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29Y1 - 파일 속지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파일 속지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29Y1
KR200391229Y1 KR20-2005-0011618U KR20050011618U KR200391229Y1 KR 200391229 Y1 KR200391229 Y1 KR 200391229Y1 KR 20050011618 U KR20050011618 U KR 20050011618U KR 200391229 Y1 KR200391229 Y1 KR 200391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lay
paper layer
fil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to KR20-2005-0011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1/00Casin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2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connected by end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4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the spine portions of the covers are secured integrally, e.g. paper-backs ("livres brochès", "Broschür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 속지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속지 고정 구조는, 외피층; 상기 외피 내면에 부착된 좌측 표지부 및 우측 표지부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속지 고정부로 구분되는 표지층; 상기 속지 고정부의 표지층 상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접착되는 보강지층; 상기 보강지층 및 표지층 내면에 밀착하여 접착되되, 상기 보강지층 상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면지층; 및 상기 면지층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보강지층과 맞닿아 층간접착되는 속지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보강 파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보강지층과 속지층이 동일 내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층간접착을 진행할 결우 상호 융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보다 견고하게 속지가 부착된 파일을 제작할 수 있다. 둘째, 속지와 파일 몸체 이외의 별도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 제작시 간단한 공정으로 접착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간단한 공정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이로 인한 비용 절감을 통해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파일 속지 고정 구조{Structure for fixing inside sheet of file}
본 고안은 파일 속지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속지와 동일 내지 유사한 물성을 갖는 물질로 속지 고정부상에 보강지를 형성한 후, 중간의 면지층에 소정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속지와 보강지가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속지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파일 속지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파일(file)은 크게 표지와 속지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의 경우 표지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종이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지는 수납 공간이 구비된 투명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 상기 속지를 상기 표지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철제 몰드 형태의 별도 고정 수단을 표지에 부착시킨 후 속지에 다수의 중공을 형성한 후 고정 수단에 부착시키거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융착시키는 접착 방법 등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철제 몰드 등의 별도 고정 수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우선 철제 몰드를 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표지에 부착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별도 고정 수단 구비로 인한 비용의 발생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었다. 즉, 종래의 방법을 통해서는 저비용의 대량생산이 어려운 기술적 한계가 내재되어 있다.
도 1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표지에 속지를 부착시키는 종래 파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일(1)은 표지(2) 및 상기 표지(2) 내면에 접착되는 면지(3) 그리고 상기 면지(3)에 부착되는 속지(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표지(2)와 상기 면지(3)가 접착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접착제, 예컨대 풀 등을 이용한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접착하게 되며, 상기 면지(3)와 상기 속지(4)의 부착 방법 또한 기존의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인 초음파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킨 후 접착면과 융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히 속지(4)와 면지(3)를 기존의 초음파를 이용한 접착 방법으로 부착시킬 경우, 비록 별도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는 있으나, 별도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표지(2)와 속지(4)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표지(2)가 종이재질인 경우에는 비닐과의 고주파나 초음파를 이용한 접착이 불가능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표지(2)가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인 경우에는 외피와 자동 포장 작업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내부 및 외부 모두가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자동 작업은 물론, 접착력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파일 내의 속지를 결합하면서 발생된 접착력 약화로 인한 제품의 불량이나 사용상 제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자동화된 설비를 통한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개선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강지를 이용하여 파일의 표지와 속지가 서로 강력한 접착력을 갖는 파일 속지 고정 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속지 고정 구조는, 외피층; 상기 외피 내면에 부착된 좌측 표지부 및 우측 표지부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속지 고정부로 구분되는 표지층; 상기 속지 고정부의 표지층 상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접착되는 보강지층; 상기 보강지층 및 표지층 내면에 밀착하여 접착되되, 상기 보강지층 상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면지층; 및 상기 면지층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보강지층과 