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096B1 -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 Google Patents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096B1
KR102278096B1 KR1020190150396A KR20190150396A KR102278096B1 KR 102278096 B1 KR102278096 B1 KR 102278096B1 KR 1020190150396 A KR1020190150396 A KR 1020190150396A KR 20190150396 A KR20190150396 A KR 20190150396A KR 102278096 B1 KR102278096 B1 KR 10227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ing
game ball
game
lift membe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323A (ko
Inventor
김명관
Original Assignee
(주)아카데미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카데미과학 filed Critical (주)아카데미과학
Priority to KR102019015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28Board games simulating indoor or outdoor sporting games, e.g. bowling, basketball, boxing, croquet, athletics, jeu de boules, darts, snooker, rodeo
    • A63F3/00031Baseball or cricket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08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72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with play figures fixed to a rotatable and longitudinally movab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40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 A63F7/2472Projecting devices with actuating mechanisms, e.g. triggers, not being connected to the playfiel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28Board games simulating indoor or outdoor sporting games, e.g. bowling, basketball, boxing, croquet, athletics, jeu de boules, darts, snooker, rodeo
    • A63F3/00031Baseball or cricket board games
    • A63F2003/00034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63F2007/345Ball return mechanisms; Ball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볼의 별도 수거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반송부와 장전부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게임볼을 발사지점으로 귀환시키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게임볼을 일일이 손으로 잡아 옮기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시키고, 게임볼의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게임 집중도를 상승시키고 원활한 게임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구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Ball circulation type baseball game device}
본 발명은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사된 게임볼을 원터치 조작으로 발사지점을 향해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야구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는 9명으로 편을 이룬 두 팀이 9회에 걸쳐 서로 공격과 수비를 9회까지 번갈아 하여 거기서 얻은 득점으로 승패를 겨루는 구기 스포츠로서, 공격측은 타순에 따라 상대 투수의 공을 치고 1·2·3루 베이스를 거쳐 홈 베이스로 돌아오면 점수를 얻게 된다.
현재 이러한 야구에 관련된 게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특히 카드 또는 주사위를 활용한 야구 게임은 타자가 주사위를 던져서 루타를 정하거나, 주사위를 던져서 보드에 미리 정해진 여러 가지 상황이 선택되도록 하는 진부한 방식으로서 게임에서 공격자 또는 수비자가 실제 야구와 같은 흥미를 느끼지 못할 뿐만이 아니라 야구게임 자체가 지루하게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 투수를 각각 조작할 수 있는 조이스틱을 제공함과 아울러 실제 야구장과 유사한 게임 환경을 제공하여 야구의 흥미와 재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야구 게임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야구장의 필드 이미지 구조를 형성한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타석 위치에 세워지는 공격용 피규어가 게임볼을 타격할 수 있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타격조작수단;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마운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게임볼이 타석 쪽을 향해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사지점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투구가이드부재; 상기 타격조작수단과 마주보는 외야쪽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투구가이드부재의 발사지점에 위치한 게임볼을 타격하여 발사시키는 투구발사체; 및 상기 투구발사체 일측에 설치되며 타석을 향해 발사되는 게임볼의 높낮이 및 속도를 조작할 수 있는 투구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투구발사체에 의해 게임볼의 투구가 이루어지면 이를 다시 회수하기 위한 수단의 부재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게임볼을 플레이트 본체에서 회수한 뒤 투구발사체에 재장전하기 위한 과정을 반드시 필요로 했다.
