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60Y1 -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60Y1
KR200393360Y1 KR20-2005-0016288U KR20050016288U KR200393360Y1 KR 200393360 Y1 KR200393360 Y1 KR 200393360Y1 KR 20050016288 U KR20050016288 U KR 20050016288U KR 200393360 Y1 KR200393360 Y1 KR 200393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washer
butterfly nut
loosening
integral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이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수 filed Critical 이용수
Priority to KR20-2005-0016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6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6Wing-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이나 천정용 조명등을 조립하기 위한 나비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면에 방사상의 풀림방지구를 갖는 와셔판의 상측 중앙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너트부의 양측에는 상기 너트부 보다 높은 파지편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파지편에 의해 나비너트의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와셔가 필요없으로 부품수급이 용이하며 부품의 분실 위험도 감소하는 것이며, 저면의 풀림방지구에 의해 나비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장시간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하므로 매우 뛰어난 체결력을 갖는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Wing nut with washer for prevention of looseness}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이나 천정용 조명등을 조립하기 위한 나비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너트부를 갖는 와셔판과 그 와셔판의 상측에 형성된 파지편 및 상기 와셔판의 저면에 형성된 풀림방지구로 된 나비너트를 제공함으로서, 너트체의 용이한 체결과 함께 별도의 와셔없이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며, 진동이나 충격에도 풀리지 않아 지속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에 대한 것이다.
나비너트는 별도의 공구없이 수작업으로도 그 너트체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너트체의 양측에 파지용 돌출편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러한, 나비너트는 보편적으로 중량체나 강도 높은 체결력을 요구하는 것에는 거의 사용되지 아니하고, 작업성이 까다로운 곳이나 가볍고 진동 및 충격이 거의 없는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너트를 풀고 조이기가 수월하지 않은 천정용 조명등의 체결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나비너트는 상대적으로 고정력이 취약하여 체결상태의 나비너트가 다시 풀리거나 느슨해질 우려가 있어 반드시 와셔와 함께 사용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나비너트를 반복적으로 풀거나 조일 경우 와셔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저면에 방사상의 풀림방지구를 갖는 와셔판의 상측 중앙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너트부의 양측에는 상기 너트부보다 높은 파지편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파지편에 의해 나비너트의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와셔가 필요없으로 부품수급이 용이하며, 부품의 분실 위험도 감소하는 것이며, 저면의 풀림방지구에 의해 나비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장시간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하므로 매우 뛰어난 체결력을 갖는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정면도이다.
저면에 융출상의 풀림방지구(1)(1')가 형성된 와셔판(2)의 상부 중앙에, 상기 와셔판(2)을 관통하는 암나사부(3)를 갖는 너트부(4)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너트부(4)의 양측에는 상기 너트부(4) 보다 높은 상태의 파지편(5)(5')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파지편(5)(5')은 상기 와셔판(2)의 외경 내에 포함되게 하고, 그 외측면에는 요철상의 마찰무늬(6)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한 풀림방지구(1)(1')는 경사상의 쐐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연속된 엠보싱 형태의 돌기가 융출되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볼트부재, 11은 본체, 12는 고정물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나비너트는 저면에 원형 또는 다양한 형태로 배열된 풀림방지구(1)(1')를 갖는 와셔판(2)의 상측에 돌출상의 너트부(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너트부(4)의 중앙에는 상기 너트부(4)와 와셔판(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암나사부(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너트부(4)의 양측으로는 상기한 와셔판(2)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일정 두께의 파지편(5)(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파지편(5)(5')은 나비너트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상기 너트부(4) 보다 높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폭은 상기 와셔판(2)의 직경 내에 포함되도록 하여 회전시 다른 구성품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다 이상적이다.
특히 상기한 파지편(5)(5')의 양측 전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요철무늬로 된 마찰무늬(6)가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상기한 나비너트를 회전시키는 경우 그 파지편(5)(5')이 손가락으로부터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와셔판(2)의 저면에 형성된 풀림방지구(1)(1')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경사상의 쐐기 형태로 된 풀림방지구(1)(1')를 형성하되, 그 풀림방지구(1)(1')는 나비너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나비너트의 회전시에는 그 마찰저항력이 최소가 되게 하고, 역회전시에는 마찰저항력이 최대가 되게 함으로서, 그 나비너트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풀림방지구(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풀림방지구(1)(1')를 도 4의 도시와 같이 융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보다 무른 재질이나 부드러운 재질의 고정물을 취부 결합하는데 보다 적합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나비너트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체(11)에 고정된 볼트부재(10)에 결합하고자 하는 고정물(12)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물(12)의 외측 또는 하측으로 노출되어진 볼트부재(10)의 단부에 본 고안 나비너트를 견고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는, 파지편에 의해 나비너트의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와셔가 필요없으로 부품수급이 용이하며, 부품의 분실 위험도 감소하는 것이며, 저면의 풀림방지구에 의해 나비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장시간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하므로 매우 뛰어난 체결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타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비너트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풀림방지구 2 : 와셔판
3 : 암나사부 4 : 너트부
5,5' : 파지편 6 : 마찰무늬
10 : 볼트부재 11 : 본체
12 : 고정물