맞닿아 층간접착되는 속지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지층과 속지층의 층간접착은 열접착법, 임펄스법, 용단접착법, 임펄스용단접착법, 초음파접착법 및 고주파접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지층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면지층은 상기 보강지층과 동일한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면지층은 종이재, 천연섬유 및 인조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조된 판상지가 이용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강 파일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속지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속지 고정 구조를 갖는 파일의 일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일(10)은, 좌측 표지(12a) 및 우측 표지(12b),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속지 고정부(12c)로 구분되는 표지층(12)은 외피층(14)에 감싸여져 있으며,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보강지층(22)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층(14)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지층(22) 상면 및 표지층(12) 내면 전체에 접착되는 면지층(20) 및 상기 속지 고정부(12c) 상면에 접착된 면지층(20)의 개구부(25)를 통해 노출된 보강지층(22)과 접착되는 복수의 매수로 이루어진 속지층(3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10)은, 좌우 또는 상하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노트나 책장 구조를 가지지만, 도면에서는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표지층(12)은 파일(10) 내부에 부착되는 비닐소재의 속지층(30)을 보호하는 부재이며, 파일(10)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좌우 접힘부(16)를 경계로 좌측 표지부(12a)와 우측 표지부(12b)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파일(10)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좌우 접힘부(16)를 경계로 구부러져 좌측 표지부(12a)와 우측 표지부(12b)가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파일의 표지층(12)은 파일 속지(30)를 보호하기 위해 비교적 두꺼운 종이, 판지나 합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박판의 합성수지재의 판상재나 경량 금속판이나 합금판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질의 선택은 제품의 중량, 재료 확보, 제조 비용상의 문제로 인한 취사선택의 문제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함에 아무런 장애가 없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좌우 접힘부(16)를 경계로 좌측 표지부(12a) 및 우측 표지부(12b)가 완전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외피층(14)이 배치구조가 유지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한다면, 예컨대 아교와 같은 접착제를 발라 고형화시켜 분리구조를 상호 연결시킨다면 본 고안의 충분한 또다른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체형의 표지층(12)에 경계홈을 내어 원활한 접힘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면, 좌측 표지부(12a)와 우측 표지부(12b)가 속지 고정부(12c)와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속지 고정부(12c)는 상기 속지층(30)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좌측 표지부(12a) 및 우측 표지부(12b)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속지(30)가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속지(30)의 분량에 따라 다양한 너비를 갖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보강지층(22)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파일 몸체로부터 상기 속지층(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도입한 부재로서,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접착되며, 그 재질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한편, 보강지층(22)이 형성된 파일(10) 내면을 전부 감싸도록 면지층(20)을 부착하였으며, 특히 보강지층(22) 상면에서의 면지층(20)에는 소정의 개구부(25)가 형성되어 보강지층(22)이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즉, 속지 고정부(12c) 상면에 부착된 보강지층(22)의 일부 영역은 면지층(20)의 개구부(25)를 통해 노출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영역은 면지층(20)에 의해 노출이 차단되어 있다. 상기 면지층(20)은 상기 보강지층(22)과 동일한 재질군에서 선택된 물질로서 제조될 수도 있지만, 굳이 그러한 재료 선택에 제한을 두지 않고 종이재, 천연섬유 및 인조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조된 판상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층상구조를 갖도록 준비한 후,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노출된 보강지층(22)과 속지층(30)의 중앙 접착부를 밀착시킨 영역(40)에서, 열접착법, 임펄스법, 용단접착법, 임펄스용단접착법, 초음파접착법 및 고주파접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보강지층(22)과 속지층(30)의 층간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층간접착은 속지층(30)과 보강지층(22)에 서로 융착되므로, 층간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나타나지는 않음은 자명하다.
특히, 속지층(30)과 보강지층(22) 사이에 물성이 전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층간물질이 개재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층간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면지층(20)에 소정의 개구부(25)를 형성하게 되면, 속지층(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성을 갖는 보강지층(22)이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진행된 층간접착방식에 의해 보다 견고한 고정력이 부여될 수 있는 장점이 발현된다. 상기 면지층(20)에 형성된 개구부(25)는 그 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도형 형태로서 변형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이 반드시 상기 속지 고정부(12c) 상에서만 구현되지 않고, 인접된 좌우측 표지부(12a, 12b)에 연장되어 형성된 도형 형태를 갖는 개구부로 나타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파일 몸체(12), 보강지(22), 면지(20) 및 코팅지(14)는 접착성이 있는 물질,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으로서, 파일의 제작시 사용되는 종래에 잘 알려져 있는 통상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접착되며, 외피층(14)의 외부에는 파일(10)의 미관 개선이나 보호 기능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층상 구조에서, 상하 층상간의 접착을 위해 사용된 접착제 또한 별도의 층간물질층을 구성하지만, 이는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실이므로, 별도의 도면 도시를 통해서까지 설명하지 않았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파일(10)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좌측 표지부(12a) 및 우측 표지부(12b)와 그 사이에 상기 속지 고정부(12c)를 개재한다. 