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935Y1 -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935Y1
KR200393935Y1 KR20-2005-0009246U KR20050009246U KR200393935Y1 KR 200393935 Y1 KR200393935 Y1 KR 200393935Y1 KR 20050009246 U KR20050009246 U KR 20050009246U KR 200393935 Y1 KR200393935 Y1 KR 200393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ame
base
lever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전호
Original Assignee
차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전호 filed Critical 차전호
Priority to KR20-2005-0009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63F2007/341Ball collecting devices or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버턴을 작동시킴으로서 게임에 필요한 볼의 공급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볼 공급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여 게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증대시키도록 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기에 편하도록 프레임(31)으로 유지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판상의 작동보드(32)와; 상기 작동보드(32)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게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조작버턴(33)과; 상기 작동보드(32)에 볼(34)이 불규칙적으로 자유낙하하여 하방에 구획된 볼유입구로 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도핀을 다층으로 구비하는 게임수단과; 상기 작동보드(32)의 일측방에 게임에 필요한 볼을 공급하기 위한 볼 공급장치(35)를 구비하는 구성의 오락기(30)에 있어서;
상기 볼 공급장치(35)는 작동보드(32)에 형성되는 볼가이드(36)의 하단에 고정수단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7)와;
상기 베이스(37)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38)와;
상기 베이스(37)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모터(38)의 축에 장착되는 더블캠(40)과;
상기 더블캠(40)의 하방에 힌지핀(42)으로 고정되어 더블캠(40)에 의하여 이격되는 작동레버(41)와;
상기 작동레버(41)의 힌지핀(42) 상측에 작동레버(41)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베이스(37)와 연결하는 스프링(43)과;
상기 작동레버(41)의 하단부(48)가 위치하는 베이스(37)의 하방에 구비하여 작동레버(41)복귀시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패드(49)와;
상기 완충패드(49) 대향측 베이스(37)에 구비되어 작동레버(41)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A device of supply for game machine}
본 고안은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오락기에 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한 볼 공급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공급타입 오락기는 볼(또는 코인, 이하 볼이라 한다.)을 공급하여 직선 및 대각선 방향으로 숫자나 그림등을 일치시는 형태의 빙고게임기와, 슬롯머신이나 핀볼(일명 빠찡고)등 다양한 종류의 오락기가 있다.
이러한 오락기에서는 게임을 위하여서는 볼을 공급하여 특정한 구역에 볼이 삽입되도록 하거나, 볼이 불규칙적으로 자유낙하 한 후 특정한 지역을 경유함으로서 볼이 삽입되거나 경유한 상태에 따라 점수 등을 통하여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게임기에 볼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볼 공급장치(1)는 작동판의 일측에 작동판의 상부까지 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당한 길이로 볼가이드(2)를 구비하고, 상기 볼가이드(2)의 하방 일측에는 작동판을 경우한 볼이 집합되는 볼상자로 부터 공급할 볼(3)을 순차적으로 공급받도록 한다.
상기 볼가이드(2)의 하방에는 공급된 볼(3)을 타격에 의하여 작동판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격기(5)를 구비하고, 상기 상기 타격기(5)는 후방에 손잡이(6)를 가지는 타격바(7)에 타격력을 높이기 위한 스프링(8)을 개재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게임을 하고자 할 경우마다 타격바를 당긴 후 놓아야 하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게임시간이 길지 않을 경우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사용에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그리고, 게임시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타격바를 당기는 쪽의 팔과 어깨에 상당한 피로감을 주게됨으로서 게임과정에서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쉽게 게임에 대하여 식상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버턴을 작동시킴으로서 게임에 필요한 볼의 공급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볼 공급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여 게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 사용자들의 게임 편익성을 높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인 볼 공급장치가 적용된 오락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오락기(30)는 사용자가 보기에 편하도록 프레임(31)으로 유지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판상의 작동보드(32)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보드(32)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게임을 위한 조작버턴(33)이 다수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작동보드(32)에는 볼(34)이 불규칙적으로 자유낙하하여 하방에 구획된 볼유입구로 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도핀을 다층으로 고정한 게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보드(32)의 일측방에는 게임에 필요한 볼을 작동보드(32)로 공급하기 위한 볼 공급장치(3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볼 공급장치(35)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조작버턴(33)의 조작만으로 볼(34)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게임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 공급장치(35)는 작동보드(32)에 형성되는 볼가이드(36)의 하단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37)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37)의 배면 상측에는 모터(38)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37)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모터(38)의 축에는 개략 S형상의 더블캠(40)을 장착하고, 상기 더블캠(40)의 하방에는 작동레버(41)를 회동가능하게 힌지핀(42)으로 고정하여 더블캠(40)에 의하여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레버(41)의 힌지핀(42) 상측에는 베이스(37)와 스프링(43)으로 연결하여 이격된 작동레버(41)를 당기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레버(41)는 긴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레버바(44)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바(44)의 상단부에는 볼가이드(36)방향으로 절곡시킨 타격팁(45)을 돌출시킨다.
상기 타격팁(45)에는 볼(34)의 마모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계열의 완충재(46)로 마감하고, 상기 타격팁(45)의 하방에는 더블캠(40)과 연접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자유회전하는 캠연접구(47)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레버(41)의 하단부(48)가 위치하는 베이스(37)의 하방에는 작동레버(41)복귀시 소음이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계열의 완충패드(49)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완충패드(49) 대향측의 베이스(37)에는 작동레버(41)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5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오락기(30)에 구비되는 조작버턴(33) 중 볼 공급장치(35)를 작동시키는 버턴을 눌러줌으로서 콘트롤러(미도시)를 통하여 모터(38)를 작동시켜 더블캠(40)을 1/2회전 시킨다.
그러면, 더블캠(40)이 회전하면서 작동레버(41)에 구비되는 캠연접구(47)를 상사점(P)으로 최대한 이격시킨 후 하사점(P1)으로 이동함으로서 타격팁(45)은 볼가이드(36)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스프링(43)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볼가이드(36)에 위치한 볼(34)을 타격하게 된다.
그러므로 볼(34)은 볼가이드(36)를 통하여 작동보드(32)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볼(34)을 작동보드(32)로 공급하여 게임이 가능하도록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볼(34)의 공급은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당겨서 놓음으로서 타격하게 되는 타입이 아니고, 오락기(30)에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턴(33)만 가변게 조작(눌러)하여 줌으로서 모터(38)에 의하여 회전하는 더블캠(40)과 상기 더블캠(40)에 의하여 이격되고 스프링(43)에 의하여 복귀되는 작동레버(41)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작동레버(41)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타격팁(45)에 더 구비되는 완충재(46)에 의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볼(3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37)의 하방에 구비되는 완충패드(49)에 의하여 충격력이나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볼(34)의 공급을 별도의 볼 공급장치(35)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사용자가 볼(32)을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시켜야 하는 부담이 없어짐으로서 피로도가 없어져 오락(게임)에 집중할 수 있게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버턴을 작동시킴으로서 게임에 필요한 볼의 공급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볼 공급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여 게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 사용자들의 게임 편익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인 볼 공급장치가 적용된 오락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오락기
35; 볼 공급장치
37; 베이스
38; 모터
40; 더블캠
41; 작동레버
45; 타격팁
46; 완충재
49; 완충패드
50; 센서

