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50Y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150Y1
KR200390150Y1 KR20-2005-0010059U KR20050010059U KR200390150Y1 KR 200390150 Y1 KR200390150 Y1 KR 200390150Y1 KR 20050010059 U KR20050010059 U KR 20050010059U KR 200390150 Y1 KR200390150 Y1 KR 200390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stopper
holde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빈
Original Assignee
(주)천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지테크 filed Critical (주)천지테크
Priority to KR20-2005-0010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핸들을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시켜 도어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어 프레임(1)에 배치된 홀더(10)와 인접하도록 도어(2)의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며, 후단부에 각각 스톱퍼 홈(23)이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21a)(21b)이 마련된 베이스(20)와; 이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배치되되 브래킷(21a)(21b) 선단부에 축(34)을 통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부(31)와, 도어(2)의 닫힘 시 홀더(10)에 걸려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중심부(31)에서 홀더(10)측으로 연장된 걸림부(32)와, 중심부(31)에서 걸림부(32)와 반대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33)를 갖춘 핸들(30)과; 스톱퍼 홈(23)과 인접하는 핸들(30)의 손잡이부(33)에 마련된 슬라이드홈(36)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이 스톱퍼 홈(23)에 걸려 핸들(30)의 피벗 동작을 제한하도록 스프링(41)을 통해 탄성 지지된 스톱퍼(40)와; 핸들(30)을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배치되어 스톱퍼(40)가 스톱퍼 홈(23)으로부터 빠져나오면 핸들(30)의 걸림부(32)를 홀더(10)로부터 이탈시키면서 도어(2)를 소정각도 개방시키는 개방수단(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ROCKING DEVICE}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핸들을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시켜 도어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잠금장치는 래치를 통해 출입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래치는 도어의 실내외측에 설치된 잠금장치의 핸들을 잡고 이를 돌리거나 들어 올리면 해제된다. 그리고 핸들을 잡고서 래치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종래 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에서는 반드시 잠금장치의 핸들을 잡고 이를 돌리거나 들어 올려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며, 이러한 상태에서 밀거나 당겨야만 도어 개방이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즉,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핸들을 밀거나 당겨야만 도어 개방이 진행됨으로써,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핸들을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시켜 도어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된 홀더와 인접하도록 도어의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며, 후단부에 각각 스톱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을 갖춘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되, 브래킷 선단부에 축을 통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부와, 도어의 닫힘 시 홀더에 걸려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중심부에서 홀더측으로 연장된 걸림부와, 중심부에서 걸림부와 반대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갖춘 핸들과;
스톱퍼 홈과 인접하는 핸들의 손잡이부에 마련된 슬라이드홈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이 스톱퍼 홈에 걸려 핸들의 피벗 동작을 제한하도록 스프링을 통해 탄성 지지된 스톱퍼와;
핸들을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베이스의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스톱퍼가 스톱퍼 홈으로부터 빠져나오면 핸들의 걸림부를 홀더로부터 이탈시키면서 도어를 소정각도 개방시키는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방수단은 일측단이 핸들의 손잡이부에 축 결합되고 타측단은 브래킷 선단에 결합된 가이드로드와, 이 가이드로드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핸들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로드의 타측단에는 브래킷의 선단에 고정된 축이 여유있게 수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 프레임(1)에 힌지 결합된 도어(2)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함은 물론이며 도어(2)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1)측에 고정되는 홀더(10)와, 이 홀더(10)와 인접하는 도어(2)의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며 한 쌍의 브래킷(21a)(21b)이 마련된 베이스(20)와, 이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며 홀더(1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핸들(30)과, 이 핸들(30)을 홀더(10)에 걸림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톱퍼(40)와, 이 스톱퍼(40)의 해제 시 핸들(30)을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피벗(pivot)시키기 위한 개방수단(50)을 갖추고 있다.
홀더(10)는 도어 프레임(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것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U 형태로 벤딩하여 걸림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양측단부가 마운팅 볼트(11)를 통해 도어 프레임(1)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베이스(20)는 핸들(30)을 피벗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홀더(10)와 인접하는 도어(2)의 가장자리 부위에 마운팅 볼트(22)로 견실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후단부위에 각각 스톱퍼 홈(23)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21a)(21b)이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21a)(21b)들의 스톱퍼 홈(23)은 스톱퍼(40)가 걸려 도어(2)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패인 것으로, 이에 대한 것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핸들(30)은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브래킷(21a)(21b)의 선단부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부(31)와, 이 중심부(31)에서 홀더(10)를 향해 연장되어 도어(2)의 닫힘 시 홀더(10) 내부에 걸려 도어(2)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부(32)와, 중심부(31)에서 걸림부(32)와 반대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33)로 정의된다.