더욱이, 게임볼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사용자의 손으로 취급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게임볼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게임볼을 놓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게임볼을 수작업으로 회수하는 과정은 게임의 긴장도와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에서 게임볼을 신속하게 수거하지 않게 되면 게임 진행에 불필요한 게임볼들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가 어지럽혀져 게임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816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게임볼의 별도 수거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반송부와 장전부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게임볼을 발사지점으로 귀환시키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게임볼을 일일이 손으로 잡아 옮기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시키고, 게임볼의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게임 집중도를 상승시키고 원활한 게임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구 게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게임볼이 타석 쪽을 향해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사지점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투구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투구가이드부재와 마주보는 타석 쪽에 타격피규어가 설치되고 상기 타격피규어의 일측으로 타격피규어를 통과한 게임볼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외곽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투구조작측과 타구조작측이 각각 형성되는 필드보드; 상기 필드보드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수납홈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반송로가 형성되는 하부커버; 일부가 투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구가이드부재로 안내된 게임볼을 타석 방향으로 발사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투구부; 일부가 타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피규어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타격부; 일부가 타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수납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홈과 반송로를 연통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져 수납홈에 수납된 게임볼을 반송로로 공급하는 반송부; 및 일부가 투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송로의 출구단으로 자유낙하한 게임볼을 상승시켜 투구가이드부재로 공급하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장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수납홈의 하면을 구성하며 일단은 반송회동축을 매개로 수납홈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반송로의 입구단을 개폐하도록 반송로에 인접한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판; 상기 하판에서부터 타구조작측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조작레버; 및 상기 누름조작레버의 누름조작에 의해 회동된 하판의 타단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누름조작레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장전부는, 일단은 장전회동축을 매개로 하부커버에 장착되며 타단은 반송로의 출구단을 향해 연장되는 리프트부재; 및 일단에는 장전조작레버가 투구조작측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리프트부재의 하부를 향해 접촉되는 작동캠이 형성되어 전, 후 이동에 따라 리프트부재를 회동시켜 리프트부재의 타단에 안착된 게임볼을 상승시키는 장전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재에는 상기 작동캠이 수용되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일정 각도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작동캠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반송로는 입구단에서 출구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출구단에는 리프트부재의 타단 부위가 삽입되도록 안착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리프트부재의 타단 부위가 안착공간에 삽입되면 반송로의 바닥과 리프트부재의 상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구부는, 일단에는 투구조작레버가 투구조작측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타단에는 발사지점을 향해 발사돌기가 돌출되어 전, 후 이동에 따라 투구가이드부재에서 안내된 게임볼을 발사시키는 투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투구부와 연동설치되어 투구부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투구로드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보조조작레버가 타구조작측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투구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게임볼의 별도 수거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반송부와 장전부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게임볼을 발사지점으로 귀환시키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게임볼을 일일이 손으로 잡아 옮기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시키고, 게임볼의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게임 집중도를 상승시키고 원활한 게임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가 타구조작측에서 타격부와 투구부를 모두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반드시 둘 이상의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한 명의 사용자가 투구부와 타격부를 무리 없이 동시 조작해 야구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한 명의 사용자가 타격부의 집중 조작 연습 위해, 투구부와 타격부를 동시 조작하는 등 폭넓은 활용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필드보드와 하부커버의 분해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야구 게임기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투구부, 타격부, 반송부, 장전부 및 투구보조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반송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반송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장전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도시한 도면.
도 8은 장전부의 설치지점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장전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투구가이드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1은 투구부와 투구보조부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투구보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하부커버에 설치된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게임볼이 수납된 아웃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중계조작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크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볼(B)이 타석 쪽을 향해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사지점(112)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투구가이드부재(110)가 형성되며 투구가이드부재(110)와 마주보는 타석 쪽에 타격피규어(P1)가 설치되고 상기 타격피규어(P1)의 일측으로 타격피규어(P1)를 통과한 게임볼(B)이 수납되는 수납홈(120)이 형성되며, 외곽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투구조작측(S1)과 타구조작측(S2)이 각각 형성되는 필드보드(100), 상기 필드보드(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수납홈(120)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반송로(210)가 형성되는 하부커버(200), 일부가 투구조작측(S1)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구가이드부재(110)로 안내된 게임볼(B)을 타석 방향으로 발사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투구부(300), 일부가 타구조작측(S2)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피규어(P1)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타격부(400), 일부가 타구조작측(S1)으로 노출되도록 수납홈(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홈(120)과 반송로(210)를 연통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져 수납홈(120)에 수납된 게임볼(B)을 반송로(210)로 공급하는 반송부(500) 및 일부가 투구조작측(S2)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으로 자유낙하한 게임볼(B)을 상승시켜 투구가이드부재(110)로 공급하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장전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필드보드(100)는 실제 야구장의 필드 이미지 구조를 형성한 구조물로서, 표면에는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게임공간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게임공간부(130)의 테두리 둘레에는 관중석(140)이 형성된다.
