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200Y1 - 얼음용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얼음용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00Y1
KR200395200Y1 KR20-2005-0018377U KR20050018377U KR200395200Y1 KR 200395200 Y1 KR200395200 Y1 KR 200395200Y1 KR 20050018377 U KR20050018377 U KR 20050018377U KR 200395200 Y1 KR200395200 Y1 KR 200395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ice
chuck
fram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준
Original Assignee
안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준 filed Critical 안종준
Priority to KR20-2005-0018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된 주축과 함께 회전하며 얼음을 척킹하는 척과; 척에 척킹된 얼음을 절삭하는 커터와, 커터를 지지하는 커터지지부를 갖는 커터유니트와; 커터유니트가 착탈되며, 얼음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얼음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얼음용기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 VESSEL}
본 고안은,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는 용기는 유리재질, 금속재질, 사기 등으로 제조되며, 그에 따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설거지 및 건조 등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팥빙수, 아이스크림, 냉면, 생선회 등과 같이 저온 상태의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의 경우, 용기가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의 신선도가 저하되어 음식물 고유의 맛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래에는 생선회, 냉면, 팥빙수, 아이스크림 들과 같이 시원하게 먹는 음식이나 신선도 및 고유의 맛을 높이는 화채 및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로서 얼음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얼음용기는 내부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일정한 모양의 공간부를 갖는 금형을 마련하고, 금형의 공간부에 정량의 물을 충진시킨 후, 금형을 급속 냉각 제조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얼음용기는 금형에 따라 획일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원하는 형상 및 크기로 제조할 수 없어, 용기의 디자인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얼음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얼음용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주축과 함께 회전하며 얼음을 척킹하는 척과; 상기 척에 척킹된 얼음을 절삭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지지하는 커터지지부를 갖는 커터유니트와; 상기 커터유니트가 착탈되며, 상기 얼음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척에는 다수의 침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얼음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척에는 상기 침을 가열하는 발열체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침을 일정시간 가열한 후 상기 침에 얼음을 고정시켜 상기 얼음은 상기 척에 견고하게 척킹된다.
상기 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얼음과 척 사이에 열전달이 저감되어 절삭되는 얼음이 급속하게 녹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터유니트는, 상기 척에 척킹된 얼음을 절삭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가 키이 결합되며, 상기 커터를 지지하는 커터지지부와; 상기 커터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착탈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의 외주면에는 침형상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터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커터의 돌기부가 상기 얼음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커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척을 향하는 상기 커터지지부의 판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을 절삭하는 보조커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터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얼음과 커터지지부 사이에 열전달이 저감되어 절삭되는 얼음이 급속하게 녹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얼음의 절삭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절삭되는 얼음 가루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 얼음이 녹은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장치의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1)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에 설치된 주축(15)과 함께 회전하며 얼음(W)을 척킹하는 척(21)과, 척(21)에 대향 배치되어 척(21)에 척킹된 얼음(W)을 절삭하는 커터유니트(31)와, 커터유니트(31)가 착탈되며 척(2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지지프레임(61)을 가진다.
프레임(11)의 전면 일측에는 척(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축(15)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주축(15)은 모터(17)와 연결되어 모터(1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프레임(11)의 하부에는 프레임(11)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용 바퀴(19)가 구비되어 있다.
척(21)은 프레임(11)에 마련된 주축(15)과 연결되어 회전한다. 척(21)은 원반형상을 가지며, 열전달계수가 적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얼음(W)과 척(21) 사이에 열전달이 저감되어 절삭되는 얼음(W)이 급속하게 녹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척(21)의 일측 판면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침(2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척(21)의 침(25)의 하부영역에는 침(25)을 가열하는 발열체(27)로서 히터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척(21)에 얼음(W)을 척킹하기 전에 발열체(27)를 작동하여 침(25)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가열된 침(25)에 얼음(W)을 고정시킴으로써, 얼음(W)은 척(21)에 견고하게 척킹된다.
