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330Y1 -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330Y1
KR200390330Y1 KR20-2005-0011410U KR20050011410U KR200390330Y1 KR 200390330 Y1 KR200390330 Y1 KR 200390330Y1 KR 20050011410 U KR20050011410 U KR 20050011410U KR 200390330 Y1 KR200390330 Y1 KR 200390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driver
rotating body
bal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길호
남수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필
Priority to KR20-2005-0011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의 비트에 끼워져 비트의 촉부에 나사를 부착시킨 상태로 나사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나사의 체결작업이 안전하도록 된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일정한 내외경을 갖는 관통형상의 몸체(1100)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자석안착부재(1110)와, 상기 자석안착부재의 일방향으로 끼워져 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어 나사못의 머리부가 밀착가능하도록 된 자성부재(1130)와, 상기 자석안착부재와 자성부재중의 적어도 어느하나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1150)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2개이상의 볼(1170)과, 볼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1200)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자석안착부재와 상기 자성부재, 제1탄성부재, 볼 및 제2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회전몸체(1220)와, 회전몸체의 원통부에 끼워져 회전몸체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된 스파이럴판스프링(1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ADAPTER FOR BIT OF DRIVER}
본 고안은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버의 비트에 끼워져 비트의 촉부에 나사를 부착시킨 상태로 나사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나사의 체결작업이 안전하도록 된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driver)라 함은 손으로 파지하도록 된 몸체와, 이 몸체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회동 되는 비트를 포함한다. 이 비트는 나사(screw)의 체결 시 나사 머리에 형성된 홈 즉, 일자 홈이나 십자 홈, 6각 홈 등에 드라이버의 비트에 홈과 동일하게 형성된 촉을 형성하여 안착된 상태로 회전시켜서 나사를 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드라이버는 단순히 드라이버 몸체에 분리 또는 일체화된 드라이버의 비트에 형성된 촉이 바로 나사에 밀착되어 나사가 체결되는 구조로, 비트에 갖춰진 자성이 약해지게 되면 나사의 체결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나사의 머리부위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드라이버의 비트에 형성된 촉을 삽입한다 하더라도, 드라이버의 비트에 형성된 촉의 길이로 인해 나사 체결 작업시 나사가 촉에서 흔들리면서 그 체결작업이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라이버의 비트에 끼워져 측면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나사못을 부착하고 드라이버의 비트에 형성된 촉이 바로 나사의 홈에 밀착되어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비트에 갖춰진 자성이 약해지게 되더라도 자석에 의해 나사못을 부착하면 나사의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도록 된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나사의 머리부위가 촉과 자석에 의해 지지가 되어 부착되므로 나사 체결 작업시 나사가 촉에서 흔들리지 않아서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일정한 내 외경을 갖는 관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한쪽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안착 되는 자석안착부재와, 상기 자석안착부재의 일방향으로 끼워져 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 되어 나사못의 머리부가 밀착가능하도록 된 자성부재와, 상기 자석안착부재와 자성부재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가 되는 2개 이상의 볼과, 상기 볼의 다른 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지지가 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자석안착부재와 상기 자성부재, 제1탄성부재, 볼 및 제2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원통부에 끼워져 회전몸체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된 스파이럴판스프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상기 제1,2탄성부재의 사이에 상기 볼을 받쳐주도록 된 각각의 단부가 볼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하부볼지지브라켓과 상부볼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상기 몸체와 회전몸체의 사이에 안착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하부볼지지브라켓이 밀착되는 자성부재 또는 자석안착부재의 일측면에 배치된 와셔를 더 포함하고, 이 와셔는 중심에 육각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상기 제2탄성부재가 밀착되는 회전몸체의 내측단과 내주면에 밀착되어 안착된 볼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상기 베어링 또는 회전몸체가 몸체의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몸체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멈춤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양단부에 회전홈을 가진 외부의 고정체와, 상기 회전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부에 드라이버 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각형의 축홀을 형성한 스냅판과, 상기 고정체내에 위치하여 드라이버 비트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회전으로부터 연동되도록 상기 스냅판과 일체화 구조를 이루는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체내의 중앙부위에 위치하여 삽입된 드라이버 비트의 둘레면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비트고정수단과, 상기 회전체내의 하단부위에 각형의 커버를 두되,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나사를 