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018Y1 - 해상 부유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 부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18Y1
KR200391018Y1 KR20-2005-0007662U KR20050007662U KR200391018Y1 KR 200391018 Y1 KR200391018 Y1 KR 200391018Y1 KR 20050007662 U KR20050007662 U KR 20050007662U KR 200391018 Y1 KR200391018 Y1 KR 200391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connecting means
floating structure
corn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건구
Original Assignee
윤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건구 filed Critical 윤건구
Priority to KR20-2005-0007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 부유체의 모서리부 조립을 좀더 견고히 하여 시공된 부유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고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 모서리에는 모서리 경사면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경사면의 상,하부 내측에는 상,하부와 외측으로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부유체와, 상호 연결시키고자 하는 상기 다수의 부유체의 측면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부유체의 연결하고자 하는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2개 이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에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부유체들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며 수직 조립홀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수단, 및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의 수직 조립홀에 관통되는 머리를 포함하는 축 볼트와, 상기 축 볼트의 머리 반대편에 형성된 나선부에 체결되어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상 부유 구조물{A floating apparatus of the sea}
본 고안은 해상 부유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 부유체의 모서리부 조립을 좀더 견고히 하여 시공된 부유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해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부유 구조체라 함은, 해변이나 강가의 수면위에 시공되어 보트등이 접안되는 선착장으로 사용되거나 군사 훈련중에 강 등에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 교량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해상 부유 구조물은, 수면위에 부상되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구조물과 다수 부유체의 조립을 통해 제작되는 구조물이 알려져 있는데, 이에 본 고안은 상기 후술한 조립식 부유 구조체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통상적으로 알려진 조립식 부유 구조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종래 해상 부유 구조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c는 도 8a의 E-E선 단면도이다.
이에 종래 일실시예의 부유물 구조체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고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 모서리부에는 상부에 조립 경사면(102)을 포함하는 모서리 경사면(101)이 함몰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모서리 경사면(101)의 중간에는 수직 조립공(104)을 포함하는 조립격판(103)이 돌출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부유체(100)와,
상기 각 부유체(100)의 측면들이 상호 밀착되어 모서리 경사면(101)에 구비된 조립격판(103)이 상호 밀착되어 각 조립격판(103)에 형성된 수직 조립공(104)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조립공(104)에 삽입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유체(100)를 상호 연결 조립하는 고정봉(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200)은, 상기 상호 밀착되는 조립격판(103)에 구비된 수직 조립공(104)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수직핀(201)과, 이 수직핀(20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 부유체(100)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 부유체의 모서리 경사면(101)의 상부에 구비된 조립 경사면(102)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상부 안착판(20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부유체(100)의 사방 모서리부를 조립격판(103)과 고정봉(200)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부유 구조물을 해상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해상에 부유 구조물을 시공한 상태에서 파도나 구조물의 상부로 차량 등의 중량체가 이동되어 부유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되게 되면,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의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조립격판이 부러지게 되거나 고정봉이 상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서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가 해체되어 대형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유체로 구성된 부유 구조물의 둘레에는 각 부유체를 구성하는 조립격판이 외부로 돌출되게 됨으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을 선착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구조물의 둘레에 돌출된 조립격판과 접안되는 배의 표면이 밀착됨에 따라서 배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유체의 모서리부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외력으로 인하여 부유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가 해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유 구조물의 둘레면을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을 선착장으로 시공한 경우에 둘레와 접안되는 배가 밀착되더라도 배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고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 모서리에는 모서리 경사면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경사면의 상,하부 내측에는 상,하부와 외측으로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몰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부유체와, 상호 연결시키고자 하는 상기 다수의 부유체의 측면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부유체의 연결하고자 하는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2개 이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에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부유체들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며 수직 조립홀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수단, 및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의 수직 조립홀에 관통되는 머리를 포함하는 축 볼트와, 상기 축 볼트의 머리 반대편에 형성된 나선부에 체결되어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해상 부유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해상 부유 구조물을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해상 부유 구조물은, 둘레 모서리부에 모서리 경사면(11)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경사면(11)의 상,하부 내측에는 원통형 함몰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부유체(1)와, 상호 연결시키고자 하는 상기 부유체(1)의 측면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부유체(1)의 연결하고자 하는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함몰홈(12)에 끼워져 다수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수단(2), 및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연결수단(2)을 상호 연결하는 축 볼트(3) 및 너트(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유체(1)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고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유체(1)의 둘레 모서리부에 형성된 상기 모서리 경사면(11)은 약 45도 정도의 각도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모서리 경사면(11)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 원통형 함몰홈(12)은 상,하부 및 외측의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은 부유체(1)들의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축 볼트(3)가 관통되어 너트(4)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 조립홀(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 볼트(3)는 상부에 육각 엘렌치의 공구로 회전되는 머리(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 연결수단(2)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21)의 상부에는 상기 축 볼트(3)의 머리(31)가 함몰 삽입되는 자리파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수단(2)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21)의 하부에는 상기 축 볼트(3)의 나선부(32)에 체결되는 너트(4)가 함몰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2)은 4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나 2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 또는 3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해상 부유 구조물을 조립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둘레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원통형 함몰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부유체(1)의 측면을 상호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유체(1)의 측면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부유체(1)의 연결되는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2개 이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수직 조립홀(21)이 포함된 다수의 연결수단(2)을 삽입한다.
