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97Y1 - 스탠드 받침대 - Google Patents

스탠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97Y1
KR200449697Y1 KR2020080006068U KR20080006068U KR200449697Y1 KR 200449697 Y1 KR200449697 Y1 KR 200449697Y1 KR 2020080006068 U KR2020080006068 U KR 2020080006068U KR 20080006068 U KR20080006068 U KR 20080006068U KR 200449697 Y1 KR200449697 Y1 KR 200449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fixing part
support bar
protrus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535U (ko
Inventor
최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Priority to KR2020080006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는, 지지 작용이 이루어지는 중공 지지바의 안정적인 고정과 결합 및 분리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탠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스탠드의 중공 지지바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고정 본체와, 고정 본체의 돌출부에 나사 결합되며 단부는 상기 중공 지지바와 함께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는 회전 고정부를 제공한다.
스탠드, 받침, 지지바, 스프링, 압입, 나사

Description

스탠드 받침대{SUPPORT FOR STAND}
본 고안은 스탠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작용이 이루어지는 중공 지지바의 안정적인 고정과 결합 및 분리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탠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 받침은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 베이스와, 지지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베이스는 중량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봉이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스탠드 받침은 나사 결합이 시간이 경과하면 풀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지지봉의 견고한 지지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스탠드 받침대의 베이스와 지지바의 결합을 나사 결합과 압입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분리시에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탠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는, 스탠드의 중공 지지바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고정 본체와, 고정 본체의 돌출부에 나사 결합되며 단부는 중공 지지바와 함께 걸림턱에 삽입되는 회전 고정부를 포함한다.
회전 고정부는, 나사 결합을 위한 일측 회전시에 걸림턱의 내부로 압입 결합으로 삽입되며,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나사 결합이 해제됨과 함께 회전 고정부의 압입 결합이 해제된다.
고정 본체는, 회전 고정부의 나사 결합시 접촉되며 걸림턱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고정 본체는, 회전 고정부의 결합 상태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고정부는 너트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본체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지지바에는 걸림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회전 고정부와 지지바가 결합 상태로 걸림턱으로 삽입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 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걸림홀에는 링부재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링부재의 가압으로 회전 고정부와 지지바가 결합될 수 있다. 링부재는 고무재질로 장착가능하다.
첫째, 스탠드 받침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지지바의 결합을 나사 결합과 압입 결합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베이스와 지지바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베이스와 지지바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면 압입 결합도 동시에 해제되어 분리와 체결이 용이하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 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 제공되는 것이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 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탠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100)는, 스탠드의 중공 지지바(11)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고정되며 나사부(21)가 형성된 돌출부(23)와 돌출부(23)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5)을 포함하는 고정 본체(20)와, 고정 본체(20)의 돌출부(23)에 나사 결합되며 단부는 중공 지지바(10)와 함께 걸림턱(25)에 삽입되는 회전 고정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중공 지지바(11)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베이스(10)의 무게 중심 위치에는 고정 본체(20)가 장착된다.
고정 본체(20)와 베이스(10)의 결합은 볼트부재(12)를 이용한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본체(20)와 베이스(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에 한정하지 않고 용접 또는 압입에 의한 결합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고정 본체(20)는 나사부(21)가 형성된 돌출부(23)와, 돌출부(23)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5)을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23)는 후술하는 회전 고정부(20)를 고정하기 위함이며, 더욱 자세한 설명은 회전 고정부(20)의 설명과 함께 설명한다. 돌출부(25)의 측면에는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중공 지지바(11)가 삽입된다. 이러한 중공 지지바(11)의 삽입시에 회전 고정부(30)와 함께 삽입 고정된다. 중공 지지바(11)는 걸림턱(25)에 삽입시에 압입 작용으로 삽입되며, 이러한 압입 작용을 위해 걸림턱(25)과 돌출부(23)의 사이에는 테이퍼부(27)가 형성된다. 즉 테이퍼부(27)는 걸림턱(25) 방향으로 직경이 증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중공 지지바(11)와 회전 고정부(30)가 걸림턱(25)에 함께 삽입시에 압입 작용이 발생되어 압입 결합이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29는 스냅링을 말한다.
회전 고정부(30)는 너트부재(31)를 이용하여 돌출부(23)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회전 고정부(30)에는 너트부재(31)가 압입 또는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회전 고정부(30)의 회전 작용과 함께 돌출부(23)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 고정부(30)와 돌출부(23)의 결합 작용시에, 회전 고정부(30)는 걸림턱(25)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30)는 테이퍼부(27)에 면접촉되면서 걸림턱(25) 방향으로 이동하며 압입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회전 고정부(30)를 고정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너트부재(31)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고정 해제 작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 고정부(30)의 고정 해제 작용시에 회전 고정부(30)는 테이퍼부(27)의 소직경부로 위치이동이 이루어져 면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압입 작용도 함께 해제된다.
회전 고정부(30)와 중공 지지바(11)는 링부재(33)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 작용이 이루어져 걸림턱(25)에 함께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 고정부(30)의 측면에는 삽입홀(35)이 형성되고, 삽입홀(35)에는 고무재질의 링부재(33)가 결합된다. 이러한 링부재(33)는 삽입홀(35)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중공 지지바(11)의 내면을 마찰력과 함께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30)와 중공 지지바(11)는 마찰력의 작용으로 걸림턱(25)에 함께 삽입 가능하다.
한편, 돌출부(23)에는 회전 고정부(30)의 결합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29)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고정부(30)의 결합 상태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10)에 고정 본체(20)를 볼트부재(12)를 이용하여 나사결합을 실시한다.
다음, 회전 고정부(30)와 중공 지지바(11)를 결합하고, 결합된 회전 고정부(30) 및 중공 지지바(11)를 고정 본체(20)의 돌출부(23)에 결합한다. 여기서 고정 본체(20)의 돌출부(23)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 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30)는 중공 지지바(11)와 함께 걸림턱(25)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과정에서 테이퍼부(27)와 면접촉에 의한 압입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회전 고정부(30)와 중공 지지바(11)가 걸림턱(25)에 압입 결합됨으로 판단하면, 스냅링(29)을 돌출부(23)에 장착하여 고정 상태의 해제됨을 방지한다.
이러한 중공 지지바(11)의 결합 해제 작용은 전술한 결합 작용의 역방향으로실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하며, 동일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200)는, 회전 고정부(130)에 암나사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고정부(130)는 돌출부(23)의 나사부(21)에 직접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 고정부(130)의 회전에 따른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면, 회전 고정부(130)는 걸림턱(25)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입 결합 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회전 고정부(130)에는 걸림홀(133)이 형성되고, 중공 지지바(111)에는 걸림홀(133)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 지지바(111)의 걸림돌기(113)가 걸림홀(133)에 삽입에 의하여 걸림턱(25)에 함께 삽입되어 압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탠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11...중공 지지바
20...고정 본체 21...나사부
23...돌출부 25...걸림턱
27...테이퍼부 30...회전 고정부
31...너트부재 33...링부재
35...삽입홀