잡아주는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는, 상기 비트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면서 드라이버 비트의 삽입이 가능한 각형의 축홀을 가지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드라이버 비트의 삽입시 유동하는 유동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유동플랜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원형의 홈부에 안착되어 드라이버 비트을 잡아주는 볼과, 상기 고정플랜지와 유동플랜지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삽입으로부터 비트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부에 안착된 볼을 밀착시키는 판형스프링과, 상기 유동플랜지의 일단에 위치하고 공간부로부터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시 상기 유동플랜지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일측에는 드라이버의 비트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나사못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비트가 삽입되어 나사못에 비트가 이동되어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전동핸드드릴의 비트에 끼워져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1000)는, 일정한 내외경을 갖는 관통형상의 몸체(1100)와, 이 몸체의 일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자석안착부재(1110)와, 이 자석안착부재의 일방향으로 끼워져 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어 나사못(3000)의 머리부(3100)가 밀착가능하도록 된 자성부재(1130)와, 상기 자석안착부재(1110)와 자성부재(1130)중의 적어도 어느하나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1150)와, 이 제1탄성부재(1150)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2개이상의 볼(1170)과, 상기 볼(1170)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1200)와, 상기 몸체(11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자석안착부재(1110)와 상기 자성부재(1130), 제1탄성부재(1150), 볼(1170) 및 제2탄성부재(1200)가 수용되는 회전몸체(1220)와, 상기 회전몸체(1220)의 원통부에 끼워져 회전몸체(1220)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된 스파이럴판스프링(1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0)의 일단으로는 상기 자석안착부재(1110)가 중심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1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1220)가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1101)이 형성된 반대쪽으로 돌기 또는 후술하는 멈춤링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안착부재(1110)는 상기 걸림턱(1101)에 걸려서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플랜지(1111)가 외주면에 돌출되고, 또 중심축방향으로는 상기 자성부재(11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1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11)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에는 환형띠 형상의 돌기(1113)가 상기 회전몸체(1220)의 내경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성부재(1130)는 외부에 자석캡(1131)이 내부의 자석(113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캡(1131)과 자석(1132)의 중심축에는 관통구멍(11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은 여기서는 비트(2000)와 동기회전하도록 육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1220)의 중심에는 육각관통구멍(1221)이 형성되어 육각형의 상기 드라이버의 비트(2000)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몸체(1220)의 원통부에는 상기 스파이럴판스프링(1190)의 절곡된 걸림단부(1191)이 끼워져 회전몸체(1220)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복수개의 장공(12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도 3를 참조로 설명하면 드라이버의 비트(2000)가 상기 회전몸체(1220)의 육각관통구멍(1221)으로 끼워지면 상기 제1,2탄성부재(1150,1200)와 상기 스파이럴판스프링(119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볼(1170)이 비트(2000)에 의해 벌어지면서 비트(2000)의 홈(2001)에 안착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비트의 촉(2002)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못(3000)의 머리부(3100)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비트(2000)가 나사못이 있는 쪽으로 가압되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나사못이 체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10)는 상기 비트가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회전몸체(1220)만 회전하는 상태로 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손으로 몸체(1110)를 잡고 나사못의 체결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탄성부재(1150,1200)의 사이에 상기 볼(1170)을 받쳐주도록 된 각각의 단부가 볼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하부볼지지브라켓(1160)과 상부볼지지브라켓(1180)이 설치되면 볼(1170)의 축방향이동이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10)와 회전몸체(1220)의 사이에 베어링(1120,1230)이 안착되게 되면 상기 회전몸체(1220)의 회전이 용이하고 수명이 연장되며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또 상기 제1탄성부재(1150)와 상기 하부볼지지브라켓(1160)이 밀착되는 자성부재(1130) 또는 자석안착부재(1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자성부재(1130) 또는 자석안착부재(1110)의 수명을 연장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와셔(114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와셔(1140)는 중심에 육각관통구멍(1141)이 형성되어 상기 비트(2000)와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200)가 밀착되는 회전몸체(1220)의 내측단과 내주면에는 상기 볼(1170)에 의해 내주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판재의 볼하우징(1210)이 안착되어 있다.
