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15Y1 - 보빈 - Google Patents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15Y1
KR200391415Y1 KR20-2005-0008707U KR20050008707U KR200391415Y1 KR 200391415 Y1 KR200391415 Y1 KR 200391415Y1 KR 20050008707 U KR20050008707 U KR 20050008707U KR 200391415 Y1 KR200391415 Y1 KR 200391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ember
bobbin
side plate
coupling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만
Original Assignee
송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만 filed Critical 송영만
Priority to KR20-2005-0008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빈의 측단에 결합되는 래칫형 기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보빈에 래칫형 기어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과 이 원통의 측단에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측판 외측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부에는 래칫형기어가 형성된 기어부재; 상기 측판 중앙에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축; 상기 결합축의 외측 선단에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기어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에 끼워지는 결합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에 대해 기어부재 회동시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보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빈{BOBBIN}
본 고안은 보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일측에 구비되는 래칫형 기어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보빈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금속 와이어는 보빈에 감겨진 상태로 출하된다. 상기 보빈(bobbin)이란, 실이나 철사 등과 같은 와이어 형태의 제품이 감겨지는 기구로서, 통상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일정길이의 원통과 이 원통 양단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와이어가 상기 측판 사이에서 원통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은 통상 권취기에 장착되어 자동적으로 와이어가 감기게 되는 데, 종래 구조의 경우 보빈의 선단에 단순히 측판이 설치된 구조로 권취기에 장착시 보빈의 원통에 별도로 기어를 결합한 축을 결합하여 보빈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권취기와의 결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숙련공이 필요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0-0028208호의 경우 보빈의 측판에 래칫형 기어를 설치함으로써 권취기에 대한 보빈의 장착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보빈의 측판과 래칫형 기어의 설치가 나사결합식으로 이루어져 장착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보빈에 결합된 래칫형 기어가 마모된 경우 보빈에서 래칫형 기어만 분리하여 교체하게 되나, 종래의 구조는 보빈의 측판과 래칫형 기어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보빈의 측판으로부터 래칫형 기어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보빈의 측판에서 래칫형 기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작업시간이 많이 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의 측단에 결합되는 래칫형 기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보빈에 래칫형 기어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보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빈의 측판에 래칫형기어가 형성된 기어부재를 회동시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보빈의 측판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축에는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기어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구멍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부재 회동시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된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3개가 일정한 각도로 배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 길이나 폭 및 두께는 그 수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어부재의 결합구멍에 형성되는 걸림턱은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슬롯과, 이 슬롯에서 결합구멍의 원주방향으로 절결되어 보빈에 대해 상기 기어부재 회동시 걸림돌기가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결홈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부재의 결합구멍을 보빈 측판의 결합축에 끼우게 되면 결합축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결합구멍에 형성된 슬롯으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기어부재를 회동시키게 되면 걸림돌기는 절결홈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턱에 놓여져 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빈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보빈 측판의 걸림돌기가 기어부재의 걸림턱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걸림돌기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가 기어부재의 절결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절결홈에 형성된 돌기홈으로 이루어져, 결국 상기 걸림돌기의 돌기부가 기어부재의 돌기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보빈의 고속회전에 의하여도 기어부재가 보빈의 측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은 걸림돌기가 진입되는 선단부가 보빈의 측판쪽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걸림돌기가 용이하게 걸림턱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와이어가 감기는 일정길이의 원통(21)과 이 원통(21)의 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21)에 감기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측판(22)을 포함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측판(22) 외측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부에는 래칫형기어(31)가 형성된 