커터유니트(31)는 척(21)의 상방에 배치되어, 도시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척(21)에 접근 및 이격한다. 커터유니트(31)는 척(21)에 척킹된 얼음(W)을 절삭하는 커터(33)와, 커터(33)를 지지하는 커터지지부(45)와, 커터(33)를 지지프레임(61)에 착탈하는 클램프(55)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터(33)는 용기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커터단(35)과, 커터단(35)의 일측으로부터 길이 연장된 연장단(39)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단면형상의 커터단(35)이 도시되어 있지만, 커터단(35)은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터단(35)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절삭되는 얼음(W)은 커터단(35)의 홈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된다. 커터단(35)의 중심축선상의 단부에는 침형상의 돌기부(3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37)는 커터(33)가 절삭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얼음(W)을 센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돌기부(37)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연장단(39)은 봉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키이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키이홈(41)에는 커터(33)와 커터지지부(45)를 결합하기 위한 키이(43)가 수용된다.
커터지지부(45)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커터지지부(45)의 중앙영역에는 커터(33)의 연장단(39)이 관통 결합되는 보스(47)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47)의 내주 일측에는 커터(33)의 연장단(39)과 키이 결합되는 키이홈(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터지지부(45)는 열전달계수가 적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얼음(W)과 커터지지부(45) 사이에 열전달이 저감되어 절삭되는 얼음(W)이 급속하게 녹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33)와 커터지지부(45)를 키이 결합함으로써, 커터(33)와 커터지지부(45) 사이의 간격을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커터지지부(45)의 직경은 커터(33)의 커터단(35)의 직경보다 크게 하므로써, 커터(33)에 의해 절삭된 얼음(W)의 가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척(21)을 향하는 커터지지부(45)의 판면에는 절삭되는 얼음용기의 상부면을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도록 보조커터(5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커터(5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클램프(55)는 중공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클램프(55)의 일단부에는 커터(33)의 연장단(39)이 수용되고, 타단부에는 지지프레임(61)이 수용되며, 연장단(39) 및 지지프레임(61)은 세팅볼트(57)에 의해 각각 클램프(55)에 지지된다. 또한, 클램프(55)의 내측에는 커터(33)의 돌기부(37)가 얼음(W)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커터(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9)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59)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은 도시 않은 이송수단에 의해 프레임(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지지프레임(61)은 이송수단의 승강작동에 의해 척(2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1)는 얼음(W)의 절삭영역에 마련되어 절삭되는 얼음(W) 가루의 비산을 방지하는 커버(65)와, 프레임(11)의 안착부(17)에 형성되어 안착부(17) 상에 얼음(W)이 녹은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67)를 더 가진다.
커버(65)는 척(21)과 얼음(W)과 커터유니트(31)를 둘러싸도록 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61)에 벨크로천(66)에 의해 착탈되어, 장치(1)의 절삭영역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커버(65)는 지지프레임(61)의 승강에 대응하여 주름진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구(67)의 말단부에는 호스(69)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절삭에 의해 분쇄되어 비산하는 얼음(W) 가루가 프레임(11)의 주변으로 유출되지 않아, 장치(1)의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척(21)에 마련된 발열체(27)를 일정 시간 작동하여 침(25)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다음, 가공하고자 하는 얼음(W)을 척(21)의 가열된 침(25)에 안착시켜, 얼음(W)과 척(21)을 견고하게 척킹한다.
그리고, 척(21)을 회전시켜 척(21)에 척킹된 얼음(W)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지지프레임(61)이 척(21)과 접근하도록 하강시키고, 이에 커터유니트(31)의 커터(33) 및 보조커터(51)는 회전하는 얼음(W)에 접촉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얼음(W)을 절삭한다. 이 때, 커터(33)에 의해 절삭된 얼음(W) 가루는 커터지지부(45)에 의해 외부로 비산하지 않으며 절삭 영역에 남게 된다. 한편, 커터(33)에 의해 절삭된 얼음가루는 팥빙수 등과 같은 재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척에 얼음을 척킹하여 회전시키고 커터를 얼음에 접근시키며 얼음을 절삭함으로써, 얼음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커터를 교체하며 가공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얼음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터유니트(31)를 척(21)의 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얼음(W)의 측면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삭할 수도 있다.