핸들(30)의 중심부(31)는 브래킷(21a)(21b)들의 선단부에 축(34)을 통해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피벗(PIVOT)되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32)는 중심부(31)에서 홀더(10)측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2)의 닫힘 시 홀더(10) 내부에 걸려 걸림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핸들(30)의 손잡이부(33)는 중심부(31)에서 걸림부(32)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여기에는 그립부재(35)가 끼워져 있다. 이러한 핸들(30)의 손잡이부(33)에는 스톱퍼(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 홈(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홈(36)은 브래킷(21a)(21b)의 스톱퍼 홈(23)들과 인접하는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여기에는 스톱퍼(40)와 함께 이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41)이 배치된다.
스톱퍼(40)는 핸들(30) 손잡이부(33)의 슬라이드 홈(36)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선단이 스톱퍼 홈(23)에 걸리면 핸들(30)의 피벗 동작이 불가능하여 도어(2)의 잠금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반면에, 스톱퍼 홈(23)으로부터 스톱퍼(40) 선단이 빠져나오면 핸들(30)의 피벗 동작이 가능하여 도어(2)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방수단(50)은 핸들(30)을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걸림부(32)를 홀더(1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시키는 것으로,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축(51) 결합된 가이드로드(52)와, 이 가이드로드(52)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스프링(53)을 구비한다.
가이드로드(52)는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일측단은 핸들(30)의 손잡이부(33)에 피벗 가능하도록 축(51) 결합되고, 이의 타측단은 브래킷(21a)(21b)의 선단에 마련된 축(54)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로드(52)의 타측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55)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브래킷(21a)(21b)의 선단에 고정된 축(54)이 여유있게 수용 결합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53)은 가이드로드(52)의 중도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핸들(30)을 탄성 지지한다. 즉, 코일스프링(53)은 가이드로드(52)를 감싸면서 브래킷(21a)(21b) 선단과 후단의 축(51)(54) 사이에 압축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톱퍼 홈(23)으로부터 스톱퍼(40) 선단이 빠져나오면 개방수단(50)의 코일스프링(53) 지지력에 의해 핸들(30)이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게 된다. 아울러, 도어(2)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개방 동작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작동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홈(23)에 스톱퍼(4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걸림부(32)가 홀더(10)에 견실하게 걸린 상태이며, 도어(2)는 도어 프레임(1)에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스톱퍼(40)는 슬라이드홈(36)내의 코일스프링(41)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스톱퍼 홈(23)에 삽입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핸들(30)은 개방수단(50)의 코일스프링(53)을 통해 탄성 지지되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톱퍼(40)가 스톱퍼 홈(23)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핸들(30)의 개방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를 개방하고자 스톱퍼(40)를 후진시키면 개방수단(50)의 코일스프링(53) 탄성 지지력에 의해 핸들(30)이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됨과 동시에 핸들(30)의 걸림부(32)는 홀더(10)로부터 빠져나오며, 아울러 도어(2)가 도어 프레임(1)으로부터 열린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드홈(36)내의 코일스프링(41)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스톱퍼(40)를 후진시키면(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1차적인 핸들(30) 자체의 잠김이 해제됨과 동시에 피벗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계속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0) 잠김이 해제되는 순간에 개방수단(50)의 코일스프링(53) 탄성 지지력에 의해 핸들(30)은 축(34)을 통해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된다(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 때, 가이드로드(52)는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으로부터 일부 빠져나와 펼쳐지고, 핸들(30)의 걸림부(32)는 홀더(10)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도어 프레임(1) 표면에 당접하며 이의 반력으로 도어(2)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결국, 스톱퍼 홈(23)으로부터 스톱퍼(40)를 인위적으로 빼내면 도어(2) 잠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개방이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도어(2)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2)를 닫으면서 핸들(30)을 도어(2) 폐쇄방향으로 피벗시킨다. 이 때, 핸들(30)의 걸림부(32)는 홀더(10)내에 걸림과 동시에 스톱퍼(40) 선단이 자동적으로 스톱퍼 홈(23)에 걸림으로써, 도어(2) 폐쇄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스톱퍼 홈(23)에 걸린 스톱퍼(40)는 코일스프링(41)을 통해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빠져나오지 못한다. 