필드보드(100)에는 1루·2루·3루·홈베이스의 4개 베이스(Base)가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외야·파울그라운드 등이 형성되어 있다.
관중석(140)은 야구 게임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게임볼(B)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드보드(10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드보드(100)에는 수비수의 포지션별 위치마다 아웃카운트를 규정하기 위한 아웃홀(150)이 형성되고 수비수 포지션별 위치에는 입체 형상의 수비용 피규어(P2)가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비용 피규어(P2)의 결합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복수 이상의 위치조절공(1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 이상의 위치조절공(151)에 의해 사용자는 수비용 피규어(P2)의 수비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설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필드보드(100)의 타석쪽에는 야구방망이를 형성한 타격피규어(P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필드보드(100)의 1루 베이스의 파울라인 바같쪽에는 볼카운트 상황을 유용하게 조작 및 파악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작하는 볼카운트 상황부재(160)가 형성된다. 상기 볼카운트 상황부재(160)는 아웃, 스트라이크, 볼에 대한 각각의 카운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3개의 슬라이드블록(161)이 설치된다.
아울러, 필드보드(100)의 3루 베이스의 파울라인 바같쪽에는 타격피규어(P1)들이 대기할 수 있는 덕아웃(170)이 형성된다.
또한, 필드보드(100)의 외야 관중석(140)에는 이닝별 점수를 표시함과 동시에 후술될 투구부(300)의 조작 여부를 공격측 사용자가 쉽게 예측할 수 없도록 가림막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조작부(900) 구조물이 설치된다.
투구부(300)는 타격부(400)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 투구가이드부재(110)의 발사지점(112)에 위치한 게임볼(B)을 타격하여 발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투구부(300)는, 일단에는 투구조작레버(310)가 투구조작측(S1)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타단에는 발사지점(112)을 향해 발사돌기(321)가 돌출되어 전, 후 이동에 따라 투구가이드부재(110)에서 안내된 게임볼(B)을 발사시키는 투구로드(320) 및 투구로드(320)를 탄성지지하는 투구스프링(3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투구조작레버(310)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이에 따라 투구로드(320)가 필드보드(100)와 하부커버(200) 사이에서 후방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투구조작레버(310)를 놓게 되면 투구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투구로드(320) 자체가 전방으로 탄성이동되면서 발사돌기(321)가 게임볼(B)을 타석 방향으로 발사시키게 되는 원리이다.
투구부(300)에 의해 게임볼(B)이 발사되면, 공격측 사용자는 타격피규어(P1)를 회전구동시켜 타격피규어(P1)의 방망이가 발사된 게임볼(B)을 타격하도록 타격부(400)를 조작한다.
타격부(400)의 조작미스에 의한 타격피규어(P1)의 헛스윙이나, 볼카운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홈베이스를 통과한 게임볼(B)은 수납홈(120)에 수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 이렇게 수납홈(120)에 수납된 게임볼(B)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끌어올려 수비측 사용자에게 전달한다거나, 직접 투구가이드부재(110)에 투입시켜야 했는데, 게임볼(B)과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손으로 잡기가 쉽지 않았으며, 이 과정에서 게임의 진행 흐름이 끊겨 긴장도가 반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공격측 사용자가 반송부(500)를 조작하고, 이어서 수비측 사용자가 장전부(600)를 조작하게 되면 수납홈(120)에 수납된 게임볼(B)을 원터치 조작만으로 다시 투구가이드부재(110)측으로 귀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반송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홈(120)의 하면을 구성하며 일단은 반송회동축(510)을 매개로 수납홈(1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반송로(210)의 입구단(211)을 개폐하도록 반송로(210)에 인접한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판(520), 상기 하판(520)에서부터 타구조작측(S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조작레버(530) 및 상기 누름조작레버(530)의 누름조작에 의해 회동된 하판(520)의 타단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누름조작레버(530)와 하부커버(2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원부재(5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수납홈(120)에 게임볼(B)이 수납되면 공격측 사용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구조작측(S2)으로 노출된 누름조작레버(530)를 가압해 하판(520)을 경사이동시키고, 하판(520)이 경사이동됨에 따라 반송로(210)의 입구단(211)이 개방되면 게임볼(B)이 경사이동된 하판(520)을 따라 반송로(210)로 유입된다.
