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683U -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683U
KR20090002683U KR2020070015283U KR20070015283U KR20090002683U KR 20090002683 U KR20090002683 U KR 20090002683U KR 2020070015283 U KR2020070015283 U KR 2020070015283U KR 20070015283 U KR20070015283 U KR 20070015283U KR 20090002683 U KR20090002683 U KR 200900026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dock
socket
ellipse
coupl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모
Original Assignee
양홍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홍모 filed Critical 양홍모
Priority to KR2020070015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683U/ko
Publication of KR20090002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유도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플로팅 도크부재(10)의 상부면 모서리와 하부면 모서리에 타원형의 소켓(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소켓(12)의 바닥면(14)에 인서트 너트(16)가 삽입되며, 커플러(20)가 소켓(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1 타원부(21)와 소켓(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타원부(21)를 가지며, 제 1 타원부(21)와 제 2 타원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23)가 제 1 타원부(21) 및 제 2 타원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플러(20)의 제 1 타원부(21)가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에 끼워지고, 제 2 타원부(22)가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에 끼워지고, 볼트(31)가 제 1 타원부(21)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4)을 통해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의 인서트 너트(16a)에 각각 체결되고, 볼트(33)가 제 2 타원부(22)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5)을 통해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의 인서트 너트(16b)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도크의 조립구조{STRUCTUR FOR ASSEMBLYING FLOATING DOCKS}
본 고안은 부유 도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팅 도킹부재(floating docking members)의 모서리에 다수개의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 커플러가 끼워지고, 볼트가 커플러의 볼트구멍을 통해 소켓의 바닥면에 삽입된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는 부유도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0027159호(1989년 1월 19일 등록)에 "부유도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부유도크는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러스트 탱크를 가지며 분리 가능하게 서로 부착되는 하나의 중간 폰툰과 2개의 단부 폰툰을 포함하고, 단부 폰툰은 중간 폰툰을 수면 위로 완전히 들어 올릴 수 있는 칫수로 되어 있고, 중간 폰툰은 단부 폰툰을 역시 수면 위로 완전히 들어올릴 수 있는 칫수로된 부유도크에 있어서, 폰툰의 단부면들에는 그 폰툰들의 인접면들을 서로 다른 높이에서 서로 결합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요철의 결합부재들을 일체로 구비하며, 푼툰 을 상호 연결하는 수단이 폰툰의 단부면의 개방 공간에 위치되고, 이들 공간은 상기 연결수단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수밀의 코퍼댐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유도크는 선박을 접안시키기에 적합한 크기로 제작된 것으로, 길이 300cm, 폭 100cm, 높이 37cm 정도 직육면체 폰툰(도킹부재)를 연결하는 구조에는 부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 300cm, 폭 100cm, 높이 37cm 정도 직육면체 형상의 플로팅 도킹부재들을 연결하기에 적합하도록, 플로팅 도킹부재(floating docking members)의 모서리에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 커플러가 끼워지고, 볼트가 커플러의 볼트구멍을 통해 소켓의 바닥면에 삽입된 너트에 체결되므로서, 플로팅 도킹부재들의 결합강도가 높고, 결합 작업이 편리한 부유도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부유도크의 조립구조는 플로팅 도크부재의 상부면 모서리와 하부면 모서리에 타원형의 소켓이 다수개 형성되고, 소켓의 바닥면에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며, 커플러가 소켓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1 타원부와 소켓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타원부를 가지며, 제 1 타원부와 제 2 타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가 제 1 타원부 및 제 2 타원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플러의 제 1 타원부가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의 소켓)에 끼워지고, 제 2 타원부가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의 소켓에 끼워지고, 볼트가 제 1 타원부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의 소켓의 인서트 너트에 각각 체결되고, 볼트가 제 2 타원부의 볼트구멍을 통해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의 소켓의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플러는 고무 또는 탄성이 많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플로팅 도크부재가 커플러에 의해 연결될 때, 상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에 끼워지는 커플러와 하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에 끼워지는 커플러가 서로 독립적으로 볼트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유도크의 조립구조는 상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에 끼워지는 커플러와 하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에 끼워지는 커플러가 서로 독립적으로 고정되므로서, 파도에 의해 플로팅 도크부재의 연결부위가 꺾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플로팅 도크부재들을 타이트하게 연결하여 결합 강도가 높으며, 어느 한 커플러의 연결이 다른 커플러의 연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플로팅 도크부재들의 연결 간극이 매우 작고, 플로팅 도그부재의 연결이 편리하며, 커플러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플로팅 도크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배와 부두 또는 선창을 연결하는 갱 플랭크(gang plank), 보트 범퍼, 가두리 양식장의 작업자의 이동통로 등과 같은 소정의 형태로 배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본 고안에 적용되는 플로팅 도크 부재(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가로 300cm, 세로 100cm, 높이 37cm 정도 크기를 갖는다. 