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693U - 도어 개폐용 록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록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693U
KR20130000693U KR2020110006602U KR20110006602U KR20130000693U KR 20130000693 U KR20130000693 U KR 20130000693U KR 2020110006602 U KR2020110006602 U KR 2020110006602U KR 20110006602 U KR20110006602 U KR 20110006602U KR 20130000693 U KR20130000693 U KR 201300006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able member
hook
locking pi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 진보아이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보아이앤디 filed Critical (주) 진보아이앤디
Priority to KR2020110006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693U/ko
Publication of KR20130000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한 손으로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잠금쇠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한 손으로도 매우 편리하게 열 수 있고, 도어를 닫을 때에도 잠금쇠가 잠금핀에 충돌함으로써 소음과 마모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시켜 제조공정을 줄이고 제작비용도 낮출 수 있는 도어 개폐용 록 핸들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도어 개폐용 록 핸들은, 도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잠금핀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도어프레임측의 고리쇠에 걸림유지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파지부가 형성된 가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부재에 대하여 가동부재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잠금핀과 대향하는 위치의 가동부재에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상기 잠금핀에 걸림유지 가능한 후크형상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가동부재의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검지 손가락 위치까지 길게 연장된 회전조작부가 형성된 잠금쇠; 및 상기 가동부재와 잠금쇠 사이에 설치되어 후크형상부가 잠금핀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록 핸들{Lock Handle for Opening and Shutting Door}
본 고안은 도어 개폐용 록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시 한 손으로 핸들을 파지하면서 잠금쇠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고 도어를 닫을 때 잠금쇠와 잠금핀이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마모와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록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개폐용 록 핸들은, 냉동탑차와 같이 도어가 구비된 화물박스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화물박스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20-0390150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1a)(21b)의 스톱퍼 홈(23)에 스톱퍼(4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어(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도어(2)를 개방할 때에는 스톱퍼(40)를 후진시키면, 개방수단(50)의 코일스프링(53) 탄성 지지력에 의해 핸들(30)이 도어(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피벗됨과 동시에 핸들(30)의 걸림부(32)는 홀더(10)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도어(2)가 열리도록 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은, 도어(2)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스톱퍼(40)를 후진시키도록 된 것이므로, 한 손으로는 핸들(30)의 손잡이부(35)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톱퍼(40)을 후진시키기 어렵고, 한 손으로 손잡이부(35)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스톱퍼(40)를 후진시키는 경우,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한 손에 물건을 들고 있을 때에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도어(2)를 닫을 때, 통상 스톱퍼(40)를 조작하지 않고 핸들(30)의 손잡이부(35)만 잡은 상태에서 브라켓(21a)(21b)쪽으로 힘껏 누르게 되면, 스톱퍼(40)가 브라켓(21a)(21b)의 경사면에 충돌하여 소음을 내면서 후진한 후, 스톱퍼홈(23)에 삽입되어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이므로, 도어(2)를 닫을 때마다 충돌에 의한 소음과 마모가 발생하여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브라켓(21a)(21b)을 구성하는 부품이 많고, 개방수단(50)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진 것이므로, 제조공정이 많고 제작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손으로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잠금쇠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한 손으로도 매우 편리하게 열 수 있고, 도어를 닫을 때에도 잠금쇠가 잠금핀에 충돌함으로써 소음과 마모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시켜 제조공정을 줄이고 제작비용도 낮출 수 있는 도어 개폐용 록 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잠금핀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도어프레임측의 고리쇠에 걸림유지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파지부가 형성된 가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고정부재에 대하여 가동부재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잠금핀과 대향하는 위치의 가동부재에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상기 잠금핀에 걸림유지 가능한 후크형상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가동부재의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검지 손가락 위치까지 길게 연장된 회전조작부가 형성된 잠금쇠; 및 상기 가동부재와 잠금쇠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후크형상부가 잠금핀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개폐용 록 핸들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지지축에 감겨져 설치되어 일단은 고정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부재에 지지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도어 개폐용 록 핸들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고정축에 감겨져 설치되어 일단은 가동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잠금쇠에 지지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도어 개폐용 록 핸들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를 열기 위해 가동부재의 파지부를 한 손으로 잡으면, 검지 손가락 위치에 잠금쇠의 회전조작부가 놓여 있는 것이므로, 잠금쇠를 조작하여 도어를 여는 작업이 한 손으로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도어를 닫기 위해 가동부재를 고정부재 쪽으로 누르는 과정에서도 검지 손가락에 위치한 잠금쇠의 회전조작부를 조작하게 되면, 잠금쇠의 후크형상부가 잠금핀에 충돌시키지 않고 걸림유지시킬 수 있어 잠금쇠와 잠금핀의 충돌로 인한 소음과 마모가 최대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 및 가동부재의 구성이 매우 간소화되고, 가동부재의 동작을 위한 제1 탄성부재와 잠금쇠의 동작을 위한 제2 탄성부재의 설치구성이 매우 간소화되어 부품수 및 제조공정이 줄고 제작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록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록 핸들의 작동 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록 핸들의 주요부 작동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록 핸들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록 핸들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용 록 핸들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어 개폐용 록 핸들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록 핸들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고정부재(110), 가동부재(120) 및 잠금쇠(15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10)는 도어(101)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102)측에 고정된 고리쇠(103)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하부에 도어(101)에 고정하기 위한 판형상의 고정부(111)가 형성되며, 고정부(111)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부(111)를 도어(10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리쇠(103)의 반대쪽인 일측에는 잠금핀(112)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120)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된 지지축(11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역시 도어프레임(102)측에 고정된 고리쇠(103)를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113)을 중심으로 하여 고리쇠(103)을 향하는 한쪽에는 고리쇠(103)에 걸림유지되는 걸이부(121)가 형성되고, 고리쇠(103)의 반대쪽을 향하는 다른 쪽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의 파지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10)와 가동부재(120)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130)가 탄력설치되어 고정부재(110)에 대하여 가동부재(1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된 것으로, 제1 탄성부재(130)는, 지지축(113)에 감겨져 설치되어 일단은 고정부재(110)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부재(120)에 지지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잠금쇠(150)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잠금핀(112)과 대향하는 위치의 가동부재(120)에 고정된 고정축(12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고정축(123)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에는 상기 잠금핀(112)에 걸림유지 가능한 후크형상부(151)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가동부재(120)의 파지부(122)를 파지한 손의 검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곳까지 길게 연장된 회전조작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120)와 잠금쇠(150)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140)가 탄력설치되어 후크형상부(151)가 잠금핀(112)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된 것으로, 제2 탄성부재(140)는, 고정축(123)에 감겨져 설치되어 일단은 가동부재(1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잠금쇠(150)에 지지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는 가동부재(120)의 걸이부(121)가 도어프레임(102)측에 고정된 고리쇠(103)에 걸림유지되어 도어(101)가 닫혀 있는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도어(101)를 열고자 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가동부재(120)의 파지부(122)를 감싸 잡게 되면, 자연스럽게 검지 손가락이 잠금쇠(150)의 회전조작부(15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 손가락을 오무려 고정축(123)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쇠(1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도 3a의 실선과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150)의 후크형상부(151)가 잠금핀(112)으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이로 인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부재(120)가 고정부재(110)로부터 이격되어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고리쇠(103)로부터 걸이부(121)가 빠져나와 도어(101)를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01)를 여는 작업이 한 손으로도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2b는 도어(101)가 열려 있는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도어(101)를 닫고자 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가동부재(120)의 파지부(122)를 감싸 잡게 되면, 역시 자연스럽게 검지 손가락이 잠금쇠(150)의 회전조작부(15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 손가락을 오무려 고정축(123)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쇠(1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 탄성부재(140)가 압축되면서 도 3b의 가상선 및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112) 바로 위에 위치한 잠금쇠(150)의 후크형상부(151)가 이동하여 잠금핀(112)의 바로 위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로써 가동부재(120)를 눌러 걸이부(121)를 고리쇠(103)에 걸림유지시킨 후, 잠금쇠(150)의 회전조작부(152)를 누르고 있던 검지 손가락을 떼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조작부(152)가 이동하여 잠금핀(112)에 걸림유지되므로 도어(10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01)를 닫을 때 회전조작부(152)를 조작함으로써 회전조작부(152)가 잠금핀(112)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소음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1 : 도어 102 : 도어프레임
103 : 고리쇠 110 : 고정부재
111 : 고정부 112 : 잠금핀
113 : 지지축 120 : 가동부재
121 : 걸이부 122 : 파지부
123 : 고정축 130 : 제1 탄성부재
140 : 제2 탄성부재 150 : 잠금쇠
151 : 후크형상부 152 : 회전조작부

