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119A - 부력통 유니트 - Google Patents

부력통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119A
KR20090096119A KR1020080021504A KR20080021504A KR20090096119A KR 20090096119 A KR20090096119 A KR 20090096119A KR 1020080021504 A KR1020080021504 A KR 1020080021504A KR 20080021504 A KR20080021504 A KR 20080021504A KR 20090096119 A KR20090096119 A KR 2009009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ylinder
cylinder body
buoyancy
water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에코리소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리소스랩 filed Critical (주)에코리소스랩
Priority to KR102008002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6119A/ko
Publication of KR2009009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통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 부유 가능하도록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지며, 측부에 높이가 서로 다르게 복수의 고리가 형성되고, 수면과 인접하는 하부영역에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 부력통 본체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부력통 본체에 의하여 적층되는 두 개 이상의 고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물의 유동에 의한 요동을 줄이며, 부유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통 유니트{FLOATING BODY UNIT}
본 발명은 부력통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유동에 의한 요동을 줄일 수 있는 부력통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나 강가와 같이 물이 인접한 곳에는 보트나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 시설이 되어 있다. 이러한 접안 시설로는 항만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호수가 등과 같이 나무나 판재에 의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레저형 보트와 같은 소형의 선박은 정박하는 특별한 시설이 없고, 목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하거나 대형의 선박들이 접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형의 선박을 이용한 구조물에 모터보트를 접안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모터보트의 높이 차가 발생되므로 정박된 모터보트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썰물과 밀물에 의하여 모터보트의 높이는 다르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접안 시설에서 정박중인 모터보트로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목재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접안 시설은 보트 등과 같은 소형 해상 운송수단의 정박시 충돌로 인한 보트 및 접안 시설의 손상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고자 폐타이어나 발포부재(발포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완충재를 접안 시설 및 보트의 전면·측면에 구비시키고 있으나, 이는 미관을 크게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해상 운송수단은 접안 시설에 정박중인 상태에서도 조수간만의 차나 해수의 너울 및 파도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유동을 하게 되는데 자칫 접안 시설에 충돌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접안 시설은 소형의 해상 운송수단을 안전한 상태로 접안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안되는 보트와 접안 시설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정박되는 보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속이 빈 복수의 부력통 본체를 평면상으로 연결하여 접안 시설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수의 부력통 본체를 연결하여 된 접안 시설에 있어서, 수면과 접촉하는 각 부력통 본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수면에 너울 및 파도가 발생하는 경우 부력통 본체를 향하는 물이 부력통 본체에 의해 차단되어 각 부력통 본체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각 부력통 본체가 심하게 요동하여 부력통 본체의 부유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물의 유동에 의한 요동을 줄이며, 부유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부력통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수면에 부유 가능하도록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지며, 측부에 높이가 서로 다르게 복수의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수면과 인접하는 하부영역에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 부력통 본체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상기 부력통 본체에 의하여 적층되는 두 개 이상의 고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 유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부력통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물이 유출입하는 복수의 유출입홈과; 상기 복수의 유출입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부력통 본체의 바닥부에 함몰 형성된 연통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로는 크로스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부력통 본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물의 유동에 의한 요동을 줄이며, 부유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1)는 수면에 부유 가능하도록 속이 빈 육면체형상을 갖는 부력통 본체(10)와, 인접하는 부력통 본체(1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볼트(40)를 가진다.
부력통 본체(1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데, 내부에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서 부력에 의하여 수면 위에 뜨게 된다. 부력통 본체(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이음매 없이 전체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부력통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부력통 본체(10)는, 부력통 본체(10)의 측부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네 측벽(13)과, 각 측벽(13)에 의해 형성된 양단 개구를 각각 차단하는 상부(15) 및 바닥부(17)를 가진다.
부력통 본체(10)의 상부(15)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수면과 접하는 부력통 본체(10)의 하부영역에는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유로(21)는 부력통 본체(10)로 물이 유출입하는 복수의 유출입홈(23)과, 복수의 유출입홈(23)과 연통하는 연통홈(25)을 포함한다.