또 상기 베어링(1230) 또는 회전몸체(1220)이 몸체(1100)의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몸체(1100)에 형성된 홈(1102)에 안착되는 멈춤링(12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전동드릴(4000)의 스위치(410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4200)에 연결된 드릴척(4300)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드릴척(4300)에 결합된 비트(200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비트(2000)를 가압하면서 회전하게 되면 도 4의 상태에서 더 이상 상기 볼(1170)은 자성부재(1130)쪽으로 하부볼지지브라켓(1160)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스파이럴판스프링(1190)을 가압하면서 상기 비트(2000)의 홈(2001)에서 이탈되어 비트(2000)의 촉(2002)부분이 나사못(3000)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성부재(1130)의 자석(1132)은 나사못(3000)의 머리(3100)를 쉽게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축방향으로 안정되게 부착할 수 있어서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반대로 나사못의 체결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비트(2000)를 당겨올려서 도 3내지 도 5의 상태에 볼(1170)이 놓이도록 하고, 재차 상기 자성부재(1130)에 나사못(3000)의 머리(3100)를 부착하고 상기 비트(2000)의 촉(2002)을 밀착하여 상기와 같은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이후 작업이 완전히 종료되어 상기 어댑터(1000)에서 비트(2000)를 완전히 제거하려고 상기 비트(2000)를 잡아 뺄 경우에는 도 5의 상태에서 볼(1170)이 더이상 제2탄성부재(1200)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튕겨져서 스파이럴판스프링(1190)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비트(2000)의 홈(2001)에서 볼(1170)이 빠져서 비트(2000)가 어댑터(1000)에서 이탈되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드라이버 비트(100)와, 고정체(10), 스냅링(20), 회전체(30), 베어링(40), 비트고정수단(50), 자석(60)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에는 반원형의 홈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10)는 상기 회전체(30)내에 드라이버 비트(100)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30)를 회전시킬 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양단부에는 상기 스냅판(20)과 결합을 위한 회전홈(11)이 마련된다.
상기 스냅판(20)은 상기 회전홈(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중심부에는 각형을 이루는 드라이버 비트(1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각형의 축홀(21)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고정체(10)와 베어링(4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구조로, 이는 드라이버 비트(100)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가 회전될 때 연동하도록 상기 스냅판(20)과 일체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베어링(40)은 고정체(10)와 회전체(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30)가 드라이버 비트(10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트고정수단(50)은 상기 회전체(30)내의 중앙부위에 위치하여 삽입된 드라이버 비트(100)의 둘레면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것으로, 이는 고정플랜지(51), 유동플랜지(52), 볼(53), 판형스프링(54), 탄성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랜지(51)는 상기 회전체(30)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는 구조로서, 이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라이버 비트(100)의 삽입이 가능한 각형의 축홀을 가진다.
상기 유동플랜지(52)는 상기 고정플랜지(5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이는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삽입시 탄성부재(55)를 압축시키도록 유동한다.