반송로(210)로 유입된 게임볼(B)은 반송로(210)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에 안착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조작레버(530)의 가압을 해제시키면 복원부재(540)에 의해 하판(520)의 위치가 원상복귀되면서 반송로(210)가 패쇄된다.
다음으로, 장전부(600)는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에 안착된 게임볼(B)을 상승시켜 투구가이드부재(110)로 귀환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부분으로, 수비측 사용자에 의해 주로 조작이 이루어진다.
장전부(60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장전회동축(611)을 매개로 하부커버(200)에 장착되며 타단은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을 향해 연장되는 리프트부재(610), 일단에는 장전조작레버(621)가 투구조작측(S1)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리프트부재(610)의 하부를 향해 접촉되는 작동캠(622)이 형성되어 전, 후 이동에 따라 리프트부재(610)를 회동시켜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 안착된 게임볼(B)을 상승시키는 장전로드(620) 및 상기 장전로드(620)를 탄성지지하는 장전스프링(6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장전로드(620)는 전술한 투구로드(3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긴 막대형태의 부재로 전, 후 방향 이동에 따라 리프트부재(610)를 회동운동 시킨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으로 삽입된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 게임볼(B)이 안착된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로드(620)를 후방(도 9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견인하면 리프트부재(610)와 접촉되어 있던 작동캠(622)이 후방으로 견인되면서 리프트부재(610)가 장전회동축(611)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이 호를 그리며 상승하게 된다.
이때,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는 게임볼(B)이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볼(B)이 리프트부재(610)에 의해 상승하여 필드보드(100)의 투구가이드부재(110)로 투입되는 것이다. 상승된 게임볼(B)의 투입을 위해 필드보드(100)에는 리프트부재(610) 직상방 위치에 투입공(111)이 관통될 수 있다.
한편, 리프트부재(610)에는 상기 작동캠(622)이 수용되는 작동홈(61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612)에는 일정 각도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613)이 형성되어 작동캠(622)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전로드(620)의 후방조작에 의해 작동캠(622)이 후방으로 당겨질 때 작동캠(622)과 경사면(613) 사이에 마찰저항을 줄여 장전로드(620)의 원활한 직선이동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즉, 수비측 사용자가 장전조작레버(621)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이에 따라 장전로드(620)가 필드보드(100)와 하부커버(200) 사이에서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캠(622)이 리프트부재(610)를 상승시켜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 안착된 게임볼(B)이 회전이동하여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공(111)을 통해 투구가이드부재(110)로 공급된다.
수비측 사용자가 후방으로 당겼던 장전조작레버(621)를 놓게 되면 장전스프링(6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장전로드(620) 자체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이와 동시에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이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을 향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반송로(210)는 게임볼(B)의 자유낙하가 가능해지도록 입구단(211)에서 출구단(212)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다.
그리고,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에는 리프트부재(610)의 타단 부위가 삽입되도록 안착공간(213)이 함몰 형성되며, 리프트부재(610)의 타단 부위가 안착공간(213)에 삽입되면 반송로(210)의 바닥과 리프트부재(610)의 상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안착공간(213)에 안착된 리프트부재(610)의 타단과 반송로(210)의 바닥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단차가 존재하게 될 경우 반송로(210)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게임볼(B)이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없으며, 복수의 게임볼(B)들이 반송로(210)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게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 안착되지 않게 되면 게임볼(B)의 정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리프트부재(610)의 타단에는 하나의 게임볼(B)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61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에는 반송로(210)의 출구단(212)으로 자유낙하한 게임볼(B)이 반송로(210)에서 유출되는 것을 막도록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가림막(214)이 형성되며 한 쌍의 가림막(214) 사이에서 리프트부재(610)가 회동된다.