Claims (3)

  1. 저면에 융출상의 풀림방지구(1)(1')가 형성된 와셔판(2)의 상부 중앙에, 상기 와셔판(2)을 관통하는 암나사부(3)를 갖는 너트부(4)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너트부(4)의 양측에는 상기 너트부(4) 보다 높은 상태의 파지편(5)(5')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파지편(5)(5')은 상기 와셔판(2)의 외경 내에 포함되게 하고, 그 외측면에는 요철상의 마찰무늬(6)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풀림방지구(1)(1')는, 경사상의 쐐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3. 제 1항에 있어서,
    풀림방지구(1)(1')는, 연속된 엠보싱 형태의 돌기가 융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KR20-2005-0016288U 2005-06-08 2005-06-08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Ceased KR200393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288U KR200393360Y1 (ko) 2005-06-08 2005-06-08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288U KR200393360Y1 (ko) 2005-06-08 2005-06-08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60Y1 true KR200393360Y1 (ko) 2005-08-18

Family

ID=4369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288U Ceased KR200393360Y1 (ko) 2005-06-08 2005-06-08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6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85B1 (ko) * 2006-10-31 2007-06-29 윤명식 벤딩형 나비너트의 제조방법 및 그 벤딩형 나비너트
KR20190067549A (ko) * 2017-12-07 2019-06-17 박대희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KR102099777B1 (ko) * 2018-11-27 2020-04-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벳 조인팅 너트
USD900600S1 (en) 2019-06-25 2020-11-03 American Display & Fixture, Llc Winged lock nut
KR102295711B1 (ko) * 2021-04-07 2021-08-31 주식회사 사릭 냉기분산구를 구비한 전동식 공기조화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85B1 (ko) * 2006-10-31 2007-06-29 윤명식 벤딩형 나비너트의 제조방법 및 그 벤딩형 나비너트
KR20190067549A (ko) * 2017-12-07 2019-06-17 박대희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KR102059243B1 (ko) * 2017-12-07 2019-12-24 박대희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KR102099777B1 (ko) * 2018-11-27 2020-04-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벳 조인팅 너트
USD900600S1 (en) 2019-06-25 2020-11-03 American Display & Fixture, Llc Winged lock nut
KR102295711B1 (ko) * 2021-04-07 2021-08-31 주식회사 사릭 냉기분산구를 구비한 전동식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9003A1 (en) Anti-loosening bolt
BRPI0708005B1 (pt) unidade de montagem para o olhal de fixação de um fecho do cinto
KR200393360Y1 (ko) 풀림방지용 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나비너트
JPH0337405A (ja) ねじ部分を備える合成樹脂部材と対向ねじ部材
JP2002242919A (ja) ボルト・ナット締結具
KR200433723Y1 (ko) 풀림방지와샤
KR20043924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BR0305919A (pt) Uma porca, um prendedor provido de uma porca e um dispositivo para fixação para o mesmo
JPH0979247A (ja) ネジの緩み止め
KR19980043346U (ko) 풀림방지용 와셔부재
KR20000012670A (ko)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구
JP2733193B2 (ja) ジョイント金具
KR200341702Y1 (ko) 풀림 방지되는 볼트
KR20030066925A (ko) 너트 풀림 방지용 체결볼트
KR200339479Y1 (ko) 풀림 방지되는 너트
JPH11300509A (ja) チャック
KR20034625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KR200201627Y1 (ko) 가이드부가 형성된 너트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KR20060012132A (ko) 볼트
KR0166297B1 (ko) 보울트 및 너트의 풀림방지 클립
KR200169126Y1 (ko) 쇠톱
KR200260538Y1 (ko) 핸들의 손잡이 풀림 방지 구조
KR200358928Y1 (ko) 앵커볼트
KR200372949Y1 (ko) 풀림방지체결볼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