이와같은 플로팅 도크 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부유도크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로팅 도크부재(10)의 상부면 모서리와 하부면 모서리에 타원형의 소켓(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소켓(12)의 바닥면(14)에 인서트 너트(16)가 삽입되며, 커플러(20)가 소켓(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1 타원부(21)와 소켓(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타원부(21)를 가지며, 제 1 타원부(21)와 제 2 타원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23)가 제 1 타원부(21) 및 제 2 타원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플러(20)의 제 1 타원부(21)가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에 끼워지고, 제 2 타원부(22)가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에 끼워지고, 볼트(31)가 제 1 타원부(21)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4)을 통해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의 인서트 너트(16a)에 각각 체결되고, 볼트(33)가 제 2 타원부(22)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5)을 통해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의 인서트 너트(16b)에 체결된다.
상기 소켓(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로팅 도크부재(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가로 모서리에 각각 3개씩 형성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의 세로 모서리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소켓의 갯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인서트 너트(16)는 회전금형을 이용하여 플로팅 도크부재(10)를 성형할 때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인서트되어, 소켓(12)의 바닥면(1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커플러(20)는 고무 또는 탄성이 많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부유도크 조립구조는 2개의 플로팅 도크부재(10a, 10b)가 커플러(20)에 의해 연결될 때,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에 끼워진 커플러(20)의 제 1 타원부(21)가 볼트(31)에 의해 록킹되고,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에 끼워진 커플러(20)의 제 2 타원부(22)가 볼트(33)에 의해 록킹되므로서, 파도가 칠 때, 플로팅 도크부재의 연결부재(10a, 10b)의 연결부위가 꺾여도 볼트(31, 32)에 의해 커플러(20)의 제 1 타원부(21) 및 제 2 타원부(22)가 소켓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플로팅 도크부재(10a, 10b)가 커플러(20)에 의해 연결될 때, 플로팅 부유도크(10)의 상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12)과 하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이 각각 커플러(2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파도가 칠 때, 플로팅 도크부재의 연결부위가 꺾여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플로팅 도크부재를 연결하여 형성된 간이 접안시설의 출렁거림을 줄일 수 있고, 플로팅 도크부재들을 타이트하게 연결할 수 있고, 어느 한 커플러의 연결이 다른 커플러의 연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유도크의 조립구조는 플로팅 도크부재들의 연결간극이 매우 작고, 커플러를 이용하여 플로팅 도그부재를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커플러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플로팅 도크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배와 부두 또는 선 창을 연결하는 갱 플랭크(gang plank), 보트 범퍼, 가두리 양식장의 작업자의 이동통로 등과 같은 소정의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팅 도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토크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커플러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플로팅 도크부재 12 : 소켓
20 : 커플러 31, 33 : 볼트

Claims (3)

  1. 플로팅 도크부재(10)의 상부면 모서리와 하부면 모서리에 타원형의 소켓(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소켓(12)의 바닥면(14)에 인서트 너트(16)가 삽입되며, 커플러(20)가 소켓(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1 타원부(21)와 소켓(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 2 타원부(21)를 가지며, 제 1 타원부(21)와 제 2 타원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23)가 제 1 타원부(21) 및 제 2 타원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플러(20)의 제 1 타원부(21)가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에 끼워지고, 제 2 타원부(22)가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에 끼워지고, 볼트(31)가 제 1 타원부(21)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4)을 통해 어느 한 플로팅 도크부재(10a)의 소켓(12a)의 인서트 너트(16a)에 각각 체결되고, 볼트(33)가 제 2 타원부(22)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5)을 통해 이웃하는 플로팅 도크부재(10b)의 소켓(12b)의 인서트 너트(16b)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도크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20)는 고무 또는 탄성이 많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도크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플로팅 도크부재가 커플러(20)에 의해 연결될 때, 상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에 끼워지는 커플러와 하부면 모서리에 형성된 소켓에 끼워지는 커플러가 서로 독립적으로 볼트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도크 부재.
