夹具
CN102171412B (zh) 用防护网衬砌隧道壁或隧道顶的方法和设备
CN106809432A (zh) 码垛机构
KR200396309Y1 (ko) 완성통발 적층장치
CN112441310A (zh) 一种便于装卸的彩钢板加工用钢卷固定装置
CN207329795U (zh) 一种码垛搬运机器人用的复合夹具
CN211392990U (zh) 一种码垛装置
CN103084762A (zh) 自卸车箱板机器人焊接机
CN104692019B (zh) 一种液体桶搬运装置
CN109132563A (zh) 一种旋切机的卸料装置
CN209758956U (zh) 防水卷材运输叠放装置
JP2899146B2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CN203612665U (zh) 一种自动卸砖码垛机
CN205330692U (zh) 省力式隧道施工搬运设备
JPH08174281A (ja) 大型鋼構造物の製作装置に使用する補強材の取出し押付け機構
JP4533952B2 (ja) 放射性廃棄物収納容器の把持装置
CN216370932U (zh) 一种辊轴抓举自动装配装置
CN219730446U (zh) 一种绞车维修升降平台
JP2007168946A (ja) 電動揚重装置
CN216037396U (zh) 一种适用于不同行业的自动码垛用机械手
CN216866612U (zh) 修井装置
CN209903531U (zh) 模台码垛机
CN220299760U (zh) 一种多边码垛机
CN218403471U (zh) 一种材料起吊装置
JP6423101B2 (ja) モバイルデッキ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