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139Y1 -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 Google Patents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139Y1
KR200393139Y1 KR20-2005-0016348U KR20050016348U KR200393139Y1 KR 200393139 Y1 KR200393139 Y1 KR 200393139Y1 KR 20050016348 U KR20050016348 U KR 20050016348U KR 200393139 Y1 KR200393139 Y1 KR 200393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lance weight
node
wheel balanc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현
Original Assignee
진성현
삼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현, 삼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현
Priority to KR20-2005-0016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8Wheel-ballasting weights; Thei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24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the rotating body being a vehicle wheel
    • F16F15/328Multiple weights on adhesive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18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adhesive bonding, e.g. glueing

Abstract

본 고안은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휠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자동차 휠의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 마디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마디에는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단위체와 단차져서 형성되도록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단위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로서, 작업자가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를 휠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휠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휠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시키면서 휠의 밸런스를 맞추어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ADHESION TYPE WHEEL BALANCE WEIGHT}
본 고안은 자동차 휠의 불균형을 보정하는 발란스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자동차 휠의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 마디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마디에는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로서,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를 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휠의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여 미적인 효과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품이므로 그 중량의 분포에 있어서 균형을 이루고 있지 않으면 휠의 회전에 따른 부분적으로 상이한 원심력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음, 타이어의 편마모 및 핸들의 떨림 현상이 생기게 되며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 휠의 불균형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휠 주변에 중량이 집중된 곳을 찾아 그 반대편에 일정한 중량을 가진 물체, 즉 휠 밸런스 웨이트를 부가하여 휠의 중심에 대해 그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휠 밸런스 웨이트(500)는 상단에 클립이 형성되어 있어 휠(400)의 림 플랜지에 상기 클립을 끼워서 고정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휠 밸런스 웨이트(500)는 클립이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와 밀착되면서 휠에 끼워져 자동차의 바퀴에 장착되므로, 요즘과 같이 자동차 바퀴의 타이어나 휠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경우 즉, 상기 타이어 및 휠의 크기 및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상기 변화된 타이어 및 휠에 맞는 클립이 구비된 휠 밸런스 웨이트를 일일이 따로 생산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클립에 의해 휠 밸런스 웨이트를 부가하는 방식은 림에 밸런스 웨이트을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 평면을 구비해 주어야 하며, 휠의 외부로 그 밸런스 웨이트가 돌출되어 외관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휠 밸런스 웨이트는 클립에 의해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와 밀착되면서 휠에 끼워져 장착되는 경우, 상기 타이어의 공기량이 부족하게 되면 상기 타이어가 클립을 밀착하여 고정하는 지지력이 약해지므로 회전되는 바퀴의 원심력에 의해 휠에서 휠 밸런스 웨이트가 쉽게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휠에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립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니라 휠의 내측면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부착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의 사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는 판형의 몸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양면 테이프에 의해 휠의 내측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는 둥근 곡면으로 이루어진 휠의 내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곡률로 휘어야만 제대로 부착이 가능한데,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는 작업자가 상기 휠의 내측면의 곡면에 따라 휘기가 상당히 어려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휠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휠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 안전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휠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시키면서 휠의 밸런스를 맞추어 줄 수 있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쉽게 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휠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자동차 휠의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 마디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마디에는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마디는 상기 단위체와 단차져서 연결되도록 상기 마디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마디가 상기 단위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디에는 양 측면에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는 하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도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10)는 크게 복수개의 단위체(100)와 상기 단위체(100) 사이에 구비되는 마디(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체(100)는 임의의 무게를 가진 중량체로서, 상기 단위체(100)의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마디(200)는 상기 복수개의 각 단위체(100) 사이에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제조시 상기 단위체(100)와 일체형으로 주물 또는 프레스 작업으로 제작된다.
상기 단위체(100)의 개수는 특정하게 정하여 진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위체(100)의 개수를 많게 혹은 적게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시에 상기 마디 부분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절취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디(200)는 작업자가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일정한 곡률로 형성된 자동차 휠의 내측면에 대응시켜 부착시킬 때,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쉽게 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각 단위체(100) 사이에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마디(200)에는 상면과 하면이 관통된 장공(210)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각 단위체(100)는 양측부만 서로 연결되는 형태가 되어, 작업자가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쉽게 휠 수 있도록 해준다.
장공의 개수는 각 마디당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디당 2개의 장공(21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 마디당 2개 이상의 장공(210)이 형성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디(200)에는 단위체(100)와의 경계 부분에 단차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체(100)와 상기 마디(200)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220)에 의해서 상기 마디(200)를 상기 단위체(100)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더욱 쉽게 휘거나 절취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220)는 상기 마디의 상면 또는 하면에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면과 하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마디(200)의 양측부에는 상기 마디(200)의 내측을 향하여 요입되는 요입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체(100)간에 연결된 부분의 폭을 더 좁게하여 작업자가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더욱 쉽게 휘거나 절취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한편 상기 마디(200)에 의해 연결되는 단위체(100)들의 조합체로 구성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10)는 하면에 양면 테이프(300)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휠 밸런스 웨이트(10)를 손쉽게 휠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면 테이프(300)의 상면은 접착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300)의 하면은 덮개(310)로 덮혀 있어 먼지나 이물질이 하면 접착면을 오염시키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때 상기 양면 테이프(300) 하면의 덮개(310)를 제거하고 자동차 휠(400)의 내측면에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10)가 우수한 접착력으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휠(400)에 부착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10)의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휠 밸런스 웨이트가 자동차 휠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휠 밸런스 웨이트가 자동차 휠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타이어의 공기압 여부와 무관하게 휠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 안전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휠 밸런스 웨이트가 자동차 휠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휠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시키면서 휠의 밸런스를 맞추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휠 밸런스 웨이트에 마디를 구성하고 상기 마디에 단차부와 장공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쉽게 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가 휠에 적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휠 밸런스 웨이트가 휠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휠 밸런스 웨이트 100 : 단위체
200 : 마디 210 : 장공
220 : 단차부 230 : 요입부
300 : 양면 테이프 310 : 양면 테이프 덮개
400 : 휠 500 : 종래의 휠 밸런스 웨이트