또한,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도 핸들(30)은 항상 개방수단(50)을 통해 탄성 지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홀더에 걸리는 핸들이 코일스프링을 갖춘 개방수단을 통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핸들의 스톱퍼를 통해 도어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순간에 핸들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핸들이 피벗되어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이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제품 구매력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아이스크림 운반탑차나 냉동제품 운반탑차 등과 같은 특장차의 도어 또는 산업용 도어 등에 적용하면 그 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장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화살표 Ⅱ - Ⅱ 방향에서 내려 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스톱퍼 해제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프레임 2..도어
10..홀더 20..베이스
21a,21b..브래킷 23..스톱퍼 홈
30..핸들 31.중심부
32..걸림부 33..손잡이부
40..스톱퍼 50..개방수단
52..가이드로드 53..코일스프링
55..가이드홈

Claims (3)

  1. 도어 프레임(1)에 배치된 홀더(10)와 인접하도록 도어(2)의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며, 후단부에 각각 스톱퍼 홈(23)이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21a)(21b)을 갖춘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브래킷(21a)(21b) 선단부에 축(34)을 통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부(31)와, 상기 도어(2)의 닫힘 시 상기 홀더(10)에 걸려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중심부(31)에서 상기 홀더(10)측으로 연장된 걸림부(32)와, 상기 중심부(31)에서 상기 걸림부(32)와 반대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33)를 갖춘 핸들(30)과;
    상기 스톱퍼 홈(23)과 인접하는 상기 핸들(30)의 손잡이부(33)에 마련된 슬라이드홈(36)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이 상기 스톱퍼 홈(23)에 걸려 상기 핸들(30)의 피벗 동작을 제한하도록 스프링(41)을 통해 탄성 지지된 스톱퍼(40)와;
    상기 핸들(30)을 상기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20)의 브래킷(21a)(21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40)가 상기 스톱퍼 홈(23)으로부터 빠져나오면 상기 핸들(30)의 걸림부(32)를 상기 홀더(10)로부터 이탈시키면서 상기 도어(2)를 소정각도 개방시키는 개방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50)은;
    일측단이 상기 핸들(30)의 손잡이부(33)에 축(51)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브래킷(21a)(21b)의 선단에 결합된 가이드로드(52)와,
    상기 가이드로드(5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핸들(30)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52)의 타측단에는 상기 브래킷(21a)(21b)의 선단에 고정된 축(54)이 여유있게 수용되도록 가이드홈(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5-0010059U 2005-04-12 2005-04-12 도어 잠금장치 KR200390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059U KR200390150Y1 (ko) 2005-04-12 2005-04-12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059U KR200390150Y1 (ko) 2005-04-12 2005-04-12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150Y1 true KR200390150Y1 (ko) 2005-07-21

Family

ID=4369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059U KR200390150Y1 (ko) 2005-04-12 2005-04-12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80B1 (ko) * 2020-06-16 2020-11-02 오성섭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80B1 (ko) * 2020-06-16 2020-11-02 오성섭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2152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JP2003509267A5 (ko)
AU2005202831B2 (en) Hood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200390150Y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US20210370840A1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KR200394043Y1 (ko) 차량용 개폐장치
KR100407480B1 (ko) 금고문 개폐장치
RU25015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запирания двери шкафа с электроаппаратурой
JP5138417B2 (ja) 吊り戸の吊り下げ装置
KR100551788B1 (ko) 러기지 플로어 박스의 커버 로킹 구조
JP4093904B2 (ja) ロック装置
KR200444506Y1 (ko) 함체 도어 고정장치
KR100809810B1 (ko) 도어 록
JP4467680B2 (ja) 開閉体構造
KR20010048503A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JP2005263237A (ja) 蓋付ボックスの蓋開閉機構
US20110025175A1 (en) Lock for a vending machine, cabinet, or the like
JP2015155629A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200324034Y1 (ko) 자동차용 이동형 콘솔의 시건장치
JP4091750B2 (ja) 収納体のサイドロック装置
JP3922035B2 (ja) 引き出し収納装置
JP3738190B2 (ja) 車両用収納体
KR20130000693U (ko) 도어 개폐용 록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