기어부재(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상기 기어부재(30)를 보빈(10)의 측판(22)에 결합시켜 사용함에 따라 기어부재(30)에 형성된 래칫형 기어(31) 마모시 기어부재(30)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23)은 상기 원통(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구멍으로, 와이어를 최초 원통(21)에 감을 때에 와이어의 선단을 상기 삽입구멍(23)에 끼워줌으로써 손쉬운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어부재(30)와 보빈(1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본 실시예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빈(10)의 측판(22)에는 중앙에 원형의 결합축(24)이 보빈(1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24)의 외측 선단에는 3개의 걸림돌기(25)가 일정각도로 배열되어 결합축(24)의 방사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걸림돌기(25)가 결합축(24)에 대해 120°의 각도로 배열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설명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걸림돌기(25)가 두 개 또는 4개나 그 이상의 개수로도 형성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25) 각각의 하부면에는 이탈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돌기부(25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5)는 상기 결합축(24)의 선단쪽에 치우쳐져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24)의 외측 선단과 동일 면상에 놓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빈(10)의 측판(22)에 체결되는 기어부재(30)는 중앙에 상기 결합축(24)이 끼워지도록 결합축(24)과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원형의 결합구멍(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32)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5)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방향을 따라 절결형성되는 슬롯(34)과 이 슬롯(34)에서 결합구멍(32)의 원주방향으로 절결되어 보빈(10)에 대해 상기 기어부재(30) 회동시 걸림돌기(25)가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보빈의 걸림돌기(25)에 형성된 돌기부(25a)에 대응한 돌기홈(25b)이 내측하부면에 형성된 절결홈(35)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림턱(3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슬롯(34)은 상기 걸림돌기(25)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축(24)의 높이는 상기 기어부재(3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하여 보빈(10)의 측판(22)에 기어부재(30)를 결합하였을 때, 기어부재(30)의 외측 선단과 결합축(24)의 측단이 동일 면상에 놓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롯(34)에 대한 절결홈(35)의 형성방향은 보빈(10)의 와이어 권취방향 즉, 와이어 권취를 위해 보빈(10)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와이어 권취시 기어부재(30)가 결합축(24)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기어부재(30)의 결합구멍(32)을 보빈(10) 측판(22)의 결합축(24)에 끼우고 기어부재(30)를 일정 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결합축(24)에 형성된 걸림돌기(25)가 결합구멍(32)에 형성된 걸림턱(33)에 걸리게 되면서 측판(22)에 기어부재(30)가 결합되는 것이다.
나아가 걸림돌기(25)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부(25a)가 절결홈(35)을 따라 회동할 때 절결홈(35)에 형성된 상기 반원형 등의 돌기홈(25b)에 삽입,고정될 수 있어 설사 와이어 권취 시 고속회전에 의하여도 기어부재(30)가 결합축(24)로부터 풀려 이탈되는 현상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측판(22)에 대해 기어부재(30)가 회동됨에 따라 결합축(24)에 형성된 걸림돌기(25)가 슬롯(34)에 연결 형성된 절결홈(35)으로 이동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도면으로, 기어부재(30)를 회동시킴에 따라 걸림돌기(25)는 슬롯(34)에서 벗어나 절결홈(35)을 따라 이동되어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4)과 절결홈(35)에 의해 결합구멍(32)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33) 위에 놓여지게 됨과 더불어 걸림돌기(25)에 형성된 돌기부(25a)가 절결홈(35)에 형성된 돌기홈(25b)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기어부재(30)는 결합축(24)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5)가 걸림턱(33)에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결합축(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측판(22)에 상기 기어부재(30)를 결합하였을 때 기어부재(30)가 측판(2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33)의 높이 즉, 보빈(10)의 측판(22)에 접하는 기어부재(30)의 밑면에서부터 걸림턱(33) 상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측판(22)에서 걸림돌기(25)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절결홈의 높이는 돌기부가 형성된 걸림돌기가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보유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상기 걸림턱(33)에 걸림돌기(25)가 걸려 상기 기어부재(30)가 상기 측판(22)에 결합되면 상기 기어부재(30)와 상기 측판(22)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어 측판(22)의 결합축(24)으로부터 기어부재(30)가 용이하게 회동되어 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33)은 걸림돌기(25)가 진입하는 쪽의 상단 모서리부에 모따기를 행함으로써 일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각도(α)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부재(30) 회동에 따라 걸림돌기(25)가 걸림턱(33)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5)가 걸림턱(33)의 모서리부분에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걸림턱(33) 위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20)에 별도로 마련된 기어부재(30)를 측판(22)에 결합하여 하나의 보빈(10)을 완성함에 있어서 기어부재(30)를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것으로 측판(22)에 기어부재(3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기어부재(30)의 중앙에 결합구멍(32)에 형성된 슬롯(34)을 본체(20)의 측판(22)에 형성된 결합축(24)의 걸림돌기(25)에 맞춘 후 결합구멍(32)을 결합축(24)에 끼우게 되면 걸림돌기(25)가 슬롯(34)으로 진입되면서 결합구멍(32)을 매개로 기어부재(30)가 측판(22)의 결합축(24)에 끼워진다.