다음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연결수단(2)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21)에 축 볼트(3)를 관통한 후 너트(4)를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다수의 부유체(1)을 넓은 판 형상으로 조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상,하로 한쌍을 이루는 연결수단(2)과 이를 관통하는 축 볼트(3) 및 너트(4)의 조립을 통해 각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서, 파도나 구조체의 상부로 차량 등의 중량체가 이동되어 해상 부유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유체(1)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어 시공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수단(2)은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나 2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 또는 3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각기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2)의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결수단(2)은 4개의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4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하로 4개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4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 조립홀(21)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4개 연결용 삽입체(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4개 연결용 삽입체(22)를 통해 4개 부유체(1)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4개 연결용 삽입체(22)의 둘레에는 연결 하고자 하는 4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하 원통형 함몰홈(12)에 모두 끼워질 수 있도록 4개의 수직 삽입원형봉(221)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4개 부유체(1)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직 삽입원형봉(221)은 원통형 함몰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수직 삽입원형봉이 측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끼워진다. 왜냐하면 상기 부유체(1)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 각각의 원통형 함몰홈(12)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고 외측이 일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원통형 함몰홈(12)에 4개 연결용 삽입체(22)를 구성하는 수직 삽입원형봉(221)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직 삽입원형봉(221)은 원통형 함몰홈(12)의 측부로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4개 연결용 삽입체(22)는, 중앙을 관통하는 축 볼트(3)와 너트(4)를 통해 상호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서 파도 등의 외부 원인으로 인하여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되더라도 부유체(1)가 상호 분리되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4개 연결용 삽입체(22)는,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각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함으로서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상,하부 연결수단(2)이 축 볼트(3)와 너트(4)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상,하부 연결수단(2)의 유동을 최소화 함에 따라 축 볼트(3)에 체결된 너트(4)의 풀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물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도 축 볼트(3)에서 너트(4)가 풀리지 않게 됨으로서 구조물이 해체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C-C선 단면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연결수단(2)은 2개소의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2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하로 2개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 내측에 2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23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수직 평면부(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조립홀(2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2개 연결용 삽입체(2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2개 연결용 삽입체(23)를 통해 2개 부유체(1)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2개의 연결 삽입체(23)의 둘레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하 원통형 함몰홈(12)에 모두 끼워질 수 있도록 2개의 수직 삽입원형봉(231)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2개 부유체(1)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직 삽입원형봉(231)은 원통형 함몰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측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끼워진다. 왜냐하면 상기 부유체(1)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 각각의 원통형 함몰홈(12)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고 외측이 일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원통형 함몰홈(12)에 2개 연결용 삽입체(23)의 수직 삽입원형봉(231)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직 삽입원형봉(231)은 원통형 함몰홈(12)의 측부로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2개 연결용 삽입체(23)는, 중앙을 관통하는 축 볼트(3)와 너트(4)를 통해 상호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서 파도 등의 외부 원인으로 인하여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체(1)가 상호 분리되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2개 연결용 삽입체(23)는,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각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함으로서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상,하부 연결수단(2)이 축 볼트(3)와 너트(4)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상,하부 연결수단(2)의 유동을 최소화 함에 따라 축 볼트(3)에 체결된 너트(4)의 풀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물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도 축 볼트(3)에서 너트(4)가 풀리지 않게 됨으로서 구조물이 해체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 돌출부(25)의 외측은 수직 평면부(232)로 형성됨으로서 완성된 부유 구조물의 둘레가 