투구가이드부재(110)에는 원활한 게임볼(B) 공급을 위해 복수의 게임볼(B)이 충전된 탄창부재(113)가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두 명의 사용자가 야구 게임기를 이용해 야구 게임을 진행할 경우 각각 투구조작측(S1)과 타구조작측(S2)에서 공,수를 번갈아 가며 게임을 진행하면 되나, 한 명의 사용자가 야구 게임기를 이용해 야구 게임을 진행할 경우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투구조작측(S1)과 타구조작측(S2)의 투구부(300)와 타격부(400)를 동시 조작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한 명의 사용자가 타구조작측(S2)에서 투구부(300)와 타격부(400) 모두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명의 사용자라 할지라도 무리 없이 야구 게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구부(300)와 연동설치되어 투구부(30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투구로드(320)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보조조작레버(710)가 타구조작측(S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투구보조부(700)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춘다.
일례로, 사용자가 타구조작측(S2)에서 투구보조부(700)를 도 12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투구로드(320)가 후방으로 견인되고, 투구보조부(70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구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투구로드(320) 자체가 전방으로 탄성이동되면서 발사돌기(321)가 게임볼(B)을 타석 방향으로 발사시키게 되는 원리이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타격부(400)를 조작하여 발사되는 게임볼(B)을 타격피규어(P1)로 타격시키는 조작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한 명의 사용자가 타구조작측(S2)에서 타격부(400)와 투구부(300)를 모두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반드시 둘 이상의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한 명의 사용자가 투구부(300)와 타격부(400)를 무리 없이 동시 조작해 야구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한 명의 사용자가 타격부(400)의 집중 조작 연습 위해, 투구부(300)와 타격부(400)를 동시 조작하는 등 폭넓은 활용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타격부(400)는 타석 위치에 세워지는 타격피규어(P1)가 게임볼(B)을 타격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구조작측(S2)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는 타격조작레버(410), 상기 타격조작레버(410)와 연결되며 하부커버(200)를 따라 타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레이트(420)와, 상기 연장플레이트(420)를 전후방향으로 탄성이동 가능하게 하는 타격스프링(430)과, 상기 연장플레이트(4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피규어(P1)가 결합되는 회전부재(440)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플레이트(420)와 회전부재(440)는 상호 나사치합 구조에 의해 회전작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타격조작레버(41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연장플레이트(420)가 후방으로 함께 이동하며, 이때, 상기 연장플레이트(4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가 상기 회전부재(440)를 간섭하여 상기 회전부재(440)를 약 180°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플레이트(420)가 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타격스프링(430)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잡고 있던 타격조작레버(410)를 놓으면 상기 타격스프링(43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연장플레이트(4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플레이트(4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재(440)를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440)에 결합된 타격피규어(P1)는 자연스럽게 타격 스윙 궤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필드보드(100)에는 상기 타격피규어(P1)에 의해 타격된 게임볼(B)이 수납되는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이 관통 형성된다.
아웃홀(150)은 수비수의 포지션별 위치마다 아웃카운트를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타격피규어(P1)에 의해 타격된 게임볼(B)이 아웃홀(150)로 수납되면, 해당 주자의 아웃카운트로 기록된다.
카운트홀(180)도 상기 아웃홀(150)과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타격피규어(P1)에 의해 타격된 게임볼(B)이 카운트홀(180)에 수납되면 해당 카운트홀(180)의 고유점수만큼 안타플레이가 가능해진다.
일례로, 무주자 상황에서 타격피규어(P1)에 의해 타격된 게임볼(B)이 고유점수가 1루타인 카운트홀(180)에 수납되면 타격피규어(P1)를 1루로 이동배치시키게 되고, 고유점수가 2루타인 카운트홀(180)에 수납되면 타격피규어(P1)를 2루로 이동배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게임 진행 방식은 실제 야구 경기의 진행 방식과 동일하다.