Claims (8)

  1. 스탠드의 중공 지지바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고정 본체; 및
    상기 고정 본체의 돌출부에 나사 결합되며, 단부는 상기 중공 지지바와 함께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는 회전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고정부는,
    나사 결합을 위한 일측 회전시에 상기 걸림턱의 내부로 압입 결합으로 삽입되며,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나사 결합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회전 고정부의 압입 결합이 해제되는 스탠드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는,
    상기 회전 고정부의 나사 결합시 접촉되며 상기 걸림턱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는,
    상기 회전 고정부의 결합 상태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을 포함하는 스탠드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는 너트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탠드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탠드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걸림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고정부와 상기 지지바가 결합 상태로 상기 걸림턱으로 삽입되는 스탠드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부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홀에는 링부재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링부재의 가압으로 상기 회전 고정부와 상기 지지바가 결합되는 스탠드 받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고무재질인 스탠드 받침대.
KR2020080006068U 2008-05-08 2008-05-08 스탠드 받침대 KR200449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68U KR200449697Y1 (ko) 2008-05-08 2008-05-08 스탠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68U KR200449697Y1 (ko) 2008-05-08 2008-05-08 스탠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35U KR20090011535U (ko) 2009-11-12
KR200449697Y1 true KR200449697Y1 (ko) 2010-08-02

Family

ID=4293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068U KR200449697Y1 (ko) 2008-05-08 2008-05-08 스탠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94Y1 (ko) 2011-08-17 2011-11-09 이향수 설치가 용이한 조명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030Y1 (ko) 1996-10-31 1999-08-02 양재신 아이들 로울러의 결합구조
KR200207047Y1 (ko) 2000-06-22 2000-12-15 홍영곤 산업용 안전울타리의 봉
KR20010054030A (ko) * 1999-12-03 2001-07-02 이동률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과금 시스템
KR20020007047A (ko) * 2000-07-14 2002-01-26 이승우 레이져 빔을 이용한 수직비계 장치
KR20040002937A (ko) * 2001-05-21 2004-01-07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화상처리장치 및 게임장치
KR200402937Y1 (ko) 2005-09-06 2005-12-09 김민식 회전형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
KR100786326B1 (ko) 2007-03-26 2007-12-14 (주)두성엔지니어링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보강용 연결바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030Y1 (ko) 1996-10-31 1999-08-02 양재신 아이들 로울러의 결합구조
KR20010054030A (ko) * 1999-12-03 2001-07-02 이동률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과금 시스템
KR200207047Y1 (ko) 2000-06-22 2000-12-15 홍영곤 산업용 안전울타리의 봉
KR20020007047A (ko) * 2000-07-14 2002-01-26 이승우 레이져 빔을 이용한 수직비계 장치
KR20040002937A (ko) * 2001-05-21 2004-01-07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화상처리장치 및 게임장치
KR200402937Y1 (ko) 2005-09-06 2005-12-09 김민식 회전형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
KR100786326B1 (ko) 2007-03-26 2007-12-14 (주)두성엔지니어링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보강용 연결바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94Y1 (ko) 2011-08-17 2011-11-09 이향수 설치가 용이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35U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1507U (ja) 迅速継手
JP5917905B2 (ja) 骨アンカー装置
CN111515890B (zh) 万向套筒结构
US7004699B2 (en) Quick assembly fastening system for plastic parts
US6976884B1 (en) Securing device for the adapter of a cable intermediate connector
KR20150130969A (ko) 체결구 머리부 및 상보적인 드라이버
JP6941371B2 (ja) 安全装置
GB2503811A (en) Adjustable clamping device for a fastener
CN109605262A (zh) 套筒
KR200449697Y1 (ko) 스탠드 받침대
EP1717457A1 (en) Fastening system
JP6532430B2 (ja) 枢着装置、並びに、取付装置
JP2019155495A (ja) ソケット型工具
EP3007281B1 (fr) Système de connexion rapide comportant deux connecteurs
JP2009063070A (ja) 分割ナット
JP4425160B2 (ja) クリップ
US20090060638A1 (en) Mechanical double joint system
KR20150066038A (ko) 핀 고정장치
JP5143188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組立方法
EP2372171B1 (fr) Ensemble de fixation
JP3165550U (ja) マネキンの手首連結構造
US8602403B1 (en) Cam actuated clamping device
TW200948546A (en) Extension bar for tool
US20210388863A1 (en) Security Device
JPH0726163Y2 (ja) キャスタの取り付け穴へ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