상기 볼(53)은 상기 고정플랜지(51)내에 위치하여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반원형 홈부(101)에 안착 되는 구조로, 이는 상기 유동플랜지(52)가 드라이버 비트(100)에 의해 유동할 때, 상기 판형스프링(54)에 의해 상기 반원형의 홈부(101)에 완전 밀착되면서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가 회전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판형스프링(54)은 유동플랜지(52)와 회전체(30)의 내측 벽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삽입으로부터 상기 유동플랜지(52)가 유동할 때 상기 반원형의 홈부(101)에 안착된 볼(53)을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탄성부재(55)는 상기 유동플랜지(52)의 일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유동플랜지(52)를 고정플랜지(51)의 방향으로 밀어 상기 볼(53)이 판형스프링(54)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가 회전체(30)의 공간부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유동플랜지(52)에 의해 압축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석(60)은 상기 회전체(30)내의 하단부위에 각형의 커버(61)를 두고 그 커버(61)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나사(200)의 머리부를 자력으로 잡아주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회전체(30)내의 하단에 위치하는 자석(60)의 자력을 통해 나사(200)를 하단의 스냅판(20)에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체(30)의 상단에 위치하는 스냅판(20)의 각형 축홀(21)과 고정플랜지(51)의 축홀을 통해 회전체(30)내의 공간부로 드라이버 비트(100)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삽입부위에 대한 둘레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부(101)에는 비트고정수단(50)에 포함되는 볼(53)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를 자석(60)에 의해 밀착된 나사(200)의 머리부로 완전하게 삽입시켜 체결할 경우, 상기 회전체(30)내의 유동플랜지(52)가 상기 자석(60)의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55)는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플랜지(52)의 밀림으로부터, 상기 고정플랜지(51)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반원형 홈부(101)에 안착 되어 있던 볼(53)은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가 함께 유동하여 상기 판형스프링(54)의 사이로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볼(53)은 상기 판형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반원형의 홈부(101)와 완전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는 상기 회전체(30)의 공간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의 고정체(1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체(30)는 고정체(10)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40)에 의해 그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체(30)의 하단에 위치하는 나사(200)는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회전으로부터 그 체결이 흔들림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나사(200)의 체결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고정체(1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를 회전체(30)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이탈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의 반원형 홈부(101)에 안착된 볼(53)도 함께 유동하면서 판형스프링(5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볼(53)은 상기 반원형 홈부(101)에서 그 밀착력이 약해지면서 상기 고정플랜지(51)내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유동플랜지(52)는 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면서 상기 판형스프링(54)을 압축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드라이버 비트(100)는 상기 볼(53)과 반원형 홈부(101)의 밀착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30)로부터 그 이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드라이버의 비트에 끼워져 측면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나사못을 부착하고 드라이버의 비트에 형성된 촉이 바로 나사의 홈에 밀착되어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비트에 갖춰진 자성이 약해지게 되더라도 자석에 의해 나사못을 부착하면 나사의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나사의 머리부위가 촉과 자석에 의해 지지가 되어 부착되므로 나사 체결 작업시 나사가 촉에서 흔들리지 않아서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드라이버의 비트에 끼워져 촉과 밀착되는 나사못의 머리를 잡아주기 위해 고정체와 자석이 설치된 회전체의 이중 구조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드라이버 비트가 나사못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드라이버 비트에 의한 나사 체결시 드라이버 비트의 촉에 고정된 나사못의 흔들림을 방지시켜 나사의 체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일측에는 드라이버의 비트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나사못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비트가 삽입되어 나사못에 비트가 이동되어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서 비트가 빠지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전동핸드드릴의 비트에 끼워져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일단에는 나사못이 다른 일측에는 비트가 끼워지고, 이 비트가 나사못의 머리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일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어댑터 1100 몸체
1110 자석안착부재 1120 베어링
1130 자성부재 1140 와셔
1150 제1탄성부재 1160 하부볼지지브라켓
1170 볼 1180 상부볼지지브라켓
1190 스파이럴판스프링 1200 제2탄성부재
1210 볼하우징 1220 회전몸체
1230 베어링 1240 멈춤링

Claims (8)

  1. 일정한 내 외경을 갖는 관통형상의 몸체(1100)와,
    상기 몸체의 한쪽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안착 되는 자석안착부재(1110)와,