복수 개의 카운트홀(180)은 관중석(140) 주변 외야측에 배열되어 각각 고유점수를 부여받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아웃, 안타, 홈런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효과음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타격피규어(P1)에 의해 타격된 게임볼(B)이 아웃홀(150)에 수납될 경우 '아웃', 타격피규어(P1)에 의해 타격된 게임볼(B)이 카운트홀(180)에 수납될 경우 '안타'와 같은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상기 하부커버(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의 개방된 저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에 수납된 게임볼(B)과 접촉해 아웃감지신호와 카운트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800) 및 상기 감지부(800)에 의해 생성된 아웃감지신호와 카운트감지신호를 근거로 효과음을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점수를 기록해 출력하는 중계조작부(9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감지부(800)는 게임볼(B)이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홀에 수납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중계조작부(900)에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효과음이 출력된다.
먼저, 감지부(800)는 양전류가 흐르며 상기 아웃홀(150)의 저부를 가로지르는 제1 양극와이어(811) 및 음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1 양극와이어(8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음극와이어(812)를 포함하는 아웃감지부재(810), 양전류가 흐르며 상기 카운트홀(180)의 저부를 가로지르는 제2 양극와이어(821) 및 음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2 양극와이어(82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음극와이어(822)를 포함하는 카운트감지부재(820) 및 상기 아웃감지부재(810), 카운트감지부재(820) 및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8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2 양극와이어(811,821) 및 제1, 2 음극와이어(812,822)는 하부커버(200)에 형성된 지지브라켓(2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필드보드(100)에 형성된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을 경유하도록 배선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웃감지부재(810)와 카운트감지부재(8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보드(100)에 관통 형성되는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의 저면을 막도록 구성되어 게임볼(B)이 하부커버(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아웃감지부재(810)와 카운트감지부재(820)로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의 저면을 적절히 막아주지 못하였을 경우 아웃홀(150)과 카운트홀(180)에 삽입된 게임볼(B)이 하부커버(200)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아웃감지부재(810)는 타격피규어(P1)의 아웃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된 게임볼(B)이 아웃홀(150)에 수납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양극와이어(811)와 제1 음극와이어(812)에 게임볼(B)이 동시에 접촉되어 제1 양극와이어(811)와 제1 음극와이어(812)가 통전되고, 통전 전류가 다시 기판(830)으로 흘러 아웃감지신호로서 출력된다.
제1 양극와이어(811)와 제1 음극와이어(812)에는 각각 양극과 음극의 미세전류가 흐르고 있다가, 도체로 형성된 게임볼(B)이 제1 양극와이어(811)와 제1 음극와이어(812)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제1 양극와이어(811)와 제1 음극와이어(812)가 통전되면서 아웃감지신호가 생성되는 원리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운트감지부재(820)도 아웃감지부재(810)와 동일하게, 제2 양극와이어(821)와 제2 음극와이어(822)에 게임볼(B)이 동시에 접촉되면 상기 기판(830)으로 전류가 흘러 카운트감지신호가 생성되는 원리이다.
