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569Y1 -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 Google Patents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569Y1
KR200390569Y1 KR20-2005-0011446U KR20050011446U KR200390569Y1 KR 200390569 Y1 KR200390569 Y1 KR 200390569Y1 KR 20050011446 U KR20050011446 U KR 20050011446U KR 200390569 Y1 KR200390569 Y1 KR 200390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ttern
porcelain
photoluminescent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기
Original Assignee
송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기 filed Critical 송성기
Priority to KR20-2005-0011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벌 구이까지 완료된 도자기의 표면에, 기재에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층이 전사지로부터 박리되어 부착되고 750℃ 내지 900℃의 고온에서 소성되어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 문양층이 표면에 형성되어 도자기의 문양이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A pottery with photoluminescent transcription figure}
본 고안은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자기나 법랑질 포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전사지를 사용하여 색소 유약 잉크를 표면에 전사한 후 소결하는 방법과 붓으로 색소 유약을 도자기 표면에 칠한 후 소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런데 붓으로 색소 유약을 칠하는 방법은 대량생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는 전사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원색별로 필름을 제작하지 아니하고 프린터 기기를 사용하여 전사지에 문양을 인쇄하고 문양 위에 아크릴 수지 등의 전사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피막을 문양과 함께 전사지에서 분리하여 도자기에서 분리하고 가열 소성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전사 문양을 도자기에 형성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 우수한 질의 문양을 도자기 표면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자기를 고온에서 소성 가공처리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그런데 야광 안료는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도자기 표면에 야광 안료를 전사처리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보이는 문양을 형성할 수 없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잘 보이는 특수한 도자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고온에서 잘 견디는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지를 사용하여 축광 전사 문양을 표면에 형성한 도자기를 제공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보이는 문양을 갖는 도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벌 구이까지 완료된 도자기의 표면에, 기재에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층이 전사지로부터 박리되어 부착되고 750℃ 내지 900℃의 고온에서 소성되어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 문양층이 표면에 형성된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축광 안료는 빛의 조사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를 어두운 곳에서 광으로 변화시켜 발광하는 고형 물질이다. 축광 안료는 무기 산화물 등을 함유하는 모결정과, 발광 중심으로 사용되는 미량의 활성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ZnS : Cu(녹색)으로 표시되는 축광 안료는 ZnS를 포함하는 모결정 및 활성제로서 Cu를 포함한 안료로서 녹색 발광을 나타낸다.
축광안료로는 산화물계 축광안료, 산화 황화물계 축광 안료, 황화물계 축광 안료, 할로겐화물계 축광 안료, 규산염계 축광 안료, 인산염계 축광 안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축광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축광 안료의 평균 입경은 3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40 ㎛ 정도이다.
전사 시트는 기재 및 이로부터 박리 가능하며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재로서는 통상 박리 기재, 예를 들면 이형지 및 이형성을 제공하도록 처리되는 합성지,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 이형제(왁스, 고급 지방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아미드, 실리콘 오일) 등으로 기재를 처리한다.
본 고안의 전사층은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잉크층이 기재에 형성된다. 한편, 접착성을 갖게 하여 도자기에 전사되기 위하여 접착층이 잉크층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잉크층 자체에 핫멜트 접착성 입자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전사층은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첨가제, 예를 들면 다른 염료 정착제, 안정화제(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화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윤활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도자기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창작 또는 선택된 문양의 원도를 원색분해기법에 의해 색분해하고(s100) 분해된 각 원색별로 필름을 제작하고 각 원색별로 스크린 인쇄판을 제작한다(s102). 인쇄판 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 인쇄판을 이용하여 전사지에 색상을 중복 인쇄함으로써 도자기용 전사지를 제작한다(S104). 전사지에 원하는 문양이 인쇄되면 문양 위에 합성수지로 된 물질을 도포, 응고시켜서 전사지에 인쇄된 안료가 도포된 합성수지 코팅 피막에 부착되도록 한다(S106). 다음에 상기 코팅 피막을 전사지와 분리하여 코팅 피막을 도자기 표면에 부착하고(S108) 약 800℃의 고온에서 도자기를 가열하여 도자기 표면의 안료가 소성되도록 한다(S110).
전사지에 문양이 인쇄되면 문양 상에 전사액을 도포한다. 도 2는 전사액이 도포된 전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사지(10) 상의 문양(20) 위에 전사액(30)을 도포한 후 전사액이 응고되도록 일정 시간 건조시킨다. 전사지에 도포된 전사액이 응고되면 전사지를 물 속에 약 5분 정도 담구어 전사액에 의해 형성된 코팅 피막과 전사지를 분리시킨다. 코팅피막을 전사지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전사지에 인쇄된 문양이 코팅피막에 부착된다.
분리된 코팅피막을 스퀴지(squeegee) 등을 이용하여 도자기 표면 중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키고 750℃ 내지 900℃의 고온에서 가열 소성 공정을 통해 전사공정을 마무리한다.
이러한 전사 공정을 마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 표면에 축광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온에서 잘 견디는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지를 사용하여 축광 전사 문양을 표면에 형성한 도자기를 제공함으로써 도자기의 문양이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도자기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의 절차흐름도이다.
도 2는 전사액이 도포된 전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Claims (1)