Claims (2)

  1. 사용자가 보기에 편하도록 프레임(31)으로 유지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판상의 작동보드(32)와;
    상기 작동보드(32)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게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조작버턴(33)과;
    상기 작동보드(32)에 볼(34)이 불규칙적으로 자유낙하하여 하방에 구획된 볼유입구로 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도핀을 다층으로 구비하는 게임수단과;
    상기 작동보드(32)의 일측방에 게임에 필요한 볼을 공급하기 위한 볼 공급장치(35)를 구비하는 구성의 오락기(30)에 있어서;
    상기 볼 공급장치(35)는 작동보드(32)에 형성되는 볼가이드(36)의 하단에 고정수단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7)와;
    상기 베이스(37)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는 모터(38)와;
    상기 베이스(37)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모터(38)의 축에 장착되는 더블캠(40)과;
    상기 더블캠(40)의 하방에 힌지핀(42)으로 고정되어 더블캠(40)에 의하여 이격되는 작동레버(41)와;
    상기 작동레버(41)의 힌지핀(42) 상측에 작동레버(41)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베이스(37)와 연결하는 스프링(43)과;
    상기 작동레버(41)의 하단부(48)가 위치하는 베이스(37)의 하방에 구비하여 작동레버(41)복귀시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패드(49)와;
    상기 완충패드(49) 대향측 베이스(37)에 구비되어 작동레버(41)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41)는 긴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레버바(44)와;
    상기 레버바(44)의 상단부에 볼가이드(36)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하는 타격팁(45)과;
    상기 타격팁(45)에 마감되어 볼(34)의 마모와 변형을 방지하는 완충재(46)와;
    상기 타격팁(45)의 하방에 구비되어 더블캠(40)과 연접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자유회전하는 캠연접구(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KR20-2005-0009246U 2005-04-04 2005-04-04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KR200393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46U KR200393935Y1 (ko) 2005-04-04 2005-04-04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46U KR200393935Y1 (ko) 2005-04-04 2005-04-04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935Y1 true KR200393935Y1 (ko) 2005-08-30

Family

ID=4369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246U KR200393935Y1 (ko) 2005-04-04 2005-04-04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323A (ko) * 2019-11-21 2021-05-31 (주)아카데미과학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323A (ko) * 2019-11-21 2021-05-31 (주)아카데미과학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KR102278096B1 (ko) 2019-11-21 2021-07-15 (주)아카데미과학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9009B2 (ja) 遊技機
JP2009178279A (ja) 弾球遊技機
JP2009195340A (ja) 装飾体ユニット、遊技盤、及びパチンコ遊技機
KR200393935Y1 (ko)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JP3927059B2 (ja) 遊技機
JP2008220878A (ja) 弾球遊技機
CN112233497B (zh) 一种钢琴弹奏指力练习装置
JP4785758B2 (ja) 可動入賞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JPH10155976A (ja) パチンコゲーム機
JP4890634B2 (ja) 遊技機
JP4073972B2 (ja) パチンコ機
JP2004129793A (ja) 遊技機
JP4417309B2 (ja) 遊技機
JP2006280651A (ja) 弾球遊技機
JP4890635B2 (ja) 遊技機
CN108635831B (zh) 一种游戏执行装置、游戏机及其游戏控制方法
JP2003320084A (ja) 操作器およびゲーム装置
KR200210230Y1 (ko) 오락용 펀치 기계
KR200235676Y1 (ko)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동조작장치
KR200298932Y1 (ko) 메달 푸셔 게임기의 메달 인식장치
KR20030024524A (ko) 스트레스 해소용 오락기기
JP5073613B2 (ja) プッシャゲーム機
JP2007089968A (ja) 弾球遊技機のハンドル機構
JP4963045B2 (ja) 雀球遊技機
KR20000017741A (ko) 축구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