또한, 커터유니트(31)를 얼음(W)의 상방과 얼음(W)의 측면에 각각 배치하여, 얼음(W)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61)에 모터를 설치하여, 커터유니트(3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얼음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얼음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용기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얼음용기 제조장치 11 : 프레임
21 : 척 25 : 침
27 : 발열체 31 : 커터유니트
33 : 커터 37 : 돌기부
43 : 키이 45 : 커터지지부
51 : 보조커터 55 : 클램프
59 : 스프링 61 : 지지프레임
65 : 커버 67 : 배수구
W : 얼음

Claims (6)

  1. 얼음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주축과 함께 회전하며 얼음을 고정시키는 금속재질의 다수의 침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얼음을 척킹하는 척과;
    상기 척에 척킹된 얼음을 절삭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지지하는 커터지지부를 갖는 커터유니트와;
    상기 커터유니트가 착탈되며, 상기 얼음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유니트는,
    상기 척에 척킹된 얼음을 절삭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와 키이 결합되며, 상기 커터를 지지하는 커터지지부와;
    상기 커터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착탈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외주면에는 침형상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터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커터의 돌기부가 상기 얼음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커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척을 향하는 상기 커터지지부의 판면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을 절삭하는 보조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의 절삭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절삭되는 얼음 가루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 얼음이 녹은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용기 제조장치.
KR20-2005-0018377U 2005-06-24 2005-06-24 얼음용기 제조장치 KR200395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77U KR200395200Y1 (ko) 2005-06-24 2005-06-24 얼음용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77U KR200395200Y1 (ko) 2005-06-24 2005-06-24 얼음용기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267A Division KR20050079974A (ko) 2005-06-24 2005-06-24 얼음용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00Y1 true KR200395200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377U KR200395200Y1 (ko) 2005-06-24 2005-06-24 얼음용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9484B2 (ja) 多用途の家庭用自動調理器の種類に属する、回転作業機構の支承手段を備えた食品調理用家電装置
CN101686766B (zh) 用于调匀乳基液体的器具
CA2440032A1 (en) Rapid fluid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method
KR20190091256A (ko) 제어된 액체 식품 또는 음료 제품 생산을 위한 시스템
CA2848279C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fruit juice and a corresponding container
KR200395200Y1 (ko) 얼음용기 제조장치
JP2019126381A (ja) 飲食用具用乾燥機
KR20050079974A (ko) 얼음용기 제조장치
KR200387509Y1 (ko) 병 절단장치
JP2010094179A (ja) 飲料水保存装置、並びにその外側タンクおよび内側タンクの製造方法
WO20220985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ice
CN103431823A (zh) 一种餐具洗涤机
CN215506891U (zh) 一种精米机传动连接结构
KR200319476Y1 (ko) 일회용 조리용기 제조장치
KR101757271B1 (ko) 커피 그라인딩 장치
CN214712102U (zh) 一种可拆式内胆暖奶器
JP4898515B2 (ja) 給茶機、飲料用供給機及び給茶機の洗浄方法
CN215457120U (zh) 一种饮料降温杯
KR20060018141A (ko) 제빙장치
KR200339443Y1 (ko) 두유제조기
CN215457321U (zh) 一种带有可制冷和可保鲜牛奶功能的咖啡一体机
US20240125533A1 (en) Ice production insert
CN114916831B (zh) 炒菜装置、炒菜装置的洗锅方法以及炒菜机
JP4518713B2 (ja) 飲料供給装置
CN116372715A (zh) 一种不锈钢杯口磨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