KR2020070015283U 2007-09-13 2007-09-13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KR200900026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283U KR20090002683U (ko) 2007-09-13 2007-09-13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283U KR20090002683U (ko) 2007-09-13 2007-09-13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83U true KR20090002683U (ko) 2009-03-18

Family

ID=4128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283U KR20090002683U (ko) 2007-09-13 2007-09-13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683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735A2 (ko) * 2009-05-22 2010-11-25 Park Jungkeuk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101322088B1 (ko) * 2013-06-05 2013-10-28 (주)씨테크알엔디 물양장용 부함
KR101349966B1 (ko) * 2013-05-29 2014-02-17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20150091784A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가변 선박
WO2015119363A1 (ko) * 2014-02-10 2015-08-13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20230044978A (ko) 2021-09-27 2023-04-04 정복균 단위부체와 이를 이용한 마리나용 콘크리트 부잔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735A2 (ko) * 2009-05-22 2010-11-25 Park Jungkeuk 이동식 다목적 가교
WO2010134735A3 (ko) * 2009-05-22 2011-03-10 Park Jungkeuk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101349966B1 (ko) * 2013-05-29 2014-02-17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101322088B1 (ko) * 2013-06-05 2013-10-28 (주)씨테크알엔디 물양장용 부함
KR20150091784A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가변 선박
WO2015119363A1 (ko) * 2014-02-10 2015-08-13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JP2016510287A (ja) * 2014-02-10 2016-04-07 ドンシン産業株式会社Dongshin Industry Inc. 組立式ポンツーン
KR20230044978A (ko) 2021-09-27 2023-04-04 정복균 단위부체와 이를 이용한 마리나용 콘크리트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8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arine bodies
KR20090002683U (ko)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US6179525B1 (en) Floating dock section
US8091500B2 (en) Over-the-water dock
KR101070242B1 (ko)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US7273018B2 (en)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US6073572A (en) Floating dock
JP5679809B2 (ja) 組立式浮き桟橋用コネクタ装置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KR101975167B1 (ko) 수상 플로트 구조물
CA2506275A1 (en) Floating docking system
KR101666558B1 (ko) 마감재 설치구조가 구비된 부구 조립체
KR101560584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369799B1 (ko) 해상에서 선박을 접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연결블록
KR200391018Y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1919870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84665B1 (ko) 깊은 심해에 시공되는 계단식 방파제
KR101646184B1 (ko) 중장비의 이동을 위한 폰툰 및 이를 위한 폰툰용 데크
KR101617190B1 (ko) 접합식 플로팅 도크 및 확장 플로팅 도크
KR20090096119A (ko) 부력통 유니트
KR101775902B1 (ko) 해양플랫폼의 연결장치
KR101061984B1 (ko)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
KR101735527B1 (ko) 중장비의 이동을 위한 폰툰 및 이를 위한 폰툰용 데크 조립체
KR101919868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
KR101043021B1 (ko)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