기어부재(30)의 내측면이 측판(22)에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 기어부재(3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기어부재(30)가 측판(22)에 결합된다.
상기 기어부재(30)를 회동시키게 되면 슬롯(34)으로 진입된 걸림돌기(25)는 슬롯(34)에 연결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걸림턱(33) 위쪽으로 이동되고 걸림돌기(25)가 걸림턱(33) 내측에 완전히 놓여지게 되면 기어부재(30)의 회동이 제어되면서 걸림턱(33)에 걸림돌기(25)가 걸려진 상태가 되며, 걸림돌기(25)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부(25a)가 절결홈(35)의 내측하부면에 형성된 돌기홈(25b)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기어부재(30)는 걸림턱(33)이 걸림돌기(25)에 걸려 결합축(24)을 따라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측판(22)의 결합축(2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어부재(30)를 본체(20)로부터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의 반대로 기어부재(30)를 결합축(24)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걸림턱(33)에서 걸림돌기(25)를 이동시켜 체결상태를 해제시키고 기어부재(30)를 측판(22)의 결합축(24)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당히 진보된 보빈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빈에 의하면, 보빈을 이루는 본체에 기어부재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기어부재 결합과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부재 체결을 신속하게 하여 권취기를 통한 와이어 권취기 그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빈 20 : 본체
21 : 원통 22 : 측판
24 : 결합축 25 : 걸림돌기
25a: 돌기부 25b: 돌기홈
30 : 기어부재 31 : 래칫형기어
32 : 결합구멍 33 : 걸림턱
34 : 슬롯 35 : 절결홈
삭제

Claims (2)

  1.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과 이 원통의 측단에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측판 외측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부에는 래칫형기어가 형성된 기어부재;
    상기 측판 중앙에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축;
    상기 결합축의 외측 선단에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기어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에 끼워지는 결합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에 대해 기어부재 회동시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슬롯과, 이 슬롯에서 결합구멍의 원주방향으로 절결 형성되어 보빈에 대해 상기 기어부재 회동시 걸림돌기가 진행할 수 있도록 된 절결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 내측하부면에는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홈에 대응한 돌기부가 걸림돌기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KR20-2005-0008707U 2005-03-30 2005-03-30 보빈 KR200391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07U KR200391415Y1 (ko) 2005-03-30 2005-03-30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07U KR200391415Y1 (ko) 2005-03-30 2005-03-30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15Y1 true KR200391415Y1 (ko) 2005-08-05

Family

ID=4369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07U KR200391415Y1 (ko) 2005-03-30 2005-03-30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13B1 (ko) 2010-03-22 2010-06-01 오세복 보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13B1 (ko) 2010-03-22 2010-06-01 오세복 보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7866B1 (en) Line type grass-cutting head
EP2517547B1 (en) Rotary cutter for mower
EP2806060B1 (en) Bobbin
KR200391415Y1 (ko) 보빈
JP2010065364A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回転式クリール及びボビンホルダ
JP2005119879A (ja) ヤーンキャリア
US20020023984A1 (en) Three piece spool
EP1430970B1 (en)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el used for the machine
JP2008197530A (ja) 光ファイバ巻き取り装置
JP2016144644A (ja) 複数の部品からなるスライドを有するボビンケースを備えた本縫いミシン用フック
US4345863A (en) Nut control device
NZ226932A (en) Reel tape fixing device for gaming machine
JP2003329850A (ja) 光ファイバ収納具および光ファイバ収納方法
JP2014166895A (ja) 巻取り用ドラムおよびコネクタ付き線条体製品
JP4317797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9136175A (ja) 刈刃回転体
KR200409328Y1 (ko) 보빈
WO2009088643A1 (en) Yarn carrier
KR200178976Y1 (ko) 금사용 보빈
JP2000258103A (ja) 巻尺ケース
CN203875847U (zh) 无尾螺纹护套工具
US11530109B2 (en) Collapsible, re-useable spool
JPH0424236Y2 (ko)
JP3050123U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653335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用マンドレ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