Claims (4)

  1. 휠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자동차 휠의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 마디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 마디에는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는,
    상기 단위체와 단차져서 연결되도록 상기 마디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마디가 상기 단위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에는,
    양 측면에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하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KR20-2005-0016348U 2005-06-08 2005-06-08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KR200393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48U KR200393139Y1 (ko) 2005-06-08 2005-06-08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48U KR200393139Y1 (ko) 2005-06-08 2005-06-08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139Y1 true KR200393139Y1 (ko) 2005-08-17

Family

ID=4369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348U KR200393139Y1 (ko) 2005-06-08 2005-06-08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13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55B1 (ko) 2006-08-17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
KR101283171B1 (ko) * 2006-08-08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389326B1 (ko) 2014-01-22 2014-04-25 백인태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3299A (ko) * 2012-12-06 2014-06-16 백소은 접착식 휠 밸런스용 웨이트
KR20170118266A (ko) * 2016-04-14 2017-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826477B1 (ko) * 2017-06-15 2018-02-07 백팔성 일체형을 이루는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71B1 (ko) * 2006-08-08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241555B1 (ko) 2006-08-17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
KR20140073299A (ko) * 2012-12-06 2014-06-16 백소은 접착식 휠 밸런스용 웨이트
KR101590401B1 (ko) 2012-12-06 2016-02-01 백소은 접착식 휠 밸런스용 웨이트
KR101389326B1 (ko) 2014-01-22 2014-04-25 백인태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8266A (ko) * 2016-04-14 2017-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KR102542940B1 (ko) 2016-04-14 2023-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826477B1 (ko) * 2017-06-15 2018-02-07 백팔성 일체형을 이루는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8230929A1 (ko) * 2017-06-15 2018-12-20 백팔성 일체형을 이루는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844362A (zh) * 2017-06-15 2019-06-04 白八星 一体型的粘结式平衡配重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139Y1 (ko)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JP5411819B2 (ja) 副気室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ホイール
US7841669B2 (en) Wheel balancing weights with body and mounting clip
EP1990213A1 (en) Vehicle wheel
US8286679B2 (en) Vehicle wheel
US20100007195A1 (en) Wheel balancing weights with body and mounting clip
US20160016430A1 (en) Vehicle wheel
US20160001596A1 (en) Vehicle wheel
JP2004522650A (ja) ホィールおよびクラッディング
KR20080075201A (ko) 휠밸런스웨이트
US20100007196A1 (en) Wheel balancing weights with body and mounting clip
US7467829B2 (en) Wheel trim hub cover
JP2010132278A5 (ko)
US20170159748A1 (en)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a Vehicle Wheel
JP2019196045A (ja) 車両用ホイール
KR20100054775A (ko)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JP5389974B2 (ja) 副気室部材の組付方法
JP2010095165A (ja) 空気圧検出装置の取付構造
KR101714404B1 (ko) 차량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KR20100054774A (ko) 밸런스 웨이트
JP6648293B2 (ja) 車両ホイール用の自己接着バランスウェイト
JP4986969B2 (ja) 副気室部材の組付方法
KR200397241Y1 (ko)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283171B1 (ko) 휠 밸런스 웨이트
JP4165231B2 (ja) 車両用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608

Effective date: 20080303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