유출입홈(23)은 부력통 본체(10)의 네 측벽(13)의 하부로부터 측벽(13)의 폭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유출입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유출입홈(23)은 부력통 본체(10)의 전방으로부터 밀려오는 물이 연통홈(25)으 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거나, 연통홈(25)을 따라 유동한 물이 부력통 본체(10)의 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연통홈(25)은 각 유출입홈(23)과 연통하도록 부력통 본체(10)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17)에 함몰 형성된다. 연통홈(25)은 일측 유출입홈(23)으로 유입된 물을 타측 유출입홈(23)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부력통 본체(10)의 가이드 유로(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크로스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가이드 유로(21)의 단면형상은 크로스형 이외에, 일자형, 'T'자형, 'L'자형, 'ㄷ'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부력통 본체(10)의 네 측벽(13)의 판면에는 삽입돌기(27)와 삽입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한 쌍의 부력통 본체(10)는 삽입돌기(27)와 삽입홈(29)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게 연결된다.
또한, 부력통 본체(10)의 각 측벽(13)의 모서리에는 인접하는 부력통 본체(10)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31,33,35,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부력통 본체(10)의 모서리에는 제1고리(31), 제2고리(33), 제3고리(35) 및 제4고리(3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고리(31,33,35,37)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부력통 본체(10)가 서로 밀착되는 모서리에는 서로 높이가 다른 고리가 적층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부력통 본체(10)가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4개의 고리가 연결되는데, 연결되는 4개의 고리는 서로 높이가 다르므로 중복되지 않으면서 적층된다. 만약 3개의 부력통 본체(10)가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3개의 고리가 적층된다.
또한, 각 고리(31,33,35,37)에는 장방형의 관통공(3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1)의 볼트(40)는 각 고리(31,33,35,37)의 관통공(39)에 관통 결합된다. 즉, 인접하게 연결되는 부력통 본체(10)에 의하여 적층되는 고리들의 관통공(39)에 볼트(40)가 관통 결합되어, 인접하는 부력통 본체(10)를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고리를 연결하는 볼트(40)는 인접하는 부력통 본체(10)의 수에 따라서 2개, 3개 혹은 4개의 고리와 연결되게 된다. 즉, 2개의 부력통 본체(10)를 연결하는 부위에는 2개의 고리와 연결되게 되고, 3개의 부력통 본체(10)와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3개의 고리와 연결되게 되며, 4개의 부력통 본체(10)와 연결되는 중앙 부위에서는 4개의 고리와 연결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고리가 연결되는 부위는 제2고리(33)와 제4고리(37)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연결되는 부력통 본체(10)에 의하여 제1고리(31), 제2고리(33), 제3고리(35) 혹은 제4고리(37) 중에서 2개가 조합되는 가지의 수로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서로 높이가 동일한 제1고리(31)와 제1고리(31)는 서로 연결될 수 없게 되고, 제1고리(31)와 제1고리(31)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고리(제2고리, 제3고리, 제4고리) 중에서 하나의 고리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고리(31,33,35,37)가 이격되는 거리는 각각의 고리(31,33,35,37)의 두께보다도 더 짧게 되면 서로 겹쳐질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고리(31,33,35,37)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고리들(31,33,35,37)의 두께보다도 더 크게 형성한다.
볼트(40)의 단부에는 돌출링(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링(41)은 고리(31,33,35,37)에 억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볼트(40)는 너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된 볼트(40)의 머리부분이 상부(15)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력통 본체(10) 모서리에는 볼트(40)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1)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4개의 부력통 본체(10)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각 부력통 본체(10)의 고리(31,33,35,37)를 적층시킨다.
이 때, 각 부력통(10)의 고리(31,33,35,37)가 겹치지 않게, 그리고 각 부력통(10)의 고리(31,33,35,37)의 관통공(39)이 상호 연통하도록 각 부력통(10)을 밀착시킨다.
다음, 각 부력통(10)의 적층된 고리(31,33,35,37)의 각 관통공(39)에 볼트(40)를 관통 결합한다.
이 때, 볼트(40)는 각 고리(31,33,35,37)를 견고하게 연결하고, 4개의 부력통(10)은 평면상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부력통 본 체(10)를 볼트(40)에 의하여 접안되는 보트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1)를 수면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너울 및 파도가 발생하면, 각 부력통 본체(10)를 향해 유동하는 물은 각 부력통 본체(10)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가이드 유로(21)를 거쳐 각 부력통 본체(1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된다.
즉, 각 부력통 본체(10)의 일측 유출입홈(23)으로 유입된 물은 연통홈(25)을 따라 유동하여 나머지 유출입홈(23)을 통해 각 부력통 본체(1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유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1)는, 각 부력통 본체(10)를 향해 너울 및 파도를 일으키며 유동하는 물이 각 부력통 본체(10)의 가이드 유로(21)를 거쳐 각 부력통 본체(1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유출됨으로써, 수면에서의 물의 유동에 따른 부력통 본체(10)의 요동이 줄어들게 되고, 또한 부력통 본체(10)의 부유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부력통 본체는 육면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부력통 본체는 원통형상, 원추형상, 다면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는 접안 시설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식장, 부표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력통 본체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 유니트를 이용한 접안 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부력통 유니트 10 : 부력통 본체
11 : 중공부 13 : 측벽
15 : 상부 17 : 바닥부
21 : 가이드 유로 23 : 유출입홈
25 : 연통홈 27 : 삽입돌기
29 : 삽입홈 31,33,35,37 : 고리
39 : 관통공 40 : 볼트
41 : 돌출링 45 : 안착홈