이렇게 생성된 아웃감지신호 및 카운트감지신호를 근거로 중계조작부(900)에서 '아웃' 또는 '안타' 등의 효과음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계조작부(900)에는 감지부(8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각종 전기장치와 효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각종 전기장치와 카운트감지부재(820)와 아웃감지부재(8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내장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를 향해 점수를 출력하는 디지털 스코어보드(910), 각종 제어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스코어보드(910)에는 현재 점수 외에도, 효과음에 대응되는 텍스트 디자인이 출력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야구 게임기는, 아웃, 안타 등을 감지하고, 이에 맞는 효과음과 텍스트 디자인을 출력하여 시각적, 청각적으로 사용자를 자극함으로써 실제 야구 경기와 같은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야구 게임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필드보드 200: 하부커버
300: 투구부 400: 타격부
500: 반송부 600: 장전부
700: 투구보조부 800: 감지부
900: 중계조작부

Claims (5)

  1. 게임볼이 타석 쪽을 향해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사지점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투구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투구가이드부재와 마주보는 타석 쪽에 타격피규어가 설치되고 상기 타격피규어의 일측으로 타격피규어를 통과한 게임볼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외곽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투구조작측과 타구조작측이 각각 형성되는 필드보드;
    상기 필드보드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수납홈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반송로가 형성되는 하부커버;
    일부가 투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구가이드부재로 안내된 게임볼을 타석 방향으로 발사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투구부;
    일부가 타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피규어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타격부;
    일부가 타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수납홈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홈과 반송로를 연통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져 수납홈에 수납된 게임볼을 반송로로 공급하는 반송부; 및
    일부가 투구조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송로의 출구단으로 자유낙하한 게임볼을 상승시켜 투구가이드부재로 공급하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장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부는,
    상기 수납홈의 하면을 구성하며 일단은 반송회동축을 매개로 수납홈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반송로의 입구단을 개폐하도록 반송로에 인접한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판;
    상기 하판에서부터 타구조작측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조작레버; 및
    상기 누름조작레버의 누름조작에 의해 회동된 하판의 타단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누름조작레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게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전부는,
    일단은 장전회동축을 매개로 하부커버에 장착되며 타단은 반송로의 출구단을 향해 연장되는 리프트부재; 및
    일단에는 장전조작레버가 투구조작측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리프트부재의 하부를 향해 접촉되는 작동캠이 형성되어 전, 후 이동에 따라 리프트부재를 회동시켜 리프트부재의 타단에 안착된 게임볼을 상승시키는 장전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게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에는 상기 작동캠이 수용되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일정 각도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작동캠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게임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입구단에서 출구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출구단에는 리프트부재의 타단 부위가 삽입되도록 안착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리프트부재의 타단 부위가 안착공간에 삽입되면 반송로의 바닥과 리프트부재의 상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게임기.
KR1020190150396A 2019-11-21 2019-11-21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KR10227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96A KR102278096B1 (ko) 2019-11-21 2019-11-21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96A KR102278096B1 (ko) 2019-11-21 2019-11-21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323A KR20210062323A (ko) 2021-05-31
KR102278096B1 true KR102278096B1 (ko) 2021-07-15

Family

ID=7615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96A KR102278096B1 (ko) 2019-11-21 2019-11-21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35Y1 (ko) 2005-04-04 2005-08-30 차전호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5377A (en) * 1973-04-30 1975-02-11 Ideal Toy Corp Shuffleboard type game
JPH0518581U (ja) * 1991-08-27 1993-03-09 株式会社タカラ ゲーム玩具
KR200203764Y1 (ko) * 2000-05-29 2000-11-15 김종택 야구게임기
KR101838165B1 (ko) * 2016-05-13 2018-04-26 (주)아카데미과학 야구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35Y1 (ko) 2005-04-04 2005-08-30 차전호 오락기용 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323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572B1 (ko) 실내 야구게임장치
KR101838165B1 (ko) 야구 게임 장치
ES2832479T3 (es) Tablero de juego para un juego que simula un juego deportivo
JP4827139B2 (ja) 弾球遊技機
KR102278096B1 (ko) 게임볼 순환형 야구 게임기
JP5984270B2 (ja) 野球ゲーム盤
KR102278098B1 (ko) 실시간 중계형 야구 게임기
US4327913A (en) Baseball game apparatus
JP3235904U (ja) シュートゲーム機
JP5999825B2 (ja) 野球ゲーム盤
US2682409A (en) Baseball game
CN111068279B (zh) 排球扣球机
JP6887970B2 (ja) 野球ゲーム盤
KR101831108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스크린 야구 경기 방법
JP7220517B2 (ja) 野球ゲーム盤
JP7220518B2 (ja) 野球ゲーム盤
US983250A (en) Game apparatus.
US1651686A (en) Baseball game apparatus
US804697A (en) Base-ball-game apparatus.
KR102338167B1 (ko) 슈팅 놀이기구
JP6960066B2 (ja) 野球ゲーム盤
JP3856877B2 (ja) ゲーム装置
US3377068A (en) Baseball game with batting element movable through a vertical arc
JP2012152292A (ja) 野球ゲーム盤
US945511A (en) Base-ball and like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