    상기 자석안착부재의 일방향으로 끼워져 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 되어 나사못(3000)의 머리부(3100)가 밀착가능하도록 된 자성부재(1130)와,
    상기 자석안착부재(1110)와 자성부재(1130)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제1탄성부재(1150)와,
    상기 제1탄성부재(1150)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2개 이상의 볼(1170)과,
    상기 볼(1170)의 다른 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1200)와,
    상기 몸체(11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자석안착부재(1110)와 상기 자성부재(1130), 제1탄성부재(1150), 볼(1170) 및 제2탄성부재(1200)가 수용되는 회전몸체(1220)와,
    상기 회전몸체(1220)의 원통부에 끼워져 회전몸체(1220)의 중심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된 스파이럴판스프링(1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탄성부재(1150,1200)의 사이에 상기 볼(1170)을 받쳐주도록 된 각각의 끝 부분이 볼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하부볼지지브라켓(1160)과 상부볼지지브라켓(1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10)와 회전몸체(1220)의 사이에 안착된 베어링(1120,1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1150)와 하부볼지지브라켓(1160)이 밀착되는 자성부재(1130) 또는 자석안착부재(1110)의 일 측면에 배치된 와셔(1140)를 더 포함하고, 이 와셔(1140)는 중심에 육각관통구멍(1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1200)가 밀착되는 회전몸체(1220)의 내측단과 내주면에 밀착되어 안착된 볼하우징(1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230) 또는 회전몸체(1220)가 몸체(1100)의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몸체(1100)에 형성된 홈(1102)에 안착되는 멈춤링(12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7. 양단부에 회전홈을 가진 외부의 고정체(10)와,
    상기 회전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심부에 드라이버 비트(100)가 삽입될 수 있는 각형의 축홀을 형성한 스냅판(20)과,
    상기 고정체내에 위치하여 드라이버 비트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회전으로부터 연동하도록 상기 스냅판과 일체화 구조를 이루는 회전체(30)와,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40)과,
    상기 회전체내의 중앙부위에 위치하여 삽입된 드라이버 비트의 둘레면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비트고정수단(50)과,
    상기 회전체내의 하단부위에 각형의 커버를 두되,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나사를 잡아주는 자석(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고정수단(50)은,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면서 드라이버 비트의 삽입이 가능한 각형의 축홀을 가지는 고정플랜지(51)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드라이버 비트의 삽입시 유동하는 유동플랜지(52)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유동플랜지의 축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원형의 홈부에 안착되어 드라이버 비트를 잡아주는 볼(53)과,
    상기 고정플랜지와 유동플랜지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드라이버 비트의 삽입으로부터 비트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부에 안착된 볼을 밀착시키는 판형스프링(54)과,
    상기 유동플랜지의 일단에 위치하고 공간부로부터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시 상기 유동플랜지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KR20-2005-0011410U 2005-04-25 2005-04-25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KR200390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10U KR200390330Y1 (ko) 2005-04-25 2005-04-25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10U KR200390330Y1 (ko) 2005-04-25 2005-04-25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330Y1 true KR200390330Y1 (ko) 2005-07-21

Family

ID=4369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10U KR200390330Y1 (ko) 2005-04-25 2005-04-25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722B1 (ko) * 2019-01-08 2020-05-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라이버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722B1 (ko) * 2019-01-08 2020-05-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라이버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4158C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fan blade to a rotor of a motor of a ceiling fan
JP2010528845A (ja) 食品廃棄物ディスポーザ用の取り付けシステム
RU2011122822A (ru) Крепление для смен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CN102272866B (zh) 电磁铁
US8746703B2 (en) Screwdriver head mounting structure
JP2010131726A (ja) 工具用ソケット
JP3109631U (ja) エアー電動インパクト回転工具の回転接続コレット
KR200390330Y1 (ko) 드라이버의 비트용 어댑터
WO2008009170A1 (fr) Mandrin de perçage à serrage manuel et mécanisme autobloquant de collet d&#39;appui
US8047738B2 (en) Mechanical double joint system
TWM627549U (zh) 工具接桿
JP2009101446A (ja) マグネットチャック
KR200350407Y1 (ko) 전동드라이버용 비트고정장치
JPS6216297Y2 (ko)
JPWO2003087595A1 (ja) バネ取付体の取付具
JP4428365B2 (ja) ねじ締付け装置
KR200459394Y1 (ko) 치과용 핸드피스 공구지지스핀들, 지그 및 그 조립체
CN220179247U (zh) 工具接杆
JP2004050402A (ja) フックねじドライバー
JP3144253U (ja) 工具のコネクタ
JP4216275B2 (ja) コアドリルの拡径穴穿設装置
JP4683459B2 (ja) カムフォロアの取り付け構造
TWI773283B (zh) 工具接桿
KR200449697Y1 (ko) 스탠드 받침대
WO2004054758A1 (ja) ラチェット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