Claims (3)

  1. 도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잠금핀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도어프레임측의 고리쇠에 걸림유지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파지부가 형성된 가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고정부재에 대하여 가동부재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잠금핀과 대향하는 위치의 가동부재에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상기 잠금핀에 걸림유지 가능한 후크형상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가동부재의 파지부를 파지한 손의 검지 손가락 위치까지 길게 연장된 회전조작부가 형성된 잠금쇠; 및
    상기 가동부재와 잠금쇠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후크형상부가 잠금핀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록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지지축에 감겨져 설치되어 일단은 고정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부재에 지지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록 핸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고정축에 감겨져 설치되어 일단은 가동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잠금쇠에 지지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록 핸들.
KR2020110006602U 2011-07-21 2011-07-21 도어 개폐용 록 핸들 KR201300006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02U KR20130000693U (ko) 2011-07-21 2011-07-21 도어 개폐용 록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02U KR20130000693U (ko) 2011-07-21 2011-07-21 도어 개폐용 록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93U true KR20130000693U (ko) 2013-01-30

Family

ID=5242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602U KR20130000693U (ko) 2011-07-21 2011-07-21 도어 개폐용 록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6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03Y1 (ko) * 2018-05-23 2019-10-24 주식회사 야야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03Y1 (ko) * 2018-05-23 2019-10-24 주식회사 야야 베이비룸 이중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85262A1 (en) Child Car Seat
EP1830022B1 (en) Controlled latch clamp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US7213848B2 (en) Spring open latch clamp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0102466A1 (zh) 一种用于固定杆状物的固定装置
EP1724423A3 (de) Kraftfahrzeugschloß und Halte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icherheitseinrichtung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TW201417943A (zh) 夾持治具及其夾持設備
KR20130000693U (ko) 도어 개폐용 록 핸들
JP5587711B2 (ja) 遊技盤のクランプ装置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US20200199926A1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EP2937578B1 (en) Load carrier foot
KR20130063124A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JP2889230B1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JP2018530290A5 (ko)
JP2012107472A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CN111779359A (zh) 一种锁体
JP5816783B2 (ja) 洗濯機のドアスイッチ装置
KR101355720B1 (ko)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JP2005263237A (ja) 蓋付ボックスの蓋開閉機構
JP4467680B2 (ja) 開閉体構造
KR101034199B1 (ko) 냉장고
KR20100112844A (ko) 러기지 박스용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