평면으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둘레가 평면부인 부유 구조물을 선착장으로 사용할 경우에 접안되는 배가 구조물의 둘레에 밀착되더라도 배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 볼트(3)가 상기 상,하 연결수단(2)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 조립홀(21)에 관통 구비되게 함으로서, 축 볼트(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6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연결수단(2)은 3개소의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3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하로 3개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3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2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 조립홀(2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3개 연결용 삽입체(24)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3개 연결용 삽입체(24)는 3개 부유체(1)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3개의 연결 삽입체(24)의 둘레에는 연결 하고자 하는 3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하 원통형 함몰홈(12)에 모두 끼워질 수 있도록 3개의 수직 삽입원형봉(241)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3개 부유체(1)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직 삽입원형봉(241)은 원통형 함몰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측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끼워진다. 왜냐하면 상기 부유체(1)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 각각의 원통형 함몰홈(12)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고 외측이 일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원통형 함몰홈(12)에 3개 연결용 삽입체(24)의 수직 삽입원형봉(241)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직 삽입원형봉(241)은 원통형 함몰홈(12)의 측부로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3개 연결용 삽입체(24)는, 중앙을 관통하는 축 볼트(3)와 너트(4)를 통해 상,하의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서 파도 등의 외부 원인으로 인하여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체(1)가 상호 분리되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3개 연결용 삽입체(24)는,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각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함으로서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상,하부 연결수단(2)이 축 볼트(3)와 너트(4)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상,하부 연결수단의 유동을 최소화 함에 따라 축 볼트(3)에 체결된 너트(4)의 풀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물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도 축 볼트(3)에서 너트(4)가 풀리지 않게 됨으로서 구조물이 해체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축(3)이 상기 상,하 연결수단(2)의 내부에 관통되게 구비됨으로서 축 볼트(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마감수단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D-D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마감수단(5)은, 상기 부유체(1)가 상호 연결되지 않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과 이 모서리 경사면의 상,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을 직각으로 마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마감수단(5)은, 상기 부유체(1)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지 않는 부유체(1) 모서리 경사면(11)의 상,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직각으로 마감하고 수직 조립홀(511)을 포함하는 다수의 모서리 마감체(51)와,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모서리 마감체(51)의 수직 조립홀(511)에 관통되는 머리(531)를 포함하는 축 볼트(53)와, 상기 축 볼트(53)의 머리(531) 반대편에 형성된 나선부(532)에 체결되어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모서리 마감체(51)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54)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마감체(51)는, 상기 부유체(1) 모서리 경사면(11)의 상,하부에 하나 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1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512)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삽입원형봉(512)의 반대측에는 직각부(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조립홀(511)이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모서리 마감체(51)의 하,상부에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모서리 경사면(11)의 외측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5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마감수단(5)을 통해 부유체(1)의 연결되지 않는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모서리 경사면(11)과 상,하부 원통형 함몰홈(12)에 직각으로 마무리 함으로서, 완성된 부유 구조물에 있어서 모퉁이부가 굴곡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부유 구조물의 모퉁이부를 직각으로 마무리함으로서 배 표면등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 볼트(53)이 상기 상,하 모서리 마감체(51)의 내부에 관통되게 구비됨으로서 축 볼트(5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유체의 모서리부의 연결강도를 향상시켜 시공된 부유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유체가 해체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장기간 동안 손상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부유 구조물의 둘레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부유 구조물을 선착장으로 사용할 경우에 선착장 둘레에 배가 접안되더라도 배의 외측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둘레부로 인한 배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고 둘레부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해상 부유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해상 부유 구조물을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6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마감수단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확대 조립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D-D선 단면도.