  1.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에 있어서,
    재벌 구이까지 완료된 도자기의 표면에, 기재에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층이 전사지로부터 박리되어 부착되고 750℃ 내지 900℃의 고온에서 소성되어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 문양층이 표면에 형성된
    도자기.
KR20-2005-0011446U 2005-04-25 2005-04-25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KR200390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46U KR200390569Y1 (ko) 2005-04-25 2005-04-25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46U KR200390569Y1 (ko) 2005-04-25 2005-04-25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569Y1 true KR200390569Y1 (ko) 2005-07-22

Family

ID=4369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46U KR200390569Y1 (ko) 2005-04-25 2005-04-25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5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64B1 (ko) 2017-04-11 2017-08-02 신상순 유약 첨가 분쇄물, 유약 첨가 분쇄물 제조 방법 및 도자기 제작 방법.
KR102278114B1 (ko) * 2020-09-01 2021-07-14 한상희 성경스토리 십자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64B1 (ko) 2017-04-11 2017-08-02 신상순 유약 첨가 분쇄물, 유약 첨가 분쇄물 제조 방법 및 도자기 제작 방법.
WO2018190538A1 (ko) * 2017-04-11 2018-10-18 신상순 유약 첨가 분쇄물, 유약 첨가 분쇄물 제조 방법 및 도자기 제작 방법.
KR102278114B1 (ko) * 2020-09-01 2021-07-14 한상희 성경스토리 십자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7241A (ko) 트랜스퍼 제조(transfer manufacture)
CN100575123C (zh) 一种釉下转移花纸在陶瓷釉下的应用
US3857746A (en) Color decalcomania and method
JPS63260499A (ja) 転写画及びこれを用いる塗布方法
CN107417114A (zh) 光致发光面釉、发光微晶陶瓷砖及其制备方法
KR200390569Y1 (ko) 축광 전사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KR101076168B1 (ko) 무기 열전사 공법의 세라믹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2695B1 (ko) 세라믹토너를 이용한 이미지가 형성된 타일의 제조방법
EP2877346B1 (en) Methods for decorating ceramic tiles
EP1640426A2 (en) Heat-resistant label
US3769055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n overglaze ceramic decalcomania
US2566735A (en) Decoration of ceramic ware
JP5474693B2 (ja) 白磁用鉄結晶窯変調転写紙、鉄結晶窯変調模様を有する陶磁器の製造方法、および鉄結晶窯変調模様を有する陶磁器
JP2903547B2 (ja) 陶磁器絵付け用転写シート
KR101359830B1 (ko)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건축 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26648Y1 (ko) 축광성 타일
JP6998041B2 (ja) 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及び、陶磁製品の製造方法
CN104369561A (zh) 一种在陶瓷容器形成变色图案的方法
KR20100085585A (ko) 도자기 표면의 그림 전사 방법 및 그 방법으로 그림이 전사된 도자기
EP0669215B1 (en) Decalcomania for on-glaze decoration of ceramic ware
KR200289244Y1 (ko) 엠보싱 구조를 갖는 요업용 전사지
KR20080095400A (ko) 축광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21033Y1 (ko) 두꺼운 판재를 이용한 엠보싱 구조를 갖는 요업용 전사지
KR20060126201A (ko) 유리 표면의 무늬 형성 구조 및 그 인쇄 방법
KR100905751B1 (ko) 전사용 용지, 전사용 용지의 제조방법 및 전사용 용지를이용한 채색무늬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