이 때 상기 좌우측 표지부(12a, 12b)와 상기 속지 고정부(12c)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좌우측 표지부(12a, 12b)가 자유로이 접힐 수 있도록 좌우 접힘부(16)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외피층(14)을 상기 좌우측 표지부(12a, 12b)와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외면에 일괄적으로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외피층(14)은 상기 좌우측 표지부(12a, 12b)와 상기 속지 고정부(12c) 내면의 일부까지 감싸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내면에 상기 보강지층(22)을 길이 방향으로 접착시킨 후 상기 면지층(20)을 상기 좌우측 표지부(12a, 12b) 및 상기 보강지층(22)의 내면에 일괄적으로 접착시킨다. 이 때 상기 면지층(20)은 상기 좌우측 표지부(12a, 12b)와 상기 속지 고정부(12c)의 내면 일부까지 감싼 상기 외피층(14)의 가장자리까지 겹쳐지게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속지층(30)을 상기 속지 고정부(12c) 상면의 면지층(20)을 관통하는 개구부(25)를 통해 노출된 보강지층(22)에 직접 부착시키는데, 이 때 초음파를 이용한 열융착 방법으로 접착시킨다. 그러면 동일 내지 유사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지층(22)과 속지층(30)이 열융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속지를 갖는 파일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된 파일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상기 속지층(30)의 수량이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변형 가능한 다양한 예로서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파일 속지 고정 구조를 갖는 파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보강지층과 속지층이 동일 내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두 물질층이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중간의 면지층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층간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호 융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보다 견고하게 속지가 부착된 파일을 제작할 수 있다. 둘째, 속지와 파일 몸체 이외의 별도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 제작시 간단한 공정으로 접착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간단한 공정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이로 인한 비용 절감을 통해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파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속지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속지 고정 구조를 갖는 파일의 일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파일 12a...좌측 표지부 12b...우측 표지부
12c...속지 고정부 14...외피층 20...면지층
22...보강지층 25...개구부 30...속지층

Claims (5)

  1. 외피층;
    상기 외피 내면에 부착된 좌측 표지부 및 우측 표지부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속지 고정부로 구분되는 표지층;
    상기 속지 고정부의 표지층 상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접착되는 보강지층;
    상기 보강지층 및 표지층 내면에 밀착하여 접착되되, 상기 보강지층 상부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면지층; 및
    상기 면지층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보강지층과 맞닿아 층간접착되는 속지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속지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층과 속지층의 층간접착은 열접착법, 임펄스법, 용단접착법, 임펄스용단접착법, 초음파접착법 및 고주파접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속지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층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판상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속지 고정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층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속지 고정 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지층은 상기 보강지층과 동일한 재질을 갖거나 종이재, 천연섬유 및 인조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제조된 판상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속지 고정 구조.
KR20-2005-0011618U 2005-04-26 2005-04-26 파일 속지 고정 구조 KR200391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18U KR200391229Y1 (ko) 2005-04-26 2005-04-26 파일 속지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18U KR200391229Y1 (ko) 2005-04-26 2005-04-26 파일 속지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29Y1 true KR200391229Y1 (ko) 2005-08-02

Family

ID=4369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18U KR200391229Y1 (ko) 2005-04-26 2005-04-26 파일 속지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0341B2 (ja) 容器部品の製造方法、容器部品、多層箔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箔
US9819378B2 (en) Methods for forming fiber composite structures
FI72682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taeckt stycke av mjukt termoplastskum.
AU2012357944B2 (en) Retaining plate
JPH10258699A (ja) エアバッグ用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JP2013523481A (ja) 熱形成により任意の形状のコアを塗装するための方法、その実施のための自動機械及びそのような方法により得られた、仕上げられた製品
KR200430318Y1 (ko)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
EP1154090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articles and the composite article obtained
KR200391229Y1 (ko) 파일 속지 고정 구조
US8647008B2 (en) Spine label pocket for a binder cover
JPH08266Y2 (ja) 手提袋
KR101056659B1 (ko) 책 커버
KR200384562Y1 (ko) 보강 파일
JP4238412B2 (ja) トレー容器
KR101382139B1 (ko) 투명 창을 구비한 셋업 박스 및 그 제조 방법
JP3048555U (ja) 袋ファイル帳
CN219749137U (zh) 一种循环回收使用的环保塑料膜
JPH0345607Y2 (ko)
JP2014105009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41241Y2 (ko)
JP2766955B2 (ja) 透明ケース
JP4478287B2 (ja) コップ状容器
WO2007043239A1 (ja) 複合板材と該複合板材からなる箱状体
JPH05177970A (ja) ファイル及びファイル製造用の工具ホーン
JPH01156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