Claims (3)

  1. 수면에 부유 가능하도록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지며, 측부에 높이가 서로 다르게 복수의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수면과 인접하는 하부영역에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 부력통 본체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상기 부력통 본체에 의하여 적층되는 두 개 이상의 고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부력통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물이 유출입하는 복수의 유출입홈과;
    상기 복수의 유출입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부력통 본체의 바닥부에 함몰 형성된 연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 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크로스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 유니트.
KR1020080021504A 2008-03-07 2008-03-07 부력통 유니트 KR20090096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04A KR20090096119A (ko) 2008-03-07 2008-03-07 부력통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04A KR20090096119A (ko) 2008-03-07 2008-03-07 부력통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19A true KR20090096119A (ko) 2009-09-10

Family

ID=4129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504A KR20090096119A (ko) 2008-03-07 2008-03-07 부력통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61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42Y1 (ko) * 2009-12-31 2010-04-09 오세진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CN105951665A (zh) * 2016-05-26 2016-09-21 陈桂霞 一种组建水上码头的浮箱
CN105951666A (zh) * 2016-05-26 2016-09-21 陈桂霞 一种浮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42Y1 (ko) * 2009-12-31 2010-04-09 오세진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CN105951665A (zh) * 2016-05-26 2016-09-21 陈桂霞 一种组建水上码头的浮箱
CN105951666A (zh) * 2016-05-26 2016-09-21 陈桂霞 一种浮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US20090151613A1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1185716B1 (ko) 수중 부유식 방파제
CN113226916A (zh) 海上结构物用浮体
KR20090096119A (ko) 부력통 유니트
KR101132928B1 (ko) 방파제 단위유닛
CN106218830A (zh) 一种可设置宽浮箱的张力腿平台
KR950011771A (ko) 방파제 케이슨
CN113737714A (zh) 一种生态浮式防波堤的施工方法
KR101126099B1 (ko) 소음 완화 및 충격 완충을 위한 소파블럭
KR101797392B1 (ko) 근해용 다목적 부유식 플랫폼 시스템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KR101016382B1 (ko) 작업선의 조립식 선체구조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20130070174A (ko) 계류시설
KR101479173B1 (ko) 반잠수 수중익형 부방파제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JP2001295244A (ja) 消波装置
KR102186902B1 (ko) 침수형 부상 조립체
KR101280666B1 (ko) 부상식 도크 게이트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KR101043021B1 (ko)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KR102562002B1 (ko)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KR102495853B1 (ko)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