도 8은 종래 해상 부유 구조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c는 도 8a의 E-E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유체
11 : 모서리 경사면
12 : 원통형 함몰홈
2 : 연결수단
21 : 수직 조립홀
22 : 4개 연결용 삽입체
221 : 수직 삽입원형봉
23 : 2개 연결용 삽입체
231 : 수직 삽입원형봉, 232 : 수직 평면부
24 : 3개 연결용 삽입체
241 : 수직 삽입원형봉
25 : 밀착 돌출부
3 : 축 볼트
31 : 머리
32 : 나선부
4 : 너트
5 : 모서리 마감수단
51 : 모서리 마감체
511 : 수직 조립홀, 512 : 수직 삽입원형봉, 513 : 직각부
52 : 밀착 돌출부
53 : 축 볼트
531 : 머리, 532 : 나선부
54 : 너트

Claims (8)

  1.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고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 모서리에는 모서리 경사면(1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경사면(11)의 상,하부 내측에는 상,하부와 외측으로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몰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부유체(1)와,
    상호 연결시키고자 하는 상기 다수의 부유체(1)의 측면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부유체(1)의 연결하고자 하는 모서리부의 상,하부에 2개 이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부유체(1)들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며 수직 조립홀(21)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수단(2), 및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수직 조립홀(21)에 관통되는 머리(31)를 포함하는 축 볼트(3)와,
    상기 축 볼트(3)의 머리(31) 반대편에 형성된 나선부(32)에 체결되어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은,
    4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하로 4개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4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 조립홀(21)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4개 연결용 삽입체(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해상 부유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은,
    2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하로 2개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 내측에 2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23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수직 평면부(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조립홀(2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2개 연결용 삽입체(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해상 부유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은,
    3개 부유체(1)의 모서리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하로 3개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3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2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 조립홀(2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3개 연결용 삽입체(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해상 부유 구조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연결수단(2)의 하,상부에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부유체(1)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2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은,
    상기 부유체(1)가 상호 연결되지 않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 상,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부유체(1)의 모서리부를 직각으로 마감하고 수직 조립홀(511)을 포함하는 다수의 모서리 마감체(51)와, 상기 상,하로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모서리 마감체(51)의 수직 조립홀(511)에 관통되는 머리(531)를 포함하는 축 볼트(53)와, 상기 축 볼트(53)의 머리(531) 반대편에 형성된 나선부(532)에 체결되어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모서리 마감체(51)의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54)로 구성된 모서리 마감수단(5)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체(51)는,
    상기 부유체(1) 모서리 경사면(11)의 상,하부에 하나 씩 형성된 원통형 함몰홈(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1개소의 수직 삽입원형봉(512)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삽입원형봉(512)의 반대측에는 직각부(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조립홀(511)이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쌍을 이루는 상,하부 모서리 마감체(51)의 하,상부에는 부유체(1)의 모서리 경사면(11)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모서리 경사면(11)의 외측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면과 상면이 상호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5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
KR20-2005-0007662U 2005-03-21 2005-03-21 해상 부유 구조물 KR200391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62U KR200391018Y1 (ko) 2005-03-21 2005-03-21 해상 부유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62U KR200391018Y1 (ko) 2005-03-21 2005-03-21 해상 부유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18Y1 true KR200391018Y1 (ko) 2005-08-01

Family

ID=4369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62U KR200391018Y1 (ko) 2005-03-21 2005-03-21 해상 부유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1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14B1 (ko) 2010-07-22 2011-06-08 오세진 조립형 부구
KR20120045738A (ko) * 2010-11-01 2012-05-09 김근수 수상 레저하우스
WO2016204312A1 (ko) * 2015-06-15 2016-12-22 조제환 부유유닛을 포함하는 수상구조물
CN113911300A (zh) * 2021-11-10 2022-01-11 深圳鳍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快速拆装的浮力底盘及水下机器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14B1 (ko) 2010-07-22 2011-06-08 오세진 조립형 부구
KR20120045738A (ko) * 2010-11-01 2012-05-09 김근수 수상 레저하우스
WO2016204312A1 (ko) * 2015-06-15 2016-12-22 조제환 부유유닛을 포함하는 수상구조물
CN113911300A (zh) * 2021-11-10 2022-01-11 深圳鳍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快速拆装的浮力底盘及水下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080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강 콘크리트 합성 폰툰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200391018Y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1095278B1 (ko) 부력조정과 변형이 가능한 폰툰용 패널 및 부력체 결합 방법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KR200394559Y1 (ko) 해상 부유 구조물
JP2001115416A (ja) 浮桟橋用浮体の連結構造
KR20090002683U (ko)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US11027798B2 (en) To connect float modules to each other and/or to an assembly and/or to a superstructure mounted onto them, for pontoons constructed of float modules
KR20010023758A (ko) 반잠수형 근해 선박
JP4330101B2 (ja) フロート装置
KR20210062474A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KR200409137Y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200441485Y1 (ko) 해상부유구조물
KR20070040112A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102471121B1 (ko) 수상용 부유 조립체의 부유블록
CN215055804U (zh) 一种天然网箱游泳池底板拼接结构
KR20090096119A (ko) 부력통 유니트
KR101919868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
KR200387375Y1 (ko) 수상 정박장치
KR101646184B1 (ko) 중장비의 이동을 위한 폰툰 및 이를 위한 폰툰용 데크
KR20150033487A (ko) 개량형 폰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